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620Y1 -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620Y1
KR200448620Y1 KR2020090015066U KR20090015066U KR200448620Y1 KR 200448620 Y1 KR200448620 Y1 KR 200448620Y1 KR 2020090015066 U KR2020090015066 U KR 2020090015066U KR 20090015066 U KR20090015066 U KR 20090015066U KR 200448620 Y1 KR200448620 Y1 KR 200448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astening unit
reinforcement bracket
sliding do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규
Original Assignee
양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규 filed Critical 양영규
Priority to KR2020090015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접어서 열거나 펼쳐서 닫아놓을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부에서 이동롤러를 결합하는 체결유닛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는 도어의 상단부에서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가 고정나사로 고정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절개부를 통해 이동롤러의 연결봉이 결합되어 있되,상기 도어의 앞면 및 뒷면에서 마주보고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의 각각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 부위에 대응되게 맞대어지는 절곡된 지지부; 및 상기 도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의 수직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과 결합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도어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을 밀착시키는 체결나사와 너트로 관통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딩 도어, 체결유닛, 보강브라켓, 지지부, 절곡부.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reinforcing combination structure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도어를 접으면서 열거나 펼쳐서 닫아놓을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부에서 이동롤러를 결합하는 체결유닛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 체결유닛, 이동롤러 및 가이드레일로 구성되어 도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의 상단부에는 체결유닛의 플랜지 부위에 고정나사가 결합되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이렇게 결합된 체결유닛에는 이동롤러를 결합시키고, 이동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도어를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에 구성된 체결유닛은 도어의 상단부에서 나사를 수직방향으로 결합시켜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도어가 가지고 있는 하중은 체결유닛을 도어에 수직으로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에만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체결유닛에 결합된 고정나사는 무거운 도어를 지탱하는데 부담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서 도어의 상단부에서 체결유닛에 결합하고 있던 고정나사가 조금씩 빠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된 체결유닛에 연결된 이동롤러 상호간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지 못하는 고장이 생기게 되고, 결국에는 체결유닛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나사가 완전히 빠져서 도어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위험성이 있었다.
한편,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체결유닛은 도어의 두께에 맞는 폭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어의 두께에 비해서 그 폭이 작은 것이거나 큰 체결유닛은 사용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도어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는 체결유닛인 경우에는 도어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도 그에 따라 작은 것을 사용하여야 했기에 체결유닛의 고정력이 약하고, 도어의 두께에 비해서 큰 폭을 가지는 체결유닛을 사용하려면 체결유닛에 형성된 큰 장공에 맞는 큰 고정나사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도어의 두께와 비교해서 고정나사의 직경이 크므로 고정나사를 결합하면서 도어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한편, 도어의 두께에 비해서 큰 폭을 가지는 체결유닛을 도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두께를 벗어나서 체결유닛의 폭 부분이 삐져나와 있으므로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슬라이딩 도어 시공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도어, 가이드레일, 이동롤러, 체결유닛은 서로 하나의 세트로 맞추어서 사용함이 마땅하겠으나, 특히 도어의 두께에 비해 큰 체결유닛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그에 맞는 체결유닛을 구입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부에 이동롤러를 결합하는 체결유닛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도어의 두께에 맞지 않는 폭을 가지는 체결유닛도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는 도어의 상단부에서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가 고정나사로 고정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절개부를 통해 이동롤러의 연결봉이 결합되어 있되,상기 도어의 앞면 및 뒷면에서 마주보고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의 각각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 부위에 대응되게 맞대어지는 절곡된 지지부; 및 상기 도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의 수직면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과 결합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도어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을 밀착시키는 체결나사와 너트로 관통결합시 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어의 상단부에서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절개부를 통해 이동롤러의 연결봉이 결합되어 있되, 상기 도어의 앞면 및 뒷면에서 마주보고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의 각각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 바로 위에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지지부; 및 상기 도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과 배면 보강브라켓의 수직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도어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을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나사와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면 보강브라켓의 지지부는 체결유닛의 플랜지 상면에 밀착되고, 정면 보강브라켓의 지지부는 배면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의 상면에 저면이 밀착되며, 상기 체결유닛의 플랜지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의 지지부에 의해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의 절곡부는, 도어 두께(T)를 벗어나는 체결유닛의 폭과 도어 두께(T)를 고려하여 상기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의 수직면의 상측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상단부에 이동롤러를 결합하는 체결유닛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정면 보강브라켓 및 배면 보강브라켓에 의 하여 체결유닛의 양쪽 플랜지 부위를 확실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체결유닛에 결합된 고정나사가 도어의 하중에 의하여 빠지게 될 우려가 없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된 체결유닛에 연결된 이동롤러 상호간의 높이가 달라질 일이 없어서 오랜 기간동안 사용하여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이동롤러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어지고, 체결유닛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나사가 빠질 수 없으므로 도어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으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 시공업체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체결유닛이 도어의 두께에 맞지 않아도 슬라이딩 도어를 시공하는데 지장을 받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한 결합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어(1)의 상단부(2)에서 이동롤러(도면 미도시)를 결합하는 체결유닛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를 제 시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1)의 상단부(2)에 체결유닛(3)이 양쪽 플랜지(5)(6)에 고정나사(7)로 고정되고, 상기 체결유닛(3)의 절개부(4)를 통해 이동롤러의 연결봉(8)이 결합된다.
본 고안에는 도어(1)의 앞면 및 뒷면에서 마주보고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 보강브라켓(10A)과 배면 보강브라켓(10B)을 포함하여 결합된다.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10A)과 배면 보강브라켓(10B)은 상기 체결유닛(3)이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보강브라켓(10A)(10B)은 동일하게 'ㄱ'자형으로 양쪽에 절곡된 지지부(11a)(11b)(12a)(12b)을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지지부(11a)(12a) 및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12b)는 상기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 부위에 대응된다.
상기 도어(1)에는 관통공(9)이 형성되고 정면 보강브라켓(10A)과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수직면에는 상기 관통공(9)에 대응되도록 결합공(13)(14)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 보강브라켓(10B)은 양쪽 지지부(11b)(12b)가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에 결착되고, 그 수직면은 도어(1)의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은 양쪽 지지부(11a)(12a)가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양쪽 지지부(11b)(12b)의 윗면에 맞대어지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수직면은 도어(1)의 정면과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나사(15)를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결합공(14)과 일치되는 관통공(9)으로 통과시키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결합공(13)을 통해서는 너트(16)를 관통공(9)으로 삽입하여 체결나사(15)를 너트(16)에 결합함으로써, 정면 보강브라켓(10A)와 배면 보강브라켓(10B) 상호간이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12b)는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 바로 위에 결착되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지지부(11a)(12a)는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12b)의 상면에 저면이 맞대어진다.
즉, 정면 보강브라켓(10A) 및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a)(12a)(11b)(12b)가 체결유닛(3)을 도어(1)에 고정나사(7)로 고정한 플랜지(5)(6) 부위에 결착되어 지지력을 발휘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나사에 집중 하중이 걸려져서 고정나사가 빠지게 되는 일이 발생될 우려가 없다.
도 1 및 도 2에 표기된 미설명 도면부호 (T)는 '도어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체결유닛(3)은 정면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 형상을 보면 '
Figure 112009071335158-utm00001
'으로 절개부(4)를 통해 이동롤러의 연결봉(8)을 내부공간으로 끼워 상기 연결봉(8)이 수직상태를 이루어 결합된다.
상기 체결유닛(3)의 양쪽에 있는 플랜지(5)(6)에는 각각 장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도어(1)의 상단부(2)에서 상기 장공을 통해 고정나사(7)를 결합하여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체결유닛(3)에는 이동롤러의 연결봉(8)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가 장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3)에 장착된 작동부재는 이동롤러의 연결봉(8)을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의 유지/보수시에도 작동부재를 해제시켜서 도어(1)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하여 측면에서 일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하여 정면에서 일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의 두께(T)와 체결유닛(3)의 폭이 일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의 지지부(11a)(12a)(11b)(12b)가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 바로 위에 결착되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지지부는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12b)의 윗면에 아랫면이 맞대어져서 결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정면에서 일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 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어(1)의 두께(T)에 비해서 체결유닛(3)의 폭이 큰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용하는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의 지지부(11a)(12a)(11b)(12b)는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 바로 위에 결착될 수 있도록 구부러진 절곡부(17a)(17b)를 가진다. 상기 절곡부(17a)(17b)는 도어 두께(T)를 벗어나는 체결유닛(3)의 폭과 도어 두께(T)를 고려하여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의 수직면의 상측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이, 도어(1)의 두께(T)에 비해서 체결유닛(3)의 폭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유닛(3)의 플랜지(5)에 형성된 장공도 크게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나사도 장공에 맞는 큰 것을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고정나사의 직경이 다소 도어 두께(T)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고정나사를 결합할 때 도어(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체결유닛(3)을 도어(1)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는 체결유닛(3)의 플랜지(5) 상면에 밀착되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지지부(11a)는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의 상면에 저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체결유닛(3)는 플랜지(5)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의 지지부(11a)(12a)(11b)(12b)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아 도 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에 다량 보유하고 체결유닛(3)의 크기를 도어(1)의 두께(T)에 필수적으로 동일하게 맞출 필요성이 없으며, 체결유닛(3)의 폭이 도어 두께(T)에 비해서 크거나 또는 작은 것일 경우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하여 측면에서 일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에 대하여 정면에서 일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정면에서 일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상단부
3 : 체결유닛 4 : 절개부
5, 6 : 플랜지 7 : 고정나사
8 : 연결봉 9 : 관통공
10A : 정면 보강브라켓 10B : 배면 보강브라켓
11a, 11b, 12a, 12b : 지지부 13, 14 : 결합공
15 : 체결나사 16 : 너트
17a, 17b : 절곡부 T : 도어 두께

Claims (3)

  1. 삭제
  2. 도어(1)의 상단부(2)에서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유닛(3)의 절개부(4)를 통해 이동롤러의 연결봉(8)이 결합되어 있되,
    상기 도어(1)의 앞면 및 뒷면에서 마주보고 결합되는 한 쌍의 정면 보강브라켓(10A)과 배면 보강브라켓(10B);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10A)과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각각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유닛(3)의 양쪽 플랜지(5)(6) 바로 위에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곡부(17a)(17b)를 갖는 지지부(11a)(11b)(12a)(12b); 및
    상기 도어(1)에 관통공(9)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 보강브라켓(10A)과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수직면에 상기 관통공(9)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공(13)(14)을 관통하면서, 상기 도어(1)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을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나사(15)와 너트(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는 체결유닛(3)의 플랜지(5) 상면에 밀착되고, 정면 보강브라켓(10A)의 지지부(11a)는 배면 보강브라켓(10B)의 지지부(11b)의 상면에 저면이 밀착되며, 상기 체결유닛(3)의 플랜지(5)가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의 지지부(11a)(12a)(11b)(12b)에 의해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7a)(17b)는, 도어(1) 두께(T)를 벗어나는 체결유닛(3)의 폭과 도어 두께(T)를 고려하여 상기 정면 및 배면 보강브라켓(10A)(10B)의 수직면의 상측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 합구조.
KR2020090015066U 2009-11-20 2009-11-20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KR200448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66U KR200448620Y1 (ko) 2009-11-20 2009-11-20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66U KR200448620Y1 (ko) 2009-11-20 2009-11-20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620Y1 true KR200448620Y1 (ko) 2010-05-03

Family

ID=4423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066U KR200448620Y1 (ko) 2009-11-20 2009-11-20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857B1 (ko) * 2017-04-11 2018-06-14 (주)삼현케미칼 슬라이딩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944Y1 (ko) * 2003-06-13 2003-09-06 이종안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944Y1 (ko) * 2003-06-13 2003-09-06 이종안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857B1 (ko) * 2017-04-11 2018-06-14 (주)삼현케미칼 슬라이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972B2 (ja) 隠し蝶番の構造と隠し蝶番の取付方法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US8938858B2 (en) Sandwich coupling mechanism
CN103220939A (zh) 连接配件
FI3101214T4 (fi) Tiivisteet, ovilevyt ja menetelmä tiivisteiden ja ovien asentamiseksi tiivisteiden kera
KR200479832Y1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슬라이더
WO2009106083A3 (en) Sectional rail system as base for a plate covering
JP2019515160A5 (ko)
CN106030014A (zh) 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淋浴门组件
KR200448620Y1 (ko) 슬라이딩 도어의 보강 결합구조
CN104145123B (zh) 装配装置
US20170362857A1 (en) Casement/leaf arrangement having a casement/leaf of a window or a door, and method for frontal installation of a fitting part in casement/leaf
JP6105216B2 (ja)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JP5703477B2 (ja) 2枚のスライドドアウイング用の付属装置
WO2008143275A1 (ja) 鉄骨開断面構造部材の補強金具
KR20090041608A (ko) 조립형 고정브라켓
US9487961B2 (en) Connecting device for formwork boards
JP2007146406A (ja) レール留め具及び引き戸取付構造
JP2010189872A (ja) 扉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4837511A (zh) 一种双尾轮阻尼组件
KR101044076B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0996101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CN207749969U (zh) 汽车玻璃升降器的电机安装板总成
JP2011026024A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6964158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ブラケッ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