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71Y1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71Y1
KR200446971Y1 KR20090001322U KR20090001322U KR200446971Y1 KR 200446971 Y1 KR200446971 Y1 KR 200446971Y1 KR 20090001322 U KR20090001322 U KR 20090001322U KR 20090001322 U KR20090001322 U KR 20090001322U KR 200446971 Y1 KR200446971 Y1 KR 200446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housing
pipes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1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20090001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Abstract

본 고안은, 혼합공기가 상방으로부터 유입되고,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이 차폐되도록 구성되어 필터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는, 내부에 하나의 단일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호퍼(110)와, 커버(120)와, 혼합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122)과, 상기 흡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혼합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130)와, 상기 필터(130)를 통과한 청정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배기관(150,152)과, 상기 필터(130)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관(160,162)과, 상기 다수의 에어관(160,16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각각 생성하는 다수의 압축기(170,172)와,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을 통해 청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하는 송풍기(22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집진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집진, 필터, 송풍기, 흡입관

Description

집진장치{A dust collector}
본 고안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공기가 상방으로부터 유입되고,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이 차폐되도록 구성되어 필터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집진기(集塵機)'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는 미립자(이물질)를 모아서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맑게 하거나, 연기 따위의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데 등에 쓰이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집진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진장치는, 하우징(10)과 호퍼(12) 등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0)의 내측에는 다수의 필터(20)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는 필터(20) 상단이 고정되는 분리판(3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40) 및 압축공기관(4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우측에는 송풍기(50)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으로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다음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혼합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관(60)은 하우징(10)의 좌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좌측면으로부터 흡입관(6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공기는 하우징(10) 내부의 좌측 필터(20)에 맨 먼저 접한 다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상기의 구조에서 흡입관(60)은 상기 하우징(10)의 좌측 측면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관(60)을 통해서 유입되는 혼합공기는 먼저 맨 좌측의 필터(20)를 통과하려 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우측의 필터(20)보다 좌측의 필터(20)에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다. 이처럼 전체적으로 필터(20)가 골고루 사용되지 못하므로 공기의 정화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다수의 필터(20)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의 필터(2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터(20)가 조립된 전체 어셈블리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부품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상기 송풍기(50)는 계속 작동되고 있으므로, 필터(20)에 부착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20)로부터 분리된 다음, 다시 송풍기(50)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필터(20)로 다수 빨려들어가 부착되므로 이물질 제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관이 하우징의 상방에 연결되어 혼합공기가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다수의 필터에 골고루 흘러가도록 구성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필터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해당 압축기와 연결된 배기관은 밸브에 의해 차폐되도록 구성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필터가 보다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필터 교환에 따른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집진장치의 부품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는,
내부에 하나의 단일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며, 이물질이 적치되는 호퍼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혼합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해 유입된 혼합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하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청정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배기관과; 상기 하우징의 상반부에 상기 다수의 배기관과 대 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관과; 상기 에어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에어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각각 생성하는 다수의 압축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배기관을 통해 청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집진장치에 따르면, 흡입관이 하우징의 상방에 위치하는 커버에 연결되며, 하우징 내부는 단일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우징의 상방으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혼합공기가 유입되므로, 다수의 필터로 골고루 혼합공기가 유입되므로, 공기 정화 용량이 증대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일부 필터에만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부착되는 문제점이 방지되므로 집진장치의 집진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배기관에 배기관을 개폐하는 밸브체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체는 압축기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해당 압축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이 차폐된다. 따라서,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해당 필터로는 혼합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시 송풍기에서 발생된 흡인력에 의해 필터로 다시 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필터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필터의 상방과 하방에 걸림구조가 형성되며, 필터의 상방에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필터를 하 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필터를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필터를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교환이 필요한 필터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됨은 물론 필터 교환에 따른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측 및 상측에 구비되는 호퍼(110) 및 커버(120)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나의 단일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되지 않고 하나의 단일공간을 이루는 내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130) 등과 같은 구성품이 설치된다.
상기 호퍼(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이물질이 적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호퍼(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감소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기 중의 이물질이 낙하하여 점차 하측으로 모이도록 한다.
상기 호퍼(110)의 하단부에는 배출수단(112)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 단(112)은 상기 호퍼(110)의 하측으로 모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로터리 밸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도시되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120)는 사각통상의 상기 하우징(100)과 대응되도록 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20)에는 흡입관(122)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중앙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혼합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흡입관(122)은 상단이 상기 커버(120)의 상단 꼭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흡입관(122)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공기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부터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필터(130)와, 배기관(150,152) 그리고 에어관(160,162) 등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130)는, 상기 에어관(160,162)과 배기관(150,15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며, 좌우로 열을 지어 설치되고, 전후로 다수의 행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상기 필터(130)는 상기 흡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혼합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필터(130)는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 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필터(130)의 상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삽입홀(13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32)은 아래에서 설명할 유입안내관(160b)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홀(13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입안내관(160b)의 외면과 밀착되는 밀착부재(1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재(140)는, 상기 삽입홀(132)의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홈(14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132)의 내면 중앙부에는 삽입홀(132) 내면을 따라 원형의 장착홈(142)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착홈(142)에 상기 밀착부재(140)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밀착부재(140)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원형의 밀착부재(140)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장착홈(142)에 삽입되고, 내측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유입안내관(160b) 외면에 닿아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재(14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밀착부재(140)를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필터(130)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필터(130)는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는 약간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상측으로 일정 부분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착부재(140)가 탄성을 가지게 되면, 필터(130)의 기울임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필터(130)의 상하면에는 에어관(160,162)과 배기관(150,152)이 각각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150,152)은, 상기 필터(130)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하반부에 설치되어 필터(130)를 통과한 청정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관(150,1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좌우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150,1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설치된다. 즉, 맨 전방에는 제1배기관(150)이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이러한 제1배기관(150)의 후방으로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배기관(152)이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배기관(150) 및 제2배기관(152)의 후측으로는 동일한 형태의 제3, 제4 등의 배기관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150,152)에는, 상기 필터(130)를 통과한 청정공기가 배기관(150,152)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배기공(150a)이 관통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150,152)의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배기공(150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배기공(150a)을 통해 상기 필터(13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관(150,152)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배기공(150a)은 다수개가 형성되며, 이러한 배기공(150a)의 테두리에는 상기 필터(130)의 하단에 삽입되어 필터(130)를 지지하는 지지턱(150b)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턱(150b)은, 상기 필터(13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지턱(150b)의 외경은 상기 필터(130)의 하단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30)의 하단을 상기 지지턱(150b)에 용이하게 덮어씌우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관(160,1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30)의 상단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에어관(160,1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반부에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과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130)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관(160,162)은 상기 배기관(150,152)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에어관(160,162)은 상기 배기관(150,152)과 같이 전후로 다수의 행으로 설치된다. 즉 제일 전방에는 제1에어관(160)이 좌우로 설치되고, 이러한 제1에어관(160)의 후측으로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에어관(162)이 좌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관(160)과 제2에어관(162)의 후측에는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3, 제4 등의 에어관이 차례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에어관(160)은 상기 제1배기관(150)과 필터(130)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에어관(162)은 상기 제2배기관(152)과 필터(13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물론, 제3, 제4에어관과 제3, 제4배기관의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에어관(160,162)의 좌측단에는 에어관(160,16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60')이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관(160,162)의 좌측단에는 좌측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편(160')이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편(160')의 좌측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편(160')에 의해 상기 에어관(160,162)의 좌측단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에어관(160,162)은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면을 관통하도록 설 치되며, 이러한 에어관(160,162)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70,172)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에어관(160)의 우측단에는 제1압축기(170)가 설치되고, 제2에어관(162)의 우측단에는 제2압축기(172)가 설치되다.
상기 다수의 압축기(170,172)는, 상기 다수의 에어관(160,16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각각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압축기(170)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관(160)을 통해 필터(13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2압축기(172)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상기 제2에어관(162)을 통해 필터(13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관(160,162)에는, 상기 필터(13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필터유입공(160a)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관(160,162)의 하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필터유입공(160a)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유입공(160a)을 통해 상기 에어관(160,162)으로 안내된 압축공기가 필터(13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다수의 필터유입공(160a) 테두리에는 유입안내관(160b)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입안내관(160b)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삽입홀(13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에어관(160,162)과 필터(130) 사이에는 복귀부재(18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복귀부재(18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에어관(160,162)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필터(130)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필터(130)가 상방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원위치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13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130)를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필터(130)의 상단에 상기 에어관(160,162)의 유입안내관(160b)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130)의 하단이 상기 배기관(150,152)의 지지턱(150b)을 덮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필터(130)에 기울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재질의 밀착부재(140)가 완충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삽입홀(132)을 통한 공기의 유동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배기관(150,1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면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관(150,152)의 우측단 부근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90,192)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체(190,192)는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 각각에 설치되어 해당 배기관(150,152)을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이러한 밸브체(190,192)는, 상기 배기관(150,152)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190a)와, 상기 밸브(190a)의 개폐를 제어하는 조작부(190b)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밸브체(190,192)의 구성과 작동원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밸브체(190,192)는 상기 배기관(150,152)의 수량과 대응되는 수량이 구비되어 각각의 배기관(150,152)에 모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배기관(150)에는 제1밸브체(190)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관(152)에는 제2밸브체(19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밸브체(190,192)는, 상기 각각의 배기관(150,152)과 연결된 다수의 압축기(170,172)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밸브체(190,192)는 상기 다수의 압축기(170,172)와 신호전달선(2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70,172)의 작동에 따른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체(190,192)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밸브체(190,192)는, 해당 밸브체(190,192)와 연결된 압축기(170,172)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150,152)을 차폐하고, 해당 밸브체(190,192)와 연결된 압축기(170,172)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150,152)을 개폐하여 청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압축기(170)가 작동되어 상기 제1에어관(160)을 통해 압축공기가 필터(13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체(190)는 상기 제1배기관(150)을 차폐한다.
이처럼 상기 제1배기관(150)이 차폐되면, 상기 제1배기관(150)을 통해서는 공기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제1배기관(150)과 제1에어관(160) 사이에 설치된 필터(130) 내부로는 상기 흡입관(122)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들어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에어관(160)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13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다시 필터(130)로 부착되지 못하고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어, 필터(130)의 청소(이물질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 우측단에는 포집관(210)이 더 연결 설치된다. 상기 포집관(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좌측면은 상기 다수 의 배기관(150,152)과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을 통해 안내된 청정 공기는 상기 포집관(210)에 모이게 되고, 이러한 공기는 배출안내관(212)과 송풍기(220)를 거쳐 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지정된 장소로 공급된다.
상기 송풍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을 통해 청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220)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240은 상기의 각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다이'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송풍기(220)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정화가 필요한 혼합공기(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상기 흡입관(12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유입된 혼합공기는 다수의 필터(130)로 골고루 퍼져 필터(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질은 바로 낙하하여 상기 호퍼(110)로 적치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이물질은 상기 필터(130)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필터(130) 내부로 유입되면서 정화된 청정공기는 상기 배기관(150,152)을 통해 포집관(210)으로 모이게 되고, 연이어 상기 송풍기(220)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소정 기간이 경과 된 다음에는 상기 필터(130)에 이물질이 다량 부착되어 필터링 능력이 저하되므로 필터(130)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130) 청소는 상기 압축기(170,172)를 통한 압축공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압축기(170,172)가 작동되어 상기 에어관(160,162)을 통해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상기 유입안내관(160b)을 통해 필터(130) 내부로 불어넣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필터(130)에 부착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밀려 필터(130) 외측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이물질은 낙하하여 호퍼(110) 내측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압축기(170,172)는 서로 동시에 작동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또는 일부만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이러한 압축기(170,172)의 작동에 따라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90,192)에 의해 해당 배기관(150,152)이 개폐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압축기(170)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체(190)에 의해 제1배기관(150)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에어관(160)과 제1배기관(150) 사이에 설치된 필터(130)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제1에어관(160)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필터(130)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이때 상기 제1압축기(170)를 제외한 다른 압축기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배기관(150) 외의 다른 배기관을 통해서는 청정공기의 유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소정 기간이 지나 상기 필터(130)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분리하여 내부를 개방한 다음, 상기 필터(130)를 상측 으로 먼저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복귀부재(180)가 필터(130) 밀려 올라가게 되고, 필터(130)의 하단은 상기 지지턱(150b)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30)의 하단을 지지턱(150b)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옆으로 이동시킨 다음, 필터(130)를 다시 내리면, 상기 필터(130)의 상단도 상기 유입안내관(160b)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130)를 들어올려 기울인 다음 내리는 동작에 의해 필터(130)의 분리가 완료된다.
반대로, 필터(13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130)의 상단 삽입홀(132)에 상기 유입안내관(160b)이 삽입되도록 하여 필터(130)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복귀부재(180)가 압축되고, 이때 상기 필터(130)의 하단이 상기 지지턱(150b) 상측에 위치되도록 세운 다음 필터(130)를 놓는다. 이처럼 필터(130)를 놓게 되면, 필터(130)는 자중에 의해서는 물론, 상기 복귀부재(180)의 압축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어, 필터(130)의 하단이 상기 지지턱(150b)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필터(13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집진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10. 호퍼
120. 커버 130. 필터
140. 밀착부재 150,152. 배기관
160,162. 에어관 170,172. 압축기
180. 복귀부재 190,192. 밸브체
200. 신호전달선 220. 송풍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하나의 단일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이물질이 적치되는 호퍼(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120)와;
    상기 커버(120)의 중앙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혼합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관(122)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122)을 통해 유입된 혼합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13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130)를 통과한 청정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배기관(150,152)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반부에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과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130)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관(160,162)과;
    상기 에어관(160,162)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에어관(160,16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각각 생성하는 다수의 압축기(170,172)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배기관(150,152)을 통해 청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하는 송풍기(220)와;
    상기 각각의 배기관(150,152)과 연결된 상기 다수의 압축기(170,172)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해당 배기관(150,15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수의 밸브체(190,19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190,192)는,
    해당 밸브체(190,192)와 연결된 압축기(170,172)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150,152)을 차폐하고;
    해당 밸브체(190,192)와 연결된 압축기(170,172)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배기관(150,152)을 개폐하여 청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30)는, 상기 에어관(160,162)과 배기관(150,15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관(160,162)에는,
    상기 필터(130)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필터유입공(16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필터유입공(160a) 테두리에는 상기 필터(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삽입홀(132)에 삽입되는 유입안내관(160b)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150,152)에는,
    상기 필터(130)를 통과한 청정공기가 배기관(150,152)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배기공(15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배기공(150a) 테두리에는 상기 필터(130)의 하단에 삽입되어 필터(130)를 지지하는 지지턱(150b)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필터(130)의 삽입홀(132)에는,
    상기 유입안내관(160b)의 외면과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재(140)는 상기 삽입홀(132)의 내측에 형성되는 장착홈(142)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에어관(160,162)과 필터(130) 사이에는,
    상단이 상기 에어관(160,16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필터(130)가 상방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원위치하도록 강제하는 복귀부재(18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190,192)는,
    상기 배기관(150,152)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190a)와, 상기 밸브(190a)의 개폐를 제어하는 조작부(190b)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압축기(170,172)와 신호전달선(2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압축기(170,172)의 작동에 따른 신호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을 하는 집진장치.
KR20090001322U 2009-02-06 2009-02-06 집진장치 KR200446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322U KR200446971Y1 (ko) 2009-02-06 2009-02-06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322U KR200446971Y1 (ko) 2009-02-06 2009-02-06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71Y1 true KR200446971Y1 (ko) 2009-12-11

Family

ID=4595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1322U KR200446971Y1 (ko) 2009-02-06 2009-02-06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436B1 (ko) 2012-11-30 2014-09-12 한일이화 주식회사 이중 호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45B1 (ko) * 2005-10-14 2006-11-14 진성언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45B1 (ko) * 2005-10-14 2006-11-14 진성언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436B1 (ko) 2012-11-30 2014-09-12 한일이화 주식회사 이중 호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06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KR10044580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AU2004226929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KR102498701B1 (ko)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초음파 탈진구조의 멀티집진장치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200400487Y1 (ko) 집진기
US6280491B1 (en) Cartridge filter
KR100559371B1 (ko) 집진기
KR200446971Y1 (ko) 집진장치
KR100925601B1 (ko) 개별 분리형 백 필터 유닛을 구비하는 집진기
CN208959515U (zh) 一种抛光类粉尘脉冲除尘器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KR10057288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20200045295A (ko) 하강 플로우 타입 여과 집진기
KR20160109553A (ko) 다중 사이클론 복합 집진기
CN213727719U (zh) 直线筛和筛分设备
CN210057713U (zh) 一种便于检修的布袋式脉冲除尘器
KR100809776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JP2003225523A (ja) 集塵機の堆積ダスト排除装置
KR100789837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258515Y1 (ko) 집진기의 필터청소장치
JP2011010887A (ja) 電気掃除機
KR100582063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CN210964297U (zh) 空气过滤装置
KR20130002156U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