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95Y1 - 차량용 보조발판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95Y1
KR200447795Y1 KR2020080014557U KR20080014557U KR200447795Y1 KR 200447795 Y1 KR200447795 Y1 KR 200447795Y1 KR 2020080014557 U KR2020080014557 U KR 2020080014557U KR 20080014557 U KR20080014557 U KR 20080014557U KR 200447795 Y1 KR200447795 Y1 KR 200447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vehicle
auxiliary scaffold
scaffold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섭
Original Assignee
노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섭 filed Critical 노상섭
Priority to KR2020080014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어 하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하는 보조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하부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정,역 모터(M)에 의한 구동부(30)의 정,역 구동으로 보조 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되; 상기 구동부(30)는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에서 정,역 모터(M)의 구동축(31)에 축설된 구동풀리(32)와, 연동풀리(33)를 일측이 보조발판(20)과 연결 설치된 신축성 재질의 타이밍벨트(35)를 감합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30)의 좌우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후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0)에 보조 발판(20)의 가이드부재(50)가 안내작동하도록 대향 구성하도록 제공하므로서, 보조 발판의 정중앙에서 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한 동력전달에 의해 인출작동함과, 보조 발판의 양측에서 원활한 가이드 작동에 의해 작동부하를 최소화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대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차량, 보조발판, 인출, 구동모터, 풀리, 타이밍벨트, 가이드, 내구성

Description

차량용 보조발판{SUB-STEP DEVICE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 도어 하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하는 보조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보조 발판의 정중앙에서 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한 동력전달에 의해 인출작동함과, 보조 발판의 양측에서 원활한 가이드 작동에 의해 작동부하를 최소화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대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차량용 보조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승합차와 같은 차량은 승객의 승, 하차를 위한 도어가 개폐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 내측으로 계단식 발판이 제공되어 이를 통해 승, 하차하게 된다.
그러나 버스나 승합차는 차체가 지면에서 높기 때문에 차체 내부의 발판을 이용하여 오르내림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 더욱 큰 어려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버스나 승합차의 차량 도어 하부에 보조 발판을 설치하여 차량 정차시에 보조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여 어린이나 노약자가 지면 가까이에 설치되는 보조발판을 통해 차량에 오르내림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보조 발판은 차량 외부로 인출하는 동력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 바, 주로 래크와 피니언방식 또는 링크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22025호에서와 같이 정,역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에 발판에 설치된 래크를 치합하여 발판을 인출하거나 정,역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다수의 링크를발판에 연결하여 보조 발판을 인출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래크와 피니언 방식, 링크 방식의 경우에 래크와 피니언, 구동축과 링크는 보조 발판의 중심이 아닌 편심된 위치에서 동력전달을 이루어 보조 발판을 인출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 부하로 인한 동력 손실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래크와 피니언 방식, 링크 방식의 경우에 외부 충격으로 부터의 완충 능력이 떨어져 부품 손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는 물론, 부품 조립상태의 이탈 등으로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차량 도어 하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하되, 보조 발판의 정중앙에서 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한 동력전달에 의해 인출작동함과, 보조 발판의 양측에서 원활한 가이드 작동에 의해 작동부하를 최소화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대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하부 위치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부에 보조 발판을 구비하여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정,역 모터의 정,역구동으로 구동부에 의해 보조 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되;
상기 구동부는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에서 고정프레임 전후로 정,역 모터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풀리와, 연동풀리를 대향 설치하여 일측이 보조발판과 연결 설치된 신축성 재질의 타이밍벨트를 감합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의 좌우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로 설치되는 가이드바에 보조 발판의 가이드부재가 안내작동하도록 대향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구동부는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에서 고정프레임 전후로 정,역 모터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과, 연동스프로켓를 대향 설치하여 일 측이 보조발판과 연결브라켓으로 연결 설치된 체인을 감합 설치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구동부의 가이드부재는 내부 안내공 중앙으로 간극부를 형성하도록 양측에서 부싱과, 리테이너를 삽입하여 마감하되, 상기 간극부에는 가이드바의 마찰 방지를 위한 윤활유를 주입 저장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량 도어 하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하되, 보조 발판의 정중앙에서 정,역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한 동력전달에 의해 보조 발판을 인출작동하도록 함과, 발판의 양측에서 가이드바와 가이드부재가 보조 발판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히 가이드 작동하므로 작동부하를 최소화 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대해 타이밍벨트의 완충 작동으로 그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보조발판은 차량의 도어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로 보조 발판을 인출작동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의 승하차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 하부 위치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 상부에 보조 발판(20)을 구비하여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정,역 모터(M)의 정,역구동으로 구동부(30)에 의해 보조 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 작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구동부(30)는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O)에서 고정프레임(10) 전후로 정,역 모터(M)의 구동축(31)에 축설된 구동풀리(32)와, 연동풀리(33)를 대향 설치하고, 상기 구동풀리(32)와 연동풀리(33)에는 일측이 보조발판(20)과 연결브라켓(36)으로 연결 설치된 고무재와 같은 신축성 재질의 타이밍벨트(35)를 감합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30)의 좌우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후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0)와, 상기 보조 발판(20)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바(40)에 안내 작동하는 가이드부재(50)를 대향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우징(51) 내부의 안내공(52) 중앙으로 간극부(53)를 형성하도록 양측에서 부싱(55)(55)과, 리테이너(56)(56)를 삽입하여 마감하되, 상기 간극부(53)에는 수직으로 통공(54)을 관통 형성하여 가이드바의 마찰 방지를 위한 윤활유를 주입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이밍벨트(35) 대신에 V벨트 등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순 구조의 변경정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미설명부호로서, 34는 연동풀리(33)를 지지 설치하는 설치 브라켓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차량 외부로 보조발판을 인출작동하여 어린이나 노약자의 승하차를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발판(20)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정,역 모터(M)를 구동하여 구동축(31)에 축설된 구동풀리(32)를 회전하므로 상기 구동풀리와 연동풀리(33)에 감합 설치된 타이밍벨트(35)를 전후 이동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벨트(35)는 보조 발판(20)에 연결브라켓(36)으로 연결되어 보조 발판을 전후로 인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 구동풀리(32)와 연동풀리(33)를 타이밍벨트(35)로 감합하여 구동하는 구동부(30)가 보조 발판(20)의 정 중앙 위치(O)에서 전후 이송작동함과 상기 구동부(30)의 양측에서 가이드바(40)를 가이드부재(50)가 대향 위치에서 일정하게 안내 작동하므로 보조 발판의 전후 이동 작동에 따른 작동 부하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부(30)의 타이밍벨트(35)는 고무재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조 발판(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도 완충 작동에 의해종래와 같은 부품 손상의 문제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발판(20)을 안내 작동하는 가이드부재(50)는 하우징(51) 내부 중앙에 간극부(53)를 형성하도록 좌우에서 삽입되는 부싱(55)(55)과 리테이너(56)(56)를 삽입하고, 상기 간극부(53)에는 주입공(54)을 통해 윤활유를 삽입하므로서 가이드바(40)의 안내 작동을 더욱 원활히 제공하여 보조 발판(20)의 인출작동에 따라 작동 부하 절감은 물론 작동 만족도를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기 가이드부재(50)의 하우징(51) 내부 양측에 결합되는 리테이너(56)(56)는 내부 간극부의 윤할유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모래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가이드바(40)의 가이드 작동울 더욱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그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 구동부(3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보면,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O)에서 고정프레임(10) 전후로 정,역 모터(M)의 구동축(31)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32')과, 연동스프로켓(33')를 대향 설치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32')와 연동스프로켓(33')에 일측이 보조발판(20)과 연결브라켓(36)으로 연결 설치된 체인(35')을 감합 설치한 것이다.
즉, 전술한 실시 예에서 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구동하는 방식을 구동스프로켓(32')과 연동스프로켓(33')에 체인(35')을 감합 연결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그 외 작동 관계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저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가이드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프레임 20: 보조 발판
30: 구동부 31: 구동축
32: 구동풀리 33: 연동풀리
35: 타이밍벨트 36: 연결브라켓
40: 가이드바 50: 가이드부재
51: 하우징 52: 안내공
53: 간극부 54: 통공
55: 부싱 56: 리테이너
32': 구동스프로켓 33': 연동스프로켓
35': 체인

Claims (3)

  1. 차량의 도어 하부 위치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 상부에 보조 발판(20)을 구비하여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정,역 모터(M)의 정,역구동으로 구동부(30)에 의해 보조 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는 차량용 보조발판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O)에서 고정프레임(10) 전후로 정,역 모터(M)의 구동축(31)에 축설된 구동풀리(32)와, 연동풀리(33)를 대향 설치하고, 상기 구동풀리(32)와 연동풀리(33)에는 일측이 보조발판(20)과 연결브라켓(36)으로 연결 설치된 신축성 재질의 타이밍벨트(35)를 감합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30)의 좌우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후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0)와, 상기 보조 발판(20)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바(40)에 안내 작동하는 가이드부재(50)를 대향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2. 차량의 도어 하부 위치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 상부에 보조 발판(20)을 구비하여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정,역 모터(M)의 정,역구동으로 구동부(30)에 의해 보조 발판을 차량 외부로 인출하는 차량용 보조발판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보조 발판의 정 중앙 위치(O)에서 고정프레임(10) 전후로 정,역 모터(M)의 구동축(31)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32')과, 연동스프로켓(33')를 대향 설치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32')와 연동스프로켓(33')에는 일측이 보조발 판(20)과 연결브라켓(36)으로 연결 설치된 체인(35')을 감합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30)의 좌우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후로 설치되는 가이드바(40)와, 상기 보조 발판(20)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바(40)에 안내 작동하는 가이드부재(50)를 대향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의 가이드부재(50)는 하우징(51) 내부의 안내공(52) 중앙으로 간극부(53)를 형성하도록 양측에서 부싱(55)(55)과, 리테이너(56)(56)를 삽입하여 마감하되, 상기 간극부(53)에는 수직으로 통공(54)을 관통 형성하여 가이드바의 마찰 방지를 위한 윤활유를 주입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KR2020080014557U 2008-10-31 2008-10-31 차량용 보조발판 KR200447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57U KR200447795Y1 (ko) 2008-10-31 2008-10-31 차량용 보조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57U KR200447795Y1 (ko) 2008-10-31 2008-10-31 차량용 보조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795Y1 true KR200447795Y1 (ko) 2010-02-19

Family

ID=4421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57U KR200447795Y1 (ko) 2008-10-31 2008-10-31 차량용 보조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86B1 (ko) 2011-12-05 2014-01-10 (사)한국철도차량엔지니어링 철도 차량용 발판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603984B1 (ko) * 2015-02-13 2016-03-16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101608081B1 (ko) * 2015-10-12 2016-04-11 허재원 뒤틀림 강성을 개선한 체인 구동 기반의 차량 장착용 슬라이딩 보조발판
KR20220027538A (ko) * 2020-08-27 2022-03-08 박성민 차량용 사이드 스텝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206A (ko) * 1996-10-17 1998-07-25 포만제프리엘 고성능 멀티 칩 모듈 패키지
JP2003146139A (ja) 2001-11-08 2003-05-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消音装置
KR200422025Y1 (ko) * 2006-04-07 2006-07-20 노상섭 차량용 보조발판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206A (ko) * 1996-10-17 1998-07-25 포만제프리엘 고성능 멀티 칩 모듈 패키지
JP2003146139A (ja) 2001-11-08 2003-05-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消音装置
KR200422025Y1 (ko) * 2006-04-07 2006-07-20 노상섭 차량용 보조발판의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86B1 (ko) 2011-12-05 2014-01-10 (사)한국철도차량엔지니어링 철도 차량용 발판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603984B1 (ko) * 2015-02-13 2016-03-16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101608081B1 (ko) * 2015-10-12 2016-04-11 허재원 뒤틀림 강성을 개선한 체인 구동 기반의 차량 장착용 슬라이딩 보조발판
KR20220027538A (ko) * 2020-08-27 2022-03-08 박성민 차량용 사이드 스텝 유닛
KR102390366B1 (ko) 2020-08-27 2022-04-22 박성민 차량용 사이드 스텝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933B2 (en) Sectional door
KR200447795Y1 (ko) 차량용 보조발판
US7934736B2 (en) Boarding and/or access aid for vehicles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US7810282B2 (en) Belt-driven rack gear power sliding door
US7144068B2 (en) Drive mechanism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closure panel manually or automatically
JP510335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扉開閉装置
US20070151158A1 (en) Window lift mechanism
PL1593804T3 (pl) Narożny zespół przenoszący z zespołem zabezpieczającym przed niewłaściwym działaniem dla obrotowo-wychylnych skrzydeł metalowych ram okien i drzwi
CN108825044B (zh) 一种具有倍速链的外滑移门系统
JP5216746B2 (ja) 可動ホーム柵
WO201200804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0126144A (ja) 可動式ホーム柵
CN201747238U (zh) 牵引式水平卷帘门
KR101744587B1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JP2003049583A (ja) 車両用パワー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CN210217517U (zh) 一种联动式淋浴房推拉门
CN2344508Y (zh) 电动门定位锁定机构
JP2013087592A (ja) 引戸連動装置
JP6759131B2 (ja) ホーム柵
KR200342758Y1 (ko)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JP6319755B2 (ja) 三重引戸
JP2672791B2 (ja) 引戸閉鎖装置
CN211169452U (zh) 一种简易电梯轿厢门
CN110641372B (zh) 一种用于汽车侧拉门的下车辅助装置
CN109648858A (zh) 一种汽车密封条接角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