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55Y1 -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55Y1
KR200447255Y1 KR2020080003841U KR20080003841U KR200447255Y1 KR 200447255 Y1 KR200447255 Y1 KR 200447255Y1 KR 2020080003841 U KR2020080003841 U KR 2020080003841U KR 20080003841 U KR20080003841 U KR 20080003841U KR 200447255 Y1 KR200447255 Y1 KR 200447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rack
gap
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767U (ko
Inventor
안성일
Original Assignee
안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일 filed Critical 안성일
Priority to KR2020080003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5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7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틀과, 상기 도어틀에 설치되는 여닫이 식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2손잡이로 구성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2손잡이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1,3랙과, 상기 제 1,3랙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 1,3랙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제 1,2피니언과, 상기 제 1,2피니언에 맞물리며 상기 제 1,2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2,4랙 및, 상기 제 2,4랙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틀과 도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어, 도어틀, 틈새, 피니언, 랙

Description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door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gap}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도어와 도어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발생하는 틈새를 차단시켜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외부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상가, 빌딩 등의 현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때 도어의 설치 특성상 도어의 상,하부와 도어틀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 즉 틈새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한 틈새는 각종 먼지, 잔모래, 이물질 등이 손쉽게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내부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가게, 상가 또는 빌딩, 아파트 등은 건물 자체에 설치된 공조기를 통하여 중앙에서 냉,난방을 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서 실내온도가 저하되거나 상승함으로써 냉, 난방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어와 도어틀의 사이에 고무재로 된 바람막이구를 부착 설치하여 각종 이물질의 유입 및 냉,난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도어를 열고 닫게 됨에 따라 오래 사용하지 못하고 쉽게 떨어지고 바닥면과의 마찰소음이 발생하여 사람들에게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안겨주는 등의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의 젖힘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와 도어틀의 상부에 설치된 패킹은 하강하고, 도어와 도어틀의 하부에 설치된 패킹은 상승하도록 구성하여 도어가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도어와 도어틀의 상,하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고, 도어를 열 때에는 상기 패킹이 도어틀과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도어틀과, 상기 도어틀에 설치되는 여닫이 식 도어와, 상기 도어 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2손잡이로 구성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제 1손잡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손잡이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 1돌림판과, 상기 도어와 제 2손잡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손잡이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 2돌림판과, 상기 제 1,2돌림판과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 1,2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1,3랙과, 상기 제 1,3랙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 1,3랙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제 1,2피니언과, 상기 제 1,2피니언에 맞물리며 상기 제 1,2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2,4랙과, 상기 제 2,4랙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틀과 도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손잡이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가 상기 도어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냉,난방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도어의 상단에 설치된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는 손잡이의 젖힘 동작으로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도어의 하단에 설치된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는 손잡이의 젖힘 동작으로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열 때 상기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가 도어틀에 걸리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서 도어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2에서 도시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는 도어틀(10)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는 도어(12)의 내부의 상,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12)의 정면에는 끼움돌기(16)가 형성된 제 1손잡이(14)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끼움홈(30)이 형성된 제 2손잡이(28)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16)는 상기 끼움홈(30)에 끼워져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어(12)와 제 1손잡이(14)의 사이에는 제 1돌림판(18)이 설치되고, 도어(12)와 제 2손잡이(28)의 사이에는 제 2돌림판(32)이 설치된다.
상기 제 1돌림판(18)은 상기 제 1,2손잡이(14,28)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끼움돌기(16)가 관통하는 끼움구멍(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구멍(20)의 양측에는 제 1체결구멍(22)과 제 2체결구멍(2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돌림판(32)은 상기 제 1,2손잡이(14,28)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끼움돌기(16)가 관통하는 끼움구멍(3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구멍(38)의 양측에는 제 1체결구멍(34)과 제 2체결구멍(36)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2)의 내부 하단에는 제 1랙(4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랙(40)의 상단에는 구멍(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랙(40)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42)에는 상기 제 1,2돌림판(18,32)에 형성된 제 1체결구멍(22,34)을 관통하는 볼트(26a)가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 1,2손잡이(14,28)의 젖힘 동작에는 제 1랙(40)이 하강하도록 하고, 제 1,2손잡이(14,28)의 복귀 동작에는 상기 제 1랙(40)이 상승하며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랙(40)에는 제 1피니언(44)이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피니언(44)은 상기 도어(12)의 내부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지지봉(46)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제 1랙(40)의 하강 동작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랙(40)의 상승 동작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지지봉(46)의 후방에는 하단으로 끼움공(50)이 형성된 제 2랙(48)이 설치된다. 상기 제 2랙(48)은 상기 제 1피니언(44)의 시계방향 회전에는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제 1피니언(44)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는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 2랙(48)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공(50)에는 패킹(52)이 끼워진다.
상기 패킹(52)은 도어틀(10)과 도어(12)의 하단에 형성되는 틈새(68a)를 차 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 2랙(48)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틈새(68a)를 차단 또는 차단 해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2)의 내부 상단에는 제 3랙(54)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3랙(54)의 하단에는 구멍(5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3랙(54)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56)에는 상기 제 1,2돌림판(18,32)에 형성된 제 2체결구멍(24,36)을 관통하는 볼트(26b)가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 1,2손잡이(14,28)의 젖힘 동작에는 제 3랙(54)이 상승하도록 하고, 제 1,2손잡이(14,28)의 복귀 동작에는 상기 제 3랙(54)이 하강하며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3랙(54)에는 제 2피니언(58)이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피니언(58)은 상기 도어(12)의 내부 상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지지봉(60)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제 3랙(54)의 하강 동작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랙(54)의 상승 동작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지지봉(60)의 후방에는 상단으로 끼움공(64)이 형성된 제 4랙(62)이 설치된다. 상기 제 4랙(62)은 상기 제 2피니언(58)의 시계방향 회전에는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제 2피니언(58)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는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 4랙(62)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공(64)에는 패킹(66)이 끼워진다.
상기 패킹(66)은 도어틀(10)과 도어(12)의 상단에 형성되는 틈새(68b)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 4랙(62)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틈새(68b)를 차단 또는 차단 해지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동작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는 최초에 도어(12)가 닫혀 있는 상태로 도어틀(10)과 상기 도어(12)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틈새(68a,68b)에는 제 2,4랙(48,62)에 끼워진 패킹(52,66)이 위치하여, 실내의 낸,난방 효율을 높이고 외부의 바람이나 먼지,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후,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거나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올 경우에 상기 도어(12)를 열기 위하여 도어(12)에 설치된 제 1손잡이(14) 또는 제 2손잡이(28)를 젖히게 되면, 상기 도어(12)와 제 1손잡이(14)의 사이에 설치된 제 1돌림판(18) 또는 도어(12)와 제 2손잡이(28)의 사이에 설치된 제 2돌림판(32)이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돌림판(18) 또는 제 2돌림판(32)에 형성된 제 1체결구멍(22,34)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체결구멍(24,36)은 윗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 상기 제 1체결구멍(22,34)이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체결구멍(22,34)과 볼트(26a)로 체결된 제 1랙(40)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랙(40)과 맞물린 제 1피니언(44)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1,2손잡이(14,28)를 젖혀 상기 제 1랙(40)이 하강할 때, 제 1랙(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3랙(54)은 상기 제 1랙(40)과 동시에 동작한다. 즉, 제 1랙(40)은 제 1,2손잡이(14,28)의 동작으로 하강하고 상기 제 3랙(54)은 상기 제 1,2손잡이(14,28)의 동작으로 상승하는데, 제 3랙(54)이 상승하게 되는 이유는 상기 제 3랙(54)이 상기 제 1,2돌림판(18,32)에 형성된 제 2체결구멍(24,36)과 볼트(26b)로 체결되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제 1피니언(44)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피니언(44)과 맞물리는 제 2랙(48)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랙(48)의 하단에 끼워진 패킹(52)이 상승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랙(54)이 상승하면, 제 3랙(54)과 맞물린 제 2피니언(5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피니언(58)과 맞물리는 제 4랙(62)과 상기 제 4랙(62)의 상단에 끼워진 패킹(66)이 하강한다.
이후, 상기 패킹(52,66)이 상기 도어틀(10)에서 떨어짐으로써, 상기 도어(12)를 여닫을 시 누구나 쉽게 도어(12)를 여닫을 수 있다.
다음, 상기 도어(12)를 닫았을 시 상기 제 1손잡이(14) 또는 제 2손잡이(28)를 놓아 복귀시키면, 제 1랙(40)은 상승하며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제 3랙(54)은 하강하며 복귀한다.
이후, 상기 제 1랙(40)이 상승하고 상기 제 3랙(54)이 하강하면 제 1피니언(4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2랙(48)을 하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 2피니언(58)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4랙(62)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4랙(48,62)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패킹(52,66)들은 도어틀(10)과 도어(12)의 상,하부 틈새(68a,68b)를 차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상기 2에서 도시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틀 12: 도어
14: 제 1손잡이 18: 제 1돌림판
22,34: 제 1체결구멍 24,36: 제 2체결구멍
28: 제 2손잡이 32: 제 2돌림판
40: 제 1랙 42,56: 구멍
44: 제 1피니언 48: 제 2랙
52,66: 패킹 54: 제 3랙
58: 제 2피니언 62: 제 4랙

Claims (1)

  1. 도어틀(10)과, 상기 도어틀(10)에 설치되는 여닫이 식 도어(12)와, 상기 도어(12)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도어(12)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2손잡이(14,28)로 구성된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2)와 제 1손잡이(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손잡이(14)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 1돌림판(18)과;
    상기 도어(12)와 제 2손잡이(28)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손잡이(28)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 2돌림판(32)과;
    상기 제 1,2돌림판(18,32)과 볼트(26a,26b)로 체결되어, 상기 제 1,2손잡이(14,28)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1,3랙(40,54)과;
    상기 제 1,3랙(40,54)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 1,3랙(40,54)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제 1,2피니언(44,58)과;
    상기 제 1,2피니언(44,58)과 맞물리며 상기 제 1,2피니언(44,58)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 2,4랙(48,62)과;
    상기 제 2,4랙(48,62)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틀(10)과 도어(12)의 틈새(68a,68b)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52,6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KR2020080003841U 2008-03-25 2008-03-25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KR200447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41U KR200447255Y1 (ko) 2008-03-25 2008-03-25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41U KR200447255Y1 (ko) 2008-03-25 2008-03-25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67U KR20090009767U (ko) 2009-09-30
KR200447255Y1 true KR200447255Y1 (ko) 2010-01-11

Family

ID=4153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841U KR200447255Y1 (ko) 2008-03-25 2008-03-25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68B1 (ko) 2012-06-29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1860A (zh) * 2015-12-24 2016-03-16 苏州频发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体
CN106050075B (zh) * 2016-05-11 2018-03-16 浙江名雅居木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的门具
CN110206468B (zh) * 2019-07-11 2024-03-19 浙江丽水东华宏泰科技有限公司 高强度防盗门
CN114109217B (zh) * 2021-12-09 2023-11-24 安徽盈科安防装备有限公司 一种烟气阻流式防火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2432U (ko) * 1986-01-11 1987-08-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밀도어
KR930021840U (ko) * 1992-03-12 1993-10-16 최정환 도어 밀폐장치
KR19990005360U (ko) * 1997-07-15 1999-02-18 박광묵 도어의 방풍장치
KR20080005831U (ko) * 2007-05-28 2008-12-03 김기범 패킹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2432U (ko) * 1986-01-11 1987-08-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밀도어
KR930021840U (ko) * 1992-03-12 1993-10-16 최정환 도어 밀폐장치
KR19990005360U (ko) * 1997-07-15 1999-02-18 박광묵 도어의 방풍장치
KR20080005831U (ko) * 2007-05-28 2008-12-03 김기범 패킹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68B1 (ko) 2012-06-29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67U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255Y1 (ko) 도어와 도어틀의 틈새막이 장치
CN104736789B (zh) 具有通风结构的窗
KR101058417B1 (ko) 자동환기 가능한 창문틀
CN102927601A (zh) 一种用于油烟机的出风装置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150513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KR101211154B1 (ko)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JP4691172B2 (ja) 換気フード
JP2015140971A (ja) 空気調和機の天井埋込型室内機
JP6839009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20180001693U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5531997U (zh) 一种风口开关装置
JP5508160B2 (ja) 屋上点検ハッチ
KR100675621B1 (ko)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JP2013213633A (ja) 換気口
JP2012140812A (ja) エアカーテン機能を有する自動ドア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10128626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조
JP6334303B2 (ja) サッシ
JP4852657B1 (ja) 建物の排熱システム
KR1006007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366992B1 (j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JP3208332U (ja) 換気装置
KR100689752B1 (ko) 공동주택용 창문의 추락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