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44Y1 -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44Y1
KR200446444Y1 KR2020090002919U KR20090002919U KR200446444Y1 KR 200446444 Y1 KR200446444 Y1 KR 200446444Y1 KR 2020090002919 U KR2020090002919 U KR 2020090002919U KR 20090002919 U KR20090002919 U KR 20090002919U KR 200446444 Y1 KR200446444 Y1 KR 200446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able terminal
shaft
hous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김현관
Original Assignee
여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창기 filed Critical 여창기
Priority to KR2020090002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8Camera cases, e.g. of ever-ready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개시한다. 수납부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를 수납한다. 커버부는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수납부의 측면을 거쳐 수납부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회전 결합부는 커버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수납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부의 후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수납부의 후면에 커버부의 일단부를 회전 결합시킨다. 잠금부는 커버부와 수납부에 구비되어 커버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및 휴대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화시 커버부의 덜렁거림 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고, 파지감도 좋아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 거치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일종인 휴대폰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휴대폰은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통신뿐 아니라,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DMB 수신기, PDA 등의 기능이 복합된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은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있어서도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바 타입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고가의 제품이므로, 사용 및 휴대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보호 케이스는 휴대폰의 뒷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에 대해 펼쳐지고 접힘에 따라 휴대폰의 앞면을 개폐하게 수납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술한 구조의 보호 케이스는, 커버부가 수납부에 대해 자유로이 펼쳐지고 접힐 수 있게 수납부와의 연결 부위가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폰을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전면을 개방하여 통화하는 동안, 커버부는 수납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덜렁거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이때, 커버부가 수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경우라면, 커버부는 수납부의 위로 펼쳐진 상태에서 덜렁거릴 수 있으므로, 커버부가 머리에 닿아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부의 앞면과 수납부의 뒷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커버부를 뒤집은 상태로 통화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커버부와 수납부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탄력으로 인해 커버부가 수납부로부터 벌어지려는 힘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부와 수납부를 함께 움켜잡았을 때, 파지감이 좋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폰을 수납부에 수납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회의나 필요에 의해 무음 모드로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용도로 휴대폰의 전면을 개방해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가 수납부로부터 펼쳐져 바닥에 놓이게 되므로, 거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및 휴대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화시 커버부의 덜렁거림 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고, 파지감도 좋아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 거치 공간이 줄어들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거쳐 상기 수납부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상기 수납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후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수납부의 후면에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를 회전 결합시키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및 휴대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커버부를 펼친 상태에서 수납부의 후면에 대해 나란하게 회전시켜 수납부에 겹쳐둘 수 있으므로, 통화시 커버부의 덜렁거림 없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고, 파지감도 좋아질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수납부에 수납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개방시켜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커버부를 수납부로부터 펼쳐 놓는 것보다 거치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부가 수납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수납부에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파지감이 좋아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가 테이블 등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부가 수납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가 수납된 수납부만을 테이블 위에 둘 필요가 있거나, DMB 시청 등을 할 때, 거추장스러운 커버부를 수납부로부터 분리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부에 거울이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거울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커버부의 거울을 통해 화장 또는 머리 손질 또는 옷 매무새를 다듬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에 카드 수납이 가능한 포켓이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지갑을 꺼내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보호 케이스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덮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수납부(110)와, 커버부(120)와, 회전 결합부(130), 및 잠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부(110)는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10)의 후면과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예컨대, 수납부(110)는 베이스부(111)와 홀더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111)는 휴대 단말기(1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1)는 휴대 단말기(10)의 후면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휴대 단말기(10)의 후면과 마주하는 면에 안착 홈(112)이 함몰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홈(112)은 휴대 단말기(10)를 일부 수용하여 휴대 단말기(10)가 베이스부(111)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안착 홈(112)의 깊이는 휴대 단말기(10)가 수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들이 가려지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불편 없이 버튼들을 조작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부(111)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카메라부가 노출될 수 있게 카메라용 홀(1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부(116)는 휴대 단말기(10)가 베이스부(11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홀더부(116)는 베이스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휴대 단말기(10)의 측면을 거쳐 휴대 단말기(1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가 베이스부(11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홀더부(116)는 휴대 단말기(10)가 수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의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들이나 접속 포트가 가려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부(116)는 한 쌍의 제1 홀더부(117)들과, 제2 홀더부(1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홀더부(117)들은 휴대 단말기(10)의 일단의 양측 코너부들을 각각 지지하고, 제2 홀더부(118)는 휴대 단말기(10)의 타단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11)와 홀더부(116)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부(110)는 베이스부(111)의 후면에 가죽 패드(111a)가 부착될 수 있다. 가죽 패드(111a)는 수납부(1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여 수납부(110)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10)를 보호할 수 있고, 수납부(1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고급화된 느낌을 줄 수 있다. 가죽 패드(111a)는 2장 이상으로 적층되고 가장자리가 바느질 등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수납부(110)에 대해 펼쳐지고 접힘에 따라, 수납부(110)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커버부(120)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와 키패드부(12)가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거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가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20)는 심 부재를 사이에 두고 2장의 가죽 시트로 적층되고 가장자리가 바느질 등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심 부 재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보호하는 효과를 높이거나, 커버부(12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심 부재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면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120)는 일단부가 수납부(110)의 측면을 거쳐 수납부(110)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커버부(120)의 일단부는 회전 결합부(130)에 의해 수납부(110)의 후면에 회전 결합된다.
회전 결합부(130)는 커버부(120)의 일단부를 수납부(110)의 후면에 회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커버부(120)가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수납부(11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부(110)의 후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잠금부(140)는 커버부(120)가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잠금부(140)는 자석(141)과, 금속 편(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석(141)은 커버부(120)에서 수납부(110)와 회전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금속 편(142)은 자석(141)에 붙을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금속 편(142)은 커버부(120)가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자석(141)에 마주하게 수납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석(141)은 커버부(120)의 단부에 펼쳐지고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접이부(121)에 내장되고, 금속 편(142)은 제2 홀더부(118)의 바깥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20)가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덮도록 수납부(110)에 대해 접히면, 수납부(110)의 금속 편(142)이 커버부(120)의 자석(141)의 자력에 의해 붙게 되어, 커버부(120)가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덮은 상태로 수납부(110)에 잠금 처리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의 사용을 위해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자력보다 큰 힘을 가하면, 커버부(120)와 수납부(110) 간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커버부(120)가 펼쳐지면서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10)의 사용 및 휴대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10)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사용 예와 같이,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케이스(100)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10)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슬라이드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의 상단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한다고 하면,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커버부(120)를 수납부(110)의 위로 펼치게 된다. 만일,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의 위로 펼쳐진 상태로, 사용자가 통화를 하게 되면, 커버부(120)가 덜렁거리면서 사용자의 머리에 닿게 되어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커버부(120)는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부(110)의 후면에 대해 나란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의 후면을 수납부(110)의 후면에 마주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커버부(120)를 수납부(110)와 겹쳐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부(120)와 수납부(110)를 함께 움켜잡고 통화를 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와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 간에는 아무런 힘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20)가 수납부(110)로부터 연장된 구조에서 커버부(120)의 전면이 수납부(110)의 후면에 마주하도록 뒤집어 접은 상태와 비교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커버부(120)와 수납부(110)를 함께 움켜잡을 때의 파지감이 좋을 수 있다.
다른 사용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의 하단에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한다고 하면,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커버부(120)를 수납부(110)의 아래로 펼치게 된다. 만일,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의 아래로 펼쳐진 상태로, 사용자가 통화를 하게 되면, 커버부가 덜렁거려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커버부(120)는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부(110)의 후면에 대해 나란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를 수납부(110)와 겹쳐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 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사용 예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수납부(110)에 수납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회의나 필요에 의해 무음 모드로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용도로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개방해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20)가 수납부(11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수납부(110)의 후면에 대해 나란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를 수납부(110)와 겹쳐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20)를 수납부(110)로부터 펼쳐 놓는 것보다 거치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회전 결합부(130)는 축 부재(131)와, 축지지 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축 부재(131)는 축 프레임(132)과 회전축(133)을 구비한다. 축 프레임(132)은 커버부(120) 내에 고정된다. 축 프레임(132)은 커버부(120)의 두께보다 얇은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버부(12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133)은 축 프레임(132)으로부터 커버부(120)를 관통하여 수납부(110) 쪽으로 돌출된다.
축지지 부재(136)는 수납부(110) 내에 고정된다. 여기서, 축지지 부재(136)는 커버부(120)를 향한 면이 수납부(110)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수납부(110)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축지지 부재(136)는 회전축(133)을 수용해서 회전축(133)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 홀(137)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의 회전 결합부(130)는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의 후면에 대 해 나란하게 회전하여 수납부(110)와 마주한 상태에서, 수납부(110)에 대해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밀착될 수 있게 한다. 즉, 비교 예로서, 축 프레임(132)이 커버부(120)로부터 돌출되고, 축지지 부재(136)가 수납부(110)로부터 돌출된다면 돌출된 높이만큼 단차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20)와 수납부(110)가 결합한 부위에서 단차만큼 틈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축 프레임(132)이 커버부(120) 내에 배치되고, 축지지 부재(136)가 수납부(110)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수납부(110) 내에 배치된다면, 단차가 생기지 않게 되므로,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에 대해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수납부(110)와 커버부(120)룰 함께 움켜잡을 때 파지감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를 수납부(110)에 겹쳐둔 상태에서 테이블 등에 내려놓은 경우, 휴대 단말기(10)가 보다 안정되게 놓일 수 있다.
한편, 회전축(133)은 축 홀(137)에 대해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20)는 수납부(110)에 대해 착,탈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회의 중과 같이 무음 모드로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용도로 휴대 단말기(10)의 전면을 장시간 개방해 둘 필요가 있을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를 수납부(110)로부터 분리시켜,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된 수납부(110)만을 테이블(20) 위에 두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를 보호 케이스(100)에 수납한 상태로 손에 들고서 DMB 시청 등을 할 때, 거 추장스러운 커버부(120)를 수납부(110)로부터 분리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축(133)이 축 홀(137)에 대해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133)은 축 프레임(132)에 인접한 부위가 둘레를 따라 잘록하게 형성된다. 축 홀(137) 내에는 탄성 지지부(138)가 구비된다. 탄성 지지부(138)는 회전축(133)이 축 홀(137)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축(133)의 잘록한 부위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회전축(133)이 축 홀(137)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탄성 지지부(138)는 2개의 판 스프링들을 구비할 수 있다. 판 스프링들은 서로 나란하게 축 홀(137)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이 축 홀(137)의 주변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133)은 잘록한 부위보다 지름이 굵은 선단 부위가 판 스프링들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판 스프링들을 탄성 변형시켜 판 스프링들이 서로 벌어지게 한다. 회전축(133)의 잘록한 부위가 판 스프링들 사이에 위치되면, 판 스프링들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회전축(133)의 잘록한 부위를 탄성력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133)은 축 홀(137)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축(133)을 축 홀(137)로부터 분리하고자 한다면, 분리 방향으로 회전축(133)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회전축(133)은 잘록한 부위보다 지름이 굵은 선단 부위가 판 스프링들이 서로 벌어지게 탄성 변형시켜 판 스프링들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33)은 축 홀(13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거울(150)은 커버부(120)의 휴대 단말기(10)를 덮는 면, 즉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거울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커버부(120)를 수납부(110)로부터 펼쳐 커버부(120)의 거울(150)을 통해 화장 또는 머리 손질 또는 옷 매무새를 다듬을 수 있다. 커버부(120)는 휴대 단말기를 덮는 면의 반대 면, 즉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에 접힌 상태에서 거울(150)을 볼 수 있다. 커버부(120)가 수납부(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경우, 사용자는 수납부(110)로부터 커버부(120)를 분리시켜 커버부(120)만을 손에 쥐고서 커버부(120)의 거울(150)을 통해 화장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포켓(160은 커버부(12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켓(160)은 커버부(1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전면에 형성되거나, 양쪽 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포켓(160)은 교통 카드 또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각종 카드(30)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갑을 꺼내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카드(30)를 사용할 수 있다. 포켓(160)은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포켓(160)은 카드(30)가 인출입되는 개구를 제외한 부위가 바느질 등으로 커버부(120)에 박음질 처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1의 보호 케이스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덮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1의 보호 케이스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도 2에 있어서, 회전 결합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회전 결합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보호 케이스에 거울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보호 케이스에 포켓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휴대 단말기 110..수납부
120..커버부 130..회전 결합부
140..잠금부 150..거울
160..포켓

Claims (6)

  1. 휴대 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거쳐 상기 수납부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상기 수납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후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수납부의 후면에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를 회전 결합시키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 내에 고정되는 축 프레임과, 상기 축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부 쪽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구비하는 축 부재: 및
    상기 커버부를 향한 면이 상기 수납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상기 수납부 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을 수용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축 홀이 외 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축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 홀에 대해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 프레임에 인접한 부위가 둘레를 따라 잘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축 홀 내에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 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 축의 잘록한 부위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 홀에 대해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면에 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20090002919U 2009-03-13 2009-03-13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0446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19U KR200446444Y1 (ko) 2009-03-13 2009-03-13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19U KR200446444Y1 (ko) 2009-03-13 2009-03-13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44Y1 true KR200446444Y1 (ko) 2009-10-29

Family

ID=4156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919U KR200446444Y1 (ko) 2009-03-13 2009-03-13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44Y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0306A3 (en) * 2010-09-21 2012-06-14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A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card
KR101160789B1 (ko) * 2011-09-21 2012-06-27 김근태 휴대폰 케이스
KR101186441B1 (ko) 2012-03-02 2012-09-27 김근태 휴대폰 케이스
WO2013025030A2 (ko) * 2011-08-13 2013-02-21 Kim Duk Seung 휴대용 기기의 자기 센서와 대면하는 부분에 마그네트가 내장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스크린 켜짐 및 꺼짐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200467637Y1 (ko) 2012-11-09 2013-07-02 주식회사 포미 거울이 설치된 휴대폰 케이스
WO2013162127A1 (ko) * 2012-04-23 2013-10-31 주식회사 다스텍 다이어리형 휴대폰 단말기 수납케이스
US8596449B2 (en) 2010-09-21 2013-12-03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ITPD20130192A1 (it) * 2013-07-09 2015-01-10 Mori Marco De Porta oggetti trasportabile con vano per telefono cellulare o computer tablet
WO2016164350A1 (en) * 2015-04-08 2016-10-13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54605B2 (en) 2015-03-04 2017-05-16 Otter Products, Llc Accessory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and cover
US9774713B2 (en) 2015-07-19 2017-09-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9986805B2 (en) 2015-03-30 2018-06-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58155B2 (en) 2015-07-19 2018-08-2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10103769B2 (en) 2014-01-07 2018-10-1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485312B2 (en) 2016-08-30 2019-1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with stand
US10623043B2 (en) 2018-01-23 2020-04-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694835B2 (en) 2018-03-15 2020-06-3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750844B2 (en) 2018-03-15 2020-08-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D897329S1 (en) 2019-07-02 2020-09-29 Otter Products, Llc Case for a smartphone
US11068030B2 (en) 2018-12-19 2021-07-20 Otter Products, Llc Stand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311087B2 (en) 2019-01-07 2022-04-26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or mobile electronic device case
USD976582S1 (en) 2019-01-07 2023-01-31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device
US11633025B2 (en) 2020-06-26 2023-04-25 Otter Products, Llc Carrying case with stand
US11745670B2 (en) 2020-05-06 2023-09-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D1003883S1 (en) 2019-01-07 2023-11-07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12Y1 (ko) 2005-04-01 2005-06-17 명아 허 메모지 수용부가 구비된 휴대폰 커버
KR200435616Y1 (ko) 2006-09-15 2007-02-02 주식회사 뉴빛 슬림형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12Y1 (ko) 2005-04-01 2005-06-17 명아 허 메모지 수용부가 구비된 휴대폰 커버
KR200435616Y1 (ko) 2006-09-15 2007-02-02 주식회사 뉴빛 슬림형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7251B2 (en) 2010-09-21 2012-09-18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CN103188963A (zh) * 2010-09-21 2013-07-03 投机性产品设计有限责任公司 用于封包私人电子设备和卡的盒体
US8596449B2 (en) 2010-09-21 2013-12-03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WO2012040306A3 (en) * 2010-09-21 2012-06-14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A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card
CN103188963B (zh) * 2010-09-21 2016-02-10 新秀丽Ip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封包私人电子设备和卡的盒体
US9342102B2 (en) 2011-08-13 2016-05-17 Duk Seung KIM Case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urning a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on and off by using same
WO2013025030A2 (ko) * 2011-08-13 2013-02-21 Kim Duk Seung 휴대용 기기의 자기 센서와 대면하는 부분에 마그네트가 내장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스크린 켜짐 및 꺼짐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WO2013025030A3 (ko) * 2011-08-13 2013-04-11 Kim Duk Seung 휴대용 기기의 자기 센서와 대면하는 부분에 마그네트가 내장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의 스크린 켜짐 및 꺼짐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101160789B1 (ko) * 2011-09-21 2012-06-27 김근태 휴대폰 케이스
KR101186441B1 (ko) 2012-03-02 2012-09-27 김근태 휴대폰 케이스
WO2013162127A1 (ko) * 2012-04-23 2013-10-31 주식회사 다스텍 다이어리형 휴대폰 단말기 수납케이스
KR200467637Y1 (ko) 2012-11-09 2013-07-02 주식회사 포미 거울이 설치된 휴대폰 케이스
ITPD20130192A1 (it) * 2013-07-09 2015-01-10 Mori Marco De Porta oggetti trasportabile con vano per telefono cellulare o computer tablet
US10411749B2 (en) 2014-01-07 2019-09-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03769B2 (en) 2014-01-07 2018-10-1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54605B2 (en) 2015-03-04 2017-05-16 Otter Products, Llc Accessory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and cover
US10405623B2 (en) 2015-03-30 2019-09-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86805B2 (en) 2015-03-30 2018-06-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206472B1 (en) 2015-03-30 2019-02-19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36716B2 (en) 2015-03-30 2018-11-27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6164350A1 (en) * 2015-04-08 2016-10-13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814289B2 (en) 2015-04-08 2017-11-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93054B2 (en) 2015-04-08 2018-06-12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58155B2 (en) 2015-07-19 2018-08-2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10178903B2 (en) 2015-07-19 2019-01-1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9807211B2 (en) 2015-07-19 2017-10-3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modular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9774713B2 (en) 2015-07-19 2017-09-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US10485312B2 (en) 2016-08-30 2019-1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with stand
US11031969B2 (en) 2018-01-23 2021-06-0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623043B2 (en) 2018-01-23 2020-04-1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10694835B2 (en) 2018-03-15 2020-06-3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750844B2 (en) 2018-03-15 2020-08-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1068030B2 (en) 2018-12-19 2021-07-20 Otter Products, Llc Stand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311087B2 (en) 2019-01-07 2022-04-26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or mobile electronic device case
USD976582S1 (en) 2019-01-07 2023-01-31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device
USD1003883S1 (en) 2019-01-07 2023-11-07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device
USD897329S1 (en) 2019-07-02 2020-09-29 Otter Products, Llc Case for a smartphone
US11745670B2 (en) 2020-05-06 2023-09-0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987183B2 (en) 2020-05-06 2024-05-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system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
US11633025B2 (en) 2020-06-26 2023-04-25 Otter Products, Llc Carrying case with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444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JP5483407B2 (ja) 携帯情報機器用ケース
KR2012003570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커버
KR101323666B1 (ko) 휴대폰용 케이스
US20140069824A1 (en) Protective bumper case
JP2004104233A (ja) 携帯通信機器
KR101226084B1 (ko) 기능성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
KR20140003803U (ko) 가변형 지갑이 구비된 안전 수납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KR200455692Y1 (ko) 배터리커버 겸용 휴대폰 케이스
US20230100688A1 (en) Earphone protective case
JPH07131848A (ja) 携帯用電話機
KR101434958B1 (ko)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101483146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64254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497241B1 (ko) 스마트폰 케이스
CN217116162U (zh) 一种折叠屏手机保护壳
KR20130004713U (ko) 휴대폰 케이스
JP3570960B2 (ja) 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
CN210807388U (zh) 带支架的磁吸手机保护套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88623Y1 (ko) 카드 수납용 범퍼 케이스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