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49Y1 -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 Google Patents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49Y1
KR200448149Y1 KR2020090010903U KR20090010903U KR200448149Y1 KR 200448149 Y1 KR200448149 Y1 KR 200448149Y1 KR 2020090010903 U KR2020090010903 U KR 2020090010903U KR 20090010903 U KR20090010903 U KR 20090010903U KR 200448149 Y1 KR200448149 Y1 KR 200448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ponge
mesh
pad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웅
Priority to KR2020090010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에 가해지는 헬멧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통풍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에 관한 것으로, 땀을 흡수하여 건조하는 메시 부재, 상기 메시 부재에 감싸지고, 쿠션력과 방수성을 갖는 스펀지 부재, 상기 스펀지 부재의 하부에 적층되어 완전방수 및 쿠션력을 제공하는 에어백부 및 상기 메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펀지 부재와 에어백부를 감싸며, 헬멧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쿠션력이 뛰어난 완충 패드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게 형성함에 따라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헬멧의 중량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헬멧, 패드, 완충, 메시, 스펀지, 발포

Description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PAD FOR ABSORB SHOCK AND HELMET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통풍 기능을 가지는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군용 철모, 공사 현장용 안전모, 오토바이나 자전거, 인라인 이용시 사용되는 레포츠용 헬멧과 같이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 중에서 최근 군용 철모로 사용되는 방탄 헬멧은 고강력 및 고탄성률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여러 겹 적층하여 제조함에 따라 약 1㎏ 내외의 중량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방탄 헬멧을 머리에 착용하였을 경우, 머리에 가해지는 방탄 헬멧의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탄 헬멧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27892호(2003년 09월 16일자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방탄 헬멧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방탄 헬멧(1)은 방탄 헬멧(1)이 머리에 직접 닿지 않고 그 중량을 분산시키도록 섬유로 모직된 반구형 부유대(2), 반구형 부유대(2)의 테두리부(2a)의 내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착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머리조절 띠(3) 및 머리조절 띠(3) 상에 설치되어 머리보호 및 이마의 땀을 흡수하는 내피(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내피(4)의 머리보호부(5)는 머리가 닿는 면이 머리와 면 접촉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사용상의 편의성과 착용감 및 쿠션을 좋게 하기 위해 의류 및 각종 부자재를 라미네이트(고무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용 발포수지 등의 제품에 필요한 직물을 단면 또는 양면에 접착시킨 것) 기법에 의해 구성된다.
머리부호부(5)는 전방에 반구형 부유대(2)의 테두리부(2a)와 머리조절 띠(3)의 사이 공간에 끼워지면서 머리조절 띠(3)에 걸쳐지는 정착편(6)과 독립상태의 정착편(6)과 정착편(6)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의 통풍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통풍 공간부(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방탄 헬멧(1)은 내피(5)가 사용자의 머리 전체를 덮게 되므로, 통풍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방탄 헬멧(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머리에서 발생되는 땀과 열을 외부로 충분하게 방출시킬 수 없어 작업능률이 저하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탄 헬멧(1)은 헬멧 중량 분산을 위해 구비되는 반구형 부유대(2) 및 머리조절 띠(3)가 접촉되는 부분에 헬멧 중량이 집중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중량을 충분하게 분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에 가해지는 헬멧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통풍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땀을 흡수하여 건조하는 메시 부재, 상기 메시 부재에 감싸지고, 쿠션력과 방수성을 갖는 스펀지 부재, 상기 스펀지 부재의 하부에 적층되어 완전방수 및 쿠션력을 제공하는 에어백부 및 상기 메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펀지 부재와 에어백부를 감싸며, 헬멧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탈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 부재는 3차원 에어 메시 또는 면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펀지 부재는 필터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부는 탄성력과 통기성을 제공하는 우레탄폼 재질로 형성되는 발포 부재와 상기 발포 부재를 감싸 마모를 방지하도록 우레탄 시트 재질로 형성되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 부재는 밸크로 부재와 탈부착 가능한 라이렉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수의 완충 패드 및 내면에 접착 되어 상기 완충 패드가 탈부착되는 밸크로 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쿠션력이 뛰어난 완충 패드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게 형성함에 따라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헬멧의 중량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통기성이 뛰어난 완충 패드 및 완충 패드 사이 공간을 통해 통풍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무더위 상황에서도 청량감을 유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완충 패드를 손쉽게 탈착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패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완충 패드를 이용한 헬멧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헬멧 중에서 상대적으로 중량이 크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를 크게 요구하는 방탄 헬멧을 이용해서 설명하기로 한 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충 패드(10)는 통풍성과 땀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건조하는 메시 부재(20), 쿠션력과 방수성을 갖는 스펀지 부재(30), 완전방수 및 쿠션력을 제공하는 에어백부(40) 및 헬멧의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탈부착 부재(5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메시 부재(20)는 그물 형상의 3차원 에어 메시(3 Dimension Air Mesh) 또는 면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통풍성이 우수하고,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하며, 물이나 땀에 젖어도 신속하게 건조되는 속건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메시 부재는 사용자의 머리 및 이마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건조한다.
상기 메시 부재(20)는 스펀지 부재(30) 및 에어백부(40)를 감싼 상태에서 탈부착 부재(50)에 접착된다.
스펀지 부재(30)는 가볍고 튼튼한 필터 스펀지(filter Sponge)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스펀지 부재(30)는 약 1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헬멧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상기 스펀지 부재(30)는 물이나 땀을 전혀 흡수하지 않아 메시 부재(20)가 흡수한 수분이 스펀지 부재(3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백부(40)는 내부에 탄력이 뛰어난 발포 부재(41)와 상기 발포 부재(42)를 감싸는 시트 부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 부재(41)는 아이소사이안산염화합물과 글리콜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Poly Urethane)에 이산화탄소와 프레온 등의 발포제를 섞어서 만들 어지는 초연질 또는 연질의 우레탄폼(Urethane Form)으로서, 탄성력 및 내부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통풍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시트 부재(42)는 고탄력 및 내마모성을 갖는 우레탄 시트(Urethane Seat)로서, 상기 발포 부재(41)를 감싸 마모를 방지하고, 통풍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발포 부재(41) 및 시트 부재(42)로 이루어지는 에어백부(40)는 완충 패드(10) 전체의 쿠션력을 극대화시켜주며, 완전방수성을 가지므로 어떠한 물질도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탈부착 부재(50)는 헬멧의 내면에 접착된 벨크로 부재(도면 미도시)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탄력 및 고밀도의 라이렉스(lylex) 원단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탈부착 부재(50)는 메시 부재(20), 스펀지 부재(30) 및 에어백부(40)와 결합되는 면이 코팅처리되어 내외부의 이물질을 전혀 흡수하지 않는다.
도 2에서 상기 완충 패드(10)는 직사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완충 패드(10)는 원기둥 형상이나 단면이 사다리꼴인 사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이용한 헬멧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충 패드를 이용한 헬멧(100)은 내면에 접착된 벨크로 부재(110)와 상기 벨크로 부재(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다수의 완충 패드(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크로 부재(110)는 도 4과 같이, 헬멧(100) 내면에 다수가 접착될 수도 있고, 내면 전체에 하나로 접착될 수도 있다.
완충 패드(10)는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완충 패드(10)는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헬멧(100) 사용 중에 두상에 따라 헬멧(100)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위치에 필요한 모양의 완충 패드(10)를 선택하여 부착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1)에 적용되던 반구형 부유대(2), 머리조절 띠(3) 및 내피(4)를 사용하지 않고, 헬멧(100)의 중량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통풍을 방해하는 내피(4)를 제거함과 동시에, 통기성 및 속건성을 가진 다수의 완충 패드(10)를 서로 일정간격만큼 이격시켜 헬멧(100) 내면에 부착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헬멧(100) 내부의 공기를 각 완충 패드(10) 사이의 공간(1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한다. 또한, 각 완충 패드(10)는 머리 및 이마에서 발생되는 땀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건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은 통풍성 및 쿠션력이 뛰어난 완충 패드를 손쉽게 탈부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및 헬멧의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켜 통증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완충 패드 및 그 사이 공간을 통해 통풍 기능을 제공하여 헬멧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방탄 헬멧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즉, 본 고안은 방탄 헬멧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용 안전모와 각종 레포츠용 헬멧 등 다양한 형태의 헬멧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헬멧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3에 도시된 완충 패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충 패드를 이용한 헬멧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완충 패드 20: 메시 부재
30: 스펀지 부재 40: 에어백부
41: 발포 부재 42: 시트 부재
50: 탈부착 부재 100: 헬멧
110: 벨크로 부재

Claims (5)

  1. 땀을 흡수하여 건조하는 메시 부재,
    상기 메시 부재에 감싸지고, 쿠션력과 방수성을 갖는 스펀지 부재,
    상기 스펀지 부재의 하부에 적층되어 완전방수 및 쿠션력을 제공하는 에어백부 및
    상기 메시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스펀지 부재와 에어백부를 감싸며, 헬멧 내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부재는 3차원 에어 메시 또는 면직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펀지 부재는 필터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부는 탄성력과 통기성을 제공하는 우레탄폼 재질로 형성되는 발포 부재와 상기 발포 부재를 감싸 마모를 방지하도록 우레탄 시트 재질로 형성되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부착면에 접착된 벨크로 부재에 탈부착 가능한 라이렉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완충 패드 및
    내면에 접착되어 상기 완충 패드가 탈부착되는 벨크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를 이용한 헬멧.
KR2020090010903U 2009-08-20 2009-08-20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KR200448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03U KR200448149Y1 (ko) 2009-08-20 2009-08-20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03U KR200448149Y1 (ko) 2009-08-20 2009-08-20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149Y1 true KR200448149Y1 (ko) 2010-03-18

Family

ID=4421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903U KR200448149Y1 (ko) 2009-08-20 2009-08-20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27Y1 (ko) 2014-02-20 2014-06-25 대한민국 방탄헬멧 부수기재 및 이를 부착한 방탄 헬멧
KR101412018B1 (ko) * 2013-11-25 2014-06-27 대한민국 방탄헬멧 부수기재 및 이를 부착한 방탄 헬멧
KR101746218B1 (ko) 2015-10-27 2017-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외 교정장치
KR20190039906A (ko) * 2019-04-08 2019-04-16 송영모 통풍기능을 구비한 완충 헬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706A (ja) * 2006-05-24 2007-12-06 Dic Plastics Inc 断熱性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帽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706A (ja) * 2006-05-24 2007-12-06 Dic Plastics Inc 断熱性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帽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018B1 (ko) * 2013-11-25 2014-06-27 대한민국 방탄헬멧 부수기재 및 이를 부착한 방탄 헬멧
KR200473327Y1 (ko) 2014-02-20 2014-06-25 대한민국 방탄헬멧 부수기재 및 이를 부착한 방탄 헬멧
KR101746218B1 (ko) 2015-10-27 2017-06-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외 교정장치
KR20190039906A (ko) * 2019-04-08 2019-04-16 송영모 통풍기능을 구비한 완충 헬멧
KR101996536B1 (ko) * 2019-04-08 2019-07-05 송영모 통풍기능을 구비한 완충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408B2 (en) Impact resistant structure of safety helmet
US10271604B2 (en) Comfort padding and a helmet comprising the comfort padding
US20050205634A1 (en) Cushion pad for backpacks
US11297890B2 (en) Football helmet
KR200448149Y1 (ko) 완충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헬멧
CA2602404A1 (en) Impact and/or vibration absorbent material and protective articles making use thereof
AU2018359003B2 (en) Impact protection system
EP3846653A1 (en) Compressive bump cap
US20060123526A1 (en) Inner layer of cover for bulletproof helmet
JP2022525378A (ja) 保護用ヘッドバンド
JP4172720B1 (ja) 乗車用および作業用ヘルメット
KR101397675B1 (ko) 레포츠용 헬멧
KR20180135233A (ko) 통풍기능을 구비한 완충 헬멧
CN214407176U (zh) 一种减震透气的军警防弹头盔
KR101996536B1 (ko) 통풍기능을 구비한 완충 헬멧
KR102235016B1 (ko) 헬멧용 기능성 내피
TWM630463U (zh) 具有透氣吸震功能之頭盔
JP2007056397A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及びそれを用いたヘルメット
KR20090011189U (ko) 헬멧의 통풍구조
KR20200041690A (ko) 두부 보호용 헬멧
KR101230446B1 (ko) 헬멧의 접착식 내피
KR20160147438A (ko) 경량 헬멧
KR200326155Y1 (ko) 머리 보호용 모자
JP3234878U (ja) ランドセルの背当て
CN217446829U (zh) 一种安全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