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479Y1 - 제관용기 - Google Patents

제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479Y1
KR200445479Y1 KR2020080015947U KR20080015947U KR200445479Y1 KR 200445479 Y1 KR200445479 Y1 KR 200445479Y1 KR 2020080015947 U KR2020080015947 U KR 2020080015947U KR 20080015947 U KR20080015947 U KR 20080015947U KR 200445479 Y1 KR200445479 Y1 KR 200445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ead
cap
spou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열
영 수 서
Original Assignee
(주)동원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제관 filed Critical (주)동원제관
Priority to KR2020080015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and rotating preformed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주출구와 캡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에는 최상부 수나사산을 제외하고 하부로부터 나사산을 따라 이격되게 적어도 3개의 골이 형성되며, 상기 주출구와 스크류체결되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측면 상부의 스크류가 끝나는 위치 및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2개의 홈이 형성된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스크류 형상의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사이의 미세틈을 통해 하부로부터 물이 흡수되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관용기, 물흡수방지수단, 주출구, 캡, 나사산, 스크류, 골, 홈

Description

제관용기{Cans}
본 고안은 제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상부로 돌출된 주출구 외측면의 스크류형상의 수나사산에 다수개의 골을 형성하거나 또는 캡의 측면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관용기 내부로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공업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관(각관, 환관)용기는 경화제나 페인트, 또는 다수의 화학제품을 수납하는 통으로서, 제관(각관, 환관)용기는 주로 철재로 성형하며, 육면체의 용기를 각관, 원통형의 용기를 환관이라 한다.
이와 같은 제관용기에 수납되는 경화제와 같은 물질은 특성상 물과 접촉을 극히 주의해야 하므로, 제관용기에 경화제를 충진한 후 개봉손잡이가 부착된 PVC 마개를 이용하여 제관용기의 주출구를 1차로 밀봉하고, 주출구의 스크류 나사산과 결합하는 대응되는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캡으로 2차 밀봉한다.
이와 같이 밀봉된 경화제는 작업현장에서 사용할 때에는 2개의 밀봉수단을 역으로 개봉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남은 경화제는 마개와 캡으로 재차 밀봉하여 차후에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 사용후 방치되는 제관용기 상부면에 빗물 등이 고이는 경우 2차 밀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화제 제관용기 내부로 모세관현상으로 인한 물이 스며들어 경화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곤 했다.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 속에 폭이 좁고 긴 관을 넣었을 때, 관 내부의 액체 표면이 외부의 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에 의한 현상이다. 흡수지나 천에 물이 저절로 스며드는 것도 흡수지나 천의 섬유가 모세관 구실을 하여 물을 빨아올리기 때문이며, 뿐만아니라 식물의 뿌리에서 무기양분과 물을 흡수하는 것도 모세관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의 제관용기의 외형을 변형함이 없이 용기의 주출구와 캡의 구조를 개선시켜 제관용기 내부로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고안에 소개되는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화제 등을 수납하는 제관용기의 주출구 및/또는 캡에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용기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주출구와 캡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출구의 수나사산과 상기 캡의 암나사산 사이로 스크류를 따라 하부로부터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물흡수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물흡수방지수단은
상기 주출구의 최상부 수나사산을 제외한 수나사산에 나사산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삭제
삭제
상기 골은 적어도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에 주출구와 캡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출구의 수나사산과 상기 캡의 암나사산 사이로 스크류를 따라 하부로부터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물흡수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물흡수방지수단은
상기 캡의 측면 상부의 스크류가 끝나는 위치 및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홈은 적어도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관용기는
상부에 주출구와 캡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에는 최상부 수나사산을 제외하고 하부로부터 나사산을 따라 이격되게 적어도 3개의 골이 형성되며,
상기 주출구와 스크류체결되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측면 상부의 스크류가 끝나 는 위치 및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2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관용기의 상부 주출구의 스크류의 나사산에 다수개의 골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 형상의 주출구의 수나사산과 캡의 암나사산의 미세틈을 따라 물이 스며드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캡의 측면 상부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유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크류 형상의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사이의 미세틈으로 물이 흡수되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출구 물흡수방지수단의 확대도 및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가 밀봉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는 제관용기(10)의 본체 상부에 돌출 형성된 주출구(20)와 캡(30)에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관용기(10)는 상부면(14) 및 하부면(미도시)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 턱(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출턱(16)은 본체(12)와 상부면(14) 및 하부면을 접합(seaming)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상부면(14)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턱(16)에 의해 제관용기(10) 상부면에는 물이 고여질 수 있게 된다.
주출구(20)는 제관용기(10)의 상부면(14)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주출구(20)가 상부면(14)과 일체로 형성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출구를 별도로 제작한 후 대응되는 적정크기의 구멍을 구비한 상부면에 용접등을 이용하여 접합시켜도 무방하다.
캡(30)은 내측면에 주출구(20)의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캡(30)과 주출구(20)는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회전하며 스크류체결되어 밀봉되는 것이다.
주출구(20)와 캡(30)에 형성된 나사산의 개수는 제관용기(10) 상부면의 돌출턱의 높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은 제관용기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제관용기(10)는 주출구(20)의 보다 완벽한 밀봉을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주출구에 끼움결합되며, 당겨 열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내부캡(40)이 더 포함된다.
물흡수방지수단의 제1 실시예(이하, '제1 물흡수방지수단' 이라 함)는 주출구(20)의 스크류형상 수나사산(22)에 골(25)을 다수개 형성한 것으로, 주출구(20)의 최상부 나사산을 제외하고 그 외 나사산에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나사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의 골(25)을 형성한다. 골(25)은 스크류 나사산을 따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부로부터 상부로 흡수되는 물을 다시 하부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골(25)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된 물은 모두 하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최상부 나사산에 골을 형성하지 않는 이유는 첫째, 하부로부터 상부로 스크류 나사산을 따라 흡수되는 물이 스크류 중간의 나사산(22)에 형성된 다수개의 골(25)에서 하부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이다. 둘째, 최상부 나사산에 골을 형성하게 되면 밀봉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써, 나사산에 3개의 골을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적어도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주출구(20)의 수나사산에 골(25)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관용기(10)의 상부면(14)에 주출구를 성형시키기 위한 금형(미도시)의 스크류 나사산 부분 중 일부를 소정폭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물흡수방지수단의 제2 실시예(이하, '제2 물흡수방지수단' 이라 함)는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된 캡(30)의 측면 상부의 스크류가 끝나는(또는 시작되는) 위치 및 대응되는 반대위치 각각에 작은치수의 직경으로 된 관통 홈(35)을 형성한 것이다.
캡(30)에 형성된 홈(35)은 캡(30)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켜 유입된 공기압력에 의해 스크류 형상의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사이의 미세틈으로 물이 흡수되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관용기(10) 상부면(14)에 고인 물은 모 세관 현상에 의해 스크류 형상의 캡(30)의 암나사산과 주출구(20)의 수나사산 사이의 미세틈으로 나선형으로 흡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때, 흡수되는 물이 주출구(20)의 수나사산에 형성된 첫번째 골(25-1)에 도착하면, 흡수된 물은 하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후, 미쳐 빠져나가지 못한 물은 여전히 스크류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두번째 골(25-2)에 도착하면 물은 다시 하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된 물이 주출구(20) 상부를 넘어가지 않게 된다. 즉, 제관용기 내부로 물이 흡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관용기(10) 상부면(14)에 계속되는 물 공급에 의해 흡수되는 물이 수나사산에 형성된 골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는 효율이 떨어질지라도, 캡(3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홈(35)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제관용기 내부로 물이 흡수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및 제2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출구 제1 물흡수방지수단의 확대도 및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및 제2 물흡수방지수단을 구비한 제관용기가 밀봉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관용기 12: 본체
14: 상부면 16: 돌출턱
20: 주출구 22: 나사산
25: 골 301: 캡
35: 홈

Claims (6)

  1. 상부에 주출구와 캡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출구의 수나사산과 상기 캡의 암나사산 사이로 스크류를 따라 하부로부터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물흡수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물흡수방지수단은
    상기 주출구의 최상부 수나사산을 제외한 수나사산에 나사산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은 적어도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용기.
  4. 삭제
  5. 삭제
  6. 상부에 주출구와 캡을 구비한 제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산에는 최상부 수나사산을 제외하고 하부로부터 나사산을 따라 이격되게 적어도 3개의 골이 형성되며,
    상기 주출구와 스크류체결되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측면 상부의 스크류가 끝나는 위치 및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2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용기.
KR2020080015947U 2008-12-01 2008-12-01 제관용기 KR200445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47U KR200445479Y1 (ko) 2008-12-01 2008-12-01 제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47U KR200445479Y1 (ko) 2008-12-01 2008-12-01 제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479Y1 true KR200445479Y1 (ko) 2009-08-04

Family

ID=4135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947U KR200445479Y1 (ko) 2008-12-01 2008-12-01 제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7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843U (ja) * 1984-07-24 1986-02-19 株式会社 柴崎製作所 易洗浄型瓶口構造
JPH0182152U (ko) * 1987-11-20 1989-06-01
JP2000177762A (ja) * 1998-12-16 2000-06-27 Japan Crown Cork Co Ltd 加熱殺菌乃至滅菌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樹脂製キャップ
JP2001130605A (ja) 1999-10-29 2001-05-15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容器口部まわりの処理方法と合成樹脂製の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843U (ja) * 1984-07-24 1986-02-19 株式会社 柴崎製作所 易洗浄型瓶口構造
JPH0182152U (ko) * 1987-11-20 1989-06-01
JP2000177762A (ja) * 1998-12-16 2000-06-27 Japan Crown Cork Co Ltd 加熱殺菌乃至滅菌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樹脂製キャップ
JP2001130605A (ja) 1999-10-29 2001-05-15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容器口部まわりの処理方法と合成樹脂製の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8031736B3 (de) Schraubdeckel
CN108025840A (zh) 带有盖帽装置的容器闭合件
US20110290756A1 (en) Threaded cap
KR200445479Y1 (ko) 제관용기
US20110226721A1 (en) Threaded closure assembly
DE102016110807B4 (de) Trinkbehälter mit einer Befüllöffnung und einer Trinköffnung
CN104150078B (zh) 防渗漏瓶盖
DE19858237C2 (de) Adapter für enterale Überleitgeräte
CN204587629U (zh) 一种新型密封结构塑料盖
CN112896780A (zh) 一种防回旋螺纹口玻璃滴管瓶
CN206345204U (zh) 乳液泵
CN207654750U (zh) 一种密封性能好的超临界co2萃取釜
CN206631257U (zh) 化学液气液分离器
CN106000501B (zh) 一种高密封性离心管
CN204642564U (zh) 座式弯曲吸管盖
RU29289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5206278U (zh) 一种按压式霜膏盒
CN202924050U (zh) 一种针插式液体容器
CN219750512U (zh) 一种具有硅胶阀的容器瓶盖
CN203999054U (zh) 双向水帽处理装置
CN110065721A (zh) 一种饮水机水桶盖及使用该水桶盖的水桶
CN212557500U (zh) 一种带有止回阀出液功能的海绵盖
CN218056457U (zh) 一种液体软包装袋的密封组件
CN208980358U (zh) 一种超纯水机出水灌头
CN106742665A (zh) 一种液体包装瓶及其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