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04872A1 - 치아 교정용 스트립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04872A1
WO2017104872A1 PCT/KR2015/013934 KR2015013934W WO2017104872A1 WO 2017104872 A1 WO2017104872 A1 WO 2017104872A1 KR 2015013934 W KR2015013934 W KR 2015013934W WO 2017104872 A1 WO2017104872 A1 WO 20171048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holder
holders
blade
abrasiv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9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인준
Original Assignee
㈜오성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엠앤디 filed Critical ㈜오성엠앤디
Priority to DE112015007194.6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5007194T8/de
Priority to US15/762,010 priority patent/US20180256291A1/en
Priority to PCT/KR2015/013934 priority patent/WO2017104872A1/ko
Priority to CH00437/18A priority patent/CH713188B1/de
Priority to JP2018551727A priority patent/JP2019500192A/ja
Publication of WO20171048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048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6Tooth grinding or polishing discs;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ip for orthodontics including a blade for polish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tooth surface and a body for fixing the blade to secure a space between teeth during a dental procedure. It is about.
  • the tooth surface which is the tooth surface, is ground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teeth.
  • the orthodontic strip is mainly used, and a conventional orthodontic strip is composed of a tooth polishing blade, a body fixing both ends of the tooth polishing blade, and a hand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dental handpiece.
  • This conventional orthodontic strip has a problem that the tooth polishing blade is coupled to the body by spot welding so that the tooth polishing blade is separated from the body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 Korean Utility Model No. 20-0447443 'Dental Polisher' discloses that a polishing member is welded to support holders coupled to a fram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rasive member welded to the support holders during the fall may fall.
  • the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strip as described above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 the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body having a horizontal frame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 the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pair of holders that are coupl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longitudinal frames.
  • the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n abrasive blade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holders.
  • the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 handle which is coupled to or integrally formed on one of the pair of holders.
  •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ortion along the horizontal frame and vertical frame.
  • the body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reinforcement is preferably formed by emboss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plate.
  • the holder is bent up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abrasive blade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abrasive blade, the abrasive blade is preferably compressed between the holder.
  • the hold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ressure point of a predetermined depth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abrasive blade.
  • the abrasive blad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or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essure point formed in the holder can be inserted.
  • the abrasive blad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 the handle is preferably formed by rolling a plate extending from the body.
  •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 the tooth polishing blade is fixed to a holder coupled to the body so that the tooth polishing blade is not separated from the body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brasiv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to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for processing a plate for producing a dental orthodontic str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to 3 illustrate a dental orthodontic stri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a body (10) having a horizontal frame (12)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14)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
  • a pair of holders 20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4;
  • a handle 40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s 20 laterally.
  • the body 10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2 and a vertical frame 14.
  • the vertical frame 14 extend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 and the horizontal frame 12 and the vertical frame 14 have a ' ⁇ ' shape as a whole.
  • the body 10 has a horizontal frame 12 and a vertical frame 14 integrally formed in a ' ⁇ ' shape as a whole, the pair of holders 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4 Combined.
  • the body 10 has a reinforcement 16 formed along a horizontal frame 12 and a vertical frame 14.
  • the reinforcement portion 16 also has a ' ⁇ ' shape as a whole.
  • the horizontal frame 12 and the vertical frame 14 constituting 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plate 1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reinforcement 16 is the body (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plate 1 by forming it by emboss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1). If necessary, the reinforcement portion 16 may be formed in plural.
  • the holder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abrasive blade 30, and is a portion for fixing the abrasive blade 30 to the body 10.
  • the holder 2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14, the vertical frame 14 is made of a plate 1 of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n manufactured, the holder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1.
  • the holder 20 is bent up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polishing blade 30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polishing blade 30, the polishing blade 30 is pressed between the holder 20.
  • the holder 20 is bent in a form surrounding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brasive blade 30, the abrasive blade 30 is three sides except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20 in three directions Deviation can be prevented.
  • the holder 20 may be formed with a pressure point 22 of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or both sides to compress and surround the abrasive blade 30 in order to prevent the polishing blade 30 from being separated.
  • (22)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such as a point, a straight line, a curve, or a circle.
  • the holder 20 may be additionally fixed using the polishing blade 30 and an adhesive or welding method, and the polishing blade 30 is restrained by the holder 20 in three directions, thereby allowing stable fixing. .
  • the abrasive blade 30 is a sheet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iamond powder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as necessary.
  • the abrasive blade 3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32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heat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tooth surface.
  • the abrasive blade 30 may form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or an insertion hole 34 into which the pressure point part 22 may be inserted. In this case, the abrasive blade 30 is pressed into the holder 20. ) Can be prevented additionally.
  • Both ends of the abrasive blades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with steps (not shown) that can prevent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ate pressed in the holder 20.
  • the handle 40 is a part for connecting the body 10 to which the polishing blade 30 is fixed to the dental handpiece and is coupled to any one side of the pair of holders 20.
  • the handle 4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o that the handle 40 may be coupled to the dental handpiece.
  • the handle 40 may be connected to the dental handpiece by rolling the metal plate 1. It has a coupling groove.
  • the handle 4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holder 20, specifically, the body 10, the holder 20 and the handle 40 is formed integrally as one component It is preferable.
  • the body 10, the holder 20, and the handle 40 may be cut out in a single part form integrally formed in the plate 1, and the cut portions may be punched, bent, or the like. After processing in the method of combining with the abrasive blade 30 can be produced efficiently for orthodontic strips.
  • Orthodontic strip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 the tooth polishing blade 30 is fixed to the holder 20 coupled to the body 10, the tooth polishing blade is not separated from the body 10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in particular, the holder 20 is in three directions. Since the polishing blade 30 is wrapped in the polishing blade 30 can be more stably fixed.
  • a reinforcing part 16 formed by emboss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plate 1 in the body 10 made of the plate 1 of the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body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warpage of (10) can be prevented.
  • polishing blade 3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32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heat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tooth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by including a blade for polish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ace of the tooth and a body for fixing the blade in order to secure the space between the teeth during dental procedur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abrasive blad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가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을 구비하는 바디; 한 쌍의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 한 쌍의 홀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연마블레이드; 및 한 쌍의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홀더는 연마블레이드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연마블레이드의 하단부를 감싸며 위로 절곡되고, 연마블레이드는 홀더 사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스트립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 시에 치아 사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치아 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치아 교정 치료 시에 치아 사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치아 사이면인 치아 면을 갈아내게 된다.
이때 주로 교정용 스트립을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교정용 스트립은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 상기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치과용 핸드피스에 연결될 수 있는 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교정용 스트립은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바디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되어 치아 교정 치료 중에 상기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바디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7443호 ‘치과용 연마기’는 프레임 본체에 결합된 지지용 홀더들에 연마부재가 용접으로 결합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47443호 역시 치아 교정 치료 중에 지지용 홀더들에 용접으로 결합된 연마부재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정용 스트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치아 교정 치료 중에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바디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바디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가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을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한 쌍의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한 쌍의 홀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연마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한 쌍의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측면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바디에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따라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바디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이고, 상기 보강부는 판재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엠보싱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홀더는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하단부를 감싸며 위로 절곡되고, 상기 연마블레이드는 상기 홀더 사이에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홀더는 연마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압점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연마블레이드는 홀더에 형성된 압점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연마블레이드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있어서, 핸들은 바디에서 연장된 판재를 말아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바디에 결합되는 홀더에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치아 교정 치료 중에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바디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둘째, 바디에 형성되는 보강구조를 제공하여 치아 교정 치료 중에 바디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을 제작하기 위한 판재를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판재 10 : 바디 12 : 가로프레임
14 : 세로프레임 16 : 보강부 20 : 홀더
22 : 압점부 30 : 연마블레이드 32 : 타공
34 : 삽입홀 40 : 핸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가로프레임(12)과 상기 가로프레임(12)의 양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14)을 구비하는 바디(10);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14)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홀더(20);
상기 한 쌍의 홀더(20)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연마블레이드(30); 및
상기 한 쌍의 홀더(20) 중 어느 하나에 측면으로 결합되는 핸들(4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10)는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프레임(12) 양 단부에서 상기 세로프레임(14)이 아래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4)은 전체적으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바디(10)는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형상이며, 상기 세로프레임(14)의 하단부에 상기 한 쌍의 홀더(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4)을 따라 보강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6) 역시 전체적으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10)를 구성하는 가로프레임(12)과 세로프레임(14)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소재의 판재(1)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부(16)는 상기 바디(1)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엠보싱 가공으로 형성하여 상기 판재(1)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보강부(16)는 복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홀더(20)는 상기 바디(10)와 연마블레이드(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마블레이드(30)를 상기 바디(10)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홀더(20)는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14)의 하단부에서 아래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로프레임(14)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소재의 판재(1)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홀더(20)는 상기 판재(1)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20)는 상기 연마블레이드(30)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마블레이드(30)의 하단부를 감싸며 위로 절곡되고,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상기 홀더(20) 사이에 압착된다.
즉, 상기 홀더(20)는 상기 연마블레이드(30)의 양 측면 및 하단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므로,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상면을 제외한 3면이 상기 홀더(20)에 접하게 되어 3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20)는 상기 연마블레이드(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마블레이드(30)를 압착하여 감싸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소정 깊이의 압점부(2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압점부(22)는 점, 직선, 곡선 또는 원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20)는 연마블레이드(30)와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해 추가적으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3방향에서 상기 홀더(20)에 의해 구속되므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소재의 시트로서 필요에 따라 외면에 다이아몬드 분말이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치아 면과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타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상기 압점부(2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 또는 삽입홀(34)을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홀더(20) 내부에서 압착된 연마블레이드(30)의 유동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마블레이드(3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상기 홀더(20)에 압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단턱(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핸들(40)은 상기 연마블레이드(30)가 고정된 바디(10)를 치과용 핸드피스와 연결하는 부분으로 상기 한 쌍의 홀더(20) 중 어느 하나에 측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40)은 치과용 핸드피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속 소재의 판재(1)를 말아서 내부에 치과용 핸드피스와 연결할 수 있는 결합홈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핸들(40)은 상기 홀더(20)에서 측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바디(10), 홀더(20) 및 핸들(40)이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에서 바디(10), 홀더(20) 및 핸들(40)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 형태로 잘라낼 수 있고, 이렇게 잘라낸 부분을 펀칭, 절곡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후에 연마블레이드(30)와 결합함으로써 치아 교정용 스트립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스트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바디(10)에 결합되는 홀더(20)에 연마블레이드(30)가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치아 교정 치료 중에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바디(10)에서 분리되지 않고, 특히 상기 홀더(20)는 3방향에서 상기 연마블레이드(30)를 감싸고 있으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연마블레이드(3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소재의 판재(1)로 제작되는 바디(10)에 상기 판재(1)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엠보싱 가공으로 형성되는 보강부(16)를 구비하여 치아 교정 치료 중에 바디(1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블레이드(30)는 복수의 타공(32)이 형성되어 치아 면과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시술 시에 치아 사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치아 면의 소정 부위를 연마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함으로써, 치아 치료 중에 치아 연마용 블레이드가 바디에서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한 쌍의 홀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연마블레이드; 및
    상기 한 쌍의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측면에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하단부를 감싸며 위로 절곡되고, 상기 연마블레이드는 상기 홀더 사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2.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한 쌍의 홀더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연마블레이드; 및
    상기 한 쌍의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하단부를 감싸며 위로 절곡되고, 상기 연마블레이드는 상기 홀더 사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따라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이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엠보싱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블레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압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블레이드는 상기 압점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블레이드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스트립.
PCT/KR2015/013934 2015-12-18 2015-12-18 치아 교정용 스트립 WO201710487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5007194.6T DE112015007194T8 (de) 2015-12-18 2015-12-18 Orthodontischer Streifen
US15/762,010 US20180256291A1 (en) 2015-12-18 2015-12-18 Orthodontic Strip
PCT/KR2015/013934 WO2017104872A1 (ko) 2015-12-18 2015-12-18 치아 교정용 스트립
CH00437/18A CH713188B1 (de) 2015-12-18 2015-12-18 Orthodontischer Streifen.
JP2018551727A JP2019500192A (ja) 2015-12-18 2015-12-18 歯列矯正用ストリ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3934 WO2017104872A1 (ko) 2015-12-18 2015-12-18 치아 교정용 스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4872A1 true WO2017104872A1 (ko) 2017-06-22

Family

ID=5905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934 WO2017104872A1 (ko) 2015-12-18 2015-12-18 치아 교정용 스트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56291A1 (ko)
JP (1) JP2019500192A (ko)
CH (1) CH713188B1 (ko)
DE (1) DE112015007194T8 (ko)
WO (1) WO201710487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7540A1 (en) * 2004-09-13 2006-03-16 Navarro Carlos F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enamel from a person's tooth
KR200447443Y1 (ko) * 2008-01-31 2010-01-25 강태현 치과용 연마기
US20110081830A1 (en) * 2009-10-07 2011-04-07 Anthony David Pollasky Method for finishing and fitting dental restorations and an abrasive material for doing same
KR20110117692A (ko) * 2009-02-20 2011-10-27 에스디씨 스위저랜드 에스에이 치아의 보존치료 및 예방뿐만 아니라 치아 교정술에서 치아 간격에 작용하기 위한 파일 및 진동식 핸드피스에 연결될 수 있는 연계 장치
KR101583628B1 (ko) * 2014-07-17 2016-01-11 (주)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2680A (en) * 1939-09-12 Razor blade holder
US1201875A (en) * 1916-02-25 1916-10-17 William W Russ Strip and matrix holder.
US1415765A (en) * 1921-07-28 1922-05-09 Theodore A Bailey Dental floss holder
US2288011A (en) * 1940-11-23 1942-06-30 Albert D Mizzy Teeth separator
US2730804A (en) * 1954-01-08 1956-01-17 Mizzy Inc Dental hand abrasive separator device
US4030198A (en) * 1974-09-30 1977-06-21 Evalyn Gerber Tooth enamel-stripping apparatus
US7455521B2 (en) * 2004-02-11 2008-11-25 Fishburne Jr Cotesworth Interproximal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914284B2 (en) * 2004-09-21 2011-03-29 Kim Daniel S Y Dental filing tool
US7824182B2 (en) * 2004-09-21 2010-11-02 Kim Daniel S Dental filing tool
CA2926689A1 (en) * 2015-04-09 2016-10-09 Gilbert ACKEL Dental strip hol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7540A1 (en) * 2004-09-13 2006-03-16 Navarro Carlos F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enamel from a person's tooth
KR200447443Y1 (ko) * 2008-01-31 2010-01-25 강태현 치과용 연마기
KR20110117692A (ko) * 2009-02-20 2011-10-27 에스디씨 스위저랜드 에스에이 치아의 보존치료 및 예방뿐만 아니라 치아 교정술에서 치아 간격에 작용하기 위한 파일 및 진동식 핸드피스에 연결될 수 있는 연계 장치
US20110081830A1 (en) * 2009-10-07 2011-04-07 Anthony David Pollasky Method for finishing and fitting dental restorations and an abrasive material for doing same
KR101583628B1 (ko) * 2014-07-17 2016-01-11 (주)오성엠앤디 치아 교정용 스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7194T8 (de) 2018-10-04
JP2019500192A (ja) 2019-01-10
CH713188B1 (de) 2019-07-15
US20180256291A1 (en) 2018-09-13
DE112015007194T5 (de)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9415U (en) Header connector having two shields therein
GB0114939D0 (en) Luer connector portion
EP0696748A3 (en) Method of collectively connecting multiple optical connectors and aligning and positioning jig for multiple optical connectors used in the method
AU2002340098A1 (en) Medical connector for a respiratory assembly
AU153649S (en) A medical fluid connector
KR20140142896A (ko) 치열 교정을 위한 브라켓
WO2017104872A1 (ko) 치아 교정용 스트립
PT102838A (pt) Unioes antifogo para cabos e semelhantes
EP1310811A3 (en) Optical device, enclos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KR101583628B1 (ko) 치아 교정용 스트립
KR20170061788A (ko) 치아 교정용 스트립
CA2362521A1 (en) Duct hanger and method for hanging duct using hanger
GB9706930D0 (en) Leishmania vaccine
WO2014060020A1 (en) A dental tool
PL367113A1 (en) Gene associated with leishmania parasite virulence
ZA997446B (en) Lowering blood levels of lipoprotein(a).
DE69000475D1 (de) Zwischenanschlussstueck fuer den atemgeraetendstutzen.
AU2002345672A1 (en) Gene associated with leishmania parasite virulence
CN217014059U (zh) 一种科室心电图监测装置
WO2011013903A2 (ko) 부분 부착면이 구비된 치열교정용 브래킷의 제조 방법
CN215303290U (zh) 一种假发基底的固定装置
CN215093197U (zh) 快速夹装置
GB0016518D0 (en) Heart rate monitor
HK1040246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mesylate salt trihydrate of1-(4-hydroxyphenyl)-2-(4-hydroxy-4-phenylpiperidin-1-yl)-1-propanol.
KR20120110984A (ko) 연결 와이어, 교정 브라켓 및 그들을 구비한 치열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10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62010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0201800000437

Country of ref document: CH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5172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5007194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10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