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050Y1 - 배관보호용 커버 - Google Patents

배관보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050Y1
KR200448050Y1 KR2020080007550U KR20080007550U KR200448050Y1 KR 200448050 Y1 KR200448050 Y1 KR 200448050Y1 KR 2020080007550 U KR2020080007550 U KR 2020080007550U KR 20080007550 U KR20080007550 U KR 20080007550U KR 200448050 Y1 KR200448050 Y1 KR 200448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variable
upper cover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322U (ko
Inventor
신기빈
신기만
Original Assignee
신기빈
신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빈, 신기만 filed Critical 신기빈
Priority to KR2020080007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5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3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서로 밀착되는 양측단에 각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웨이브진 가변설치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설치되는 배관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는 물론 절곡되어 설치되는 배관의 외면도 쉽게 덮어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벽돌의 조적작업시에 배관 전체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여 배관의 크릭현상과 같은 훼손을 방지하고 배관이 깨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돌의 조적작업도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과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배관보호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관보호용 커버에 있어서, 상면에 보강리브(10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0a)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관관통부(11)가 형성되며 양측단에 제1가변설치부(12)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0)와; 하면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되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배관관통부(1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배관관통부(2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대응되는 방향의 제2가변설치부(22)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 (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에는 요홈부(13)가 더 요입형성되고 상기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에는 상기 돌기부(23)가 더 돌설형성될 수 있다.
배관보호, 보호커버, 배관보호 슬리브

Description

배관보호용 커버{Piping protection cover}
본 고안은 건물의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관을 보호하는 배관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단에 각각 대응되도록 경사진 가변설치부가 형성된 2개의 커버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건물의 내벽면을 구성하기 위해 조적되는 벽돌이나 시멘트로부터 배관의 보호는 물론, 배관의 설치각에 관계없이 배관의 외부를 감싸 배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배관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및 빌딩 등에는 난방과 연료공급 및 급수, 냉/온수 공급을 위하여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기둥벽체(101)로부터 연결되는 배관(P)을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샤워욕조나 세면대, 변기, 싱크대 등과 같은 설비시설에 배관(P)을 연결하여 필요한 냉수와 온수 또는 급수를 공급하고 있는 바, 이러한 배관(P)은 각각의 설비시설에 따라 설치각도가 평형이거나 수직형 또는 웨이브형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설치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설치각도로 설치되는 배관은 다시, 기둥벽체(101)와 기둥벽체(101) 사이에 조적되는 벽돌로 이루어진 벽면에 의해 벽면(102)의 내부에 함침 되어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노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벽면(102)을 구성하기 위해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설치된 배관의 외면이 벽돌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벽돌이나 시멘트에 의해 훼손되기 때문에, 이러한 배관의 훼손이나 깨짐현상을 방지하고자 배관의 외면에 배관보호용 커버를 더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관보호용 커버에 의해 배관이 깨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벽면 구성 이후의 설치된 배관을 통해 물이 새거나 하는 등의 누수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배관보호용 커버를 배관의 외면에 씌우는 과정에서 평형으로 이루어진 배관의 외면을 커버로 씌우는 작업은 큰 무리가 없으나, 웨이브형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경우에는 커버를 배관의 외면에 씌우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배관보호용 커버들이 평형의 배관의 외면을 씌우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웨이브형으로 설치된 배관에 배관보호용 커버를 씌울 경우 커버와 커버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매우기 위해 시멘트를 붓거나 또는 벽돌을 깨서 충진하기 때문에, 배관 전체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배관의 누수현상이나 깨짐현상을 완전히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벽돌을 일일이 깨어 공간에 채우는 작업에 의해 벽돌의 조적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크게 떨어짐으로써 건축물의 시공기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배관보호용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에는 상호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고 각각의 밀착면에는 배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반원형 홈(2)이 형성되어 있어 각 밀착면의 상호 밀착을 통해 조합을 이루는 한 쌍의 반 원통체(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 원통체(1)에 구비된 밀착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함몰 홈(3)과 돌출부(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관 보호커버를 장착할 경우에는, 배관의 고정부위에 상기 한 쌍의 반 원통체(1)에 형성된 밀착면을 상호 밀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반 원통체(1)에 구비된 돌출부(4)를 함몰 홈(3)에 끼워 조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반 원통체(1)의 내측에 형성된 반원형 홈(2)에 배관을 끼움으로써 배관의 외면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반 원통체(1)와 또 다른 반 원통체(1)가 서로 접하는 밀착면이 평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평 내지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외면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웨이브형이나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외면에는 적용할 수 없어 부득이하게 벽돌을 깨어 충진하거나 또는 시멘트를 채움으로써 벽돌을 조적할 수 밖에 없음으로써, 시멘트나 깨어진 벽돌에 의해 배관의 외면에 크릭현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배관이 깨지게 되어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배관보호용 커버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으로서,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관보호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밀착되어 접하는 양측밀착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진 가변설치부를 형성하여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배관의 외면은 물론 웨이브나 절곡설치되는 배관의 외면도 견고하게 커버하여 설치함으로써 배관의 보호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관이 깨지거나 크릭과 같은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벽돌을 깨거나 하는 등의 추가작업의 생략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켜 건축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배관보호용 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는,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관보호용 커버에 있어서, 상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관관통부가 형성되며 양측단에 제1가변설치부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하면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되 상기 상부커버의 제1배관관통부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배관관통부가 형성되고 양측단에 상기 상부커버의 제1가변설치부와 대응되는 방향의 제2가변설치부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는,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서로 밀착되는 양측단에 각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웨이브진 가변설치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설치되는 배관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는 물론 절곡되어 설치되는 배관의 외면도 쉽게 덮어 보호할 수 있음에 따라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벽돌의 조적작업시에 배관 전체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여 배관의 크릭현상과 같은 훼손을 방지하고 배관이 깨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돌의 조적작업도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의 향상과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관을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에 의해 절곡방향으로 배관을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다른 예에 의해 절곡방향으로 배관을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는,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 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관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보강리브(10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0a)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관관통부(11)이 형성되며 양측단에 제1가변설치부(12)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0)와, 하면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되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배관관통부(1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배관관통부(21)이 형성되고 양측단에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대응되는 방향의 제2가변설치부(22)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합성수지재질, 스테인레스재질, 금속재질 또는 황토재질, 점토재질, 콘크리트, 시멘트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으로 설치된 배관(P)의 외부를 덮을 경우에는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를 서로 밀착하되,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양측 끝이 맞닿도록 하여 배관(P)의 외부를 덮으면 된다.
이 때,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부커버 (10)와 하부커버(20)의 양측 끝단을 맞닿도록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의 통체로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가 밀착 결합될 수 있어 수평형으로 설치된 배관(P)의 외부를 연속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의 설치형태가 구부러진 절곡형으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를 서로 밀착하여 절곡형으로 설치된 배관(P)의 외부를 덮어 구성하되, 상기 상부커버(10)가 하부커버(20)에 비해 전진된 상태로 하여 배관(P)의 외부를 덮으면 되는 바,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양측단에 형성된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의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곡형태로 설치된 배관(P)의 외부를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형태로 설치된 배관(P)의 외부를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로 덮어 감쌀 경우에 배관(P)은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내측에 형성된 제1배관관통부(11)와 제2배관관통부(12)에 의해 관통되기 때문에, 배관(P)의 외부를 감싸 설치하는데에 전혀 무리가 없다.
도 6은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역시 수평상태로 배관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웨이브형으로 형성된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의 양측 끝단에 맞닿도록 하여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를 배관의 외부에 감싸면 되고, 절곡형으로 배관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부커버 (10)를 하부커버(20)에 비하여 전진되도록 하여 설치하면 되는 바, 상기 하부커버(20)를 타고 상부커버(10)가 점차적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절곡형으로 배관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라도 배관의 외부를 감싸 배관을 보호함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에는 요홈부(13)가 더 요입형성되고 상기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에는 상기 돌기부(23)가 더 돌설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요홈부(13)와 돌기부(23)에 의해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가 서로 밀착되는 가운데 더욱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벽돌의 조적작업시에 결합된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계단형 또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에 형성되는 요홈부(13)와, 상기 계단형 또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23)는 상기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제1가변설치부(12)와 제2가변설치부(22)에 균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의 배관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배관보호용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관을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에 의해 절곡방향으로 배관을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 고안인 배관보호용 커버의 다른 예에 의해 절곡방향으로 배관을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커버 10a : 보강리브
11 : 제1배관관통부 12 : 제1가변설치부
13 : 요홈부 20 : 하부커버
21 : 제2배관관통부 22 : 제2가변설치부
23 : 돌기부

Claims (4)

  1.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와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배관보호용 커버에 있어서,
    상면에 보강리브(10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0a)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관관통부(11)가 형성되며 양측단에 제1가변설치부(12)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0)와;
    하면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되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배관관통부(11)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배관관통부(21)가 형성되고 양측단에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대응되는 방향의 제2가변설치부(22)가 각각 형성되어 배관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호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호용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와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 (2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호용 커버.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또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커버(10)의 제1가변설치부(12)에는 요홈부(13)가 더 요입형성되고,
    상기 계단형 또는 웨이브형으로 형성되는 하부커버(20)의 제2가변설치부(22)에는 상기 돌기부(23)가 더 돌설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보호용 커버.
KR2020080007550U 2008-06-05 2008-06-05 배관보호용 커버 KR200448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50U KR200448050Y1 (ko) 2008-06-05 2008-06-05 배관보호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50U KR200448050Y1 (ko) 2008-06-05 2008-06-05 배관보호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322U KR20080002322U (ko) 2008-07-02
KR200448050Y1 true KR200448050Y1 (ko) 2010-03-10

Family

ID=4132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550U KR200448050Y1 (ko) 2008-06-05 2008-06-05 배관보호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35B1 (ko) * 2014-01-22 2014-09-12 황혜자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43A (ja)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管カバー
KR200390697Y1 (ko) 2005-04-22 2005-07-22 (주) 영남메탈 배관 보호커버
KR20060053481A (ko) * 2004-11-16 2006-05-22 조병호 건축물 벽 통과 배관용 방수 고정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43A (ja)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管カバー
KR20060053481A (ko) * 2004-11-16 2006-05-22 조병호 건축물 벽 통과 배관용 방수 고정 커버
KR200390697Y1 (ko) 2005-04-22 2005-07-22 (주) 영남메탈 배관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322U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090098345A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48050Y1 (ko) 배관보호용 커버
KR100520482B1 (ko) 공동주택 지하 공동구 방수막 커버를 이용한 이음부 연결공법
JP2005133481A (ja) コンクリート埋設用配管配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埋設配管の施工方法
KR1008779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CN211231881U (zh) 一种地下室外墙后开洞穿墙管防水结构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KR1008864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20080076287A (ko) 벽체 매립 상자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100758675B1 (ko) 콘크리트 맨홀
KR200424768Y1 (ko) 유체 이송용 이중 배관을 위한 연결소켓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200428293Y1 (ko) 보일러 이중관 배관용 박스
KR102331258B1 (ko) 열수송관용 밸브일체형 맨홀박스
CN214146797U (zh) 一种基于直接预埋法的水管防渗铺设系统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258995Y1 (ko) 합성 수지관
KR101144627B1 (ko) 밸브실의 열배관 시공방법
KR20070097227A (ko) 2중배관의 주름관 연결관
KR200413538Y1 (ko) 건축마감용 수전케이스 연장틀
KR200387063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