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03Y1 -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03Y1
KR200445703Y1 KR2020070014694U KR20070014694U KR200445703Y1 KR 200445703 Y1 KR200445703 Y1 KR 200445703Y1 KR 2020070014694 U KR2020070014694 U KR 2020070014694U KR 20070014694 U KR20070014694 U KR 20070014694U KR 200445703 Y1 KR200445703 Y1 KR 200445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r
movable
terminal
mov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307U (ko
Inventor
이원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0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5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indexing or locat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 H01H3/503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indexing or locat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making use of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고안은, 유니트 하우징부; 일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니트 레버; 상기 유니트 레버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는 가동 마그네트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가동 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고정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상기 유니트 레버의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대한 회동을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마그네트부;를 포함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SELF RETURNABLE LEVER-TYPE SWITCHING UNIT}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위치로 자동 복귀 가능한 레버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각종 스위치 장치와 더불어 스티어링 휠의 하단에는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SRC(Steering Roll Connector)/슬립 링(Slip Ring)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SRC와 슬립 링은 구조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스티어링 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 에 장착되는 스위치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의 컴팩트화가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라이트 스위치와 와이퍼 스위치는 레버 타입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좌측 내지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레버 타입으로 구성되는 스위치의 경우 레버를 회전 중심에 대하여 상하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소정의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종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레버 타입의 스위치가 상하 전후 이동 뿐만 아니라 로터리 스위치 및 누름 스위치를 구비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로 형성되는 경우 내부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경우 구성 요소의 개수가 상당히 많고, 이러한 부품 수의 증대는 원가 증대 및 조립의 복잡성에 따른 공정 시간 증대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특히, 레버 스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종래의 레버 스위치는 절도산과 절도산과 맞닿도록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성력을 제공받는 절도핀을 구비하는 절도산/절도핀 구조는 구성요소가 많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절도산 및 절도핀 구조의 조작시 발생하는 소리 및 작동 과정은, 조작자로 하여금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범위를 넘어 과도한 소음 및 불연속적인 동작으로 인한 조작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 수를 단순화시키되 자동 원위치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셀프 리턴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고, 조작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니트 하우징부; 일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니트 레버; 상기 유니트 레버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는 가동 마그네트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가동 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고정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상기 유니트 레버의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대한 회동을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마그네트부;를 포함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레버의 단부에는 가동 단자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단자 수용부에는 상기 고정 단자와 단속을 이루는 가동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단자 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동 단자 탄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단자에는 가동 단자 가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단자 수용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동부와 맞물리어 상기 가동 단자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 회로기판은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단자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접한 고정 단자 간에는 높이 차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유니트 하우징 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니트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레버 스톱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종래의 레버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잡한 절도산 구조를 제거함으로써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조 원가 절감 및 공정 수 단축에 의한 공정 원가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구비되되 서로 인접한 고정 단자 간에 높이 차가 구비됨으로써 작동 모드를 조작자가 보다 수월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레버 스톱퍼를 구비하여 유니트 레버의 과도한 회동을 제한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연속적인 동작으로 부드러운 조작감을 제공하고 소음 발생을 저감시켜 향상된 감성 품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가동 단자 수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고정 단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부(100)와, 유니트 레버(200)와, 리턴 마그네트부(300)를 구비하는데, 유니트 레버(200)는 유니트 하우징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턴 마그네트부(300)는 유니트 하우징부(100) 및 유니트 레버(200)에 각각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부(100)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110)와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와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는데,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110)와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니트 레버(200)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에는 바디 장착 결합구(121)가 구비되고,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장착 결합구(131)가 구비고, 유니트 하우징 커버(110)에는 커버 장착 결합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을 베이스 장착 결합구(131), 바디 장착 결합구(121) 및 커버 장착 결합구(미도시)를 관통하여 삽입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유니트 하우징부(100)의 결합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의 상면은 개방되어 유니트 하우징 커버(110)에 의하여 밀폐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의 하면에는 가동 단자 관통구(123)가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의 일측에는 레버 관통구(129)가 구비되는데, 유니트 레버(200)는 레버 관통구(129)를 관통하여 유니트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측에는 유니트 레버(200)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외부 전기 요소로 전달하기 위한 베이스 커넥터부(133)가 구비된다. 베이스 커넥터부(133)에는 커넥터 단자(134)가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유니트 레버(200)에 의하여 선택되는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 단자(140, 도 2 참조)가 배치되는 유니트 회로기판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회로기판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유니트 회로기판의 회로 배선은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의 베이스 커넥터부(133)의 커넥터 단자(134)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유니트 레버(200)는 일단이 유니트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유니트 레버(200)는 레버 바디(210)와 레버 회동부(220)를 구비한다. 레버 바디(210)의 일단에는 레버 회동부(220)가 구비되는데, 레버 회동부(220)는 유니트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레버 바디(210)의 타단에는 푸시 버튼 스위치 및/또는 로터리 스위치(21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로터리 스위치(213)에 구비되는 가동 접점(미도시)과 레버 바디(210)의 레버 바디 내부 공간(211, 도 2 참조)에 수용되는 레버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되는 고정 접점(미도시)과의 로터리 스위치(213)의 회동에 따른 접점 구조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명백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유니트 회동부(220)는 레버 회동 중심부(221)가 구비되는데, 레버 회동 중심부(221)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에 형성되는 레버 회동 중심 대응부(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유니트 회동부(220)가 유니트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 커버(110),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 및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를 관통하는 선분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유니트 회동부(220)의 하부에는 레버 회동 중심부(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니트 회동부(220)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회동부(220)의 하부로 레버 회동 중심부(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레버 회동 가이드(227)가 구비되고, 레버 회동 가이드(227)와 대응되는 위치로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레버 회동 가이드 대응부(127)가 구비되는데, 레버 회동 가이드(227)는 레버 회동 가이드 대응부(127)와 상호 운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레버 회동 가이드(227)와 레버 회동 가이드 대응부(127)는 레버 회동 중심부(221)를 중심으로 호상(弧狀)을 이루며 형성됨으로써, 레버 회동부(220)의 유니트 하우징부(10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리턴 마그네트부(300)는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를 구비하 는데, 가동 마그네트(320)는 유니트 레버(200)의 일단에 배치되고, 고정 마그네트(310)는 유니트 하우징부(100)에 가동 마그네트(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레버(200)의 단부에는 배치된 레버 회동부(220)에는 가동 마그네트 장착부(225)가 구비되는데, 가동 마그네트(320)는 가동 마그네트 장착부(225)에 장착된다. 가동 마그네트(320)가 가동 마그네트 장착부(225)에 장착되는 구조는 접착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동 마그네트가 가동 마그네트 장착부에 매립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유니트 하우징부(100)의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면에는 고정 마그네트 장착부(125)가 구비되는데, 고정 마그네트(310)는 고정 마그네트 장착부(125)에 장착된다.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는 회동하는 평면 상에서 최소한 한 쌍이 구비되는데, 하기되는 중립 모드의 경우를 기준으로,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는 도면 부호 "D"(도 9 참조)에 의하여 지시되는 거리만큼 대칭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고정 마그네트와 가동 마그네트는 양 측에 동일한 거리만큼 대칭적으로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리턴 마그네트부의 척력에 의하여 유니트 레버가 원위치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비대칭적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마그네트(310)가 고정 마그네트 장착부(125)에 장착되는 구조는 상기 가동 마그네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레버 회동 중심부(221)를 중심으로 유니트 레버(200)가 회동하는 경우 가동 마그네트 장착부(225)에 장착되는 가동 마그네트(320)와 고정 마그네트(310)가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고정 마그네트 장착부(125)의 위치는 가동 마그네트 장착부(225)의 위치와 유니트 레버(200)에 대한 동일 회동 궤적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리턴 마그네트부(300)의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는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마그네트에 대하여 척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이 동일 극성을 지니도록 배치된다. 즉, 서로 마주하는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는 서로 마주하는 면의 극성이 N 또는 S와 같은 동일한 극성을 지니도록 배치된다.
유니트 레버(200)의 회동에 따른 전기적 접속을 변환시키기 위한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는 유니트 하우징부의 내부 및 유니트 레버에 배치된다. 즉, 고정 단자(140)는 유니트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회로 기판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 단자(140)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유니트 레버(200)의 회동 운동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 단자(140)는 호상(弧狀)으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고정 단자(140)는 중립 단자(141),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 우회전 단자(145), 좌측 차로 변경 단자(147) 및 좌회전 단자(149)를 포함하는데, 중립 단자(141)는 호상으로 배치되는 고정 단자(140)의 중앙에 배치되고 중립 단자(141)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 우회전 단자(145) 및 좌측 차로 변경 단자(147), 좌회전 단자(149)가 배치된다. 복수 개의 고정 단자(140)는 서로 높이 차를 구비하여, 고정 단자(140)의 어느 하나는 인접한 다른 고정 단자와 상이한 높이를 갖는 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단자(141)와 우회전 단자(145)와 좌회전 단자(149)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그리고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 및 좌측 차로 변경 단자(147)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고정 단자는 인접한 다른 고정 단자와 도면 부호 "C"로 표시되는 높이 차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조작자로 하여금 조작 변화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하기되는 가동 단자와 원하는 고정 단자 들과의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접속 구조를 이루어, 원하는 접속 이외에 인접한 단자와의 원치 않는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 단자(231)는 유니트 레버(200)에 장착된다. 유니트 레버(200)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 회동부(220)의 단부에는 가동 단자 수용부(233)가 구비되는데, 가동 단자(231)는 가동 단자 수용부(233)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동 단자 수용부(233)에는 가동 단자 수용구(234)가 구비되고 가동 단자(231)의 단부는 가동 단자 수용구(234)에 수용된다. 가동 단자(231)는 고정 단자(140)와 단속을 이룸으로써, 조작자가 원하는 소정의 작동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속 간에는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접속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가동 단자 수용부(233)의 가동 단자 수용구(234)에 가동 단자(231)의 단부가 수용된다. 가동 단자(231)의 단부에는 가동 단자 가동부(232)가 구비되고 가동 단자 수용구(234)의 진입구에는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226)가 구비되는데, 가동 단자 가동부(232)는 관통 구조로 형성되고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226)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어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226)가 가동 단자 가동부(232)에 수용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가동 단자 가동부(232)는 관통 구조로 그리고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226)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나, 이는 본 고안의 일예일뿐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동 단자 가동부(232)와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226)의 구조를 통하여, 가동 단자(231)가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동 단자(231)와 가동 단자 수용부(223)의 사이에는 가동 단자 탄성부(233)가 구비되는데, 가동 단자(233)의 일단은 가동 단자 수용부(233)에 형성되는 탄성부 장착부(228)에 수용되고 타단은 가동 단자(231)와 사전 설정된 초기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장착됨으로써, 가동 단자(231)가 가동 단자 수용부(232)의 가동 단자 수용구(234)에 탄성 가동되도록 하여 가동 단자(231)와 고정 단자(140) 간의 탄성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유니트 레버의 과도한 회동에 의한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에으로 유니트 레버(200)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 회동부(220)의 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레버 스톱퍼(128)가 구비된다. 레버 스톱퍼(128)는 유니트 레버(200)의 단부의 측면, 즉 레버 회동부(220)의 측면과 접하여 유니트 레버(20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함으로써 리턴 마그네트부(300) 등의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버 스톱퍼(128)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레버 스톱퍼(128)에는 유니트 하우징부(100)와 유니트 레버(200)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자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버 스톱퍼(128)에는 러버 패드와 같은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에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이 작동 과정 및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된다.
먼저, 도 6 및 도 9에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레버(20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중립 모드 시의, 고정 단자 및 가동 단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와,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10)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모드의 경우, 리턴 마그네트부(300)의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는 각각 쌍을 이루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유니트 레버(200)는 동일한 극성의 척력에 의하여 리턴 마그네트부(300)에 의한 균일한 힘에 의하여 균형을 이루며 배치된다. 즉, 유니트 레버(200)의 레버 회동부(220)는 선 OA 상에 배치되어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 간의 실질적인 좌우 대칭 구조를 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단자(141)는 여타 다른 고정 단자보다 긴 길이를 구비함으로써 가동 단자(231)가 다른 고정 단자와 접촉하지 않고 중립 단자(141)와의 접속을 이룬다.
그런 후,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레버(200)에 외력이 제공되는 우측 차로 변경 모드의 경우, 유니트 레버(200)는 외력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외력에 의하여 유니트 레 버(200)의 레버 회동부(220)의 중심은 선 OA로부터 선 OB로 각 θRC만큼 회동하여, 가동 단자(231)는 중립 단자(141) 및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와 접속을 이룬다. 이때, 고정 단자(140)의 서로 인접한 중립 단자(141)와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는 도면 부호 "C"로 표시되는 높이 차를 형성함으로써, 가동 단자(231)는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 단자(140)의 각각의 측단은 라운딩 형성됨으로써, 가동 단자 탄성부(233)에 의하여 탄성력이 제공되는 가동 단자(231)의 원활한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고정 단자의 인접한 고정 단자 간에 형성되는 높이 차에 의하여 조작자는 작동 모드가 중립 모드로부터 우측 차로 변경 모드로 변화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리턴 마그네트부(300)의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 간의 척력에 의하여 힘의 균형을 이루는 원위치, 즉 중립 모드로 원위치 복귀된다. 이때, 고정 단자(140)의 중립 단자(141)와 가동 단자(231)가 접속을 이루고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는 커넥터 단자(134)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는데, 제어부(미도시)는 이와 같은 우측 차로 변경 모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우측 방향 지시 램프(미도시)의 점멸 신호를 제거한다.
그런 후,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10)의 유니트 레버(200)에 보다 큰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유니트 레버(200)는 도 8 및 도 11의 우측 차로 변경 모드보다 더 회동한다. 외력에 의하여 유니트 레버(200)의 레버 회동부(220) 중심은 선 OA로부터 선 OC로 각 θR만큼 회동하여, 가동 단자(231)는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와 우회전 단자(145)와 접속을 이룬다. 이때, 우측 차로 변경 단자(143)와 우회전 단자(145)는 도면 부호 "C"로 표시되는 높이 차를 형성함으로써, 가동 단자(231)는 유니트 하우징 베이스(130)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고정 단자의 인접한 고정 단자 간에 형성되는 높이 차에 의하여 조작자는 작동 모드가 중립 모드로부터 우측 차로 변경 모드를 신속하게 지나 우회전 모드로 변화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리턴 마그네트부(300)의 고정 마그네트(310)와 가동 마그네트(320) 간의 척력에 의하여 힘의 균형을 이루는 원위치, 즉 중립 모드로 원위치 복귀된다. 이때, 고정 단자(140)의 중립 단자(141)와 가동 단자(231)는 접속을 이루고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는 커넥터 단자(134)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는데, 제어부는 스티어링 휠(미도시)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휠 각 센서(steering wheel angle sensor;SAS)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우회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는 우측 방향 지시 램프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우측 방향 지시 램프를 점멸시키고, 우회전 상태가 우회전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우측 방향 지시 램프의 점멸 신호를 제거한다. 이와 동시에, 레버 스톱퍼(128)는 유니트 하우징(200)의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유니트 레버(20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각각의 유니트 레버의 회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창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레버 타입의 조향 라이트 스위치 유니트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리턴 마그네트부 및 높이차를 갖는 복수 개의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는 와이퍼 스위치 유니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등, 회동평면에 대하여 쌍을 이루며 배치되는 리턴 마그네트부를 구비하는 구성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가동 단자 및 가동 단자 장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고정 단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고정 단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중립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우측 차선 변경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우회전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중립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우측 차선 변경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의 우회전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100... 유니트 하우징부
200...유니트 레버 300...리턴 마그네트부

Claims (6)

  1. 유니트 하우징부;
    일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니트 레버;
    상기 유니트 레버의 상기 일단에 배치되는 가동 마그네트와,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가동 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고정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상기 유니트 레버의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대한 회동을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레버의 단부에는 가동 단자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단자 수용부에는 상기 고정 단자와 단속을 이루는 가동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단자 수용부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 단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동 단자 탄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단자에는 가동 단자 가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단자 수용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동부와 맞물리어 상기 가동 단자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가동 단자 가동부 대응부가 구비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회로기판은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접한 고정 단자 간에는 높이 차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니트 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레버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2020070014694U 2007-09-03 2007-09-03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200445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694U KR200445703Y1 (ko) 2007-09-03 2007-09-03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694U KR200445703Y1 (ko) 2007-09-03 2007-09-03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07U KR20090002307U (ko) 2009-03-06
KR200445703Y1 true KR200445703Y1 (ko) 2009-08-26

Family

ID=4128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694U KR200445703Y1 (ko) 2007-09-03 2007-09-03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0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838A (ja) * 1994-10-04 1996-04-23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2004326163A (ja) * 2003-04-21 2004-11-18 Alps Electric Co Ltd ストーク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838A (ja) * 1994-10-04 1996-04-23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2004326163A (ja) * 2003-04-21 2004-11-18 Alps Electric Co Ltd ストーク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07U (ko)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972B1 (ko)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80002373U (ko) 스위치 모듈
KR200445703Y1 (ko) 셀프 리턴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48349Y1 (ko) 접촉 시소 스위치 장치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20100070936A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42787Y1 (ko) 스위치 유니트
JP3114778B2 (ja) 車載用機器の操作装置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100026889A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KR100947171B1 (ko) 비접촉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2004707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CN213534918U (zh) 一种把手开关总成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KR101171651B1 (ko) 스위치 유니트
KR20170051702A (ko) 차량용 조립식 스위치 모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