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573Y1 -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73Y1
KR200445573Y1 KR2020070016038U KR20070016038U KR200445573Y1 KR 200445573 Y1 KR200445573 Y1 KR 200445573Y1 KR 2020070016038 U KR2020070016038 U KR 2020070016038U KR 20070016038 U KR20070016038 U KR 20070016038U KR 200445573 Y1 KR200445573 Y1 KR 200445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lt
adjustment
wid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201U (ko
Inventor
홍종택
Original Assignee
홍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택 filed Critical 홍종택
Priority to KR2020070016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7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96Door leaves with possibilities to alter the extension of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와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문틀에 설치되는 도어의 폭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하로 길게 도어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끝단이 삽입되면서 폭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문틀에 설치되는 경첩부가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조절바와, 상기 도어의 타측면과 조절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조절바 사이의 폭을 나사식으로 조절하는 다수개의 폭조절볼트와 상기 폭조절볼트에 의해 폭조절된 상기 도어와 조절바를 나사체결식으로 일체로 고정체결하는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로 이루어진 폭조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식 도어, 조절바, 폭조절볼트, 도어고정볼트, 폭조절부

Description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A hinged door which is easy to regulate width}
본 고안은 설치와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문틀에 설치되는 도어의 폭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하로 길게 도어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끝단이 삽입되면서 폭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문틀에 설치되는 경첩부가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조절바와, 상기 도어의 타측면과 조절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조절바 사이의 폭을 나사식으로 조절하는 다수개의 폭조절볼트와 상기 폭조절볼트에 의해 폭조절된 상기 도어와 조절바를 나사체결식으로 일체로 고정체결하는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로 이루어진 폭조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도어는 주택건설의 필수적인 물품으로 문틀의 크기에 꼭 맞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주택 건설에서 공사에 따라 벽체 두께가 항상 일정할 수는 없는 것이고 문틀도 그 규격이 있지만 일치하게 제작되기는 어려워 변화가 있게 마련이며, 상기 문틀을 규격에 따라 도어를 제작한다 하더라도 오차가 생기게 되어 주문 생산한 도어를 이에 부합되는 폭으로 그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등 제작된 도어를 문틀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도어를 문틀에 대보며 문틀의 폭에 맞게 깎아야 하는 과정을 밟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은 많은 도어를 문틀에 설치할 때마다 반복되는 작업으로서, 무거운 도어를 직접 손으로 들어 수작업하는 것이므로 매우 힘이 들고 실수하기도 쉬워 조금이라도 더 깎아내면 문틀에 도어의 폭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고가의 도어를 폐기처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닫이식 도어의 폭을 문틀에 꼭 맞게 제작하였다 하더라도 도어를 문틀에 고정할 때 그 높낮이를 맞추어 설치해야 하며, 이 경우 작업자가 무거운 도어를 직접 손으로 들고 문틀에 설치된 경첩에 피스못 등으로 도어를 고정하는데 한번에 꼭 맞게 일치되는 경우는 드물고 몇 차례 반복하여 그 높이를 맞추도록 되어 있으며 그 높이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된 피스못 등을 다시 떼어서 맞추는 과정을 반복한 다음 완전히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진행에 어려움이 많아 고도의 기술과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게 되고, 또 한번 도어를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어에 부착된 경첩이 마모되거나 피스못 등으로 고정된 부분이 헐거워져 느슨하게 풀리면 도어가 밑으로 처지게 되어 도어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도어와 문틀에 설치된 경첩을 전부 해체한 후 새로운 위치에 피스못 등을 체결하고 도어의 높낮이를 맞춘 다음 고정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틀과 맞지 않는 도어의 폭을 일치되도록 교정함에 있어서 도어를 깎지 않고도 쉽게 나사조절식으로 그 폭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폭조절시 생기는 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며, 무거운 도어를 손으로 직접 들지 않고 도어에 체결되는 도어고절볼트를 조절바에 나사체결한 상태에서 손쉽게 폭조절 및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위치조절되는 경첩부의 높이조절편을 따라 상기 조절바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문틀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도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의 긴 바형상으로 도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하로 길게 도어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끝단이 삽입되면서 폭조절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문틀에 설치되는 경첩부가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조절바와, 상기 도어의 타측면과 조절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조절바 사이의 폭을 나사식으로 조절하는 다수개의 폭조절볼트와 상기 폭조절볼트에 의해 폭조절된 상기 도어와 조절바를 나사체결식으로 일체로 고정체결하는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로 이루어진 폭조절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조절바의 타측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위치조절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높이조절편은 문틀에 고정설치되는 경첩의 암경첩편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편을 따라 조절바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경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맞지 않는 도어의 폭을 일치되도록 교정함에 있어서 도어를 깎거나 절단하지 않고도 나사조절식으로 그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폭조절시 생기는 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게 되며, 무거운 도어를 손으로 직접 들지 않고 도어에 체결되는 도어고정볼트를 조절바를 통해 나사체결한 상태에서 손쉽게 폭조절 및 고정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바에 끼움결합되면서 상하 위치조절되는 경첩부의 높이조절편을 따라 상기 조절바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도어가 문틀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그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여닫이식 도어(1)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6)에 설치되는 도어(3)의 폭을 간단하게 조절하여 그 설치와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도어(3)가 삽입 설치되는 조절바(2)와, 상기 도어(3)와 조절바(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폭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폭조절부(15)와, 상기 조절바(2)가 문틀(26)에 조립설치되도록 하면서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첩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바(2)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수직의 긴 바(bar)형상으로 도어(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하로 길게 도어삽입공간부(4)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3)의 타측끝단이 간격조절되면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경첩부(24)가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조절바(2)의 좌우양측에는 좌측면판(5)과 우측면판(6)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측면판(5)과 우측면판(6)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가로막(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막(7)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도어삽입공간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면판(5)과 우측면판(6)의 타측끝단에는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된 내외 한쌍의 돌출선(8a)(8b)이 상하로 길게 돌출형성되어 그 사이에 높이조절홈(9)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내외 한쌍의 돌출선(8a)과 돌출선(8b) 사이로 경첩부(24)의 높이조절편(25)이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면판(5)과 우측면판(6)은 일측의 도어삽입공간부(4)가 형성된 부분이 도어(3)의 폭을 조절할 때 생기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가려줄 수 있도록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도어(3)의 타측면과 가로막(7)사이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로서의 상기 가로막(7)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조절볼트조절공(1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되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은 폭조절볼트(16a)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도어(3)의 타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조절볼트체결공(11)과 일직선상에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볼트체결공(11)에 나사체결된 폭조절볼트(16a)의 타측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렌치공(20)이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에 일치되게 위치되어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을 통해 통상의 육각렌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폭조절볼트(16a)를 나사식으로 풀거나 조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이 천공된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쪽 가로막(7)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볼트관통공(12a)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a)은 도어(3)의 타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3a)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a)과 고정볼트체결공(13a)을 통해 도어고정볼트(17a)의 고정용숫나사부(21a)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조 절바(2)와 도어(3)가 일체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가로막(7)의 제 2실시예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조절볼트관통공(14a)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되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은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에 폭조절볼트(16b)가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은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볼트(16b)의 타측끝단에는 렌치공(20)이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육각렌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에 관통체결된 폭조절볼트(16b)를 나사식으로 풀거나 조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이 천공된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쪽 가로막(7)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볼트관통공(12b)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b)은 도어(3)의 타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3b)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b)과 고정볼트체결공(13b)을 통해 도어고정볼트(17b)의 고정용숫나사부(21b)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조절바(2)와 도어(3)가 일체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조절부(15)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의 타측면과 조절바(2)의 가로막(7) 사이의 간격을 나사식으로 조절하는 다수개의 폭조절볼트(16a)(16b)와 폭조절된 상기 도어(3)와 조절바(2)를 일체로 고정체결하는 다수 개의 도어고정볼트(17a)(17b)로 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 1실시예에 적용되는 폭조절볼트(16a)로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볼트(16a)는 일측에 체결용숫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3)의 조절볼트체결공(11)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나사결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조절볼트조절공(10)이 천공된 부분의 가로막(7)에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판(19)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끝단 가운데부분에는 렌치공(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막(7)의 조절볼트조절공(10)을 통해 렌치공(20)에 통상의 육각렌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체결하여 상기 체결용숫나사부(18)가 도어(3)의 조절볼트체결공(11)에 나사체결된 상태의 폭조절볼트(16a)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도어삽입공간부(4)내에서 폭조절볼트(16a)의 지지판(19)이 가로막(7)쪽으로 인접되거나 멀어져 상기 도어고정볼트(17a)로 도어(3)와 조절바(2)를 고정체결할 경우 상기 폭조절볼트(16a)의 지지판(19)이 가로막(7)의 일측면에 맞닿아 도어(3)와 조절바(2) 사이의 폭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17a)는 일측에 고정용숫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바(2)의 고정볼트관통공(12a)과 도어(3)의 고정볼트체결공(13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고정용헤드부(22a)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폭조절볼트(16a)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폭조절된 조절바(2)와 도어(3)를 도어고정볼트(17a)로 일체로 고정체결할 경우 상기 폭조절볼트(16a)의 지지판(19)과 도어고정볼트(17a)의 고정용헤드부(22a)가 가로 막(7)을 경계로 양측면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3)와 조절바(2)가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고정볼트(17a)의 타측끝단 가운데부분에는 렌치공(20)이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육각렌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도어고정볼트(17a)를 용이하게 풀거나 조이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폭조절볼트(16b)로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폭조절볼트(16b)는 돌출된 헤드부가 없는 직선형의 볼트로서 외주면 전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끝단은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은 가운데부분에 렌치공(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막(7)의 가운데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조절볼트관통공(14a)에 각각 폭조절볼트(16b)가 나사체결되면서 평평한 면으로 된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볼트(16b)의 타측끝단에 형성된 렌치공(20)에 통상의 육각렌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체결하여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에 관통체결된 폭조절볼트(16b)를 나사식으로 풀거나 조임으로써 도어삽입공간부(4)내에서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도어(3)의 타측면쪽으로 인접되거나 멀어져 상기 도어고정볼트(17b)로 도어(3)와 조절바(2)를 고정체결할 경우 상기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지지되어 도어(3)와 조절바(2) 사이의 폭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17b)는 일측에 고정용숫나사부(21b)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바(2)의 고정볼트관통공(12b)과 도어(3)의 고정볼트체결공(13b)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고정용헤드부(22b)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폭조절볼트(16b)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폭조절된 도어(3)와 조절바(2)를 도어고정볼트(17b)로 일체로 고정체결할 경우 상기 도어고정볼트(17b)의 고정용헤드부(22b)가 가로막(7)의 타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도어(3)와 조절바(2)가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고정볼트(17b)의 타측끝단 가운데부분에는 렌치공(20)이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육각렌치 등으로 도어고정볼트(17b)를 용이하게 풀거나 조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폭조절볼트(16a)(16b)와 도어고정볼트(17a)(17b)는 타측끝단 가운데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렌치공(20 대신 "+"자형 홈이나 "-"자형 홈을 형성하여 통상의 드라이버(driver) 등으로 상기 폭조절볼트(16a)(16b)나 도어고정볼트(17a)(17b)를 풀거나 조일 수도 있다.
상기 경첩부(24)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2)의 타측에 끼움결합되어 상하 위치조절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편(25)과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편(25) 및 문틀(26)에 고정체결되는 경첩(27)으로 되어 있되, 상기 높이조절편(25)은 조절바(2)의 타측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선(8a)과 돌출선(8b) 사이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하 위치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편(25)에는 다수개의 나사 구멍(28a)이 천공되어 있어 상하 높이조절된 높이조절편(25)과 인접된 상기 암경첩편(29)이 외측 돌출선(8a)과 돌출선(8b)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외측 돌출선(8a)과 돌출선(8b)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홈(9)을 통해 암경첩편(29)에 형성된 나사구멍(28b)과 높이조절편(25)의 나사구멍(28a)에 고정나사(30)를 나사체결하여 높이조절편(25)과 암경첩편(29)의 각 좌우측부분이 외측 돌출선(8a)과 돌출선(8b)의 각 끝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첩(27)은 문틀(26)에 고정체결되는 수경첩편(31)과 높이조절편(25)에 고정체결되는 암경첩편(29)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경첩편(31)은 가운데 부분에 도어(3)를 닫았을 경우 암경첩편(29)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암경첩편삽입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첩(27)의 수경첩편(31)이 문틀(26)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암경첩편(29)과 높이조절편(25)의 고정나사(30)를 느슨하게 나사체결하여 상기 조절바(2)가 높이조절편(25)을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어 문틀(26)에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암경첩편(29)과 높이조절편(25)의 고정나사(30)를 다시 견고하게 나사체결하여 상기 조절바(2)에 고정체결되는 도어(3)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3)의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3)가 밑으로 처지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바(2)에 끼움결합된 높이조절편(25)을 상하 위치조절 하여 원위치로 고정함으로써 경첩(27)을 전부 해체한 후 다시 설치하는 번거로움없이 조절바(2)에 끼워진 도어(3)를 원위치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문틀(26)에 조절바(2)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문틀(26)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조절바(2)를 절단 형성한 다음 상기 조절바(2)의 타측에 형성된 내외 한쌍의 돌출선(8a)과 돌출선(8b) 사이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편(25)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각 높이조절편(25)과 외측 돌출선(8a)와 돌출선(8b)를 사이에 두고 경첩(27)의 암경첩편(29)을 마주보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30)로 나사체결하고 상기 경첩(27)의 수경첩편(31)은 문틀(26)에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암경첩편(29)과 높이조절편(25)의 고정나사(30)를 느슨하게 나사체결하여 상기 조절바(2)가 높이조절편(25)을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어 문틀(26)에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 뒤 상기 암경첩편(29)과 높이조절편(25)의 고정나사(30)를 다시 견고하게 나사체결하여 상기 조절바(2)에 고정체결되는 도어(3)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바(2)에 도어(3)를 설치하기 위한 제 1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의 타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조절볼트체결공(11)에 각각 폭조절볼트(16a)의 체결용숫나사부(18)를 나사체결한 상태에서 도어(3)의 타측면을 조절바(2)의 도어삽입공간부(4)에 삽입하되 상기 폭조절볼트(16a)의 지지 판(19)을 조절바(2)의 조절볼트조절공(10)이 천공된 부분의 조절바(2) 일측면에 인접되도록 밀착되게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을 통해 통상의 육각렌치 등으로 폭조절볼트(16a)를 풀거나 조여줌으로써 도어(3)의 타측면이 도어삽입공간부(4)내에서 가로막(7)쪽으로 인접되거나 멀어져 도어(3)의 폭이 나사식으로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3)가 일정간격으로 폭조절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바(2)의 고정볼트관통공(12a)과 도어(3)의 고정볼트체결공(13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도어고정볼트(17a)를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상기 조절바(2)와 도어(3)가 폭조절된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바(2)에 도어(3)를 설치하기 위한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2)에 천공된 다수개의 조절볼트관통공(14a)에 각각 폭조절볼트(16b)를 나사체결한 상태에서 도어(3)의 타측면을 조절바(2)의 도어삽입공간부(4)에 삽입하되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에 나사체결된 폭조절볼트(16b)를 풀거나 조여 상기 도어삽입공간부(4)쪽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밀착되게 위치되어 도어(3)의 타측면이 도어삽입공간부(4)내에서 조절바(2)의 가로막(7)쪽으로 인접되거나 멀어져 도어(3)의 폭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3)가 폭조절볼트(16b)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폭조절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바(2)의 고정볼트관통공(12b)과 도어(3)의 고정볼트체결공(13b)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도어고정볼트(17b)를 나사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상기 조절바(2)와 도어(3)가 폭조절된 상태에서 일체로 고정체결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여닫이식 도어 2. 조절바
3. 도어 4. 도어삽입공간부
5. 좌측면판 6. 우측면판
7. 가로막 8a, 8b. 돌출선
9. 높이조절홈 10. 조절볼트조절공
11. 조절볼트체결공 12a, 12b. 고정볼트관통공
13a, 13b. 고정볼트체결공 14a, 14b. 조절볼트관통공
15. 폭조절부 16a, 16b. 폭조절볼트
17a, 17b. 도어고정볼트 18. 체결용숫나사부
19. 지지판 20. 렌치공
21a, 21b. 고정용숫나사부 22a, 22b. 고정용헤드부
23. 조절홈 24. 경첩부
25. 높이조절편 26. 문틀
27. 경첩 28a, 28b. 나사구멍
29. 암경첩편 30. 고정나사
31. 수경첩편 32. 암경첩편삽입공간

Claims (7)

  1. 수직의 긴 바형상으로 도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좌우양측에는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가로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막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도어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끝단이 삽입되면서 폭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조절바와,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나사체결된 상태로 상하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폭조절볼트가 구비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면에서 나사식으로 풀리거나 조여지면서 상기 도어와 조절바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와, 상기 조절바의 타측에 조립설치되며 상기 문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암,수경첩편으로 이루어진 경첩이 구비되어 있는 경첩부로 구성된 여닫이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24)는 조절바(2)의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끼움결합되어 상하 위치조절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편(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높이조절편(25)은 상기 경첩(27)의 암경첩편(29)과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높이조절편(25)을 따라 조절바(2)의 높낮이가 상하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폭조절부(15)는 각 폭조절볼트(16a)의 타측끝단이 상기 가로막(7)의 일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폭조절볼트(16a)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조절바(2)의 가로막(7)과 도어(3)의 타측면을 수평방향으로 차례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폭조절볼트(16a)에 의해 폭조절된 조절바(2)와 도어(3)를 일체로 고정체결하는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17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막(7)은 가운데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조절볼 트조절공(1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되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은 폭조절볼트(16a)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도어(3)의 타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조절볼트체결공(11)과 일직선상에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폭조절볼트(16a)의 타측끝단에 형성된 렌치공(20)이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에 일치되게 위치되어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을 통해 통상의 육각렌치로 폭조절볼트(16a)를 나사식으로 풀거나 조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이 천공된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쪽 가로막(7)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볼트관통공(12a)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a)은 도어(3)의 타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3a)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a)과 고정볼트체결공(13a)을 통해 도어고정볼트(17a)가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볼트(16a)는 일측에 체결용숫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3)의 조절볼트체결공(11)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끝단 외주면에는 조절볼트조절공(10)이 천공된 부분의 가로막(7)에 맞닿아 지지되는 지지판(19)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타측끝단 가운데부분에는 렌치공(20)이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육각렌치로 상기 조절볼트조절공(10)을 통해 조절볼트체결공(11)에 나사체결된 상태의 폭조절볼트(16a)를 풀거나 조여 도어삽입공간부(4)내에서 폭조절볼트(16a)의 지지판(19)이 가로막(7)쪽 으로 인접되거나 멀어지면서 도어(3)와 조절바(2) 사이의 폭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고정볼트(17a)는 일측에 고정용숫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바(2)의 고정볼트관통공(12a)과 도어(3)의 고정볼트체결공(13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고정용헤드부(22a)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폭조절볼트(16a)의 지지판(19)과 도어고정볼트(17a)의 고정용헤드부(22a)가 가로막(7)을 경계로 양측면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3)와 조절바(2)가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4. 수직의 긴 바형상으로 도어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좌우양측에는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좌측면판과 우측면판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가로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막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도어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끝단이 삽입되면서 폭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의 가로막에 수평방향으로 관통체결된 상태로 상하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폭조절볼트가 귑되어 있어 도어의 타측면에서 나사식으로 풀리거나 조여지면서 상기 도어와 조절바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와, 상기 조절바의 타측에 조립설치되며 상기 문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암,수경첩편으로 이루어진 경첩이 구비되어 있는 경첩부로 구성된 여닫이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24)는 조절바(2)의 타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끼움결합되어 상하 위치조절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편(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높이조절편(25)은 상기 경첩(27)의 암경첩편(29)과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높이조절편(25)을 따라 조절바(2)의 높낮이가 상하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폭조절부(15)는 각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상기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폭조절볼트(16b)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조절바(2)의 가로막(7)과 도어(3)의 타측면을 수평방향으로 차례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폭조절볼트(16b)에 의해 폭조절된 조절바(2)와 도어(3)를 일체로 고정체결하는 다수개의 도어고정볼트(17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막(7)은 가운데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조절볼트관통공(14a)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되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은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에 폭조절볼트(16b)가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은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이 천공된 부분의 상부 또는 하부쪽 가로막(7)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볼트관통공(12b)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b)은 도어(3)의 타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체결공(13b)과 부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관통공(12b)과 고정볼트체결공(13b)을 통해 도어고정볼트(17b)가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볼트(16b)는 돌출된 헤드부가 없 는 직선형의 볼트로서 외주면 전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끝단은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 가로막(7)의 가운데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조절볼트관통공(14a)에 각각 나사체결되면서 평평한 면으로 된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도어(3)의 타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절볼트관통공(14a)에 관통체결된 폭조절볼트(16b)를 나사식으로 풀거나 조여 도어삽입공간부(4)내에서 폭조절볼트(16b)의 일측끝단이 도어(3)의 타측면쪽으로 인접되거나 멀어지면서 도어(3)와 조절바(2) 사이의 폭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고정볼트(17b)는 일측에 고정용숫나사부(21b)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바(2)의 고정볼트관통공(12b)과 도어(3)의 고정볼트체결공(13b)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에는 고정용헤드부(22b)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폭조절볼트(16b)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폭조절된 도어(3)와 조절바(2)를 도어고정볼트(17b)로 일체로 고정체결할 경우 상기 도어고정볼트(17b)의 고정용헤드부(22b)가 가로막(7)의 타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도어(3)와 조절바(2)가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편(25)은 조절바(2)의 타측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선(8a)과 돌출선(8b) 사이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하 위치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나사구멍(28a)이 천공되어 있어 상하 높이조절된 높이조절편(25)과 인접된 상기 암경첩편(29)이 외측 돌출선(8a)과 돌출선(8b)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외측 돌출선(8a)과 돌출선(8b)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홈(9)을 통해 암경첩편(29)에 형성된 나사구멍(28b)과 높이조절편(25)의 나사구멍(28a)에 고정나사(30)를 나사체결하여 높이조절편(25)과 암경첩편(29)의 각 좌우측부분이 외측 돌출선(8a)과 돌출선(8b)의 각 끝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첩(27)은 문틀(26)에 고정체결되는 수경첩편(31)과 높이조절편(25)에 고정체결되는 암경첩편(29)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KR2020070016038U 2007-10-01 2007-10-01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KR200445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038U KR200445573Y1 (ko) 2007-10-01 2007-10-01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038U KR200445573Y1 (ko) 2007-10-01 2007-10-01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01U KR20090003201U (ko) 2009-04-06
KR200445573Y1 true KR200445573Y1 (ko) 2009-08-14

Family

ID=4135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038U KR200445573Y1 (ko) 2007-10-01 2007-10-01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60B1 (ko) * 2018-03-13 2018-12-24 서원상협(주) 문틀에 맞게 도어 폭이 가변되어 설치되는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53A (ja) * 2002-03-26 2003-10-02 Daiken Trade & Ind Co Ltd 框 戸
JP2006125111A (ja) * 2004-10-29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巾調整可能なドア
KR100623085B1 (ko) * 2004-11-03 2006-09-19 주식회사 그라스텍 유리도어 힌지바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53A (ja) * 2002-03-26 2003-10-02 Daiken Trade & Ind Co Ltd 框 戸
JP2006125111A (ja) * 2004-10-29 2006-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巾調整可能なドア
KR100623085B1 (ko) * 2004-11-03 2006-09-19 주식회사 그라스텍 유리도어 힌지바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60B1 (ko) * 2018-03-13 2018-12-24 서원상협(주) 문틀에 맞게 도어 폭이 가변되어 설치되는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01U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3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ing closures
US9644411B2 (en) Adjustable hinge
HK1074472A1 (en) Assembly comprising a door leaf and hinges, and a shower stall
US20030177607A1 (en) Hinge
WO2011122987A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межкомнатной двери и монтаж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445573Y1 (ko) 폭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US20050251961A1 (en) Adjustable hinge structure
KR100867416B1 (ko) 폭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KR200414430Y1 (ko) 높이 조절 경첩
JPH09209485A (ja) カーテンウオールのファスナー
US20050198776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glass doors
KR101077987B1 (ko)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KR200180536Y1 (ko) 출입문용 경첩
KR200393393Y1 (ko)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KR200446183Y1 (ko) 천정판 클램프
KR970003372Y1 (ko) 문짝틀의 수직간격 조절장치
KR200212115Y1 (ko) 상·하 유동 경첩
US20240133207A1 (en) Vertically adjustable strike plate
AU2017200599A1 (en) Improvements in door handle assemblies
KR100467097B1 (ko) 건축용 폭조절용 거푸집
JPH09137662A (ja) 蝶番および蝶番装置
KR200185085Y1 (ko) 포스트형 옷걸이
KR200361332Y1 (ko) 창호용 손잡이
KR200233669Y1 (ko) 문짝설치용 경첩
US20100058698A1 (en) Decorative plastic batten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