KR200449387Y1 -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 Google Patents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387Y1
KR200449387Y1 KR2020080009697U KR20080009697U KR200449387Y1 KR 200449387 Y1 KR200449387 Y1 KR 200449387Y1 KR 2020080009697 U KR2020080009697 U KR 2020080009697U KR 20080009697 U KR20080009697 U KR 20080009697U KR 200449387 Y1 KR200449387 Y1 KR 200449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cking
air duct
groov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007U (ko
Inventor
전남수
Original Assignee
전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수 filed Critical 전남수
Priority to KR2020080009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3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3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방 및 난방을 위한 에어덕트에 있어 압축 폼으로 된 단열재를 연속으로 연결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길이로 제작된 분할덕트를 연결구에 의해 서로 결합 시공함에 있어, 상기 연결구의 연결홈부 상에 별도의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부에는 접착층을 갖는 패킹을 부착 형성함으로써,
분할 형태의 에어덕트관을 연결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에 형성된 안치홈부를 통해 대응의 연결구 사이에 연질 탄력재로 된 패킹을 삽입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킹의 가압 밀착 작용에 의해 연결구와 또 다른 연결구 사이의 틈새를 제거하여 에어덕트 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공기의 유출 차단으로 인한 결로 현상을 예방하므로 뛰어난 열손실 방지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는 물론 결로 및 결로에 의한 낙수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에어덕트, 연결구, 패킹, 삽입홈부, 접착층, 단열재, 안치홈부

Description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 연결구 {Insulation joint for airduct free from heat loss and dew condensation}
본 고안은 냉방 및 난방을 위한 에어덕트에 있어 압축 폼으로 된 단열재를 연속으로 연결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단열재 삽입홈을 갖는 연결구와 또 다른 연결구에 대응의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부에는 접착층을 갖는 패킹을 부착 형성함으로써, 탄성을 갖는 실리콘재로 된 패킹에 의해 연결구의 틈새로 냉기나 열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의 틈새를 통한 냉기의 유출로 인해 연결구 외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이나 대형 건물의 내부에는 중앙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냉기나 열기를 운반 및 분기하기 위한 에어덕트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덕트는 통상적으로 금속판재를 단면상 사각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건물 내 천정이나 배기통로 등에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상기의 금속판 재로 된 에어덕트의 표면에는 석면이나 유리섬유 등의 단열재를 감싼 후 그 표면에 알루미늄재의 마감지를 부착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에어덕트는, 구성 및 제작이 복잡하고 많은 원자재의 소모가 발생하는 것이며, 에어덕트의 외표면에 위치하는 석면이나 유리섬유 등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사용이 원칙적으로 금지되거나 제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금속판재의 절곡 및 용접이나 리벳팅 공정을 통해 사각관체로 된 에어덕트의 제작공정과, 유리섬유 또는 석면으로 된 단열층의 형성공정 및 알루미늄 박판으로 된 마감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제작공정의 다단계와 시공상의 복잡함으로 극히 비효율적이면서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된 형강의 연결구(100)와 압축 폼에 의한 단열재(110)를 이용한 에어덕트가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단열재(110)는 고밀도의 스티로폼을 압축 발포하여 제작되는 것이고, 압축 폼(111)의 표면에는 알루미늄 등의 마감재(112)가 부착 형성된 패널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의 연결구(100)는 일측에 전기한 바와 같은 패널 형태의 단열재(110) 단부가 삽입되게 한 삽입홈부(101)를 형성하고 있고, 타측에는 또 다른 연결구(100')와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홈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단열재(110)를 사각 형태로 절곡 형성한 상태에서 상 기 단열재(110)의 양단에 연결구(100)를 삽입 고정하여 일정 길이의 분할덕트를 형성한 후, 상기와 같은 분할덕트를 시공 구간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공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할덕트의 대응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구(100)(100')에는 별도의 체결부재(103)를 상호 대응의 연결홈부(102)에 가압 삽입하여 이들 분할덕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공된 에어덕트는 일측의 연결구와 또 다른 연결구의 틈새를 통하여 미세하게 내부 공기가 유출되므로 냉기와 열기에 대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며, 냉기의 미세한 유출로 인하여 상기 연결구 간의 틈새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압출 폼으로 된 단열재와 압출 형강으로 된 연결구에 의한 에어덕트는 에어덕트의 내부를 고속으로 이동하는 냉기 또는 열기에 의해 상기 연결구의 대응 결합부에 발생하는 미세한 틈새로 내부의 냉기 또는 열기가 유입되어 상기의 틈새를 통해 에어덕트 외부로 유출되므로 그에 상응하는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의 에어덕트를 통해 냉기를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냉기가 연결구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에어덕트 내부와 외부 간의 온도 차로 인해 상기 틈새의 외측에는 결로가 발생함은 물론 결로에 의한 물이 낙하되면서 천정이나 배기통로 등에 떨어지면서 인접 구조물이나 장치의 부식을 유발시키거나 낙수의 집중으로 인한 누수 또는 곰팡이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일정 길이로 제작된 분할덕트를 연결구에 의해 결합 시공함에 있어, 상기 연결구의 연결홈부 상에 별도의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부에는 접착층을 갖는 패킹을 부착 형성하여, 상기의 분할덕트를 연결하여 시공하는 경우 대응의 연결구에 형성된 안치홈부 내의 패킹에 의해 덕트 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열손실의 방지는 물론 유출 공기에 의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므로,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결로 현상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에어덕트용 단열재 연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으로는 이격 돌출된 지지부에 의한 삽입홈부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길이방향의 연결홈부와 절취부를 형성하여 된 연결구를 구비하여, 상기의 연결구를 압축 폼으로 된 단열재의 양단에 삽입하여 된 분할덕트를 구비한 후 상기의 분할덕트의 연속하여 연결하되, 각각의 분할덕트 단부에 대향 위치한 서로 다른 연결구의 연결홈부와 절취부에는 대응 형상으로 된 체결부재를 삽입 형성하여 된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구와 또 다른 연결구의 대응단면 사이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패킹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분할 형태의 에어덕트관을 연결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에 형성된 안치홈부를 통해 대응의 연결구 사이에 연질 탄력재로 된 패킹을 삽입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킹의 가압 밀착 작용에 의해 연결구와 또 다른 연결구 사이의 틈새를 제거하여 에어덕트 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공기의 유출 차단으로 인한 결로 현상을 예방하므로 뛰어난 열손실 방지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는 물론 결로 및 결로에 의한 낙수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덕트의 연결구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덕트의 연결구를 보인 요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덕트용 연결구(10)(10')는 일측으로 이격 돌출된 지지부(11)(11')에 의한 삽입홈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홈부(13)와 절취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구(10)(10')는 상기의 절취부(14)가 서로 대응하여 맞닿도록 두 개의 연결구(10)(10')를 서로 면접하여 이들을 별도의 체결부재(30)를 사용하여 결합 및 연결 시공하는 것이다.
즉, 주지한 바와 같이 단열재(20)와 연결구(10)(10')에 의해 이루어지는 냉,난방용 에어덕트는 종래의 연속형 덕트가 아닌 부분 부분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개념의 덕트를 제작한 상태에서 이들 부분의 분할 덕트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분할덕트에는 단열재(20)의 양단에 연결구(10)가 각기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이므로, 이격된 서로 다른 분할덕트의 단부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대향의 연결구(10)(10')를 별도의 체결부재(3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 및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지지부(11)(11')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부(12)로 끼워지는 단열재(20)는 우레탄을 압축 발포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석면이나 유리섬유에 의한 피해를 끼치지 아니하는 것이며, 상기의 체결부재(30)는 서로 대향된 연결구(10)(10')의 연결홈부(13)와 절취부(14)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어 분리 상태의 연결구(10)(10')를 상기 체결부재(3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체결부재(30)에 의해 서로 연속하여 결합된 연결구(10)(10') 는 이들 연결구(10)(10')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내부의 열기나 냉기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서로 대향되는 연결구(10)(10')의 대응 단부에 별도의 패킹(40)을 삽입하여 패킹(40)의 탄력 밀착성에 의해 연결구(10)(10') 간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시키므로 덕트 내부의 열기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패킹(40)은 상기 연결구(10)(10')의 대응 단면에 형성된 안치홈부(41)(4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패킹(4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층(42)이 형성되어 있어 일측의 연결구(10)에 패킹(40)을 우선 부착 형성한 상태에서 다른 측의 연결구(10')를 체결부재(30)에 의해 결합하게 되면, 대응하는 연결구(10)(10')가 대응 단면 사이의 패킹(40)을 가압하면서 긴밀한 상호 밀착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패킹(40)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의 단열재(20)가 삽입되는 지지부(11)(11') 중 일측의 지지부(11)(11')에는 선단의 라운딩부(15)를 형성하여 지지부(11)(11')와 단열재(20) 간의 간섭이 방지되게 하면서도, 지지부(11)(11')에 의한 삽입홈부(12) 내측으로 단열재(20)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한 것인데,
상기의 지지부(11)(11')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하여 연결구(10)(10')에 의한 덕트 내부와 외부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짧은 측의 지지부(11) 선단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라운딩부(1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단열재(20)를 삽 입홈부(12) 내에 끼워 넣고자 하는 경우 짧은 측의 지지부(11)를 통해 단열재(20)의 단부 코너를 우선 진입시킨 후 상기의 단열재(20)를 수직으로 세워가며 하향 가압하면 그 삽입홈부(12) 내에 단열재(20)가 간편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단열재(20) 표면에는 금속박판으로 된 마감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지지부(11)의 선단에 라인딩부(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얇은 두께를 갖는 지지부(11)의 선단이 단열재(20)의 압축 폼과 마감재 사이로 끼워지면서 단열재의 삽입 불량을 유도하면서도 시공 불량을 초래하므로 상기와 같은 체결 및 시공상의 불합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의 라운딩부(15)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라운딩부(15)는 지지부(11)의 단면적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곡면 형태의 선단부가 형성되게 하므로, 날카로운 단부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지지부(11)의 선단이 단열재(20)의 압축 폼과 마감재의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구(10)(10')를 이용한 에어덕트의 시공예를 살펴보면,
도 5a의 도시와 같이 일측의 연결구(10)에 형성된 안치홈부(41) 상에 패킹(40)을 부착하되, 상기의 패킹(40)은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층(42)을 이용하여 패킹(40)의 유동없이 도 5b의 도시와 같이 부착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또 다른 연결구(10')의 안치홈부(41')를 도 5c의 도시와 같이 상기 연결구(10)의 안치홈부(41)와 대응되도록 밀착 형성하면, 상기의 패킹(40)은 대향된 안치홈부(41)(41')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패킹(40) 두께는 안치홈부(41)(41')의 내부 높이 보다 크게 형성하여 대향 밀착되는 안치홈부(41)(41')에 의해 상기의 패킹(40)이 가압 상태로 밀착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부재(30)를 상기 연결구(10)(10')에 형성된 삽입홈부(12)와 연결홈부(13)의 사이로 밀어넣으면 상기 체결부재(30)에 의해 분리 상태의 연결구(10)(10')는 도 5d의 도시와 같이 견고한 상태로 일체화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기 또는 열기의 공급통로의 역할을 하는 에어덕트의 내부 공기가 연결구(10)(10')의 틈새로 유입되더라도 상기의 패킹(40)에 의해 외부로 전혀 유출되지 아니하므로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냉기의 유출로 인한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응축수가 연결구의 대응 표면에서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 역시 해소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안치홈부(41)(41')에 의하여 연결구(10)(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부(43)(43')는 내부의 패킹(40)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구(10)(10')는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거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도 무방한 것이며,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금속재에 비하여 열전도성이 떨어지므로 열효율이 더욱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덕트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에어덕트 연결구를 보인 요부 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덕트의 연결구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덕트의 연결구를 보인 요부 결합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에 의한 에어덕트 시공 과정도로서,
도 5a는 일측 연결구와 패킹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일측의 연결구에 패킹을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c는 패킹이 부착된 일측 연결구에 타측 연결구를 결합하는 과정도
도 5d는 패킹이 내재된 연결구에 단열재를 삽입하는 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연결구 11,11' : 지지부
12 : 삽입홈부 13 : 연결홈부
14 : 절취부 15 : 라운딩부
20 : 단열재
30 : 체결부재
40 : 패킹 41,41' : 안치홈부
42 : 접착층 43,43' : 걸림턱부

Claims (4)

  1. 일측으로는 이격 돌출된 지지부(11)(11')에 의한 삽입홈부(1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길이방향의 연결홈부(13)와 절취부(14)를 형성하여 된 연결구(10)를 구비하여, 상기의 연결구(10)를 압축 폼으로 된 단열재(20)의 양단에 삽입하여 된 분할덕트를 구비한 후 상기의 분할덕트의 연속하여 연결하되, 각각의 분할덕트 단부에 대향 위치한 서로 다른 연결구(10)(10')의 연결홈부(13)와 절취부(14)에는 대응 형상으로 된 체결부재(30)를 삽입 형성하여 된 에어덕트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구(10)와 또 다른 연결구(10')의 대응단면 사이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패킹(40)을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10)(10')의 대응 단면에는 안치홈부(41)(4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안치홈부(41)(41') 내에 패킹(40)을 삽입 형성하되,
    상기 패킹(4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접착층(42)을 형성하여, 일측의 연결구(10) 상에 형성된 안치홈부(41)에 상기 패킹(40)의 접착층(42)을 부착 형성한 상태에서, 대응 연결되는 타측 연결구(1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안치홈부(41)(41') 내에 패킹(40)이 고정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 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 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연결구(10)(10')에 형성된 안치홈부(41)(41')의 일측으로는 걸림턱부(43)(43')를 형성하여, 안치홈부(41)(41') 내의 패킹(40)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의 지지부(11)(11')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내,외측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짧은 길이를 갖는 일측의 지지부(11) 선단에는 라운딩부(15)를 형성하여, 지지부(11)(11')의 사이에 해당하는 삽입홈부(12)에 끼워지는 단열재(20)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 연결구.
KR2020080009697U 2008-07-22 2008-07-22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KR200449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97U KR200449387Y1 (ko) 2008-07-22 2008-07-22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97U KR200449387Y1 (ko) 2008-07-22 2008-07-22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07U KR20100001007U (ko) 2010-02-01
KR200449387Y1 true KR200449387Y1 (ko) 2010-07-08

Family

ID=4419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697U KR200449387Y1 (ko) 2008-07-22 2008-07-22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3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345B1 (ko) * 2013-02-18 2014-12-08 전남수 연결구조를 갖는 덕트
KR20220000921U (ko) 2020-10-21 2022-04-28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에어덕트 슬리브용 체결링
KR20220001067U (ko) 2020-11-05 2022-05-12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단차가 형성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780Y1 (ko) * 1992-08-19 1995-10-14 유종수 냉동창고 조립용 단열패널의 결합판
JPH07305887A (ja) * 1994-05-11 1995-11-21 Fuji Kucho Kogyo Kk 角ダクトの仮接続具
JPH10103749A (ja) 1996-09-27 1998-04-21 Toshiba Corp ダクトの接続構造
JPH11343783A (ja) 1998-05-29 1999-12-14 Benikkusu Kk パネル接合部のエアタイ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780Y1 (ko) * 1992-08-19 1995-10-14 유종수 냉동창고 조립용 단열패널의 결합판
JPH07305887A (ja) * 1994-05-11 1995-11-21 Fuji Kucho Kogyo Kk 角ダクトの仮接続具
JPH10103749A (ja) 1996-09-27 1998-04-21 Toshiba Corp ダクトの接続構造
JPH11343783A (ja) 1998-05-29 1999-12-14 Benikkusu Kk パネル接合部のエアタイト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345B1 (ko) * 2013-02-18 2014-12-08 전남수 연결구조를 갖는 덕트
KR20220000921U (ko) 2020-10-21 2022-04-28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에어덕트 슬리브용 체결링
KR20220001067U (ko) 2020-11-05 2022-05-12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단차가 형성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07U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7919B2 (ja) 表面被覆材ならびにそのような表面被覆材のためのクリップ
KR200449387Y1 (ko) 열손실과 결로현상이 방지되게 한 에어덕트용 단열재연결구
PL1867910T3 (pl) Rura przewodowa z izolacją termiczną
KR20110056109A (ko)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ITMI20012812A1 (it) Metod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evacuati cilindrici termicamenteisolanti e pannelli cosi' ottenuti
DE50311904D1 (de) Wärmeübertrager, insbesondere gaskühler
EP2149770A8 (de) Röhrenwärmeüberträger und Verfahren zur Wärmeübertragung zwischen wenigstens zwei Lebensmittelströmen
KR200327571Y1 (ko) 단열용 파이프
US9273881B2 (en)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and tool for its manufacture
JP4008005B2 (ja) 円形ないし楕円形の内部流路を有する暖房パネルを含む浮床構造の暖房システム
ATE494505T1 (de) Rohrverbindung
KR101442801B1 (ko) 에어컨의 배관재 삽입용 주름관
WO2008105185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180372252A1 (en) Sliding sleeve connection
CN1752503A (zh) 中空风管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KR101469345B1 (ko) 연결구조를 갖는 덕트
JP2003314785A (ja) 真空断熱配管
KR101033852B1 (ko) 덕트 연결구
CN115021178B (zh) 一种墙体模块与管线一体化安装结构
KR20100004840U (ko)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CN210566822U (zh) 一种管道连接件
JP2007046415A (ja) 目地止水用シール材及び目地止水方法
CN102996902B (zh) 一种管固定装置
CN214947023U (zh) 一种制冷用空心薄壁毛细铜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