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43Y1 - 치과용 연마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43Y1
KR200447443Y1 KR2020080001485U KR20080001485U KR200447443Y1 KR 200447443 Y1 KR200447443 Y1 KR 200447443Y1 KR 2020080001485 U KR2020080001485 U KR 2020080001485U KR 20080001485 U KR20080001485 U KR 20080001485U KR 200447443 Y1 KR200447443 Y1 KR 200447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dental
horizontal frame
polishing mach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922U (ko
Inventor
강태현
Original Assignee
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현 filed Critical 강태현
Priority to KR2020080001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4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6Tooth grinding or polishing discs; Holder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 시술시 치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기 위한 치과용 연마기로서, 하나의 수평 프레임과 그것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연마용 소재가 외주면 일부 부위에 코팅되어 있는 금속시트로 이루어진 연마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용 홀더들, 및 상기 수평 프레임 또는 지지용 홀더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치과용 연마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연마기 {Grinder for Dental Clinic}
본 고안은 치과용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시 치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기 위한 치과용 연마기로서, 하나의 수평 프레임과 그것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연마용 소재가 외주면 일부 부위에 코팅되어 있는 금속시트로 이루어진 연마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용 홀더들, 및 상기 수평 프레임 또는 지지용 홀더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치과용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교정치료시 치아의 사이면인 치면을 갈아내는 경우, 날카로운 톱날 형상을 가진 교정용 스트리퍼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교정용 스트리퍼를 사용하는 시술방법은 시술하고자 하는 두께를 치아와 복원부 사이에 적합한 두께를 카본 페이퍼로 마킹하고 잉여부를 갈아내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소망하는 피팅(적합)면이 나올 때까지 계속 갈아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부정확하며, 오버 그라인딩 가능성이 있어서, 재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시술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트리퍼는 입술에 상처를 주거나, 혀에 상처를 줄 가능성이 아주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 파일링 스트리퍼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금속 파일링 스트리퍼는 스트립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사용자는 양손가락으로 스트립의 양단부를 잡아야 하고, 크라운 치료부위가 구치부인 경우, 양 손가락을 구강 내부에 깊게 삽입하기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는 입을 크게 벌려야 하므로 고통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고, 사용이 용이한 특정한 구조의 치과용 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치과 시술시, 치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기 위한 치과용 연마기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환자와 시술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면서, 치과 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정한 구조의 치과용 연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는, 치과 시술시 치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기 위한 치과용 연마기로서,
하나의 수평 프레임과 그것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평면상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
연마용 소재가 외주면 일부 부위에 코팅되어 있는 금속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연마부재;
상기 연마부재의 양 단부를 고정 지지하면서, 각각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용 홀더들; 및
손으로 잡거나 다른 치과용 도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또는 지지용 홀더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는 연마용 소재가 금속시트로 이루어진 연마부재의 외주면 일부에 얇게 코팅되어 있으므로, 폭이 좁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면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연마부재가 금속시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강 내에서 다루기 용이하고,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본체가 지지용 홀더를 통해 연마부재를 안정적인 구조로 고정하고 있으므로, 사용시 연마기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치면을 연마할 수 있다.
상기 금속시트의 외주면에 연마용 소재가 코팅되는 부위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시트의 외주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치면의 연마 작업 시,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서, 상기 프레임 본체 또는 지지용 홀더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은 구강 내부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구치부 치아 사이를 연마할 경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치면을 연마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에 평행하게 일측 지지용 홀더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핸들은 구강내에서 바깥쪽에 위치한 전치부의 치면을 연마하는 경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치면을 연마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수평 프레임의 중앙부위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에 대한 핸들의 연결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는 치과용 연마기의 구조는 연마작업에 사용될 수 있고, 수평 프레임에 대한 핸들의 연결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치과용 연마기의 구조는 연마 형태를 잡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와 지지용 홀더의 결합은 각각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호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두께가 얇은 연마부재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연마부재와 지지용 홀더들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은 시술자의 손으로 잡고 수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치 과용 핸드피스에 결합하여 치면의 연마를 위한 연마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은 핸드피스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는 치아 사이 치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면서 동시에 치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그 두께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부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치면이 오버 그라인딩 될 수 있고, 치아에 무리한 힘을 주게 되어 치아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는 달리,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는 소망하는 연마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연마부재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마부재의 두께는 0.1 내지 0.2 m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연마부재는 연마용 소재가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제 1 부위, 이보다 두껍게 도포되어 있는 제 2 부위, 및 연마용 소재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미도포 부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부위는 제 2 부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도포 부위가 연마 부위에 우선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위치로서 수평 프레임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마부재가 도입되는 치아 사이의 공간은 잇몸 부위에서 외부쪽으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치아 사이의 치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재는 잇몸 부위의 치면에서 외부쪽의 치면으로 갈수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마부재를 치아 사이의 치면에 도입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잇몸 부위의 치면부터 외부쪽의 치면 방향으로 연마용 소재 미 도포 부위,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를 순차적으로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룸으로써, 치면의 공간에 대응하여 소망하는 치면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연마부재의 하단면은 수직 단면상 타원형 형상의 만입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치면의 연마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잇몸에 인접한 부위의 치면 연마를 생략할 수 있고, 치면의 연마 과정에서 연마부재가 잇몸에 접촉되어 잇몸이 손상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연마부재는 연마용 소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3 또는 그 이상 개의 연마소재 도포 부위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마부재는 연마소재 도포 부위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치면 부위를 선택적으로 연마할 수 있고, 치면 연마 시 치면의 오버 그라인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소재 도포부위들은 필요에 따라 3 또는 그 이상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마소재가 높이 1 mm를 가지고 0.5 mm 간격으로 금속시트의 3 개 부위에 도포된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마용 소재는 금속시트의 외주면 일부 부위에 코팅되어 치면을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이아몬드 분말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 입경을 가진 다이아몬드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는 수평 프레임의 양단부에 수직 프레임이 연장되어 있고,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는 연마부재가 결합된 구조이므로, 프레임 본체가 구강 내에 삽입된 후, 치면 연마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보다 수직 프레임이 짧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길이와 수직 프레임의 길이의 비율은 구조역학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비율인 3: 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과 연마부재의 대향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연마부재가 소정의 강성과 함께 일정한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마부재의 유연성은 치면의 연마 시 치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치면이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연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프레임들의 길이와 연마부재 높이는 수평 프레임과 연마부재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그 비율이 5: 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본체는 지지용 홀더 및 연마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구강 내에서 다루기가 용이할 수 있도록, 구강 내의 피부 조직 및 혀 부위에 닿는 경우에도 이러한 부위에 상처를 주지 않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모서리 부위는 라운딩 처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의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연마기(100)는 하나의 수평 프레임(120), 그것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평면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본체, 수직 프레임(130)들 사이에 장착되는 연마부재(110), 수직 프레임(130) 각각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용 홀더(140), 및 수평 프레임(120)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150)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프레임(120)의 길이(D)와 수직 프레임(130)의 길이(L)는 각각 대략 15 mm, 10 mm이고, 연마부재(110)의 높이(H)는 4 mm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조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연마부재(110)는 두께가 0.15 mm인 금속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금속시트의 외면에 입경이 40 ㎛인 다이아몬드 분말이 코팅되어 있으며, 수직 프레임(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용 홀더들(140)은 연마부재(110)를 양 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연마부재(110), 지지용 홀더(140), 및 수직 프레임(130)은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고, 핸들(150)은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체결구조로 되어 있어서, 핸드피스(도시하지 않음)를 핸들의 하단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의 정면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치과용 연마기(200)의 연마부재(210)에서, 다이아몬 드 분말이 도포되지 않은 미도포 부위(211)는 잇몸 부위에 인접한 치면에 도입될 수 있도록 연마부재(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다이아몬드 분말이 도포된 부위(212)는 잇몸 부위와 상부에 위치한 치면을 연마하도록 연마부재(2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치과용 연마기(300)에서, 연마부재(310)는 입경이 20 ㎛인 다이아몬드 분말이 금속시트의 외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 1 부위(312), 입경이 40 ㎛인 다이아몬드 분말이 코팅되어 있는 제 2 부위(313), 및 다이아몬드 분말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미도포 부위(311)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부위(312)는 제 2 부위(31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미도포 부위(311)는 제 1 부위(31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미도포 부위(311)가 치아의 잇몸 부위에 우선적으로 도입되고, 미도포 부위(311)의 상부에 위치한 제 1 부위(312) 및 제 2 부위(313)는 순차적으로 잇몸 부위의 상부에 위치한 치면에 도입됨으로써, 치아의 잇몸 부위로부터 외부쪽으로 갈수록, 치아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는 구조의 치면에서 치면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도 4의 치과용 연마기(400)의 연마부재(410)는 외주면에 입경이 40 ㎛인 다이아몬드 분말이 1 mm 높이를 가지면서 0.5 mm 간격(410a)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코팅되어 있는 3 개의 금속 스트립 부위(410b)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소망하는 치면 부위를 선택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마부재(510)의 하단면(511)은 수직 단면상 타원형 형상 의 만입 구조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치과용 연마기(600)에 결합된 핸들(650)은 수평 프레임(6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620)의 중앙부위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서, 구강내에서 바깥쪽 전치부의 치아 사이 치면을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는 프레임 본체, 연마용 소재가 외주면에 코팅되어 있는 연마부재, 지지용 홀더 및 핸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폭이 좁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면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본체가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용 홀더가 연마부재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치면을 연마하는 경우 연마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치면을 연마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연마기의 정면 모식도들이다.

Claims (9)

  1. 치과 시술시 치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기 위한 치과용 연마기로서,
    하나의 수평 프레임과 그것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평면상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본체;
    연마용 소재가 외주면 일부 부위에 코팅되어 있는 금속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연마부재;
    상기 연마부재의 양 단부를 고정 지지하면서, 각각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용 홀더들; 및
    손으로 잡거나 다른 치과용 도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또는 지지용 홀더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치과용 연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수평 프레임에 평행하게 일측 지지용 홀더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수평 프레임의 중앙부위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와 지지용 홀더들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핸드피스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의 두께는 0.1 내지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는 연마용 소재가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제 1 부위, 이보다 두껍게 도포되어 있는 제 2 부위, 연마용 소재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미도포 부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부위는 제 2 부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도포 부위가 연마 부위에 우선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위치로서 수평 프레임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의 하단면은 수직 단면상 타원형 형상의 만입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는 연마용 소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3 또는 그 이상 개의 연마소재 도포부위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연마기.
KR2020080001485U 2008-01-31 2008-01-31 치과용 연마기 KR200447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85U KR200447443Y1 (ko) 2008-01-31 2008-01-31 치과용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85U KR200447443Y1 (ko) 2008-01-31 2008-01-31 치과용 연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22U KR20090007922U (ko) 2009-08-05
KR200447443Y1 true KR200447443Y1 (ko) 2010-01-25

Family

ID=4130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85U KR200447443Y1 (ko) 2008-01-31 2008-01-31 치과용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628B1 (ko) * 2014-07-17 2016-01-11 (주)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WO2017104872A1 (ko) * 2015-12-18 2017-06-22 ㈜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KR101751429B1 (ko) 2015-11-26 2017-06-29 (주)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KR20210077143A (ko) * 2019-12-17 2021-06-2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스트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7679A1 (de) * 2015-05-15 2016-11-17 Work for Smile GmbH Medizinische Handschleif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Zahnoberflächen, Set mit Schleifvorrichtungen, und Verfahren
KR101802719B1 (ko) * 2017-09-18 2017-11-30 이경식 3차원 치아 삭제용 스트립 및 이를 구비한 치아 삭제 기구
JP7287640B2 (ja) * 2018-12-22 2023-06-06 株式会社西尾 歯間研削用のヤスリ及びそれを備える歯間研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900A (ja) * 1994-01-04 1995-09-05 Aasum Thomas 磨耗または研磨装置
KR19990007550A (ko) * 1998-10-02 1999-01-25 박상만 치아 연마기
US5915964A (en) 1996-10-11 1999-06-29 Walia; Harmeet Flexible guided file for root canal procedures
JP2000508956A (ja) 1997-02-12 2000-07-18 ベナルーフ,ジャック 手持ち式洗浄/研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900A (ja) * 1994-01-04 1995-09-05 Aasum Thomas 磨耗または研磨装置
US5915964A (en) 1996-10-11 1999-06-29 Walia; Harmeet Flexible guided file for root canal procedures
JP2000508956A (ja) 1997-02-12 2000-07-18 ベナルーフ,ジャック 手持ち式洗浄/研磨装置
KR19990007550A (ko) * 1998-10-02 1999-01-25 박상만 치아 연마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628B1 (ko) * 2014-07-17 2016-01-11 (주)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KR101751429B1 (ko) 2015-11-26 2017-06-29 (주)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WO2017104872A1 (ko) * 2015-12-18 2017-06-22 ㈜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KR20210077143A (ko) * 2019-12-17 2021-06-2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스트립
KR102338040B1 (ko) * 2019-12-17 2021-12-10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스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22U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443Y1 (ko) 치과용 연마기
US10117725B2 (en) Interproximal dental tool
US6102701A (en) Retractor apparatus
US7077652B2 (en) Cheek and lip retractor for dentistry
US7455521B2 (en) Interproximal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5836810A (en) Abrading or polishing device
US20060183075A1 (en) Dental filing tool
US20060234187A1 (en) Cheek and Lip Retractor For Dentistry
CA2027673A1 (en) Cheek retractor
US5538421A (en) Dental instrument
US7914284B2 (en) Dental filing tool
US5996864A (en) Holder for tooth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
CN108472107A (zh) 牙科牵开器
US10314672B2 (en) Cheek and tongue retractor
US20180303590A1 (en) Freehand R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00155272A1 (en) Dental carving instruments with detachable blade and related methods
JP2021030074A (ja) マイクロミラーが備えられた歯科用リトラクター
WO2007142630A1 (en) Dental filing tool
US114394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CN210673285U (zh) 口内扫描仪器保护套安装结构
US20070184401A1 (en) Dental hygiene device & teeth polishing method
JPH0710735Y2 (ja) 超音波チゼル
JP3099914U (ja) 歯科用口腔鏡
TWM597635U (zh) 牙科矯正裝置(八)
CA2739127A1 (en) Dental clip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