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52Y1 -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 Google Patents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52Y1
KR200447852Y1 KR2020080009875U KR20080009875U KR200447852Y1 KR 200447852 Y1 KR200447852 Y1 KR 200447852Y1 KR 2020080009875 U KR2020080009875 U KR 2020080009875U KR 20080009875 U KR20080009875 U KR 20080009875U KR 200447852 Y1 KR200447852 Y1 KR 200447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sure feeding
motor pump
submersible motor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155U (ko
Inventor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협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협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5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2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上水)를 원거리나 고지대로 압송하기 위한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각 압송모듈을 수직형으로 개선함으로써 여러 대의 압송모듈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것과, 압송모듈의 수중모터펌프를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것과, 와 아웃렛 포트의 위치를 다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 등에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적 특징은,
상수를 원거리나 고지대로 압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송모듈을 갖는 압송장치로서, 상기 압송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통되는 입수파이프 및 출수파이프;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입수파이프로 부터 상수를 흡인하여 상기 출수파이프로 출수되게 하는 입식형의 수중모터펌프;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방진부재는 그 내부로 상기 케이스 내의 상수가 유통되도록 중공형으로 됨과 아울러 측면에는 상기 상수가 유통되도록 통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송장치, 입식형 압송장치

Description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Apparatus of water pressure supply}
본 고안은 상수(上水)를 원거리나 고지대로 압송하기 위한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각 압송모듈을 수직형으로 개선함으로써 여러 대의 압송모듈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것과, 압송모듈의 수중모터펌프를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것과, 입수파이프와 출수파이프의 위치를 다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 등에 특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상수를 원거리나 고지대로 송수하기 위해서는 상수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압송하기 위한 압송장치가 필요하다.
도 1, 2는 종래 압송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종래의 압송장치는 상수가 급수되는 급수관(1)과 이 급수관으로 부터 급수되는 상수를 세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 사이에 맨홀(M)을 축조한 후, 이 맨홀(M) 내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압송장치는 상기 급수관(1)과 연통되는 수평상의 제1펌프하우징(3)과, 상기 제1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장치되어 상기 급수관(1)으로 급수되는 일부의 상수를 상기 공급관(2)으로 압송하여 주는 제1수중모터펌프(4)로 이루어진 제1압송부(5)와; 상기 급수관(1)과 연통되는 수평상의 제2펌프하우징(6)과,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장치되어 상기 급수관(1)으로 급수되는 다른 일부의 상수를 상기 공급관(2)으로 압송하여 주는 제2수중모터펌프(7)로 이루어진 제2압송부(8)와; 상기 제1,2수중모터펌프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때 상수가 상기 압송부를 통하지 않고 바로 직출되게 하는 바이패스 도관(9)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 째, 제1압송부와 제2압송부가 수평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압송장치가 내설되는 맨홀의 크기도 압송장치의 설치면적을 감안하여 넓게 축조해야 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시공비도 많이 들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둘 째, 제1,2펌프하우징으로 부터 제1,2수중모터펌프를 탈착하기가 어렵다. 즉, 수중모터펌프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2펌프하우징으로 부터 제1,2수중모터펌프를 분해해야하는데 이때, 제1,2수중모터펌프를 완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도 1의 각 B부를 먼저 분해해야만 하므로 수중모터펌프의 탈착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워서 시간적인 소모가 많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세 째, 도 2에서와 같이 제1,2압송부의 견고한 받침을 위해서 별도의 받침 대(1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성부품의 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의 목적 1은, 각 압송모듈을 수직형으로 개선하여 여러 대의 압송모듈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대비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의 목적 2는 수중모터펌프를 탈착함에 있어서 플랜지만 분리하면 여타 주변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손쉽고 간편한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고, 입수파이프와 출구파이프의 높낮이 위치를 비교적 손쉽게 설계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수를 원거리나 고지대로 압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송모듈을 갖는 압송장치로서, 상기 압송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통되는 입수파이프 및 출수파이프;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입수파이프로 부터 상수를 흡인하여 상기 출수파이프로 출수되게 하는 입식형의 수중모터펌프;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방진부재는 그 내부로 상기 케이스 내의 상수가 유통되도록 중공형으로 됨과 아울러 측면에는 상기 상수가 유통되도록 통수공이 형성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출수파이프와 케이스의 상단은 플랜지 이음에 의해 연결하되, 상기 출수파이프측 플랜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는 외주면에 숫탭이 형성된 출수파이프의 일단부가 관통되게 하며, 상기 수중 모터펌프의 토출구 내주면에는 암탭을 형성하여, 상기 출수파이프의 숫탭과 토출구의 암탭이 상호 나사결속에 의해 조립된다.
또한, 본 고안의 출수파이프측 플랜지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선공이 형성되되, 상기 전선공과 전원선 사이의 틈새에는 수밀을 위해 패킹부재가 코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출수파이프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게 설치하고,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토출구에는 엘보우관을 연결하여, 상기 출수파이프와 엘보우관을 커플러로서 연결하는 구성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는 그 상측이 플랜지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본 고안의 플랜지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선공이 형성되되, 상기 전선공과 전원선 사이의 틈새에는 수밀을 위해 패킹부재가 코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 지면 상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더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압송모듈을 수직형으로 개선함으로써 여러 대의 압송모듈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기존대비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수중모터펌프를 탈착함에 있어서 플랜지(또는 입수파이프측 플랜지)만 분리하면 곧바로 분리되거나 또는 플랜지와 함께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서 여타 부품을 별도로 분리하거나 결합하지 않고도 손쉽고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입수파이프와 출수파이프의 위치 특히, 높낮이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변경 할 수 있어서 주변상황에 따른 배관설계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 없기 때문에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설치시간 및 철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의 기술내용을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서 케이스, 수중모터펌프, 방진부재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압송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입수파이프측 플랜지와 수중모터펌프의 결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출수파이프가 케이스이 측면에 연결되는 경우의 구성도이고, 도 8a~8c는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전선공을 밀봉하기 위한 패킹부재의 여러 실시예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후술될 압송모듈을 입식상태로 구성하고 이러한 압송모듈의 입식형 구조에 맞도록 여타 구조를 개선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는 상수를 원거리나 고 지대로 압송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본 고안에서는 3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음)의 압송모듈(100)을 가지며, 상기 압송모듈은 인버터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압송모듈(100)은, 첨부된 도 3, 4, 5에서와 같이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연통되는 입수파이프(120) 및 출수파이프(130)와, 상기 케이스(110)에 내설되어 상기 입수파이프(120)로 부터 상수를 흡인하여 상기 출수파이프(130)로 출수되게 하는 입식형의 수중모터펌프(140)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진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그 일부를 지하에 매설하여 입식상태로 설치하거나, 도 3,5,7과 같이 별도의 고정플랜지(111)에 의해 설치 지면에 입식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먼저, 매설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케이스(110)의 하측을 지하에 매설하되, 매설깊이는 입수파이프(120) 및 출수파이프(130)가 매설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케이스를 매설함으로써 케이스(110)의 상부만이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케이스(110)의 노출 높이가 길지 않기 때문에 설치높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인 고정플랜지(111)를 이용한 방식은, 도 3,5,7에서와 같이 케이스(110)의 하단에 고정플랜지(111)를 부설하여, 이 고정플랜지(111)를 설치 지면 상에 안착시킨 후 앵커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서 상기 매설방식과는 달리 케이스(110)의 모든 부분을 지상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입수파이프(120)는 그 일단이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외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급수관(1)과 연결된다. 상기 출수파이프(130)는 그 일단이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이나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공급관(2)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입수파이프(120)는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흡입구(141) 위치와 일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에 용접이나 나사조립에 의해 별다른 어려움 없이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출수파이프(130)는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토출구(142)와 연결되어야 하는 관계로 상기 입수파이프(120)와는 달리 그 설치위치가 제한적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출수파이프(130)와 케이스(110)의 연결구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첫째로 출수파이프(130)를 케이스(110)의 상측에 설치하는 경우와, 둘째로 출수파이프(130)를 케이스(110)의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상기 전자의 경우 즉, 상기 출수파이프(130)를 케이스(110)의 상측에 연결하는 경우는, 도 5에서와 같이 출수파이프(130)와 케이스(110) 상단을 플랜지(131)(112)에 의해 연결하되, 상기 출수파이프측 플랜지(131)의 중심부에 관통공(13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32)으로는 외주면에 숫탭(133)이 형성된 상기 출수파이프(130)의 일단부를 관통시키며,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토출구(142) 내주면에는 암탭(143)을 형성하여 상기 출수파이프(130)의 숫탭(133)과 토출구(142)의 암탭(143)이 상호 나사결속에 의해 조립되게 한 것이다.
상기 후자의 경우 즉, 상기 출수파이프(130)를 케이스(110)의 측면에 연결하는 경우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출수파이프(130)의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토출구에는 엘보우관을 연결하여, 상기 출수파이프(130)와 엘보우관(150)을 커플러(160)로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160)는 제1반원링과 제2반원링의 일단부를 힌지 연결하고 다른 일단부에는 죔쇠를 설치하여, 상기 출수파이프(130)와 엘보우관(150)의 연결부위를 제1반원링과 제2반원링에 의해 둘러싼 후 죔쇠를 조임으로써 출수파이프와 엘보우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커플러의 구조는 본 고안의 특징과 무관하므로 상세히 도시를 생략함).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은 전자의 경우와 같이 플랜지(131a)에 의해 밀봉된다.
한편, 상기 전자의 경우, 상기 출수파이프측 플랜지(131)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전원선(144)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선공(13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공(131b)과 전원선(144) 사이에는 미세 틈새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밀봉하기 위해 패킹부재(180)가 코킹(cauk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자의 경우는, 상기 플랜지(131a)에 전선공(131d)을 형성하고, 전선공(131d)과 전원선(144) 사이의 미세 틈새에 패킹부재(180)을 코킹하게 된다.
공통적으로 상기 패킹부재(180)는 전체적으로 링형태를 갖되, 그 단면이 원형(도 8a참조) 이거나, 또는 쐐기형(도 8b 참조)이거나, 또는 전선공(131b)(131d)의 내주면을 감싸기 위한 포켓(181)을 갖는 포켓형(도 8c참조) 등으로 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방진부재(170)는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수중모터펌프(140)가 진동됨에 따라 케이스(110)와의 충돌소음이 발생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수중모터펌프(140)의 하부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수중모터펌프(140)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방진부재(170)는 진동감쇠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우레탄, 연질 합성수지재 등의 연질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중모터펌프(140)의 하부에는 모터(143)가 구성되어 있어서 열이 많이 발생한다. 때문에, 상기 방진부재(170)를 수중모터펌프(140)의 하부를 감싸게 되면 냉각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케이스(110) 내의 물(상수)이 방진부재(170)의 내부까지 통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방진부재(170)는 그 중심부가 관통된 중공부(171)를 가지고 있어서, 이 중공부(171)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유입됨으로써 수중모터펌프(140)의 하부를 수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170)의 측면에도 통수 공(172)을 형성함으로써 방진부재의 내부로 보다 많은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상수 압송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서 케이스, 수중모터펌프, 방진부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압송모듈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입수파이프측 플랜지와 수중모터펌프의 결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출수파이프가 케이스이 측면에 연결되는 경우의 구성도
도 8a,8b,8c는 본 고안에 따른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에 있어서 전선공을 밀봉하기 위한 패킹부재의 여러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압송모듈 110 : 케이스
120 : 입수파이프 130 : 출수파이프
140 : 수중모터펌프 144 : 전원선
150 : 엘보우관 160 : 커플러
170 : 방진부재

Claims (10)

  1. 상수를 원거리나 고지대로 압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송모듈을 갖는 압송장치로서, 상기 압송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통되는 입수파이프 및 출수파이프;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입수파이프로 부터 상수를 흡인하여 상기 출수파이프로 출수되게 하는 입식형의 수중모터펌프;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방진부재는 그 내부로 상기 케이스 내의 상수가 유통되도록 중공형으로 됨과 아울러 측면에는 상기 상수가 유통되도록 통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파이프와 케이스의 상단은 플랜지 이음에 의해 연결하되, 상기 출수파이프측 플랜지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는 외주면에 숫탭이 형성된 출수파이프의 일단부가 관통되게 하며,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토출구 내주면에는 암탭을 형성하여, 상기 출수파이프의 숫탭과 토출구의 암탭이 상호 나사결속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파이프측 플랜지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 기 위한 전선공이 형성되되, 상기 전선공과 전원선 사이의 틈새에는 수밀을 위해 패킹부재가 코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쐐기형 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전선공의 내주면을 감싸기 위한 포켓을 갖는 포켓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파이프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게 설치하고,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토출구에는 엘보우관을 연결하여, 상기 출수파이프와 엘보우관을 커플러로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은 플랜지에 의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수중모터펌프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선공이 형성되되, 상기 전선공과 전원선 사이의 틈새에는 수밀을 위해 패킹부재가 코 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쐐기형 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전선공의 내주면을 감싸기 위한 포켓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 지면 상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형 상수 압송장치.
KR2020080009875U 2008-07-24 2008-07-24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KR200447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75U KR200447852Y1 (ko) 2008-07-24 2008-07-24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875U KR200447852Y1 (ko) 2008-07-24 2008-07-24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55U KR20100001155U (ko) 2010-02-03
KR200447852Y1 true KR200447852Y1 (ko) 2010-02-24

Family

ID=4419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875U KR200447852Y1 (ko) 2008-07-24 2008-07-24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017B1 (ko) * 2015-06-18 2015-12-01 이은희 상수 가압 펌프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881B1 (ko) * 2022-12-27 2024-03-26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모듈형 상수도 가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01A (ja) * 1995-07-24 1997-02-04 Yasuda Kk 汚水中継槽
KR200216964Y1 (ko) * 2000-04-21 2001-03-15 조희남 연결 배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게
JP4208282B2 (ja) * 1998-03-06 2009-01-14 株式会社小坂研究所 振動騒音を低減したサブマージドカーゴポンプ装置
KR100885552B1 (ko) * 2008-04-25 2009-02-26 청호 주식회사 상수 가압용 펌프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01A (ja) * 1995-07-24 1997-02-04 Yasuda Kk 汚水中継槽
JP4208282B2 (ja) * 1998-03-06 2009-01-14 株式会社小坂研究所 振動騒音を低減したサブマージドカーゴポンプ装置
KR200216964Y1 (ko) * 2000-04-21 2001-03-15 조희남 연결 배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게
KR100885552B1 (ko) * 2008-04-25 2009-02-26 청호 주식회사 상수 가압용 펌프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017B1 (ko) * 2015-06-18 2015-12-01 이은희 상수 가압 펌프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55U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6712C2 (ru) Под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ерекачки скважинного флюида
KR200436633Y1 (ko) 조립식 맨홀장치
RU2010135054A (ru) Подвод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лизных аппаратов
KR200447852Y1 (ko) 입식형 상수(上水) 압송장치
KR100924946B1 (ko) 수중모터펌프 설비 및 그것의 케이블 보호장치
US9476189B2 (en) Pump station
KR20170060597A (ko) 수직펌프용 흡입장치
RU121319U1 (ru) Кустовая дожимная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истемы ппд
GB24536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seawater into a compressor module lowering to or retrieval from the seabed
CN102182891A (zh) 玻璃钢管接头、模具及玻璃钢管接头制造方法
CN102644446A (zh) 一种抑制海洋立管及管道涡激振动的装置及方法
ITCO20090059A1 (it) Una unita&#39; compressore ed un metodo per processare un fluido di lavoro
CN207229412U (zh) 用于供水系统的管中泵
RU2004116037A (ru) Система водоотлива глубоких карьеров
KR101418958B1 (ko) 다관경의 세척과 점검용 밸브체
CN108468646B (zh) 应用于地面上的潜水泵
RU196510U1 (ru)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JP3174549U (ja) 水車装置
KR20090078615A (ko) 상수도의 가압수중펌프장치
CN106149854A (zh) 预制泵站
CN1020498C (zh) 潜水泵串联用的装置
RU2784757C1 (ru) Ба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ации водоснабжения
KR101178937B1 (ko) 동력 발생 장치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CN204041565U (zh) 机电排灌泵站潜水电泵井筒式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