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28Y1 -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28Y1
KR200448428Y1 KR2020080009306U KR20080009306U KR200448428Y1 KR 200448428 Y1 KR200448428 Y1 KR 200448428Y1 KR 2020080009306 U KR2020080009306 U KR 2020080009306U KR 20080009306 U KR20080009306 U KR 20080009306U KR 200448428 Y1 KR200448428 Y1 KR 200448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wall
connecting member
elas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894U (ko
Inventor
가성현
Original Assignee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2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는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재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재는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을 갖으며, 제2 연결부재는 두 걸림벽에 각각 접하여 걸릴 수 있는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를 구비하며,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은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탄성력 제공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와, 제1 연결부재의 기초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결합부(44)를 가지면서 탄성부재 삽입기둥(45)을 갖는 제1 결합체와, 제2 연결부재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또다른 회전결합부(48)를 가지면서 탄성부재 삽입기둥(49)을 갖는 제2 결합체로 이루어지며, 탄성부재에 의해 제1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4) 및 제2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8)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이동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가 가장 압축된 중립상태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이동축선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되, 오목한 형태의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에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확실하게 안착되도록 하여,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이동축선 방향을 벗어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Figure R2020080009306
휴대장치, 제1 유닛, 제2 유닛, 개폐장치, 스토퍼, 걸림벽, 롤러

Description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개폐장치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EACH OTHER}
본 고안은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휴대용 컴퓨터 등)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유닛을 결합시키고 두 유닛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두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각각 마련된 두 케이스 유닛이 결합된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휴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두 케이스 유닛이 포개어져 폐쇄되고 사용할 때에는 키패드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두 케이스 유닛이 개폐방식에 따라 폴더 방식과 슬라이딩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적절한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두 유닛을 결합시키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두 유닛을 결합시키는 개폐장치의 스토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을 갖는 제1 걸림벽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벽쌍의 두 걸림벽 사이에 위치하며 두 걸림벽에 각각 접하여 걸릴 수 있는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은 상기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기초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결합부(44)를 갖으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개수만큼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5)을 갖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또다른 회전결합부(48)를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개수만큼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9)을 갖는 제2 결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4) 및 제2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8)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이동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가장 압축된 중립상태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상기 이동축선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되, 상기 오목한 형태의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에 상기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확실하게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상기 이동축선 방향을 벗어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걸림벽을 갖는 제2 걸림벽쌍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걸림벽쌍의 두 걸림벽 사이에 위치하며 두 걸림벽에 각각 접하여 걸릴 수 있는 제2 걸림 롤러를 더 구비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형상의 기초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벽들은 상기 기초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세워져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 제2, 제3, 제4 걸림벽을 갖는 걸림벽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벽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제2 걸림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걸림벽은 상기 제1 걸림 롤러와 접할 수 있는 V자형의 벽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제4 걸림벽은 상기 제2 걸림 롤러와 접할 수 있는 V자형의 벽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형상의 기초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벽 부재는 상기 기초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벽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고 판형상의 기초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자형 형상의 걸림벽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벽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제2 걸림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기초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벽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벽 부재는 상기 두 걸림롤러와 접촉하는 양면과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지지벽이 끼워지는 슬릿을 구비하는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쪽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대하여 각각에 대한 스토퍼 구조가 마련되므로 개폐장치의 작동이 정확하고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재를 포함하며, 제1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4) 및 제2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8)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이동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부재가 가장 압축된 중립상태를 경계로 하여,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상기 이동축선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대신,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채택한다면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가 이동축선 방향을 벗어나서 걸림롤러가 걸림벽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나, 제1 연결부재의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은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제2 연결부재는 두 걸림벽에 각각 접하여 걸릴 수 있는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를 구비하여, 오목한 형태의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에 상기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확실하게 안착되도록 하여,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상기 이동축선 방향을 벗어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개폐장치(10)는 제1 연결부재(20)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이동축선(1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연결부재(30)와, 탄성력 제공부재(40)와, 스토퍼 구조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연결부재(20)와 제2 연결부재(30)는 슬라이딩 방식 휴대전화기의 두 케이스 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함께 움직인다. 제1 연결부재(20)는 기초부(22)와, 제1, 제2 삽입 날개부(26, 28)를 구비한다. 기초부(22)는 직사각형의 편평한 판형상으로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걸림벽쌍(70)과 제2 걸림벽쌍(76)을 구비한다. 제1 걸림벽쌍(70)은 이동축선(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된 제1 걸림벽(72)과 제2 걸림벽(74)을 구비한다. 제2 걸림벽쌍(76)도 이동축선(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된 제1 걸림벽(78)과 제2 걸림벽(79)을 구비한다. 두 걸림벽쌍(70, 76)은 제2 연결부재(30)의 후술하는 두 걸림 롤러(80, 82)와 함께 스토퍼 구조를 형성한 다. 제1 걸림벽(72, 78)과 제2 걸림벽(74, 79) 사이의 거리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한 제2 연결부재(30)의 슬라이딩 구간의 거리가 된다. 제1 걸림벽(72, 78)과 제2 걸림벽(74, 79)은 기초부(22)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걸림벽(72, 74, 78, 79)은 후술하는 제1, 제2 걸림 롤러(80, 82)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데, 그 형상은 V자형 또는 U자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초부(22)에는 탄성력 제공부재(40)의 후술하는 제1 결합체(42)의 회전결합부(4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삽입날개(26)와 제2 삽입날개(28)는 기초부(22)의 양측에 위치하며,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두 삽입날개(26, 28)는 기초부(22)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기초부(22)와는 높이에 차이가 있어, 제1 연결부재(20)의 기초부(22)와 제2 연결부재(30)의 후술하는 몸체(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탄성력 제공부재(40)와 스토퍼 구조가 수납된다. 제1 삽입날개(26)는 제2 연결부재(30)의 후술하는 제1 가이드부재(36)의 제1 가이드홈(37)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삽입날개(28)는 제2 연결부재(30)의 후술하는 제2 가이드부재(38)의 제2 가이드홈(39)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연결부재(30)는 몸체(32)와, 제1 가이드 부재(36)와, 제2 가이드 부재(38)를 구비한다. 몸체(32)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서, 양측은 절곡되어 제1 가이드 부재(36)와 제2 가이드 부재(38)를 감싼다. 몸체(32)의 양측에는 제1 걸림 롤러(80)와 제2 걸림 롤러(8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걸림 롤러(80)는 제1 연결부재(20)의 제1 걸림벽쌍(70)의 두 걸림벽(72, 74) 사이를 움직이며, 두 걸림벽(72, 74)에 걸리게 된다. 제2 걸림 롤러(82)는 제1 연결부재(20)의 제2 걸림벽쌍(76)의 두 걸림벽(78, 79) 사이를 움직이며, 두 걸림벽(78, 79)에 걸리게 된다. 두 걸림 롤러(80, 82)는 두 걸림벽쌍(70, 76)의 각 걸림벽에 동시에 걸린다. 즉, 제1 걸림 롤러(80)가 제1 걸림벽쌍(70)의 제1 걸림벽(72)에 걸릴 때에는 제2 걸림 롤러(82)가 제2 걸림벽쌍(76)의 제1 걸림벽(78)에 동시에 걸리고, 제1 걸림 롤러(80)가 제1 걸림벽쌍(70)의 제 걸림벽(74)에 걸릴 때에는 제2 걸림 롤러(82)가 제2 걸림벽쌍(76)의 제2 걸림벽(79)에 동시에 걸린다. 제2 연결부재(30)의 몸체(32)에는 탄성력 제공부재(40)의 제2 결합체(46)의 회전결합부(4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걸림 롤러(80, 82)는 쿠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재(40)는 제1 결합체(42)와, 제2 결합체(46)와, 4개의 탄성부재(50)를 구비한다. 제1 결합체(42)와 제2 결합체(46)는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결합체(42)는 제1 연결부재(20)의 기초부(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44)와, 4개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5)을 구비한다. 4개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5)에는 4개의 탄성부재(50)의 일단부가 끼워진다. 제2 결합체(46)는 제1 결합체(42)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회전결합부(48)는 제2 연결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결합체(46)의 4개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9)에는 탄성부재(50)의 타단부가 끼워진다. 탄성부재(50)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제1 결합체(42)의 회전결합부(44)와 제2 결합체(46)의 회전결합부(49)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탄성력 제공부재(40)는 탄성부재(50)가 가장 압축된 중립상태를 제공한다. 중립상태를 경계로 하여 탄성력 제공부재(40)는 이동축 선(100)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한다.
이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걸림 롤러(80)가 제1 걸림벽쌍의 제1 걸림벽(72)에 접하고, 제2 걸림 롤러(82)가 제2 걸림벽쌍의 제1 걸림벽(78)에 접해 있다. 탄성력 제공부재(도1의 40)가 두 연결부재(20, 30)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고 있으나, 두 걸림롤러(80, 82)가 각각 두 제1 걸림벽(72, 78)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탄성력 제공부재(도1의 40)가 제공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제2 연결부재(30)를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이동시키면, 탄성력 제공부재(40)의 탄성부재(50)가 가장 압축된 중립상태를 지나게 되고, 중립상태를 지나면 제2 연결부재(30)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탄성력 제공부재(40)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자동으로 이동하여 제2 연결부재(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 롤러(80)가 제1 걸림벽쌍의 제2 걸림벽(74)에 접하고, 제2 걸림 롤러(82)가 제2 걸림벽쌍의 제2 걸림벽(79)에 접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멈추게 된다.
도4 내지 도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스토퍼 구조를 제외하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스토퍼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스토퍼 구조는 제1 연결부재(20a)의 기초부(22a)에 고정된 걸림벽 부재(70a)와, 제2 연결부재(30a)의 몸체(32a)에 마련된 제1 걸림 롤러(80a) 및 제2 걸림 롤러(82a)를 구비한다. 걸림벽 부재(70a)는 통로구멍(72a)이 마련된 중심부(73a)와, 중심부(73a)로부터 반경방향 으로 연장된 방사상 형태의 제1, 제2, 제3, 제4의 걸림벽(74a, 75a, 76a 77a)을 구비한다. 중심부(74a)의 통로구멍(72)에는 결합핀(120a)이 끼워져 제1 연결부재(20a)의 기초부(22a)와 결합된다. 4개의 걸림벽(74a, 75a, 76a, 77a) 중 인접한 제1 걸림벽(74a)과 제2 걸림벽(75a)은 V자를 이루며 제1 걸림 롤러(80a)가 걸리게 되며, 다른 인접한 제3 걸림벽(76a)과 제4 걸림벽(77a)도 반대방향으로 V자를 이루며 제2 걸림 롤러(82a)가 걸리게 된다. 걸림벽 부재(70a)는 쿠션을 제공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연결부재(20a)의 기초부(22a)에는 4개의 지지벽(24a)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4개의 지지벽(24a)은 걸림벽 부재(70a)의 각 걸림벽(74a, 75a, 76a, 77a)과 접하며, 걸림벽 부재(70a)가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걸림 롤러(80a)와 제2 걸림 롤러(82a)는 이동축선(100a)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걸림 롤러(80a)는 걸림벽 부재(70a)의 제1 걸림벽(74a) 및 제2 걸림벽(75a)이 형성하는 V자형 벽구조에 걸리게 되고, 제2 걸림 롤러(82a)는 걸림벽 부재(70a)의 제3 걸림벽(76a) 및 제4 걸림벽(76a)이 형성하는 V자형 벽구조에 걸리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걸림 롤러(80a)가 걸림벽 부재(70a)의 제1 걸림벽(74a)과 제2 걸림벽(75a)이 형성하는 V자형 벽구조의 안쪽에 접해 걸려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30a)는 제1 연결부재(20a)에 대하여 탄성력 제공부재(50a)가 제공하는 힘의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력 제공부재가 제공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제2 연결부재(30a)를 제1 연결부재(20a)에 대하여 이동시키면, 중립상태를 지나게 되고, 중립상태를 지나면 제2 연결부재(30a)가 제1 연 결부재(20a)에 대하여 탄성력 제공부재(40a)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자동으로 이동하여 제2 연결부재(30a)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 롤러(82a)가 걸림벽 부재(70a)의 제3 걸림벽(76a)과 제4 걸림벽(77a)이 형성하는 V자형 벽구조의 안쪽에 접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멈추게 된다.
도7 내지 도9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7을 참조하면, 걸림벽 부재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에서는 걸림벽 부재의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걸림벽 부재(70b)는 대체로 일자형상으로서, 양면에 각각 제1 걸림 롤러(80b)와 제2 걸림 롤러(82b)가 접하여 걸릴 수 있다. 양면에는 두 걸림 롤러(80b, 82b)의 일부가 안착할 수 있는 오목한 홈(74b, 73b)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벽 부재(70b)의 중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71b)이 형성된다. 이 슬릿(71a)에 제1 연결부재(20b)에 기초부(22b)에 마련된 지지벽(24b)이 끼워져 걸림벽 부재(70b)의 이동이 방지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의 (a)와 (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의 (a)와 (b)는 도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의 (a)와 (b)는 도1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의 (a)와 (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5의 (a)와 (b)는 도4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의 (a)와 (b)는 도4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의 (a)와 (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용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8의 (a)와 (b)는 도7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의 (a)와 (b)는 도7에 도시한 개폐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장치 20 : 제1 연결부재
30 : 제2 연결부재 50 : 탄성력 제공부재
72 : 제1 걸림벽 74 : 제2 걸림벽
80 : 걸림 롤러

Claims (3)

  1.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을 갖는 제1 걸림벽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벽쌍의 두 걸림벽 사이에 위치하며 두 걸림벽에 각각 접하여 걸릴 수 있는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은 상기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기초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결합부(44)를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 개수만큼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5)을 갖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또다른 회전결합부(48)를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개수만큼의 탄성부재 삽입기둥(49)을 갖는 제2 결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4) 및 제2 결합체의 회전결합부(48)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이동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가장 압축된 중립상태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상기 이동축선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력을 제공하되,
    상기 오목한 형태의 제1 걸림벽과 제2 걸림벽에 상기 자유 회전가능한 제1 걸림 롤러가 확실하게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로 하여금 상기 이동축선 방향을 벗어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 제1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축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 걸림벽을 갖는 제2 걸림벽쌍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걸림벽쌍의 두 걸림벽 사이에 위치하며 두 걸림벽에 각각 접하여 걸릴 수 있는 제2 걸림 롤러를 더 구비하는 개폐장치.
  3. 제2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판형상의 기초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벽들은 상기 기초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세워져 형성된 개폐장치.
KR2020080009306U 2008-07-14 2008-07-14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200448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06U KR200448428Y1 (ko) 2008-07-14 2008-07-14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06U KR200448428Y1 (ko) 2008-07-14 2008-07-14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955U Division KR200442313Y1 (ko) 2007-03-09 2007-03-09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894U KR20080003894U (ko) 2008-09-12
KR200448428Y1 true KR200448428Y1 (ko) 2010-04-13

Family

ID=4133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306U KR200448428Y1 (ko) 2008-07-14 2008-07-14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811B1 (ko) * 2009-01-23 2011-03-17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57Y1 (ko) * 2005-03-30 2005-06-17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장치
KR200425749Y1 (ko) * 2006-06-28 2006-09-07 정영조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57Y1 (ko) * 2005-03-30 2005-06-17 주식회사 다이아벨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장치
KR200425749Y1 (ko) * 2006-06-28 2006-09-07 정영조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894U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457A1 (en) Sliding mechanism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604826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59304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KR20100079459A (ko) 폴더타입 휴대통신장치용 힌지조립체
KR20090002747A (ko) 슬라이드 힌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기기
KR100802012B1 (ko) 슬라이딩 선회장치
KR100949193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10086596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05014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회전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개폐장치
KR200448428Y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20060081959A (ko) 서로 회전하거나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휴대장치 및 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KR200442313Y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100875851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20070018348A (ko) 휴대 전화기용 개폐장치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0966577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692419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회전기능을 구비하는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
KR20070058733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2644316B1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물방울 타입의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휴대단말기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200410324Y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10495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50083235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JP2011223552A (ja) 携帯式電子装置
KR200340081Y1 (ko) 슬라이드타입 무선단말기의 바디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29

Effective date: 20100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