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560Y1 -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560Y1
KR200447560Y1 KR2020080016391U KR20080016391U KR200447560Y1 KR 200447560 Y1 KR200447560 Y1 KR 200447560Y1 KR 2020080016391 U KR2020080016391 U KR 2020080016391U KR 20080016391 U KR20080016391 U KR 20080016391U KR 200447560 Y1 KR200447560 Y1 KR 200447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ire rod
wire
elongat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규
Original Assignee
신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규 filed Critical 신정규
Priority to KR2020080016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5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시에 안경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경줄을 목걸이, 핸드폰줄 등 다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안경줄과 장신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목걸이, 핸드폰줄 등으로 사용되는 장신구는 선재의 끝단에 장신부재를 달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신구는 장신부재와 선재의 결합/해제가 쉽지 않았으며 장신구의 종류에 따라 결합하는 방법 또한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장신부재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홈을 형성하고 돌출홈과 선재를 연결부재와 조임부재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고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장신부재간의 결합/해제가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MULTIPURPOSE ORNAMENT}
본 고안은 평소에는 안경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목걸이, 핸드폰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평소에는 안경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목걸이와 같은 다른 용도의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경줄은 안경의 양 끝에 여러 가지의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선재와 안경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안경줄은 안경줄로서만 사용되었으며 다른 용도로 전용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많았다. 종래의 장신구 또한 그 모양이 미려하게 만들어진 장신부재와 장신부재에 부착되는 선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목걸이라고 하면 목에 걸 수 있는 선재와 선재의 어느 한부위에 결합되는 장신부재로 형성이 되며 이 경우 장신부재가 하나가 아니라 선재를 따라 여러개의 장신부재가 이어져 결합된 것도 있을 수 있지만 장신부재와 선재로 이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었다. 핸드폰줄 이라고 하면 장신부재의 한쪽 끝단에 핸드폰과 연결이 가능한 선재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때 선재와 장신부재의 결합은 장신부재의 한쪽에 고리를 형성하여 선재를 그 안쪽으로 통과시키거나 고리자체를 개폐가능 하도록 형성하여 선재와 장신부재가 결합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안경줄을 목걸이나 그 외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경과 안경줄의 결합해제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안경줄에 부착되는 별도의 장신부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결합을 위한 결합구성이 필요하였다.
즉, 장신부재와 안경줄(혹은 선재)이 고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경우에는 장신부재와 결합을 위해 선재를 고리에 통과시켜 결합시켜야 할 뿐 아니라 나중에 결합을 해제하는 것도 않았으며 이것을 다른 장신부재에 결합하는 것은 고리의 모양이나 선재의 종류에 따라 결합방법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더더욱 결합이 어려웠다.
또한, 고리를 개폐가능 하도록 하여 결합과 해제를 좀 더 쉽게 한 경우가 있었지만 결합부를 개폐가능한 구조로 만들고 이 구조가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을 이용하여 개폐가능한 고리(클라슴)을 만드는데 이러한 고리는 통상의 고리보다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부피가 커져 작은 부재로 이루어진 선재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며 무엇보다도 기능성을 위주로 한 것이라 모양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 과 해제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선재를 안경줄, 목걸이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상기 결합구조는
외주로 부터 돌출된 하나이상의 결합홈을 갖는 장신부재와;
상기 장신부재에 결합되는 선형태의 선재로서 상기 장신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상기 선재의 끝단에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부재는 폐곡선형태로 형성이 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조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조임부재를 상기 조임부재의 바깥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홈을 결합/해제 하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재는 결합홈을 두개 이상 갖는 하나이상의 장신부재와 길쭉한 형태의 하나이상의 짧은길이의 선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것으로서 상기 짧은길이의 선재의 양쪽에 연결부재와 조임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조임부재를 이용해 결합홈에 결합시켜 선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두께는 끝단에서 두껍다가 안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끝부분은 안쪽으로 감는 나선형태를 띠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두께는 끝단에서 두껍다가 안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다 끝부분만 다시 두꺼워지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여 안경줄 뿐 아니라 목걸이등 여러 가지의 장신구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을 안경줄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안경과 안경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경줄을 이루는 선재(15)의 끝단에 연결부재를 형성하였는데 연결부재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오링(O-ring) 형태로 형성이 며 연결부재에는 조임부재가 결합된다. 즉, 선재의 끝단에 오링 형태의 연결부재가 결합이 되어 오링을 관통하여 안경의 안경다리를 통과시키면 조임부재(13)로 조여 안경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안경줄은 목걸이줄과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재를 처음부터 개폐형 고리구조로 형성하거나 또 다른 연결수단을 끝단에 부착하여야만 하였다. 특히 안경줄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과 같은 조임부재와 연결부재를 사용한다고 하여도 타 장신부재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연결부재를 분리해내어야만 했으며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를 개폐형고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해 선재에 연결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이것은 종래의 장신부재가 타 부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고리와 같은 폐쇄형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인데 본 고안은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신부재(11)를 제공하여 별도의 결합수단이 필요없도록 하였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장신구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2의 장신구(10)는 장신부재(11, 상품명 매직브릿지)와 장신부재에 결합되는 선재(15)로 구성이 되며 장신부재의 일단에는 걸림홈(12)을 형성하는데 이 걸림홈은 장신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오링형태의 연결부재(14)와 결합이 되고 조임부재(13)가 연결부재의 바깥쪽에서 연결부재가 조임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부착이 되는데 연결부재(14)의 한쪽이 걸림홈(12)에 부착되면 조임부재(13)를 걸림홈(12)쪽으로 밀어 연결부재가 조임부재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효과적으로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홈은 가장끝단에서 폭이 넓고 장신부재쪽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하여 연결부재를 걸림홈에 결합하였을때 결합이 풀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조임부재의 안쪽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은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의 한쪽 단면의 길이보다 조금 넓은 정도가 되도록 하여 연결부재 외부로 조임부재가 쉽게 이동하도록 하면서도 연결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료를 음각하여 만들어 내는 장신부재 같은 경우 걸림홈 또한 하나의 디자인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신구로서의 가치를 가질 뿐 아니라 장신구의 외주면을 여러 가지로 돌출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결합이 가능한 장신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장신부재는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은 연결부재(14)와 조임부재(13)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임부 재는 그 내부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부재를 끼워 연결부재의 외부로부터 연결부재를 감싸며 연결부재의 외부를 왕복해서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조임부재의 구멍을 크게 표시하였으나 실재는 연결부재의 단면과 거의 비슷한 직경을 갖도록 한다. 연결부재의 양쪽끝은 선재나 장신부재 등에 결합되기 때문에 조임부재가 연결부재로부터 이탈할 염려는 없다.
도4의 실시예는 장신부재(14)의 양쪽에 걸림홈을 형성한 또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4의 실시예에서는 걸림홈이 양쪽에 위아래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쪽에든지 연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4의 장신부재 역시 장신부재의 안쪽을 파내고 외주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였는데 상기 걸림홈은 연결부재를 걸기 위한 기능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장신부재의 디자인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장신부재를 음각을 이용하여 내부를 파내는 방식으로 형성하고 외부에 걸림홈이 되는 돌출부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디자인에 걸림홈이 튀지 않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개폐형 고리와 달리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장신부재의 디자인과 잘 어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돌출홈을 장신부재의 양쪽 대칭되는 위치에 돌출홈을 형성하여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아래쪽의 돌출홈을 이용하거나 다른 돌출홈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핸드폰줄이나 목걸이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떠한 돌출홈에 연결하느냐에 따라 외부에서 보는 모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얼마든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나이상의 돌출홈을 돌출홈을 여러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다양 한 모습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본고안에 따른 장신부재(11)를 이용하여 연결부재와 조임부재를 이용해 결합시켜 핸드폰 고리를 만든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장신부재(1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걸림홈(12)이 형성되는데 도4에서는 연결부재와 선재와의 연결에 개폐형고리(16)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은 종래에 많이 사용된 개폐형 고리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의 차이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개폐형 고리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선재와 연결부재의 결합이나 다른 장신부재와의 결합에는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개폐형 고리는 선택적일 뿐이다.
개폐가 가능한 고리(16)의 끝에는 핸드폰줄(17)을 달아 장신부재의 한쪽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였는데 비록 걸림홈이 상단과 하단 두군데에 형성되어 있지만 아래쪽의 결합홈은 비워놓는다고 하여도 디자인이 크게 튀지 않는다. 따라서 도3과 같이 핸드폰 고리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에 서 사용할 수 있는 장신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에 제시된 장신부재들은 모두 돌출홈을 가지고 있는데 돌출홈이 고리형태가 아닌 끝부분을 안쪽으로 굽힌형태의 개방형으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안쪽의 장신부재와 잘 어울리도록 형성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7은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에서는 선재를 형성할 때 선재의 중간 중간에 본 고안에 따른 장신부재를 집어넣도록 하였다. 양쪽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형성된 작은 길이의 선재 다수개와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선재와 선재사이를 장신부재가 연결하도록 하여 큰 길이의 선재를 형성하도록 하여 선재 일부를 분리하여 핸드폰줄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줄이나 목걸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하기에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경우 양쪽에 연결부재가 형성된 짧은 길이의 선재를 더 넣거나 뺌으로써 길이를 늘리거나 혹은 반대의 경우로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장신부재는 서로 다른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부는 따로 떼내어 다른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장신부재는 돌출홈을 두 개이상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부재의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부재의 연결부재와를 도시하는 도면
도3,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부재의 결합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장신구 11: 장신부재
12: 결합홈 13: 조임부재
14: 연결부재 15,17: 선재
16:개폐형고리

Claims (5)

  1.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로서,
    외주로 부터 돌출된 하나이상의 결합홈을 갖는 하나이상의 장신부재(11)와;
    상기 장신부재(11)에 결합되는 선형태의 선재(15)로서 상기 장신부재의 결합홈(12)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4)가 상기 선재(15)의 끝단에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부재(14)는 폐곡선형태로 형성이 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조임부재(13)가 결합되어 상기 조임부재(13)를 상기 연결부재(14)의 바깥면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연결부재(14)와 결합홈을 결합/해제 하는 연결부재(14)가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선재(15);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12)의 끝부분은 안쪽으로 감기는 나선형태를 띠며
    상기 장신부재는 결합홈(12)을 두개이상 가지며, 상기 선재(15)의 양쪽모두에 연결부재(14)와 조임부재(13)가 형성되어 상기 장신부재의 결합홈과 선재의 연결부재(14)를 결합하여 하나의 물품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홈의 두께는 끝단에서 두껍다가 안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다 끝부분만 다시 두꺼워지는 형태인,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80016391U 2008-12-10 2008-12-10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KR200447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91U KR200447560Y1 (ko) 2008-12-10 2008-12-10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91U KR200447560Y1 (ko) 2008-12-10 2008-12-10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560Y1 true KR200447560Y1 (ko) 2010-02-03

Family

ID=4421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91U KR200447560Y1 (ko) 2008-12-10 2008-12-10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5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4787A (en) 1995-10-27 1997-08-05 Barison; Joseph I. Eyewear and information holder
JPH10137015A (ja) * 1996-11-07 1998-05-26 Ooshiba:Kk 装身具
KR200334366Y1 (ko) * 2003-08-08 2003-11-22 주식회사 남영엘앤에프 브래지어용 어깨끈 연결고리
KR200359259Y1 (ko) * 2004-05-21 2004-08-16 연병희 장신구 겸용 안경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4787A (en) 1995-10-27 1997-08-05 Barison; Joseph I. Eyewear and information holder
JPH10137015A (ja) * 1996-11-07 1998-05-26 Ooshiba:Kk 装身具
KR200334366Y1 (ko) * 2003-08-08 2003-11-22 주식회사 남영엘앤에프 브래지어용 어깨끈 연결고리
KR200359259Y1 (ko) * 2004-05-21 2004-08-16 연병희 장신구 겸용 안경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035B2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US20030015213A1 (en) Hair fashion accessory
KR200447560Y1 (ko) 안경줄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장신부재의 결합구조
US7093332B1 (en) Locking toggle assembly for jewelry
US10076164B2 (en) Jewelry catch
CN204969825U (zh) 宝石隐形扣
KR200456626Y1 (ko) 지퍼 보조손잡이
CN206197238U (zh) 首饰链钩
KR101042193B1 (ko) 탈부착식 넥타이
FR1266347A (fr) Bouton de manchette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TW201306766A (zh) 用於連接珠寶串的閉鎖裝置及其製作方法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KR200415126Y1 (ko) 진주목걸이의 마감구조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US20090120131A1 (en) Quickly attachable and detachable decorations for orthodonthic braces
KR200457609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101466040B1 (ko) 장신구용 체인의 연결구조
KR200428220Y1 (ko) 악세사리용 펜던터 결합구조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CN205250574U (zh) 项链连接扣
KR200429707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고정구
KR200267567Y1 (ko) 목걸이의 장식구 결착구
KR200467610Y1 (ko) 액세서리 줄의 연결구
JPH0754253Y2 (ja) 帯締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