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54Y1 -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 Google Patents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54Y1
KR200448154Y1 KR2020070020068U KR20070020068U KR200448154Y1 KR 200448154 Y1 KR200448154 Y1 KR 200448154Y1 KR 2020070020068 U KR2020070020068 U KR 2020070020068U KR 20070020068 U KR20070020068 U KR 20070020068U KR 200448154 Y1 KR200448154 Y1 KR 200448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cover
housing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001U (ko
Inventor
김준섭
Original Assignee
김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섭 filed Critical 김준섭
Priority to KR2020070020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5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콘센트의 설치작업 및 전원선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며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용콘센트 및 상기 비상용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용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비상전원의 전원선이 결속되는 터미널; 상기 비상용콘센트 및 차단기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터미널을 커버하도록 상기 덮개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터미널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가 터미널을 부분적으로 개폐하여 전원선의 결선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 중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소화전, 비상콘센트, 차단기, 하우징, 덮개, 터미널, 터미널 커버부재

Description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Emergency plug socket embedded in fire hydrant}
본 고안은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콘센트의 설치작업 및 결선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취급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동시에 감전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등에는 소화전이 설치되며, 이 소화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상콘센트가 내장 설치된다. 비상콘센트는 비상전원을 인입하여 화재 등에 의한 정전시에도 각동 전동 구급장비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덮개(20)가 결합되고, 하우징(10) 전면에는 AC 380V를 공급하는 제1콘센트(12) 및 AC 220V를 공급하는 제2콘센트(14)가 덮개(20)에 형성된 개구부(22)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콘센트 인근에는 제1콘센트(12)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차단기(16) 및 제2콘센트(14)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차단기(18)가 배치된다. 하 우징(10)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콘센트에 비상전원을 인입하기 위한 터미널이 장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 내부에는 상기 각 콘센트 및 차단기를 거치하는 거치대(11)가 장치된다.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힌지홈(2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덮개(20)의 하부에는 힌지축(26)이 구비된다. 덮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우징(10)에 대해 개폐되며, 덮개(20)를 완전히 덮은 후에 덮개(20)와 하우징(10)은 양측방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8)에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덮개(20) 전방에 장착되는 손잡이(30)이다.
위와 같은 종래 비상콘센트는 소화전 내에 설치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를 개방한 후에, 하우징(10)을 소화전 내의 판넬에 볼트 체결한 후, 덮개(20)를 닫고 덮개(20) 측방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덮개(20)를 조립하여야 한다.
하지만, 비상콘센트는 소화전을 구성하는 함체 내에서 매우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이 덮개(20) 전체를 회동 개폐하는 구조에서는 덮개(20)의 개폐동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덮개(20)의 측방으로 볼트를 체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여 덮개(20)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비상콘센트를 신설하고 비상전원의 전원선을 결선하는 작업 및 유지보수를 위해 덮개(20)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무엇보다, 덮개(20)를 개방할 경우, 하우징(10) 내부의 구성품들이 모두 오픈된 상태에 있게 되 어,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당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비상콘센트의 설치작업 및 전원선의 결선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터미널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터미널 커버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여 전원선의 결속상태를 점검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며, 유지보수 작업시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터미널을 부분적으로 개폐함에 있어, 자력에 의해 터미널 커버부재를 개폐하도록 하여, 점검작업의 편이성을 증진시키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용콘센트 및 상기 비상용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용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비상전원의 전원선이 결속되는 터미널; 상기 비상용콘센트 및 차단기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전면에 결합되 는 덮개; 및 상기 터미널을 커버하도록 상기 덮개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터미널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는 상기 덮개 상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덮개 상단에는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마그네트가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가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부에는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상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을 소화전 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에 따르면, 하우징 내의 터미널이 노출되도록 덮개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터미널 커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덮개 전체를 열지 않고도 터미널 커버부재만을 개방하여 외부에서 인입되는 비상전원의 전원선을 결속할 수 있으며, 소화전 내 비좁은 공간에서도 터미널의 결속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터미널 커버부재가 자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터미널의 결속작업 및 점검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의 둘레부로 플랜지부를 구비하여,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하우징을 소화전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콘센트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내장형 콘센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터미널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는 하우징(5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용콘센트(51, 53) 및 이 비상용콘센트(51, 5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55, 57)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상용콘센트(51, 53)는 AC 380V를 제공하는 제1비상용콘센트(51)와 AC 220V를 제공하는 제2비상용콘센트(53), 두 개의 비상용콘센트(51, 53)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비상용콘센트(51)에는 AC 380V를 이용하는 대형의 전동 구급장치가 연결되며, 제2비상용콘센트(53)에는 AC 220V를 이용하는 중소형의 전동 구급장치가 연결될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기(55, 57)는 상기 제1비상용콘센트(51)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차단기(55) 및 상기 제2비상용콘센트(53)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차단기(57)로 구성된다. 제1차단기(55) 및 제2차단기(57)는 각각 제1비상용콘센트(51) 및 제2비 상용콘센트(53)에 과전류가 인가되면, 비상전원의 인가를 차단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전면에는 덮개(60)가 결합된다. 덮개(60)는 그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하우징(50)에 설치된 비상용콘센트(51, 53) 및 차단기(55, 57)가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50)의 둘레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52)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부(52)는 하우징(50)의 상단 및 하단으로 돌출 형성된다. 플랜지부(52) 상에는 복수의 체결공(54)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50) 전면에 덮개(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비상콘센트를 소화전 내부에 위치시킨 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상기 체결공(54)에 체결하여 소화전 내에 비상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체구성품이 조립된 후 덮개(60)를 닫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비상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상측에는 터미널(59)이 설치된다. 터미널(59)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비상전원의 전원선(도시 안됨)이 결속되는 결속금구로서, 비상전원이 상기 비상콘센트(51, 53)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자 역할을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비상콘센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59)을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덮개(60) 상측에 터미널 커버부재(61)를 구비한다.
터미널 커버부재(61)는 덮개(60) 상측에 볼트 체결될 수도 있으며, 출몰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하지만, 터미널 커버부재(6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원선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터미널 커버부재(61)는 덮개(60) 상측 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도 5에서 보여지듯이, 덮개(60)의 상단 하측에 힌지부(62)가 형성되고, 터미널 커버부재(61)는 이 힌지부(62)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된다.
터미널 커버부재(61)의 상단은 덮개(60)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60) 상단에 끼움요부가 구비되고, 터미널 커버부재(61) 상단에는 끼움돌부가 구비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억지 끼움 방식은 끼움부가 헐거워져 터미널 커버부재(61)가 견고하게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 상단에 터미널 커버부재(61)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3)가 구비되고, 이 돌출부(63) 상에 마그네트(65)가 장착된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50), 덮개(60), 터미널 커버부재(61)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터미널 커버부재(61)는 상기 마그네트(65)에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는 하우징(50)에 비상용콘센트(51, 53) 및 차단기(55, 57) 등의 구성품을 모두 장착한 상태에서, 덮개(60)를 완전히 닫은 후에, 하우징(50) 둘레의 플랜지부(52)를 이용하여 소화전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비상콘센트에 비해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비상콘센트를 설치한 후에, 덮개(60)로부터 터미널 커버부재(61)를 개방한 후에, 터미널(59)만 오픈된 상태에서 전원선을 터미널(59)에 결속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터미널 커버부재(61)를 닫아 결속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선의 결속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추후 터미널(59)의 결속상태를 점검하는 작업 역시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터미널 커버부재(61)가 그 일단은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은 자력에 의해 덮개(6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터미널(59)만을 부분적으로 오픈시킬 수 있어, 전원선 결속작업 및 점검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장점은 전원선의 결속작업 및 점검작업시에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도 5에서 보여지듯이, 터미널 커버부재(61)를 개방하면 터미널(59)이 설치된 국소부위만 오픈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감전사고의 위험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화전 내장형 콘센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외장 케이스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 내장형 콘센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터미널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하우징 51 : 제1비상용콘센트
52 : 플랜지부 53 : 제2비상용콘센트
54 : 체결공 55 : 제1차단기
57 : 제2차단기 59 : 터미널
60 : 덮개 61 : 터미널 커버부재
62 : 힌지부 63 : 돌출부
65 : 마그네트

Claims (4)

  1. 소화전 내에 설치되는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상용콘센트(51, 53) 및 상기 비상용콘센트(51, 5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55, 57)를 수용하는 하우징(50);
    상기 하우징(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비상용콘센트(51, 53)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비상전원의 전원선이 결속되는 터미널(59);
    상기 비상용콘센트(51, 53) 및 차단기(55, 57)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50)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60); 및
    상기 터미널(59)을 커버하도록 상기 덮개(6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터미널 커버부재(6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61)는 상기 덮개(60)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0) 상단에는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61)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3)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63)에는 마그네트(65)가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 커버부재(61)가 마그네트(65)에 의해 자력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의 둘레부에는 플랜지부(52)가 돌출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52) 상에는 복수의 체결공(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KR2020070020068U 2007-12-13 2007-12-13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KR200448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68U KR200448154Y1 (ko) 2007-12-13 2007-12-13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68U KR200448154Y1 (ko) 2007-12-13 2007-12-13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01U KR20090006001U (ko) 2009-06-17
KR200448154Y1 true KR200448154Y1 (ko) 2010-03-18

Family

ID=4129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068U KR200448154Y1 (ko) 2007-12-13 2007-12-13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598U (ko) 2016-10-10 2016-10-18 우용성 비상용 콘센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82U (ko) * 1999-02-24 1999-06-25 이일순 결선이용이한비상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082U (ko) * 1999-02-24 1999-06-25 이일순 결선이용이한비상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01U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6202C1 (ru) Корпус
US6007353A (en)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JP2013165636A (ja) 電動車両の充電に用いられる充電ステーション
KR101577969B1 (ko)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KR200448154Y1 (ko) 소화전 내장형 비상콘센트
KR100722290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TW201026198A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electronic device storage container
KR200392657Y1 (ko) 배선용 차단기
US20070102180A1 (en) Modular tank coupled to a self-assembly cabinet for ground level transformers
KR100834860B1 (ko) 조가선 설치형 전자기기용 함체
JP2009240124A (ja) 制御盤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230075824A (ko) 무진동 무볼트 내함 고정방식을 갖는 통신용 단자함
KR200443499Y1 (ko) 내부커버를 구비하는 분전반장치
KR100527240B1 (ko) 연선작업용 엘피애자 고정장치
KR102318426B1 (ko) 저압 무정전 단자대
PL62127Y1 (pl) Puszka przylaczeniowa instalacji elektrycznej PL PL
JP2012130144A (ja) 分電盤
CN203715091U (zh) 一种用于防护工程机械外设部件的机棚、工程机械
JP2015116028A (ja) 地上設置型電気機器
KR102640337B1 (ko) 다단 회동커버를 갖는 패드변압기 외함
KR101763298B1 (ko) 전주 장착용 소형 분배중계기함
KR200376456Y1 (ko) 배선용차단기의 보조 커버
JPH10961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337769B1 (ko) 변압기 2차 단자 보호캡 장치
KR20080003766U (ko) 방우 및 이탈방지형 콘센트와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