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128Y1 - 클리어 플로어 - Google Patents

클리어 플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128Y1
KR200447128Y1 KR20070019316U KR20070019316U KR200447128Y1 KR 200447128 Y1 KR200447128 Y1 KR 200447128Y1 KR 20070019316 U KR20070019316 U KR 20070019316U KR 20070019316 U KR20070019316 U KR 20070019316U KR 200447128 Y1 KR200447128 Y1 KR 200447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oor
flooring material
clear
cle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9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440U (ko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주)고려소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소재연구소 filed Critical (주)고려소재연구소
Priority to KR20070019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12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리어 플로어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는 투명한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내마모성 필름과;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상기 바닥재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이 지면 또는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아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 클리어, 바닥, 플로어, 방진

Description

클리어 플로어{CLEAR FLOOR}
본 고안은 클리어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클린룸(clean-room)의 바닥재로 활용되는 클리어 플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clean-room)은 반도체 제조 시 미세한 반도체 소자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항온항습처리된 공기가 유통됨과 동시에 지진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안전하도록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지 않고 약 1m가량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는 각종 설비가 자리하게 되는데, 이처럼 상기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각종 설비가 위치됨에 따라 상기 각종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클린룸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된 각종 설비의 상태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고, 작업자 및 지상장비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이 확보됨과 아울러, 표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클리어 플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기는 물론 지진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안전한 클리어 플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는 투명한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내마모성 필름과;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상기 바닥재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이 지면 또는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아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닥재는 폴리카보네이트, ABS수지, 아크릴수지, 스티렌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덧붙여, 상기 바닥재는 안료가 첨가되거나, 식별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재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과 고정구 사이에는 방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무정전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배치된 각종 설비의 위치는 물론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정전기는 물론 지진과 같은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장의 미관이 향상된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클리어 플로어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다른 형태의 바닥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가 설치된 클린룸의 바닥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는 투명한 열가소성수지재의 바닥재(10)와, 상기 바닥재(10)가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그리고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재(10)를 이루는 상기 열가소성수지재는 열에 의해 변형이 쉽고 매우 단단하다는 특징을 갖는 재료로써, 상기 바닥재(10)가 투명한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충격 및 작업자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문제가 없고, 지면과 상기 바닥재(10) 사이에 배치된 각종 설비(50)의 위치 및 상태파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바닥재(10)는 다양한 열가소성수지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투명도 높고 우수한 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ABS수지, 아크릴수지, 스티렌수지로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재(1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통공(1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바닥재(10)의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운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재(10)에는 안료가 첨가될 수도 있고,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눈에 띄는 식별부재(12)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재(10)는 아래측에 배치된 각종 설비(50)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제작됨에 따라 유지보수나 설치 및 해체작업 중 작업자로부터 혼동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재(10)에 안료가 첨가되어 상기 바닥재(10)가 미색(微色)을 띠거나, 상가 바닥재(10)에 식별부재(12)가 포함됨에 따라 보행시 작업자의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10)의 상부면에는 내마모성 코팅층(15)이 형성된다. 상기 내마모성 코팅층(15)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으로 클린룸 내부 작업자들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바닥재(10)가 손상되어 상기 바닥재(10)가 제 역할을 다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바닥재(10)의 상부에 내마모성 코팅층(15)이 형성됨에 따라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으로부터 상기 바닥재(10)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만약에 손상되었을 경우 상기 내마모성 코팅층(15)만 선택적으로 보수할 수 있음에 음에 따라 비용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예상된다.
상기 바닥재(10)가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재(10)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내측에 걸림턱(21)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1)에 의해 상기 바닥재(10)는 상기 프레임(20)의 수용부(2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부면의 일부가 걸려 지지된다. 이때 상기 바닥재(10)와 프레임(20)은 체결부재(30)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부재(30)는 일반적인 볼트(30a)가 이용될 수도 있고, 고정핀(30b)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소정의 강성이 보장된 스틸재 또는 강화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정전기의 발생 내지 전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외부면에 무정전 코팅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의 아래측에는 고정부재(40)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프레임(20)이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둥부(60)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프레임과 연결 되도록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볼트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기둥부(60)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4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부에는 고정돌기(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41)와 대응되도록 고정홈(23)이 함입 협성된다.
상기 고정홈(23)과 고정돌기(41)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고정부재(40)와의 체결위치에 1차로 고정됨에 따라 이후에 시행되는 체결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재(40)와 프레임(20) 사이에는 방진부재(4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40)와 프레임(20) 사이에 방진부재(45)가 구비됨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상기 방진부재(45)에 의해 차단되거나 저감되고, 그와 반대로 바닥재(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도 상기 방진부재(45)에 의해 차단되거나 저감된다.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린룸의 바닥과 지면 사이에 자리한 클린룸의 각종 설비(50)의 관리 및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투명함과 동시에 강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고정구조가 단순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정전기 및 지진과 같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고정부재 및 방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클리어 플로어가 설치된 클린룸의 바닥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재 11: 통공
12: 식별부재 15: 내마모성 필름
20: 프레임 21: 걸림턱
22: 수용부 23: 고정홈
30: 체결부재 40: 고정부재
41: 고정돌기 45: 방진부재
50: 설비 60: 기둥부

Claims (9)

  1. 투명한 열가소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바닥재(10)와;
    상기 바닥재(10)의 상부에 형성된 내마모성 코팅층(15)과;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상기 바닥재(10)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걸림턱(21)이 형성된 프레임(20); 및
    상기 프레임(20)이 지면 또는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아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20)은 무정전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폴리카보네이트, ABS수지, 아크릴수지, 스티렌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안료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식별부재(1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에는 통공(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체결부재(30)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는 볼트(30a) 또는 고정핀(3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과 고정부재(40) 사이에는 방진부재(45)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플로어.
  9. 삭제
KR20070019316U 2007-11-30 2007-11-30 클리어 플로어 KR200447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316U KR200447128Y1 (ko) 2007-11-30 2007-11-30 클리어 플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316U KR200447128Y1 (ko) 2007-11-30 2007-11-30 클리어 플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40U KR20090005440U (ko) 2009-06-03
KR200447128Y1 true KR200447128Y1 (ko) 2009-12-28

Family

ID=4129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9316U KR200447128Y1 (ko) 2007-11-30 2007-11-30 클리어 플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1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47B1 (ko) 2019-05-16 2020-04-16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106U (ko) * 1990-03-22 1991-12-10
KR19990078700A (ko) * 1999-07-30 1999-11-05 김재원 클린룸에 적용되는 바닥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
KR20050028134A (ko) * 2003-09-17 2005-03-2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클린룸 패널용 완충패드
KR200432873Y1 (ko) * 2006-04-12 2006-12-07 김상설 도전성 이중 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106U (ko) * 1990-03-22 1991-12-10
KR19990078700A (ko) * 1999-07-30 1999-11-05 김재원 클린룸에 적용되는 바닥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
KR20050028134A (ko) * 2003-09-17 2005-03-2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클린룸 패널용 완충패드
KR200432873Y1 (ko) * 2006-04-12 2006-12-07 김상설 도전성 이중 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47B1 (ko) 2019-05-16 2020-04-16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40U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443B (zh) 隔震地板
KR100600515B1 (ko) 크로스바 설치용 연결구가 구비된 기판 적재용 카세트
US10167640B2 (en) Changeover cover with plug connection
KR200447128Y1 (ko) 클리어 플로어
KR20140112975A (ko) 부분적 교체가 가능한 팔레트
JP2013173613A (ja) エレベータ用機器箱
KR1016184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마감재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3385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JP2015231903A (ja) 制御装置用プールボックス
JP2019523840A (ja) 一体型耐震ドアフレーム
CN104977994A (zh) 卡扣模组及其所适用的机箱
KR20100009390U (ko) 엘리베이터 균형체인 가이드 브러쉬
KR20130074893A (ko) 캐스터 고정장치
KR101941366B1 (ko) 설치대상물의 하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한 이중마루
EP3097235B1 (en) Dissipator
KR100859801B1 (ko) 벽면 지지암이 구비된 사다리
TWM534758U (zh) 系統天花盲板及其安全扣件
KR101295412B1 (ko) 인양용 연결판을 이용한 마찰증대용 아스팔트 매트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JP2013014930A (ja) システムフロア
KR101582480B1 (ko) 배관용 지지대
KR200411779Y1 (ko) 충격 흡수용 방진 고무
JP2005338531A (ja) 大型表示装置
KR20160001201U (ko) 욕실장 거치장치
KR101588958B1 (ko) 기능성 인테리어 벽체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