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789B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789B1
KR101160789B1 KR1020110095027A KR20110095027A KR101160789B1 KR 101160789 B1 KR101160789 B1 KR 101160789B1 KR 1020110095027 A KR1020110095027 A KR 1020110095027A KR 20110095027 A KR20110095027 A KR 20110095027A KR 101160789 B1 KR101160789 B1 KR 10116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ront cover
phone case
rear cov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김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태 filed Critical 김근태
Priority to KR102011009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전면 커버, 전면 커버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결합하는 힌지, 힌지를 고정하는 힌지 고정부, 힌지와 힌지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힌지의 일면에 부착되는 휴대폰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은 현대인에게 반드시 있어야 할 물품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이 단순히 전화를 걸고 받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DMB, 카메라 또는 MP3 등이 장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휴대폰을 새로운 첨단 장비의 하나로 인식하거나 패션의 일부분으로 보아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자주 교체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현재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상황을 보면 손에 들고 다니거나 목이나 손목 등에 걸거나 가방, 핸드백 또는 호주머니 등에 넣어서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휴대폰을 손에 들고다니는 경우에 이를 분실하거나, 떨어뜨려서 휴대폰에 손상이 가는 경우가 많고, 휴대폰을 들고 다른 일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안전하게 휴대폰을 수용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심미감이 뛰어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를 결합하는 힌지, 상기 힌지를 고정하는 힌지 고정부, 상기 힌지와 상기 힌지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힌지의 일면에 부착되는 휴대폰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잠금 버턴과 잠금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클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상기 후면 커버와 결합되는 클립 상부, 상기 클립 상부와 결합되는 클립 하부, 상기 클립 상부와 상기 클립 하부 사이에 위치하는 클립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장식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식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굴곡 스프링이 가능하다.
상기 전면 커버는 전면 커버 손잡이부와 전면 커버 경사부로 구분되고, 후면 커버는 후면 커버 손잡이부와 후면 커버 경사부로 구분되어, 상기 휴대폰 케이스를 열 때에 상기 전면 커버 경사부와 상기 후면 커버 경사부에 의해서 상기 전면 커버 손잡이부와 상기 후면 커버 손잡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외부 충격 등에 강하여 안전하게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폰이 수용 가능하여 휴대폰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다양한 장식 커버가 가능하여 패션 소품으로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여러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각 부분으로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내의 휴대폰 지지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여러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각 부분으로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전면 커버(50), 전면 커버(50)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70), 전면 커버(50)와 후면 커버(70)를 결합되는 힌지(30), 힌지(30)를 고정하는 힌지 고정부(90), 힌지(30)와 힌지 고정부(90)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0), 힌지(30)의 일면에 부착되는 휴대폰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60), 볼(60)이 수용되는 볼 수용부(71), 잠금 버턴(82)과 잠금 스프링(81)으로 구성되는 잠금부(80), 클립부(100), 장식 커버(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50)는 휴대폰을 수용하는 부분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특정각도까지 힌지(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50)를 회전하는 특정각도는 약 54도가 가능하나, 설계에 따라서 특정각도는 다양한 각도가 가능하다.
전면 커버(50)는 후면 커버(70)와 결합되어 수용되는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수용된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1)에서 꺼낼 때, 전면 커버(50)는 회전 가능하여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1)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장식 커버(10)는 전면 커버(50)에 결합되어 휴대폰 케이스(1)를 다양한 형태로 장식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장식 커버(10)가 가능한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장식 커버(10)는 도장 및/또는 물전사로 마감 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패션 소품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후면 커버(70)는 전면 커버(50)와 결합되어 휴대폰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후면 커버(70)는 볼(60)이 수용되는 볼 수용부(71)를 포함하고, 잠금 스프링(81)과 잠금 버턴(82)으로 구성된 잠금부(80)도 수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1)를 허리 등에 착용하기 위한 클립부(100)도 후면 커버(70)에 결합된다.
힌지(30)는 전면 커버(50)와 후면 커버(70)를 결합하는 부분이다. 힌지(30)와 힌지(30)를 고정하는 힌지 고정부(90) 사이에는 전면 커버(50)의 회전 이동을 도와주고 강한 탄성소재의 스프링(40)이 위치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40)은 굴곡 스프링이 가능한데, 굴곡 스프링으로 인해서 전면 커버(50)를 회전시켜 휴대폰 케이스를 열 때에, 전면 커버(50)가 후면 커버(70)와 거리가 멀어지면서 열릴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1)에 쉽게 넣거나, 휴대폰 케이스(1)에 수용된 휴대폰을 휴대폰 케이스(1)로부터 쉽게 뺄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지지부(20)는 힌지(30)의 일면에 부착되는데, 휴대폰 케이스(1)에 휴대폰이 수용될 때, 휴대폰이 흔들리지 않게 해준다. 예를 들어, 휴대폰 지지부(20)는 고무재질이나 우레탄 소재 등의 탄성이 강한 재료로 만들어져 다양한 크기의 휴대폰이 휴대폰 케이스에 수용될 때에도 휴대폰이 휴대폰 케이스(1) 내에서 흔들리지 않아 외부 충격 등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해준다.
볼(60)은 전면 커버(50)와 후면 커버(7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된다. 볼(60)은 휴대폰 케이스(1)가 회전하고 전후로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볼(60)은 뒤틀림이나 흔들림 없이 힌지(30)가 회전 가능하게 도와준다. 볼(60)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71)는 후면 커버(7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케이스(1)는 3개의 볼 수용부(71)와 3개의 볼(6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볼 수용부(71)와 볼(6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잠금부(80)는 잠금 버턴(82)과 잠금 스프링(81)로 구성된다. 잠금부(80)는 휴대폰 케이스(1)가 닫혔을 때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열리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휴대폰 케이스(1)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 버턴(82)을 누른 후, 전면 커버(50)를 회전하여 휴대폰 케이스(1)를 열 수 있고, 잠금 스프링(81)은 잠금 버턴(82)의 탄성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잠금 버턴(82)의 회전을 도와줄 수 있다.
클립부(100)는 후면 커버(70)와 결합되는 클립 상부(101), 클립 상부(101)와 결합되는 클립 하부(103), 클립 상부(101)와 클립 하부(103) 사이에 위치하는 클립 스프링(102)을 포함한다. 클립 상부(101)와 클립 하부(103)에는 돌출부(101-1, 103-1)를 포함하여 클립부(100)가 벨트나 옷 등의 고정물에 잘 고정되도록 도와준다. 또한, 클립 상부(101)에 의해서 힌지 고정부(9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내의 휴대폰 지지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휴대폰을 수용 가능하다. 휴대폰 지지부(20)는 탄성이 강한 고무재질 또는 우레탄 소재로 구성되어 두께가 얇은 휴대폰이 수용될 때에는 휴대폰 지지부(20)와 휴대폰이 접촉하는 면적이 좁고, 두께가 두꺼운 휴대폰이 수용될 때에는 휴대폰 지지부(20)와 휴대폰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휴대폰 케이스에 수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폰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즉, 두꺼운 휴대폰이 휴대폰 케이스(1)에 수용될 때에 얇은 휴대폰이 휴대폰 케이스(1)에 수용될 때보다 휴대폰 지지부(20)가 후면 커버(70) 쪽으로 눌리게 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가 닫혔을 때에는 도 4a와 같은 형상이며, 휴대폰 케이스(1)에 휴대폰(2)을 넣거나 휴대폰(2)을 빼기 위해서 휴대폰 케이스(1)를 열 때에는 도 4b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의 전면 커버(50)는 전면 커버 손잡이부(52)와 전면 커버 경사부(53)로 구분되고, 후면 커버(70)는 후면 커버 손잡이부(72)와 후면 커버 경사부(73)로 구분될 수 있다.
휴대폰 케이스(1)가 닫혔을 때, 중간 열림 상태일 때, 전부 열림 상태일 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전면 커버(50)와 후면 커버(70) 사이의 거리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면 커버(50)와 후면 커버(70)가 회전하면서 전면 커버 경사부(53)와 후면 커버 경사부(73)에 의해서 멀어지게 된다. 즉, 전면 커버 손잡이부(52)와 후면 커버 손잡이부(72)를 기준으로 보면, 전면 커버 손잡이부(52)와 후면 커버 손잡이부(72) 사이의 거리(500)가 멀어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이는 휴대폰 케이스(1)를 열었을 때에 휴대폰(2)을 넣는 입구가 벌어지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1)를 열어 휴대폰(2)을 수용할 때, 더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휴대폰 케이스
2: 휴대폰
10: 장식 커버
20: 휴대폰 지지부
30: 힌지
40: 스프링
50: 전면 커버
52: 전면 커버 손잡이부
53: 전면 커버 경사부
60: 볼
70: 후면 커버
71: 볼 수용부
72: 후면 커버 손잡이부
73: 후면 커버 경사부
80: 잠금부
81: 잠금 스프링
82: 잠금 버턴
90: 힌지 고정부
100: 클립부
101: 클립 상부
102: 클립 스프링
103: 클립 하부
101-1, 103-1: 돌출부

Claims (8)

  1.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결합되는 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를 결합하는 힌지,
    상기 힌지를 고정하는 힌지 고정부,
    상기 힌지와 상기 힌지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힌지의 일면에 부착되는 휴대폰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커버는 전면 커버 손잡이부와 전면 커버 경사부로 구분되고, 후면 커버는 후면 커버 손잡이부와 후면 커버 경사부로 구분되어, 상기 휴대폰 케이스를 열 때에 상기 전면 커버 경사부와 상기 후면 커버 경사부에 의해서 상기 전면 커버 손잡이부와 상기 후면 커버 손잡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95027A 2011-09-21 2011-09-21 휴대폰 케이스 KR10116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27A KR101160789B1 (ko) 2011-09-21 2011-09-21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27A KR101160789B1 (ko) 2011-09-21 2011-09-21 휴대폰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739A Division KR101186441B1 (ko) 2012-03-02 2012-03-02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789B1 true KR101160789B1 (ko) 2012-06-27

Family

ID=4668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027A KR101160789B1 (ko) 2011-09-21 2011-09-21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7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1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50038985A (ko) * 2003-10-2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 커버 착탈 장치
KR200446444Y1 (ko) * 2009-03-13 2009-10-29 여창기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1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50038985A (ko) * 2003-10-2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 커버 착탈 장치
KR200446444Y1 (ko) * 2009-03-13 2009-10-29 여창기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6663B2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20160080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mounting, and accessorizing of digital devices
US8550317B2 (en) Electronic device case gripper
US9185197B2 (en)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40166707A1 (en) Apparatus with rotating disc for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US8554292B1 (en) Wristband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70042939A (ko) 링 케이스
US8411849B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storag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KR100695543B1 (ko) 무선 헤드셋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186441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160789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0930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US9510662B1 (en) Movement, til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US11792312B2 (en) Stretchy net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20012579A1 (en) Device cover
US10666781B1 (en) Ergonomic accessory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20210021917A1 (en) Outdoor bluetooth speaker with adjustable clip fastener and lanyard holder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