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70Y1 -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 Google Patents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70Y1
KR200445870Y1 KR2020070018551U KR20070018551U KR200445870Y1 KR 200445870 Y1 KR200445870 Y1 KR 200445870Y1 KR 2020070018551 U KR2020070018551 U KR 2020070018551U KR 20070018551 U KR20070018551 U KR 20070018551U KR 200445870 Y1 KR200445870 Y1 KR 200445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ll
outside
gap
en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874U (ko
Inventor
노민근
Original Assignee
노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민근 filed Critical 노민근
Priority to KR2020070018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7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06B9/46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by clamp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06B2009/445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by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 스크린의 하단 마감을 통해서 원단과의 이질감을 없애고 미려하게 마무리 지울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단대 장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 하단대 장치의 내측에 스크린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단대 장치의 단면은 원통, 삼각 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대 장치의 표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 내에 상기 스크린의 끝단이 부착된 지지대가 삽입되어 스크린에 하단대 장치가 고정되어 매달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틈새의 양 끝단은 외부로 수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이 연장부를 통해서 스크린이 하단대 장치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단대에 고정되어 매달리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단대 장치는,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을 스크린의 끝단이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을 에워싸고 있는 스크린의 외측을 투명한 플라스틱이 에워싸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에는 양면 테이프를 접착시켜서 그 외측에 스크린의 끝단을 에워싸서 부착시키게 된다.
롤 스크린, 하단대, 틈새, 지지대, 중앙 분리대, 권취봉, 마감

Description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LOWER END STRUCTURE OF ROLL SCREEN}
본 고안은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 스크린의 하단 마감을 통해서 원단과의 이질감을 없애고 미려하게 마무리 지울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롤 스크린은 창문 등에 설치되어 강한 햇빛이 조사될 때나 야간에 실내들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실내가 노출될 때는 스크린을 길게 늘어뜨려서 이를 차단하고, 실내에서 외부를 조망하거나 외부의 광이 실내로 입사되도록 할 때에는 권취시켜서 상단으로 걷어올리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롤 스크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롤 스크린 장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권취롤(2)과, 이 권취롤(2)에 감겨져서 권취롤(2)의 회전방향에 따라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스크린(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 권취롤(2)은 스크린(4)이 인출되는 인출공(5)이 형성된 케이스(8)에 내장되어 벽이나 천정에 설치된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여러 롤 스크린 장치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끈으로 권취롤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크린(4)을 권취롤에 감거나 풀어지도록 하기 도 한다.
한편, 스크린의 하단에는 하단대(9)가 부착되어 있어서, 스크린(4)이 권취롤(2)로 부터 풀어져서 늘어뜨려질 때 자중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평평하게 펴지게 한다. 이를 위해서 보통은 흰색으로 도색된 알루미늄 봉 등을 사용한다.
도2는 일반적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에 하단대가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에서, 하단대 장치(10)는 길게 형성되며 단면이 둥글게 되어 있는 알루미늄 봉으로 되어 있다. 이 하단대 장치(10)의 단면은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중간에 지름 방향으로 중앙 분리대(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앙 분리대(11)를 중심으로 양쪽 반원의 중간에 각각 틈새(12)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 하단대 장치(10)에 스크린(4)이 연결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스크린의 끝단에 단단한 지지대(12)를 고정시킨다. 이 지지대(12)는 전술된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크린(4)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이 지지대에 스크린의 끝단을 부착시켜서 고정시킨 후에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대를 하단대 장치의 틈새(12)를 통해서 하부 반원 내부에 삽입시킨다. 이처럼 지지대가 하부 반원에 삽입된 후에 스크린(4)을 외부로 당기게 되면, 지지대(14)가 하부 반원내의 적절한 위치에 걸려서 스크린(4)을 지지하게 된다.
이후 스크린은 하단대 장치(10)의 우측 반원을 권취한 후에 다시 하단대 장치의 상부 반원내로 틈새를 통해서 삽입된다. 하단대의 상부 반원내에는 권취봉(13)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크린은 이 권취봉(13)을 1회 권취하여 틈새를 통해서 다시 하단대 장치(10) 외부로 나가게 된다. 이 권취봉(13)의 직경은 상부 반원의 틈새 길이 보다 커서 권취봉(13)이 상부 반원의 틈새를 통해서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권취봉(13)을 1회 권취한 스크린이 상부 반원의 틈새에 걸려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단대 장치(10)가 자중에 의해서 스크린에 매달려 있게 되는 한편, 하단대의 일측 반면을 스크린이 감싸게 되어 있어서 스크린과 하단대 사이의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롤 스크린의 하부 구조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단대 장치(10)를 고가의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게 되므로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스크린이 하단대를 외부에서 권취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따라서 스크린이 바닥에 닿을 때 바닥에 놓인 이물질이 뭍을 수 있으며 바닥과의 충돌로 인해서 하단대에 권취된 스크린에손상이 가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재질을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하고 그 하단대 내에 스크린을 삽입하여 늘어뜨리므로 스크린의 오염을 방지하고 스크린과 하단대 사이의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롤 스크린의 하단대를 스크린의 끝단으로 에워싸고, 그 위에 투명한 플라스틱을 에워싸는 구조로 하여 롤 스크린의 하단 마감부에서 안정감과 미려함을 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에 의해서 에워싸이는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재질을 재활용 재질을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가지 양상에 따라서, 하나의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서 권취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스크린, 스크린을 내장하며 인출공을 통해서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케이스, 및 상기 스크린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크린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을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유지하는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단대 장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 하단대 장치의 내측에 스크린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하단대 장치의 단면은 원통, 삼각 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대 장치의 표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 내에 상기 스크린의 끝단이 부착된 지지대가 삽입되어 스크린에 하단대 장치가 고정되어 매달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틈새의 양 끝단은 외부로 수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이 연장부를 통해서 스크린이 하단대 장치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단대에 고정되어 매달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서, 하나의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서 권취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스크린, 스크린을 내장하며 인출공을 통해서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케이스, 및 상기 스크린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크린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을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유지하는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을 스크린의 끝단이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을 에워싸고 있는 스크린의 외측을 투명한 플라스틱이 에워싸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에는 양면 테이프를 접착시켜서 그 외측에 스크린의 끝단을 에워싸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서, 상기 스크린의 끝단이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의 내측에 놓이게 하므로 스크린의 끝단이 바닥에 끌림으로 인한 오염 및 손상을 방지 하게 된다.
또한,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의 재질을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하므로 스크린과 하단대 장치 사이의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마무리, 즉 하단대 장치의 스크린이 삽입되는 틈새의 형상을 조절하므로서 전체적으로 스크린의 안정감과 미려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 실시예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단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단대 장치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다. 즉, 가장 일반적으로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단대 장치의 내부가 노출되게 된다.
이처럼 투명한 하단대 장치(30)를 긴 원통 형상으로 제조하고, 길이 방향으로 틈새(31)를 형성한다. 한편, 하나의 지지대에 스크린(4)을 고정시키고 이 지지대를 원통형상의 하단대 내부로 삽입시킨다. 전술된 틈새(31)로 삽입시켜서 지지대(32)가 원통 형상의 하단대 장치 내부 측면에 걸쳐서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이때 스크린은 틈새(31)를 통해서 하단대 외부로 나와서는 롤러에 연결된다.
이 지지대(32)는 하단대 장치(30)와 같은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고 지지대(32)에 스크린을 일부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이 지지대(32)를 스크린(4)으로 전체적으로 감쌀 수도 있다. 지지대(32)를 스크린(4)으로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면, 원통 형상의 하단대 장치(30)가 투명하므로 외부에서 스크린으로 감싸진 지지대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단대 장치의 내부 중간에는 지름 방향으로 중앙 분리대(33)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처럼 분리대를 설치하여 지지대가 원통형상의 하단대 장치(30) 내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므로, 스크린과 하단대 장치 사이의 상이한 재질 사용에 따른 이질감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단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의 구조는 도3의 구조를 약간 변형시킨 것으로서, 틈새(31)에서 일정 길이로 사각 기둥(36)이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투명한 사각 기둥(36)이 스크린을 양측에서 에워싸게 됨으로써 마치 스크린을 투명 재질이 코팅하고 있는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스크린(4)과 하단대 장치(30) 사이의 이질감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사각 기둥의 높이 만큼 스크린(4)을 에워싸므로 스크린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롤 스크린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스크린에 코팅처리를 한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단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하단대 장치는, 긴 원통형 등으로 된 권취봉(34)에 스크린을 1회 에워싸고 이어서 그 위에 투명한 플라스틱(35)을 다시 한번 에워싸게 된다.
권취봉(34)의 표면에는 양면 테이프(미도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스크린(4)을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권취봉(34)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틈새를 형성하고 그 틈새를 이용하여 권취봉(34)의 표면에 스크린(4)을 한바퀴 에워쌀 수도 있다. 이처럼 권취봉(34)의 표면에 스크린이 에워싸인 상태에서, 그 위에 투명 플라스틱(35)이 씌워진다. 이 투명 프라스틱(35)은 권취봉(34)의 형상과 비슷한 형상을 한 것으로서, 권취봉(34)이 원통형을 하고 있을 때에는 권취봉(34) 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투명 프라스틱(35)의 표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작은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틈새를 벌리고 그 내부에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봉(34)이 삽입된다.
이처럼 투명 플라스틱(35)에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봉이 삽입되면,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30)가 스크린에 연장되어,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은 스크린과 하단대 장치 사이의 이질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하단대 장치(30)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마치 코팅이 된 것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단대 장치의 외부에 플라스틱이 에워싸고 있으므로 하단대 장치(30)가 바닥에 닿는다 할지라도, 오염 물질이 뭍거나 손상이 가지 않게 되는 효 과가 있다.
또한, 권취봉(34)은 종래의 경우에 알루미늄과 같은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스크린(4)에 에워싸여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어떤 재료를 써도 상관없으며, 재활용되는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한 것으로서, 이는 여러 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당업자라면 많은 변형된 실시예를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 한정되지 않으며, 오직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됨을 주지해야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롤 스크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일반적인 롤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에 하단대가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단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단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의 하단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스크린
30: 하단대 장치
31: 틈새
32: 지지대
33: 중앙 분리대
34: 권취봉
35: 투명 플라스틱
36; 사각기둥

Claims (5)

  1. 하나의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서 상기 권취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내장하며 인출공을 통해서 상기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케이스, 및 상기 스크린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크린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을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유지하는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단대 장치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는 통 형상의 것으로,
    상기 스크린의 끝단이 부착된 지지대가 상기 틈새를 통해 내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의 양 끝단은 외부로 수평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연장부를 통해서 상기 스크린이 상기 하단대 장치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4. 하나의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감겨져서 상기 권취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풀어지거나 감겨지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내장하며 인출공을 통해서 상기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케이스, 및 상기 스크린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크린 승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을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유지하는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을 상기 스크린의 끝단이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을 에워싸고 있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을 투명한 통 형상의 플라스틱이 에워싸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대 장치의 외측에는 양면 테이프를 접착시켜서 그 외측에 상기 스크린의 끝단을 에워싸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KR2020070018551U 2007-11-19 2007-11-19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KR200445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51U KR200445870Y1 (ko) 2007-11-19 2007-11-19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51U KR200445870Y1 (ko) 2007-11-19 2007-11-19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74U KR20090004874U (ko) 2009-05-22
KR200445870Y1 true KR200445870Y1 (ko) 2009-09-08

Family

ID=4129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551U KR200445870Y1 (ko) 2007-11-19 2007-11-19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304B1 (ko) * 2013-03-25 2014-08-26 현대로템 주식회사 롤 스크린용 손잡이 조립체
JP6657431B2 (ja) * 2017-02-17 2020-03-04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車両用巻取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689Y1 (ko) * 2003-03-20 2003-06-09 김재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424995Y1 (ko) * 2006-06-12 2006-08-28 권중곤 롤스크린
KR200436549Y1 (ko) * 2006-11-22 2007-09-04 김석태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커튼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689Y1 (ko) * 2003-03-20 2003-06-09 김재충 버티컬 블라인드
KR200424995Y1 (ko) * 2006-06-12 2006-08-28 권중곤 롤스크린
KR200436549Y1 (ko) * 2006-11-22 2007-09-04 김석태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커튼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74U (ko)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68815A1 (en) Retractable projection screen
US20160298332A1 (en) Column for supporting a covering and screen construction comprising such a column
KR200445870Y1 (ko) 롤 스크린의 하단대 장치
US6948542B2 (en)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KR101089271B1 (ko) 행거
AU2002233071A1 (en)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200397073Y1 (ko) 이중 권취형 국기게양장치
KR200318023Y1 (ko) 창 가리개
KR200472785Y1 (ko) 창문유리 보호장치
KR200398819Y1 (ko) 방충망
KR102140642B1 (ko) 차량 어닝장치
CN201428371Y (zh) 自卷遮阳帘
JP2003210225A (ja) パラソル
KR0113944Y1 (ko) 가판대용 차양
CN104149591A (zh) 一种带遮阳卷帘的汽车雨眉
CN214433890U (zh) 一种快速回拢隔断浴屏
JP2007009656A (ja) 日除け装置
JP3012737U (ja) ベランダカバー
KR101359963B1 (ko) 차양
KR200454239Y1 (ko) 건조대 기능을 구비한 블라인드
KR20170004058U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KR20090085853A (ko) 스크린의 구김 및 이격현상이 방지되는 롤 블라인드
KR100759077B1 (ko) 스크린 개폐 장치.
KR20230166325A (ko) 차양막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