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781Y1 -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 Google Patents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781Y1
KR200448781Y1 KR2020090006607U KR20090006607U KR200448781Y1 KR 200448781 Y1 KR200448781 Y1 KR 200448781Y1 KR 2020090006607 U KR2020090006607 U KR 2020090006607U KR 20090006607 U KR20090006607 U KR 20090006607U KR 200448781 Y1 KR200448781 Y1 KR 200448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terminal box
railing
vertical memb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사균
Original Assignee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6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로 인입되는 케이블를 다방향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하고, 난간의 모퉁이에 확고히 밀착되어 태풍이나 다른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는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제1수평관과 제1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된 제1몸체와, 제2수평관과 제2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관이 상기 제2수평관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 핀 결합되는 밀착구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난간에 고정된 상태로 케이블 인입을 돕고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벽단자함 설치대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30)는, 건축물 난간의 모퉁이에 밀착되게 단면 형상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물 난간, 모퉁이, 벽단자함, 밀착구

Description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ESTABLISH RACK FOR WALL TERMINAL BOX CAPABLE OF INSTALLING TO CORNER OF PARAPET}
본 고안은 건축물 난간의 모퉁이에 벽단자함 설치대를 설치하여 상기 벽단자함 설치대에 벽단자함을 설치함으로써 건물로 인입되는 케이블를 다방향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하고, 난간 모퉁이에 설치되므로 옥상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며, 난간의 모퉁이에 확고히 밀착됨으로 태풍이나 다른 충격에 잘 견디는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전주등에서 케이블을 건물로 인입하고자 하는 경우 건물의 난간등의 구조물에 벽단자함 설치대를 고정하고, 여기에 케이블을 안내하는 고리와 단자함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건물로 인입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벽단자함 설치대는 볼트를 이용하여 건축물 난간등의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벽단자함 설치대는 건축물의 난간 등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기구로서 인입되는 케이블을 안내해주고 단자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종래의 벽단자함 설치대는 사각 단면을 갖는 제1관체(2)와 제1관체(2)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결합된 "ㄷ"자 단면모양의 제1수직체(3)로 이루어진 제1몸체부(4)와, 사각 단면을 갖은 제2관체(5)와 제2관체(5)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결합된 "ㄷ"자 단면모양의 제2수직체(6)로 이루어진 제2몸체부(4)와, 상기 제1수직체(3)와 제2수직체(6)의 하단부에 핀 결합되는 삼각대(7)로 구성되고, 상기 제1관체(2)가 상기 제2관체(5)에 삽입되어 일체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벽단자함 설치대는 난간의 평면부위에 상기 삼각대(7)가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 태풍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설치대에 설치된 벽단자함이 이탈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물로 인입되는 케이블이 난간의 평면부분을 통해 상기 설치대로 연결되므로 옥상의 난간미관이 미려하지 못함 단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에 케이블을 인입시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므로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되는 벽단자함 설치대에 벽단자함을 설치함으로써 건물로 인입되는 케이블를 다방향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하고, 난간 모퉁이에 설치되므로 옥상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며, 난간의 모퉁이에 확고히 밀착됨으로 태풍이나 다른 충격에 잘 견디는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제1수평관과 제1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된 제1몸체와, 제2수평관과 제2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관이 상기 제2수평관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 핀 결합되는 밀착구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난간에 고정된 상태로 케이블 인입을 돕고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벽단자함 설치대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30)는, 건축물 난간의 모퉁이에 밀착되게 단면 형상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벽단자함 설치대에 결합되는 밀착구를 "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건축물 난간 모퉁이에 벽단함을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건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다방향을 인입할 수 있으며, 난간 모퉁이에 설치되므로 옥상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ㄴ"형상의 밀착구가 난간 모퉁이에 확고히 밀착되므로 설치대가 태풍이나 다른 충격에 잘 견디어 벽단자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단자함 설치대에 결합된 밀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는 제1수평관과 제1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된 제1몸체와, 제2수평관과 제2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관이 상기 제2수평관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 핀 결합되는 밀착구(30)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난간에 고정된 상태로 케이블 인입을 돕고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벽단자함 설치대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30)는, 건축물 난간의 모퉁이에 밀착되게 단면 형상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은 본 고안의 주요 특징부 구성인 밀착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밀착구(30)는 제1몸체(10)의 제1수직부재(15)와 제2몸체(20)의 제2수직부재(25)에 결합되는 것으로, 건축물 난간의 몸퉁이에 밀착되게 단면 형상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부재(15)에 핀 결합되는 상기 밀착구(30)에는 한쌍의 제1돌출편(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부재(25)에 핀 결합되는 상기 밀착구(30)에는 한쌍의 제2돌출편(35)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수직부재(15)에 핀 결합되는 상기 밀착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ㄴ" 형상으로 볼록한 면에 상기 한 쌍의 제1돌출편(31)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돌출편(31)이 상기 제1수직부재(15)의 하단에 밀착되어 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수직부재(15)에 핀 결합되는 상기 밀착구(30)의 오목면이 건축물 난간 모퉁이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부재(25)에 핀 결합되는 상기 밀착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오목한 면에 상기 한 쌍의 제2돌출편(35)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돌출편(35)이 상기 제2수직부재(25)의 하단에 밀착되어 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수직부재(25)에 핀 결합되는 상기 밀착구(30)의 볼록면이 건축물 난간 모퉁이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벽단자함 설치대에 결합되는 밀착구를 "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건축물 난간 모퉁이에 벽단함을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건물로 인입되는 케이블을 다방햐으로 인입시킬 수 있어 활용성이 증대되며, 난간 모퉁이에 설치 되므로 난간의 평면에 설치되는 종래 보다 옥상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ㄴ"형상의 밀착구가 난간 모퉁이에 확고히 밀착되므로 태풍이나 다른 충격에 잘 견디어 설치대에 설치된 벽단자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벽단자함 설치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단자함 설치대에 결합된 밀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몸체부 2: 제1관체
3: 제1수직체 4: 제2몸체
5: 제2관체 6: 제2수직체
7: 삼각대 10: 제1몸체
11: 제1수평관 15: 제1수직부재
20: 제2몸체 21: 제2수평관
25: 제2수직부재 30: 밀착구
31: 제1돌출편 35: 제2돌출편

Claims (1)

  1. 제1수평관과 제1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된 제1몸체와, 제2수평관과 제2수직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관이 상기 제2수평관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 핀 결합되는 밀착구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난간에 고정된 상태로 케이블 인입을 돕고 단자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벽단자함 설치대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30)는, 건축물 난간의 모퉁이에 밀착되게 단면 형상이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KR2020090006607U 2009-05-29 2009-05-29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KR200448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07U KR200448781Y1 (ko) 2009-05-29 2009-05-29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07U KR200448781Y1 (ko) 2009-05-29 2009-05-29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781Y1 true KR200448781Y1 (ko) 2010-05-24

Family

ID=4423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607U KR200448781Y1 (ko) 2009-05-29 2009-05-29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7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515A (ja) 1997-04-15 1998-10-27 Fujikura Ltd 引込線引留具
KR200210139Y1 (ko) 2000-08-04 2001-01-15 문성주 전선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19452Y1 (ko)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만능 인입선 걸이
KR200330980Y1 (ko) 2003-07-22 2003-10-22 주식회사 삼은통신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인입벽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515A (ja) 1997-04-15 1998-10-27 Fujikura Ltd 引込線引留具
KR200210139Y1 (ko) 2000-08-04 2001-01-15 문성주 전선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19452Y1 (ko)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만능 인입선 걸이
KR200330980Y1 (ko) 2003-07-22 2003-10-22 주식회사 삼은통신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인입벽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883B1 (ko) 건축물의 슬라이딩식 목재데크판 고정 구조
KR20090002456U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CN102518875B (zh) 一种穹顶或弧形或斜坡使用的电线安装架
CN107201798A (zh) 一种集成吊顶固定结构及型材
KR200448781Y1 (ko) 난간의 모퉁이에 설치가 가능한 벽단자함 설치대
KR100952314B1 (ko)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CN101839455B (zh) 照明灯具的安装结构
JP5686589B2 (ja) 竪平葺屋根における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基礎装置
KR200443592Y1 (ko) 조명등 거치대
WO2018099171A1 (zh) 壁挂结构、壁挂设备及壁挂整机
KR101021007B1 (ko) 장식용 엘이디 라이트 파이프
KR20100061016A (ko) 발코니 난간 지지용 측벽 브라켓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101355149B1 (ko) 램프고정용 클립
CN210266944U (zh) 洗墙灯固定装置
KR200448263Y1 (ko) 프레임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프레임
CN210219455U (zh) 一种灯具安装结构
CN217635301U (zh) 一种新型线条灯
CN220185002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窗框型材组件
KR102368568B1 (ko) 공동주택 건축용 발코니난간의 핸드레일고정장치
JP2010273465A (ja) 分電盤
KR200379153Y1 (ko) 천장마감용패널
CN212719328U (zh) 一种方便安装的瓦楞灯
KR200444469Y1 (ko) 스위치 설치용 가벽 고정구
KR200451131Y1 (ko) 외장형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