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943Y1 -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943Y1
KR200445943Y1 KR2020070019458U KR20070019458U KR200445943Y1 KR 200445943 Y1 KR200445943 Y1 KR 200445943Y1 KR 2020070019458 U KR2020070019458 U KR 2020070019458U KR 20070019458 U KR20070019458 U KR 20070019458U KR 200445943 Y1 KR200445943 Y1 KR 200445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valve chamber
valve
flow pa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557U (ko
Inventor
박주용
Original Assignee
박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용 filed Critical 박주용
Priority to KR2020070019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94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and remaining closed after return of the norm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공간을 갖는 압력통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통의 유압이 소정압력을 초과할때 상기 압력통과 외부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작동하는 안전밸브에 있어서,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결유로와 유입구가 외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입유로와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며 유출구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유로를 갖는 바디부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날개부가 상기 밸브실과 상기 연결유로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와;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진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상기 진입구가 상기 밸브실을 향하도록 설치된 하우징과, 종단이 상기 진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밸브실에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직선운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플런저 길이방향의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지지판과, 상기 스프링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결유로를 안정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 진다.
안전밸브, 바디부, 밸브체, 구동부

Description

안전밸브{safety valv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단면도,
도 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동작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안전밸브의 단면도,
도 5 및 도6은 각각 종래의 안전밸브의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바디부 11, 111 : 유로부
12, 112 : 밸브실부 13 : 고정블럭
20, 120 : 밸브체 21, 121 : 헤드부
22, 122 : 날개부 23, 123 : 고정플랜지
30, 130 : 구동부 31, 131 : 플런저
32, 132 : 작동부 33 : 하우징
34, 134 : 스프링지지판 35 : 스프링지지돌부
36, 136 : 안전스프링 37, 137 : 후방지지블럭
38, 138 : 전방지지블럭 39 : 복귀스프링
140 : 안내축
본 고안은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통 내부의 유압이 소정압력을 초과시 압력통과 외부사이에 유로를 제공하는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압력통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게 되면 유압을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하기 위해 안전밸브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안전밸브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안전밸브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밸브실(112a)과 연결유로(111a)가 형성된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양측으로 밸브실(112a)과 연결유로(111a)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밸브체(120)와, 각 밸브실(112a)에 하나씩 설치된 플런저(131)를 갖는 한 쌍의 구동부(130)를 갖고 있다.
바디부(110)는 연결유로(111a)가 형성되어 있는 유로부(111)와, 밸브실(112a)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밸브실부(112)를 갖고 있다.
유로부(111)는 연결유로(111a)에 더하여 유입유로(111b)와 배출유로(111d)가 연결유로(111a)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유로(111a)는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유로(111a)는 밸브실(112a)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된 세 개의 격벽부(111f)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111a)는 밸브실(112a)을 향하게 된다.
유입유로(111b)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유입유로(111b)는 유입구(111c)가 하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유로(111d)는 유출구(111e)가 상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밸브실(112a)은 내부공간이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밸브체(120)는 장방형상단면의 헤드부(121)와, 헤드부(12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부(122)와, 날개부(122)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고정플랜지(123)를 갖고 있다.
헤드부(121)는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 진입구가 형성된다.
날개부(122)는 연질의 막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플랜지(123)는 끼움돌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밸브체(120)는 헤드부(121)가 연결유로(111a)의 전방에 위치하고, 날개부(122)가 밸브실(112a)과 연결유로(111a)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각 구동부(130)는 플런저(131)에 더하여 플런저(131)를 직선운동시키는 작동부(132)와, 플런저(131)의 중간영역에 결합된 전방지지블럭(138)과, 전방지지블럭(138)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지지블럭(137)과, 후방지지블럭(137)의 내부에 설치된 안내축(140)과 스프링지지판(134) 및 안전스프링(136)을 갖고 있다.
플런저(131)는 종단에 걸림판(131a)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132)는 플런저(131)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132a)로 구현 할 수 있다.
전방지지블럭(138)은 플런저공(138a)이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방지지블럭(138)은 플런저공(138a)에 플런저(131)가 삽입되도록 밸브실(112a)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지지블럭(138)은 후방지지블럭(137)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후방지지블럭(137)은 안내축공(137a)이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안내축공(137a)은 전방영역이 후방영역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축공(137a)의 내부에는 걸림턱(137b)이 형성된다.
안내축(140)은 후방영역이 전방영역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축(140)에는 걸림돌기(141)가 형성된다.
안내축(140)은 플런저(131)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로 걸림돌기(141)가 걸림턱(137b)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안내축공(137a)에 삽입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안내축(140)은 플런저(131)와 함께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지지판(134)은 안내축공(137a)의 후단개구에 배치되도록 후방지지블럭(137)에 결합된다.
안전스프링(136)은 양단이 각각 스프링지지판(134)과 안내축(140)에 지지되도록 안내축공(137a)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안전스프링(136)은 플런저(13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안전밸브 동작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의 제어하에 한 쌍의 작동부(132)에 전원이 공급되면 한 쌍의 플런저(131)는 각각 한 쌍의 연결유로(111a)를 향해 이동한다.
플런저(131)가 연결유로(111a)를 향해 이동하면 헤드부(121)는 격벽부(111f)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연결유로(111a)가 폐쇄되고 유입유로(111b)와 배출유로(111d)간의 연통은 단절된다(도5 참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부는 좌측에 배치되는 구동부(130)를 우선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좌측에 배치되는 밸브체(120) 및 구동부(130)와 그에 속하는 하부구성요소와 연결유로(111a)와 유입유로(111b)에 대해서는 "제1"이라는 식별자를 사용하고 우측에 배치되는 밸브체(120) 및 구동부(130)와 그에 속하는 하부구성요소와 연결유로(111a)와 유입유로(111b)에 대해서는 "제2"라는 식별자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연결유로(111a)와 제2연결유로(111a)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통(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면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1작동부(13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제1플런저(131)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1플런저(13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1연결유로(111a)가 개방된다.
제1연결유로(111a)가 개방되면 압력통(200)내의 기체는 제1유입유로(111b), 제1연결유로(111a) 및 배출유로(111d)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압력통(200)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통(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플런저(131)가 이동하지 않아 제1연결유로(111a)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제어부와 제1작동부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거나 이물질이 플런저의 이동경로상에 침투한 경우 등)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2작동부(13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제2플런저(131)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2플런저(13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2연결유로(111a)가 개방된다.
제2연결유로(111a)가 개방되면 압력통(200)내의 기체는 제2유입유로(111b), 제2연결유로(111a) 및 배출유로(111d)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압력통(200)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안전밸브에 따르면, 플런저(131)의 직선이동에 의해 연결유로(111a)가 개폐되기 때문에 플런저(131)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유로(111a)를 개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한 쌍의 구동부(130)와 밸브체(120)를 사용하여 연결유로(111a)를 개폐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유로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 진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밀폐공간을 갖는 압력통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통의 유압이 소정압력을 초과할때 상기 압력통과 외부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작동하는 안전밸브에 있어서,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을 향하도록 형 성된 연결유로와 유입구가 외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입유로와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며 유출구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유로를 갖는 바디부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날개부가 상기 밸브실과 상기 연결유로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와;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진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상기 진입구가 상기 밸브실을 향하도록 설치된 하우징과, 종단이 상기 진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밸브실에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직선운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플런저 길이방향의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지지판과, 상기 스프링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플런저를 안정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연결유로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밸브실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프링지지판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입구의 인접영역 내표면에 상기 스프링지지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스프링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상기 안전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판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스프링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밸브실(12a)과 연결유로(11a)가 형성된 바디부(10)와, 밸브실(12a)과 연결유로(11a)사이에 설치된 밸브체(20)와, 밸브실(12a)에 설치된 플런저(31)를 갖는 구동부(30)를 갖고 있다.
바디부(10)는 연결유로(11a)가 형성되어 있는 유로부(11)와, 밸브실(12a)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실부(12)와, 유로부(11)와 밸브실부(12)사이에 설치된 고정블럭(13)을 갖고 있다.
유로부(11)는 연결유로(11a)에 더하여 유입유로(11b)와 배출유로(11d)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유로(11a)는 밸브실(12a)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격벽부(11f)사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11a)는 밸브실(12a)을 향하게 된다.
유입유로(11b)는 유입구(11c)가 하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유로(11d)는 유출구(11e)가 상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12a)은 내부공간이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0)는 장방형상단면의 헤드부(21)와, 헤드부(2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부(22)와, 날개부(22)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고정플랜지(23)를 갖고 있다.
헤드부(21)는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22)는 연결유로(11a)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수용할 수 있는 연질의 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플랜지(23)는 끼움돌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체(20)는 헤드부(21)가 연결유로(11a)의 전방에 위치하고, 날개부(22)가 밸브실(12a)과 연결유로(11a)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구동부(30)는 플런저(31)에 더하여 플런저(31)를 직선운동시키는 작동부(32)와, 플런저(31)의 전단이 진입되는 하우징(33)과, 하우징(33)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지지판(34)과, 스프링지지판(34)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스프링지지돌부(35)와, 스프링지지판(34)과 하우징(33)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36)과, 플런저(31)의 종단에 결합된 후방지지블럭(37)과, 플런저(31)의 중간영역에 결합된 전방지지블럭(38)과, 밸브실(12a)에 설치된 복귀스프링(39)을 갖고 있다.
하우징(33)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에 진입구(3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3)은 진입구 인접영역 내표면에 이탈방지턱(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우징(33)은 진입구(33a)가 밸브실(12a)을 향한 상태로 헤드부(21)의 내부에 설치된다.
플런저(31)는 전단은 진입구(33a)의 내부에 진입하고 후단은 후방지지블럭(37)에 지지되도록 밸브실(12a)에 설치된다.
작동부(32)는 플런저(31)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32a)로 구현할 수 있다.
스프링지지판(34)은 플런저(3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고, 배면이 이탈방지턱(33b)에 지지되도록 하우징(33)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판(34)은 플런저(31)가 연결유로(11a)를 향해 접근할 때 스프링지지판(34)도 함께 연결유로(11a)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지지판(34)은 이탈방지턱(33b)에 의해 하우징(3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스프링지지돌부(35)는 스프링지지판(34)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돌부(35)와 하우징(33)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는 안전스프링홈(33c)이 형성된다.
안전스프링(36)은 안전스프링홈(33c)에 후단영역이 삽입된 상태로 스프링지지판(34)과 하우징(33)의 바닥면 사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안전스프링(36)은 안전스프링홈(33c)에 의해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후방지지블럭(37)은 플런저(31)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방지지블럭(37)은 플런저(31)와 함께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방지지블럭(38)은 플런저공(38a)이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런저공(38a)은 후방영역이 전방영역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공(38a)에는 스프링지지턱(38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방지지블럭(38)은 플런저공(38a)에 플런저(31)가 삽입되고, 스프링지지턱(38b)이 후방지지블럭(37)을 향하도록 밸브실(12a)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지지블럭(38)은 후방지지블럭(37)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복귀스프링(39)은 양단이 스프링지지턱(38b)과 후방지지블럭(37)의 전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31)가 연결유로(11a)에 접근할때 복귀스프링(39)에는 탄성력이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는 유입구(11c)가 압력통(200)에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그 동작을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의 제어하에 작동부(32)에 전원이 공급되면 플런저(31)가 연결유로(11a)를 향해 이동한다.
플런저(31)가 연결유로(11a)를 향해 이동하면 헤드부(21)는 한 쌍의 격벽부(11f)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11a)가 폐쇄되고 유입유로(11b)와 배출유로(11d)간의 연통이 단절된다(도2 참조).
한편 플런저(31)가 연결유로(11a)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복귀스프링(39)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연결유로(11a)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통(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면 제어부의 제어하에 작동부(3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플런저(31) 는 복귀스프링(39)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플런저(3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연결유로(11a)가 개방된다.
연결유로(11a)가 개방되면 압력통(200)내의 기체는 유입유로(11b), 연결유로(11a) 및 배출유로(11d)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압력통(200)내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유로(11a)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통(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제어부의 제어동작이상 밸브실(12a)내에 침투한 이물질에 의해 플런저(31)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통(200)내의 압력에 의해 헤드부(21)는 후방영역으로 이동하고 연결유로(11a)는 개방된다(도1 참조).
이와 같이 플런저(31)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압력통(200)내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헤드부(21)가 후방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안전스프링(36)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압력통(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되면 안전스프링(36)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헤드부(21)는 연결유로를 폐쇄하도록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체(20)의 내부에 압력통(200)의 압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안전스프링(36)을 마련함으로써, 플런저(31)의 직선운동이 없는 경우에도 압력통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11a)를 안정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일의 구동부(30)와 밸브체(20)로 연결유로(11a)를 개폐하도록 함으 로써, 구조가 간단해 진다.
또한, 밸브실(12a)에 복귀스프링(39)을 설치함으로써, 플런저(31)를 안정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33)의 진입구 인접영역 내표면에 이탈방지턱(33b)을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지지판(34)이 하우징(3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지지판(34)에 스프링지지돌부(35)를 형성함으로써, 안전스프링(36)의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밸브체의 내부에 압력통의 압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안전스프링을 마련함으로써, 플런저의 직선운동이 없는 경우에도 압력통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유로를 안정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일의 구동부와 밸브체를 사용하여 연결유로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 진다.

Claims (4)

  1. 밀폐공간을 갖는 압력통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통의 유압이 소정압력을 초과할때 상기 압력통과 외부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작동하는 안전밸브에 있어서,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결유로와 유입구가 외표면에 노출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입유로와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며 유출구가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유로를 갖는 바디부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날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날개부가 상기 밸브실과 상기 연결유로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와;
    내측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진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상기 진입구가 상기 밸브실을 향하도록 설치된 하우징과, 종단이 상기 진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밸브실에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직선운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플런저 길이방향의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지지판과, 상기 스프링지지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스프링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연결유로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 록 상기 밸브실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입구의 인접영역 내표면에 상기 스프링지지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상기 안전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안전스프링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판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스프링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KR2020070019458U 2007-12-04 2007-12-04 안전밸브 KR200445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58U KR200445943Y1 (ko) 2007-12-04 2007-12-04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58U KR200445943Y1 (ko) 2007-12-04 2007-12-04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57U KR20090005557U (ko) 2009-06-09
KR200445943Y1 true KR200445943Y1 (ko) 2009-09-11

Family

ID=4129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458U KR200445943Y1 (ko) 2007-12-04 2007-12-04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94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142A (ja) * 1993-03-03 1994-09-16 Ntc Kogyo Kk 逃し弁
KR20000013942A (ko) * 1998-08-14 2000-03-06 황한규 솔레노이드 밸브
KR100592809B1 (ko) * 1999-02-19 2006-06-26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안전밸브
KR20070023198A (ko) * 2005-08-23 2007-02-28 우성효 난방용 유량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9142A (ja) * 1993-03-03 1994-09-16 Ntc Kogyo Kk 逃し弁
KR20000013942A (ko) * 1998-08-14 2000-03-06 황한규 솔레노이드 밸브
KR100592809B1 (ko) * 1999-02-19 2006-06-26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안전밸브
KR20070023198A (ko) * 2005-08-23 2007-02-28 우성효 난방용 유량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57U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533B1 (ko) 밸브장치
KR102540684B1 (ko) 전자 밸브용 매니폴드 조립체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밸브 집합체
TWI394908B (zh) 切換閥裝置
KR100379862B1 (ko) 방향 전환 밸브 장치
KR102090333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EP1114957A1 (en) Pilot valve
US20210372535A1 (en) Switching valve
KR930018192A (ko) 복수배출장치
EP0719950B1 (en) Poppet type directional control valve
KR200445943Y1 (ko) 안전밸브
KR101630577B1 (ko) 진공 이젝터 펌프용 진공 및 진공파괴 일체형 밸브
US854985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pressure switch
CN215334761U (zh) 一种具有快速排气功能的电磁阀
RU2671663C1 (ru) Эжек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202314129A (zh) 真空噴射器及具備該真空噴射器的真空產生裝置
CN114466983B (zh) 高压流体喷出装置
CN111442116A (zh) 一种先导阀结构的活塞
KR100417426B1 (ko) 유체기계의 토출밸브 조립체
CN111550575B (zh) 一种双先导式滑阀
CN113586791B (zh) 具有快速排气功能的电磁阀
KR101912021B1 (ko) 연료레일의 압력조절밸브
KR200295686Y1 (ko) 배기관로를 갖는 사출금형의 안전장치
CN212177944U (zh) 一种先导阀结构
CN111536264B (zh) 一种先导阀结构及具有其的滑阀
WO2003104695A1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