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153Y1 - 천장마감용패널 - Google Patents
천장마감용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9153Y1 KR200379153Y1 KR20-2005-0000057U KR20050000057U KR200379153Y1 KR 200379153 Y1 KR200379153 Y1 KR 200379153Y1 KR 20050000057 U KR20050000057 U KR 20050000057U KR 200379153 Y1 KR200379153 Y1 KR 2003791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body
- panel
- ceiling finishing
- ceiling
- coupl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2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closed frame around the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마감용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패널본체(10) 상기 패널본체(10)의 한쪽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ㄱ자 형태의 연결부(14) 상기 패널본체(10)의 다른 쪽 측면에, 다른 패널본체(10)의 연결부(14)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 측면결합부(13) 상기 패널본체(10)의 양 끝단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결합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12)를 가지는 말단결합부(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패널의 길이를 변경하여 생산할 수 있음으로 자재의 손실이 적고, 배관부위 등에 천장마감용 타일과의 혼합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점검기능이 좋으며, 부자재 비용과 시공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천장마감용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패널본체의 한쪽 측면에는 연결부(14)를 가지고 다른 측면에는 측면결합부(13)를 가지며, 양 말단에는 말단결합부(11)를 가지는 천장마감용패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천장마감방법으로는 먼저 정사각형의 천장마감용타일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정사각형형상의 마감용 타일의 각 변에 직각으로 가공되고, 결합을 위한 돌출부가 있는 결합부를 가지는 천장마감용타일을 클립바에 끼워넣어 시공하는 방법으로, 이에 의하는 경우 천장마감용타일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천정마감재 내부에 설치된 각종배관이나 배선의 점검ㆍ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공이 간편한 대신 한 장씩 탈부착하여 작업해야 하므로 인건비의 비중이 늘어나며, 건물의 출입구등 바람이 심한 곳에서는 단순히 클립바와 천장마감용타일의 결합부의 돌출부위사이의 결합력만을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천장마감용타일이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클립 바를 설치하는 간격은 천장마감용타일의 한변의 크기와 같아야 하므로 클립바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부자재 비중이 크며, 시공되는 공간의 천장크기에 일정한 규격의 천장마감용타일을 부착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마무리 부분에서는 공간을 맞추기 위하여 천장마감용타일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거나 하여 시공하여야 하므로 자재의 손실과 시공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또 다른 기존의 천장마감방법으로는 천장마감용패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패널의 한 측면에는 ㄱ자형상의 연결부를, 다른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측면 결합부를 가진 직사각형의 천장마감용패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패널의 고정에 M-바를 사용하고, M-바에 패널을 고정하는데는 피스고정을 하므로 탈락의 염려가 없으며, 시공장소의 크기에 따라 패널의 길이를 맞추어 주문생산이 가능하므로 자재의 손실이 적으며, 시공시 인건비 비중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천장마감용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천장마감재 내부의 배관이나 배선의 점검이나 수리를 위한 별도의 기능이 없어, 점검ㆍ수리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부분의 천장마감용패널의 시공을 해체하거나 별도의 점검구를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마감용패널의 양 끝단에 클립바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에 간단하게 천장마감용 타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며, 탈락의 우려가 적고 주문생산에 의해 자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에 천장마감용타일을 혼합시공하여 점검ㆍ수리 기능을 손쉽게 확보하고, 천장마감용타일 부분의 색상이나 디자인 등을 손쉽게 선택ㆍ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천장마감용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패널본체(10) 상기 패널본체(10)의 한쪽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ㄱ자 형태의 연결부(14) 상기 패널본체(10)의 다른 쪽 측면에, 다른 패널본체(10)의 연결부(14)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 측면결합부(13) 상기 패널본체(10)의 양 끝단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결합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12)를 가지는 말단결합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용패널과,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패널본체(10), 연결부(14), 측면결합부(13), 말단결합부(11)로 구성된다.
먼저 패널본체(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패널본체(10)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물의 강도와 하중, 시공용이성 등을 고려 할 때 상기 패널본체(10)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또는 경금속합금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본체는 일정한 규격의 폭을 유지하면서 시공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다음으로 말단결합부(11)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말단결합부(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본체(10)의 양 끝단에 가공된다. 상기 말단결합부의 상단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바(30)에 간단히 끼워 넣을 경우 단단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본체(10)의 안쪽을 향하도록 돌출부가 가공된다. 또한 상기 말단결합부(11)와 상기 패널본체(10)가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클립바(30)가 연결부(14)나 측면결합부(13)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적절한 위치까지 끼워질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와 측면 결합부(13)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측면결합부(13)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측면결합부(13)는 상기 패널본체(10)의 한쪽 측면에 가공되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을 가진다. 상기 측면결합부(13)의 홈은 후술할 연결부(14)가 상기 패널본체(10)의 재질의 탄성에 의해 단단히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의 두께보다 약간 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결합부(13)의 홈부분 바깥쪽의 형상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본체(10)를 후술할 M-바(40)에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 후술할 연결부(14)가 피스의 머리부분과 간섭하지 않고 상기 측면결합부(13)의 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로 만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결부(14)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부(1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결합부(13)의 홈에 끼워져 상기 패널본체(10)들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천장마감타일(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천장마감타일(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변에 상기 말단결합부(11)와 같은 형상의 결합부가 가공되어 있다. 상기 천장마감타일(20)은 시공되는 장소의 필요에 따라 여러 형상의 구멍을 뚫어 흡음이나 통기의 기능을 갖게 하거나, 여러 색상이나 디자인을 표면에 표현하여 천장마감재시공에 있어 액센트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클립바(3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클립바(30)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의 평평한 부분에는 상기 클립바(30)를 천장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행거 등을 부착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말단결합부(1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바(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본체(10)의 양 끝단부위 상부에 상기 패널본체(10)와 직각을 이루어 시공되며, 상기 패널본체(10)의 말단결합부(11)와 상기 천장마감타일(20)의 결합부를 간단하게 상기 클립바(30) 하부에 끼워 넣음으로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M-바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M-바는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패널본체(10)를 천장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본체(10)의 상부에 직각으로 설치된다. 상기 패널본체(10)는 상기 M-바(40)에 상기 측면결합부(13)상부의 만곡부를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M-바에(40)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재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공된 상태를 상부에서 보면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빈번한 점검ㆍ수리가 필요한 부분에 상기 천장마감용타일(20)을 배치하며, 그 외의 부분에는 상기 천장마감용 패널본체(10)가 배치된다. 상기 천장마감용 패널본체(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바(40)에 피스 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패널본체(10)상호간에는 상기 측면결합부(13)에 상기 연결부(14)를 끼워 넣는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필요한 부분에 상기 천장마감용타일(2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본체(10)의 끝단부분에 상기 M-바(40) 대신 상기 클립바(30)를 배치하며, 여기에 상기 패널본체(10)의 말단결합부(11)와 상기 천장마감용타일(20)의 결합부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상기 패널본체(10)와 상기 천장마감용타일(20)의 결합이 가능하다.
최초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는 경우, 필요한 부위에 천장마감용타일(20)과 천장마감용 패널본체(10)를 혼합시공하기 위하여, 패널본체(10)에 가공된 말단결합부(11)와 천장마감타일(20)의 결합부를, 천장마감용 패널본체(10)의 말단부에 직각으로 설치된 클립바(30)에 간단히 끼워넣거나 빼는 것만으로도 탈ㆍ부착이 가능하여, 천장마감용패널 또는 천장마감용타일 어느 한 종류의 마감재만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고, 필요한 부위의 수리점검을 위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빠르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강한 바람에 의한 탈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같는다.
또한, 천장마감용타일(20)의 디자인이나 색상 등을 패널본체(10)와 다르게 하는 경우 손쉽게 천장마감에 액센트를 주는것도 가능하다.
도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용패널의 외관도
도2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용패널의 시공 상면도
도3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마감용패널의 시공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패널본체 11: 말단결합부
12: 돌출부 13: 측면결합부
14: 연결부 20: 천장마감용타일
30: 클립 바 40: M-바
Claims (1)
- 패널본체(10);상기 패널본체(10)의 한쪽 측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ㄱ자 형태의 연결부(14);상기 패널본체(10)의 다른 쪽 측면에, 다른 패널본체(10)의 연결부(14)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직각으로 형성된 측면결합부(13);상기 패널본체(10)의 양 끝단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결합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12)를 가지는 말단결합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용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0057U KR200379153Y1 (ko) | 2005-01-03 | 2005-01-03 | 천장마감용패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0057U KR200379153Y1 (ko) | 2005-01-03 | 2005-01-03 | 천장마감용패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0066A Division KR20060079623A (ko) | 2005-01-03 | 2005-01-03 | 천장마감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재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9153Y1 true KR200379153Y1 (ko) | 2005-03-17 |
Family
ID=4368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0057U KR200379153Y1 (ko) | 2005-01-03 | 2005-01-03 | 천장마감용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915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9740A (zh) * | 2016-08-12 | 2016-10-26 | 深圳市科源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单元组吊顶 |
-
2005
- 2005-01-03 KR KR20-2005-0000057U patent/KR2003791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9740A (zh) * | 2016-08-12 | 2016-10-26 | 深圳市科源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单元组吊顶 |
CN106049740B (zh) * | 2016-08-12 | 2018-02-02 | 深圳市科源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单元组吊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4320B1 (ko) |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 |
CN107201798A (zh) | 一种集成吊顶固定结构及型材 | |
JP4886724B2 (ja) | 建築用外装ルーバー | |
KR101964426B1 (ko) | 건축용 부재 | |
KR200379153Y1 (ko) | 천장마감용패널 | |
KR20060079623A (ko) | 천장마감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재 시공방법 | |
JP2007092303A (ja) | 換気化粧部材及びその施工方法 | |
CN111075109A (zh) | 房梁固定装置及房梁 | |
KR20100040420A (ko) |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 |
KR100557478B1 (ko) | 아치지붕구조와 이를 이용한 아치지붕의 시공방법 | |
KR100623965B1 (ko) |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 |
KR200174254Y1 (ko) | 건축물의 외장재 | |
CN108612248A (zh) | 一种房屋吊顶安装结构 | |
KR101648197B1 (ko) | 외장패널 고정구 및 그를 이용한 외장패널 시공방법 | |
CN211714354U (zh) | 房梁固定装置及房梁 | |
JP5103108B2 (ja) | バルコニー構造及びバルコニーユニット | |
KR200378284Y1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 |
KR100964198B1 (ko) |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 |
KR20000074520A (ko) |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 |
CN219586935U (zh) | 整体卫浴顶板与墙板的连接结构 | |
KR200378283Y1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 |
CN204715577U (zh) | 淋浴房玻璃面板连接组件 | |
KR101628268B1 (ko) |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CN110284683B (zh) | 顶板固定结构 | |
KR200166387Y1 (ko) |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