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25Y1 -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25Y1
KR200445825Y1 KR2020090005873U KR20090005873U KR200445825Y1 KR 200445825 Y1 KR200445825 Y1 KR 200445825Y1 KR 2020090005873 U KR2020090005873 U KR 2020090005873U KR 20090005873 U KR20090005873 U KR 20090005873U KR 200445825 Y1 KR200445825 Y1 KR 200445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uter shell
layer
st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태경
Original Assignee
인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태경 filed Critical 인태경
Priority to KR2020090005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58Key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Abstract

본 고안은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개시한다. 그의 장치는 외측 둘레에 줄이 감겨질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을 덮으며,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과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줄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외피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몸체와 외피 사이에 복수개의 줄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multi ring-line}
본 고안은 다 걸이 줄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여러 개의 걸이 줄을 수납하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필요한 열쇠 또는 소형 장식품들과 같은 휴대용품은 열쇠고리를 이용하여 묶음 휴대 또는 보관되고 있다. 대부분의 열쇠고리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용품의 탈부착이 어렵고 휴대 기능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장 강도가 높은 줄을 사용하여 휴대용품들을 결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휴대용 통신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핸드폰은 대부분 모서리에 형성된 고리에 걸이 줄이 연결된 채로 장식품 및 플래시 메모리가 결속되어 있다.
하지만,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품에 형성된 대부분의 고리가 너무 작아서 다양한 종류의 열쇠, 장식품, 또는 메모리 장치가 결속되는 복수개의 걸이 줄이 병렬로 연결되지 못함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고리에 하나의 걸이 줄이 연결된 열쇠고리에 의해 다시 복수개의 걸이 줄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복수개의 걸이 줄이 열쇠고리에서 유동되면서 쉽게 얽힘에 따라 미적 기능 및 사용상 기능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 용품에 형성된 고리에 복수개의 걸이 줄 결속시켜 편리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걸이 줄의 유동 또는 얽힘을 방지하여 미적 기능 및 사용상 기능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는, 외측 둘레에 줄이 감겨질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을 덮으며,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과 마주보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줄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외피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줄은 상기 홈에 놓여져 있고, 상기 외피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피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외피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홈 및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및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제1층 및 상기 제1 층 위에 형성되어 있고 단면적이 상기 제1층보다 작은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줄은 상기 제1층의 외측 둘레에 감겨질 수 있고, 상기 외피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제1층을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층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피의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제2층의 표면을 노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줄을 상기 외피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단면은 원형, 타원, 사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 노출된 상기 몸체의 표면에는 액정표시장치, 액정 클리너, 액자, 범용 직렬 버스(USB), 바코드 및 RF 태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 내에 형성된 전자 칩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제1 홀 및 제2 홀을 가지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줄은 머리 걸이 줄과 적어도 하나의 꼬리 걸이 줄을 가지고, 상기 머리 걸이 줄은 상기 제1 홀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꼬리 줄은 상기 제2홀을 관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의 둘레에 체결되는외피의 홀을 통해 복수개의 걸이 줄을 상기 몸체에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와 외피 사이에서 복수개의 걸이 줄이 병렬로 압착 연결되므로 복수개의 걸이 줄의 유동 및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미적 기능 및 사용상 기능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몸체와 외피의 결합 상태를 보다 자세하게 나타내는 정면도 및 상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상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외피를 나타내는 상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몸체와 꼬리 걸이 줄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10b는 도 1의 몸체에 추가되는 부가 기능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1a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면에 나타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 :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22 : 걸이줄
24 : 몸체 26 : 외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많은 특정 상세 내용들이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설명되었음을 주목(note)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본 고안이 이들 특정한 상세 내용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을 것임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는 메인 휴대용품에 결속될 수 있는 머리 걸이 줄(21)이 몸체(24)와 외피(26)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이 상기 몸체(24)와 외피(26)에서 보조 휴대용품들(30)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24)와 외피(26)에 복수개의 걸이 줄(22)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미적 기능 및 사용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머리 걸이 줄(21)과 꼬리 걸이 줄(23)은 몸체(24)와 외피(26)를 중심으로 각각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이 줄(22)로서, 각각 링 모양으로 매듭이 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4)와 상기 외피(26)에 의해 서로 대칭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머리 걸이 줄(21)은 몸체(24)와 외피(26)를 핸드폰과 같은 메인 휴대용품의 고리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은 범용 직렬 버스(USB, 32), 열쇠(34), 또는 메달(36) 등과 같은 보조 휴대용품들(30)을 상기 몸체(24)와 외피(26)에 개별적으로 병렬 연결할 수 있다. 머리 걸이 줄(21)에는 외피(26)의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을 고정하는 패스너(29)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 걸이 줄(2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휴대용품 따위에 형성되는 작은 고리와 같은 고정부에 삽입되어 휴대용품에 결속될 수 있다. 머리 걸이 줄(21)은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머리 걸이 줄(21)의 길이가 짧아도 휴대용품 따위에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다. 몸체(24)와 외피(26)를 통과시키는 길이만큼 늘어날 수 있는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 또한 신축성 또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이 없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몸체(24)와 외피(26)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저면도로서, 몸체(24)의 외측 둘레 중심을 따라 홈(25)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24)에 연결되는 머리 걸이 줄(21)과 꼬리 걸이 줄(23)을 각각 통과시키는 제 1 홀(27) 및 제 2 홀(28)을 갖는 외피(26)가 상기 홈(25)을 커버링하고 있다. 여기서, 머리 걸이 줄(21)은 몸체(24)의 외측 둘레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홈(25)은 제 1 홀(27) 및 제 2 홀(28)을 통해 외피(26)의 내부로 인입되는 머리 걸이 줄(21) 또는 꼬리 걸이 줄(23)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4)의 둘레에 외피(26)를 속박시킬 수 있다. 제 1 홀(27) 및 제 2 홀(28)은 몸체(24) 둘레의 홈(25)에 감기는 머리 걸이 줄(21) 및 꼬리 걸이 줄(23)의 양측 끝단을 일측으로 모아 외피(26)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몸체(24)의 둘레에 걸이 줄(22)을 감고 상기 걸이 줄(22)의 양단을 통과시키는 홀들(27, 28)이 형성된 외피(26)를 통해 복수개의 걸이 줄(22)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을 증대 또는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몸체(24)는 원판 모양의 둘레 중심을 따라 머리 걸이 줄(21)과 꼬리 걸이 줄(23)이 감기는 홈(25)을 갖는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25)은 머리 걸이 줄(21)과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이 충분히 수용되고, 다시 그 위를 커버링하는 외피(26)가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홈(25)의 벽면은 머리 걸이 줄(21)과 꼬리 걸이 줄(23)을 외피(26)의 측면 둘레의 중심으로 안내하고, 상기 외피(26)를 홈(25) 내에 삽입할 수 있는 기울기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에 의하면, 외피(26)는 머리 걸이 줄(21)을 통과시키는 제 1 홀(27)이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을 통과시키는 제 2 홀(28)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4)의 원판 지름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링(ring)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은 홈(25) 내부로 삽입되면서 몸체(24)와 결합되고, 상기 홈(25)의 외측으로 이탈됨으로서 몸체(2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외피(26)는 몸체(24)로부터 빈번하게 분리와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신축성과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26)는 몸체(24)의 홈(25)에 삽입되는 머리 걸이 줄(21) 또는 고리 걸이 줄(22)을 상기 몸체(24)에 압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몸체(24)와 꼬리 걸이 줄(23)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먼저, 도 5a와 같이 머리 걸이 줄(21)에 매달린 몸체(24)와 외피(26)가 분리된다. 다음, 도 5b와 같이 꼬리 걸이 줄(23)이 외피(26)의 제 2 홀(28)을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된다. 그 다음, 도 5c와 같이 꼬리 걸이 줄(23)이 몸체(24)의 홈(25)에 삽입 걸쳐진다. 마지막으로, 도 2a와 같이 꼬리 걸이 줄(23)이 천천히 잡아당겨지면서 외피(26)가 몸체(24)의 둘레에 결합된다. 꼬리 걸이 줄(23)을 몸체(24) 및 외피(26)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상술된 결합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단면이 원형, 타원, 사각형,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4)의 외부 표면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이 복합적 또는 단독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도 6에 의하면,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액정표시장치(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4)의 내부에 메모리, 유무선 통신 모듈, 또는 컨트롤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24)에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42)는 시간, 날씨, 뉴스 그림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액정표시장치(42)의 패널 또는 안경의 표면을 닦을 수 있는 부직포(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의하면,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램프(46)와, 램프(46)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버턴 스위치(45)가 형성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의하면,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사진(43)이나 그림을 수납하고 투명 뚜껑(47)이 씌워진 액자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뚜껑의 가장자리에는 클램프(48)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48)가 삽입되는 위치의 몸체(24)에는 클램프(48)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의하면,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범용 직렬 버스(USB) 단자(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4)의 내부에는 플래시 메모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범용 직렬 버스 단자(50)는 일측이 몸체(24)에 고정되는 회전축(51)을 갖고, 타측이 회전되면서 상기 몸체(24)에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되는 타측의 말단 양측을 고정하는 미니 클램프(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24)는 외피(26)로부터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바코드, 또는 RF 태그가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24)의 내부에 전자 칩 또는 플래시 메모리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는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몸체(24)에 여러 가지 부가적 기능들을 채용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고 있다.
도 11a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는 머리 걸이 줄(21) 또는 꼬리 걸이 줄(23)이 감기는 몸체(24)의 둘레에 상부 덮개(62)와 하부 덮개(6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몸체(24)는 측면 외곽의 중심에 걸이 줄(22)이 감기는 홈(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평면 모양은 원형, 타원, 사각형,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62)와 하부 덮개(64)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홈 및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및 돌기가 결합됨으로서 내부의 몸체(2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몸체(24에 감기는 머리 걸이 줄(21)은 상부 덮개(62)에 형성된 제 1 홀(27)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꼬리 걸이 줄(21)은 하부 덮개(64)에 형성된 제 2 홀(28)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는 몸체(24)의 외곽을 둘러싸면서 결합되는 상부 덮개(62)와 하부 덮개(64)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미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는 몸체(24) 외곽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단층을 갖고, 몸체(24)의 일면과 외곽 측면을 외피(26)가 둘러싸고 있다. 몸체(24)는 머리 걸이 줄(21) 및 꼬리 걸이 줄(23)이 감기는 제 1 층(66) 및 상기 제 1 층(66) 위에 형성되어 있고 단면적이 상기 제 1 층(66)보다 작은 제 2층(68)을 포함한다. 또한, 외피(26)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층(66)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65)과 상기 제 2 층(68)을 수용하는 제 2 수용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외피(26)의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제 2 층(68)을 노출한다. 외피(26)는 바구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층이 형성된 몸체(24)의 외곽 측면을 덮는 외피(26)가 상기 몸체(24)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4)의 외곽 측면에 감기는 머리 걸이 줄(21) 및 꼬리 걸이 줄(23)을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 1 홀(27) 및 제 2 홀(28)이 외피(26)의 제 1 수용 공간(65)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피(26)는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24)에 감기는 머리 걸이 줄(21) 및 꼬리 걸이 줄(23)을 압착 고정하고 이탈의 방지를 위해 소정의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외피(26)의 내경은 몸체(24)의 외곽 측면의 단층들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20)는 외곽 둘레에 단층을 갖는 몸체(24)의 외곽 둘레 및 일측 평면을 덮는 외피(26)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꼬리 걸이 줄(23)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외측 둘레에 줄이 감겨질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상기 외측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을 덮으며, 상기 몸체의 외측 둘레면과 마주보는 면에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외피
    를 포함하며,
    상기 줄은 상기 홈에 놓여져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외피의 외측으로 인출될수 있고,
    상기 외피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피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4. 제 3 항에서,
    상기 외피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홈 및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및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고정되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5. 제 3 항에서,
    상기 몸체는 제1층 및 상기 제1 층 위에 형성되어 있고 단면적이 상기 제1층보다 작은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줄은 상기 제1층의 외측 둘레에 감겨질 수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6. 제 5 항에서,
    상기 외피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제1층을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층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외피의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제2층의 표면을 노출하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7. 제 3 항에서,
    상기 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줄을 상기 외피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8. 제 3 항에서,
    상기 몸체의 단면은 원형, 타원, 사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9. 제 8 항에서,
    외부에 노출된 상기 몸체의 표면에는 액정표시장치, 액정 클리너, 액자, 범용 직렬 버스(USB), 바코드 및 RF 태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된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10. 제 9 항에서,
    상기 몸체 내에 형성된 전자 칩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11. 제 3 항에서,
    상기 외피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홀은 제1 홀 및 제2 홀을 가지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줄은 머리 걸이 줄과 적어도 하나의 꼬리 걸이 줄을 가지고, 상기 머리 걸이 줄은 상기 제1 홀을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꼬리 줄은 상기 제2홀을 관통하고 있는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KR2020090005873U 2009-05-15 2009-05-15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KR200445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873U KR200445825Y1 (ko) 2009-05-15 2009-05-15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873U KR200445825Y1 (ko) 2009-05-15 2009-05-15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825Y1 true KR200445825Y1 (ko) 2009-09-03

Family

ID=4365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873U KR200445825Y1 (ko) 2009-05-15 2009-05-15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730B1 (ko) 2010-03-22 2012-01-05 임성훈 줄 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949A (ko) * 2000-01-28 2001-08-17 연광호 신축 스트랩
KR200412933Y1 (ko) * 2006-01-19 2006-04-05 이준우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KR20070012584A (ko) * 2005-07-23 2007-01-26 소상완 줄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949A (ko) * 2000-01-28 2001-08-17 연광호 신축 스트랩
KR20070012584A (ko) * 2005-07-23 2007-01-26 소상완 줄 권취장치
KR200412933Y1 (ko) * 2006-01-19 2006-04-05 이준우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730B1 (ko) 2010-03-22 2012-01-05 임성훈 줄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47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 장치
US4939778A (en) Telephone cord cover
US20160242304A1 (en) Wire storage device
KR200445825Y1 (ko) 다중 걸이 줄 수납 장치
JP5563364B2 (ja)
US9673565B1 (en) Serial bus utility strap
KR20010103042A (ko) 단말기 휴대장치 및 단말기와 이어폰의 휴대장치
KR102345619B1 (ko)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무선 이어폰 크래들 케이스 악세서리
US20120014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endant attachment system
JP2012136351A (ja) カード型コードホルダー
US20080053848A1 (en) Hanging Decoration Structure with Transmission Unit
US20210330049A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269754A (ja) カード型コードホルダー
KR200441351Y1 (ko) 핸드폰 줄 홀더
CN217386566U (zh) 一种耐磨损防盗的宠物玩具吊牌
KR200437920Y1 (ko) 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
JP5378464B2 (ja) リュックサック
CN209345342U (zh) 耳机线分岔头
JP3109605U6 (ja) ストラップ
KR200278741Y1 (ko) 스키용 홀더
KR101169670B1 (ko) 핸드폰 줄 연결기구
KR101102730B1 (ko) 줄 홀더
JP3109605U (ja) ストラップ
CN204887038U (zh) 用于将智能电话固定在人的手臂处的装置
JP3202134U (ja) 電子機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