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057Y1 - 구강 내 엑스선 센서 - Google Patents

구강 내 엑스선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057Y1
KR200448057Y1 KR2020070013396U KR20070013396U KR200448057Y1 KR 200448057 Y1 KR200448057 Y1 KR 200448057Y1 KR 2020070013396 U KR2020070013396 U KR 2020070013396U KR 20070013396 U KR20070013396 U KR 20070013396U KR 200448057 Y1 KR200448057 Y1 KR 200448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sensor
lower case
sensor
ray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520U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70013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5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 엑스레이용 엑스선 센서를 환자가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환자가 상기 엑스선 센서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사람이 손가락으로 구강내에 엑스선 센서를 파지하였을 때,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불편하지 않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이 볼록하여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 되어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가 탄성부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 일부분에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엑스레이, 오랄 센서, 엑스선 센서, 치과, 구강

Description

구강 내 엑스선 센서{Intra oral X line sensor}
본 고안은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엑스레이용 엑스선 센서를 환자 또는 검사자가 손으로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환자가 상기 엑스선 센서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 엑스선 센서는 엑스레이 조사 시에 화상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는 X선 소스에서 조사된 X선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12)와 상기 센서부(12)를 보호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1)는 상기 센서부(12)의 회로 기관을 보호하기 위해 돔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때, 환자의 치아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시킬 때, 상기 상부·하부 케이스(11, 13)를 환자 또는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구강 내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네 모서리 부분이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에 닿아 이물감이 느껴져 불편할 뿐만 아니라 통증이 유발되어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는 곡선을 이루고 있어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가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지 않아 X선 촬영 영상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가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사람이 손가락으로 구강 내에 엑스선 센서를 파지하였을 때, 환자가 상기 엑스선 센서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있어 불편하지 않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표면이 볼록하여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 되어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가 탄성부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 일부분에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는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센서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센서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 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이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재질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메모리폼, 스폰지, 또는 에어패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정영역에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의료용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가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사람이 손가락으로 구강 내에 엑스선 센서를 파지하였을 때, 환자가 상기 엑스선 센서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불편하지 않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이 볼록하여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 되어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가 탄성부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 일부분에 걸림부재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내 엑스 선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구강 내 엑스선 센서가 구강 내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사람이 손가락으로 구강 내에 엑스선 센서를 파지하였을 때, 치과 엑스레이용 엑스선 센서를 환자가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환자가 상기 엑스선 센서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있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이 볼록하게 구성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가 탄성부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상기 하부케이스 일부분에 걸림부재를 구비되어 있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는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110) 및 상기 센서부(120)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130)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는 구강 내 의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환자나 검사자가 손가락으로 구강 내에 엑스선 센서(100)를 파지하였을 때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아 안전하고 편안하게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3a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의 상기 하부케이스(130)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를 파지한 환자의 구강 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는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110) 및 상기 센서부(120)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30)는 표면이 볼록하여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구조에 맞게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30)의 표면이 볼록한 정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구조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의 상기 하부케이스(130)에 걸림부재(117)가 구비된 측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를 파지한 환자의 구강 내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는데, 상기 엑스선 센서(100)의 상기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30)는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130)는 표면이 볼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스선 센서(100)는 상기 하부케이스(130)의 일부분에 적어도 둘 이상의 “ㄷ”자 형태의 걸림부재(11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및 도 4b에서는 상기 걸림부재(117)가 두 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만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셋 이상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림부재(117)의 삽입홈이 환자의 치아에 걸리면서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117)에 사용되는 재질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천연고무,·실리콘고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우레탄 등의 의료용 고분자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30)의 재질은 실리콘, 메모리폼, 스폰지, 및 에어패드 중 어느 하나의 유연한 탄성부재(113)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3)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케이스(130)는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 구조에 밀착되어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가 상기 탄성부재(113)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케이스(130)를 구강 내 파지시킬 때 특별한 이물감이 느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증발생을 줄이고, 환자 또는 검사자의 실수로 예민한 센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가인 센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30) 재질은 환자의 타액이 장기간 접촉되어도 변질 되지 않도록 내식성 및 내수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제시된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의 장점을 모두 구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100)는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110) 및 상기 센서부(120)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110,130)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어 불편하지 않고, 상기 하부케이스(130)의 표면이 볼록하여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파지 되어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30)가 탄성부재(113)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케이스(130) 일부분에 걸림부재(117)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술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실시예는 각각의 고안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안이 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강 내 엑스선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를 파지한 환자의 구강 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상기 하부케이스에 걸림부재가 구비된 측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구강 내 엑스선 센서를 파지한 환자의 구강 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제시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장점을 모두 구비한 구강 내 엑스선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강 내 엑스선 센서 110 : 상부케이스
113 : 탄성부재 117 : 걸림부재
120 : 센서부 130 : 하부케이스

Claims (6)

  1.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센서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 네 모서리가 라운딩 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정영역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ㄷ”자 형태의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
  2. 엑스선을 수광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일면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센서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표면이 볼록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정영역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ㄷ”자 형태의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재질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메모리폼, 스폰지, 또는 에어패드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의료용 고분자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고분자재료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천연고무,·실리콘고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우레탄 증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엑스선 센서.
KR2020070013396U 2007-08-10 2007-08-10 구강 내 엑스선 센서 KR200448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396U KR200448057Y1 (ko) 2007-08-10 2007-08-10 구강 내 엑스선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396U KR200448057Y1 (ko) 2007-08-10 2007-08-10 구강 내 엑스선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20U KR20090001520U (ko) 2009-02-13
KR200448057Y1 true KR200448057Y1 (ko) 2010-03-11

Family

ID=4129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396U KR200448057Y1 (ko) 2007-08-10 2007-08-10 구강 내 엑스선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24B1 (ko) * 2014-04-02 2021-01-26 주식회사 레이언스 엑스선 센서
KR102336211B1 (ko) 2014-08-08 2021-12-09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센서장치
CN106793995B (zh) * 2014-08-08 2020-04-21 射线科学有限公司 口腔内传感器
KR102301941B1 (ko) 2014-08-08 2021-09-16 주식회사 레이언스 이미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센서장치
KR102517677B1 (ko) * 2015-11-24 2023-04-05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센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191A (ja) * 1994-03-11 1995-09-26 Nippon Koden Corp 生理量検出装置
JPH10179571A (ja) * 1996-12-24 1998-07-07 Osada Res Inst Ltd 歯科用x線センサカバー
KR200396821Y1 (ko) *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인트라오럴 센서
KR200429746Y1 (ko) * 2006-08-02 2006-10-26 (주)이우테크놀로지 오랄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191A (ja) * 1994-03-11 1995-09-26 Nippon Koden Corp 生理量検出装置
JPH10179571A (ja) * 1996-12-24 1998-07-07 Osada Res Inst Ltd 歯科用x線センサカバー
KR200396821Y1 (ko) *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인트라오럴 센서
KR200429746Y1 (ko) * 2006-08-02 2006-10-26 (주)이우테크놀로지 오랄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20U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003B1 (en) Universal intraoral digital sensor holder for existing digital sensor systems in dentistry
JP4294014B2 (ja) 歯科用口内x線撮影用画像センサ
US3090122A (en) Dental appliance
KR200448057Y1 (ko) 구강 내 엑스선 센서
US7210847B2 (en) Intraoral X-ray sensor
JP4491625B2 (ja) デジタルx線撮影装置のセンサー緩衝カバー
KR100938107B1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US20200375696A1 (en) Dental retraction device
BRPI0605444B1 (pt) Placa oclusal condicionadora de parafunção
US7309158B2 (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protector
US7140881B1 (en) Protective throat screen for dentistry
KR101607600B1 (ko) 치아 보호용 착용구
KR101954262B1 (ko) 치과용 마우스피스
KR101633917B1 (ko)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US20170333294A1 (en) Oral Examination Device
KR200408741Y1 (ko) 구강내 엑스선 영상획득을 위한 디지털센서용 홀더
TW202110400A (zh) 用於牙齒影像拍攝的咬合持片組件及其使用方法
EP2918230B1 (en) Disposable sheath for dental direct imaging digital device
US2800898A (en) Mouth shield
KR200303670Y1 (ko) 실리콘 커버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센서
JP3468234B2 (ja) 歯科用x線画像検出器
BR102021019035A2 (pt) Proteção dentária
CN209790061U (zh) 一种儿童多功能开口器
US20220000584A1 (en) Dental splint
JP3134839U (ja) 口内法デジタルx線撮影装置のセンサーのセンサー緩衝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