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64Y1 - 모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64Y1
KR200445364Y1 KR20070013287U KR20070013287U KR200445364Y1 KR 200445364 Y1 KR200445364 Y1 KR 200445364Y1 KR 20070013287 U KR20070013287 U KR 20070013287U KR 20070013287 U KR20070013287 U KR 20070013287U KR 200445364 Y1 KR200445364 Y1 KR 200445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hole
transfer
shaft
position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3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459U (ko
Inventor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필
Priority to KR20070013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6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02P1/2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in either direction of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방향 회전력과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정역모터의 정방향회전동작과 역방향회전동작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터제어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표면에 이동전달축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이동전달축과; 상기 이동전달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안내봉과; 각각 외표면에 위치조절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전달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과; 각각 내주면에 상기 위치조절나사부에 대응하는 블럭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공의 둘레영역에는 조절축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조절공과 상기 조절축통과공에 상기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과; 내주면에 상기 이동전달축나사부에 대응하는 이동판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전달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전달축공의 둘레영역에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이동전달축공에 상기 이동전달축이 통과하고 상기 안내공에 상기 안내봉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전달판과; 상시온상태의 접점부와 외부로부터의 가압동작시 상기 접점부를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레버를 가지고, 상기 정역모터와 모터구동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이동전달판의 접근시 상기 레버가 상기 이동전달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위치조절블럭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에 의해, 이동위치조절작업이 용이하고 일방향의 이동위치조절이 가능해진다.
정역모터, 이동위치조절축, 이동전달판, 리미트스위치

Description

모터제어장치{Motor Control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전기연결도,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동작 및 조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9는 일반적인 무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10은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평면도,
도11은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
도12는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전기연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1, 121 : 이동전달축
22 : 안내봉 23 : 이동위치조절축
24, 124 : 조작패널 30, 130 : 위치조절블럭
31 : 스위치안착부 32 : 격벽부
40 : 이동전달판 41 : 가압판체
42 : 전달축공관 50 : 리미트스위치
101 : 도전판 105 : 도전통
106 : 도전볼 201 : 구동부
본 고안은 모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방향 회전력과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정역모터의 정방향회전동작과 역방향회전동작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 배경을 설치하기 위한 무대장치와 같이 정역모터의 정방향회전력과 역방향회전력을 이용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9는 일반적인 무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무대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모터(201a)를 갖는 구동부(201)와, 정역모터(201a)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드럼(202)과, 드럼(202)에 감겨진 와이어로프(203)와, 와이어로프(203)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래(204)와, 와이어로프(203)의 자유단에 고정된 조물걸이대(205)를 갖고 있다.
구동부(201)는 정역모터(201a)에 연결된 감속기(201b)를 갖고 있다.
드럼(202)은 감속기(201b)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무대장치는 정역모터(201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물걸이대(205)를 지면에 대하여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물걸이대(205)의 지면에 대한 내림위치 또는 올림위치는 정역모터(201a)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
전술한 무대장치의 경우 조물걸이대(205)를 지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로 하강시킨 후 다시 정해진 위치로 정확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정역모터(201a)의 회전수를 제한하기 위한 모터제어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11은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이며, 도12는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전기연결도이다.
종래의 모터제어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2)상에 부착된 한 쌍의 장방형상 도전판(101)과, 도전판(101)의 양측에서 나란하도록 바닥판(102)에 기립 설치된 한 쌍의 지지벽(103)과, 한 쌍의 지지벽(103)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동전달축(121)과, 이동전달축(121)에 나사 결합된 위치조절블럭(130)과, 모터구동전원과 도전판(101)사이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버튼이 형성된 조작패널(124)과, 도전판(101)에 접촉하도록 위치조절블럭(130)의 저면에 설치된 도전통(105)과 도전볼(106)을 갖고 있다.
한 쌍의 도전판(101)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바닥판(102)에 부착되어 있다.
이동전달축(121)은 외표면에 이동전달축나사부(121a)가 형성되어 있고, 감속기(201b)에 체인결합되어 있다.
조작패널(124)은 정방향회전버튼(124a)과 역방향회전버튼(124b)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전판(101)의 전기적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다(도12 참조).
상측의 도전판(101)은 각각 조작패널(124)의 역방향회전버튼(124b)과 정역모터(201a)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역방향회전버튼(124b)은 모터구동전원(206)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측의 도전판(101)은 조작패널(124)의 정방향회전버튼(124a)과 정역모터(201a)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정방향회전버튼(124a)은 모터구동전원(206)에 연결된다.
도전통(105)과 도전볼(106)은 도전판(101)의 이격거리보다 큰 길이구간에 걸쳐 배치되고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치조절블럭(130)을 도전판(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도전판(1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방향회전버튼(124a)을 조작하면 정방향모터구동전압이 정역모터(201a)에 공급되고 정역모터(201a)는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정역모터(201a)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전달축(121)은 회전하고 위치조절블럭(130)은 이동전달축(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위치조절블럭(130)이 도전판(101)의 중첩구간을 벗어나면 정역모터(201a)에 공급되는 정방향모터구동전압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정역모터(201a)의 정방향회전 동작이 중지된다.
정역모터(201a)의 정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되면 조물걸이대(205)의 내림동작은 중지되고 조물걸이대(205)는 원하는 내림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역방향회전버튼(124b)을 조작하면 역방향모터구동전압이 정역모터(201a)에 공급되고 정역모터(201a)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정역모터(201a)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전달축(121)은 반대방향으로(정역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회전하고 위치조절블럭(130)은 반대방향으로(정역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동전달축(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위치조절블럭(130)이 도전판(101)의 중첩구간을 벗어나면 정역모터(201a)에 공급되는 역방향모터구동전압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정역모터(201a)의 역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된다.
정역모터(201a)의 역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되면 조물걸이대(205)의 올림동작은 중지되고 조물걸이대(205)는 원하는 올림위치에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모터제어장치는 199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4561호(고안의 명칭 : 무대장치용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모터제어장치에 따르면, 조물걸이대(205)의 올림위치(지면에 대하여)와 내림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도전판(101)을 바닥판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중첩길이구간이 달라지도록 도전판(101)을 다시 바닥판(102)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위치조절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전판(101)의 중첩길이구간을 달리하는 경우 조물걸이대(205)의 올림위치와 내림위치가 함께 변경되기 때문에 조물걸이대(205)의 올림위치 또는 내림위치 중 어느 일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위치조절작업이 용이하고 일방향의 이동위치조절이 가능한 모터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정방향 회전력과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정역모터의 정방향회전동작과 역방향회전동작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터제어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표면에 이동전달축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이동전달축과; 상기 이동전달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안내봉과; 각각 외표면에 위치조절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전달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과; 각각 내주면에 상기 위치조절나사부에 대응하는 블럭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공의 둘레영역에는 조절축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조절공과 상기 조절축통과공에 상기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과; 내주면에 상기 이동전달축나사부에 대응하는 이동판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전달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전달축공의 둘레영역에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이동전달축공에 상기 이동전달축 이 통과하고 상기 안내공에 상기 안내봉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전달판과; 상시온상태의 접점부와 외부로부터의 가압동작시 상기 접점부를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레버를 가지고, 상기 정역모터와 모터구동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이동전달판의 접근시 상기 레버가 상기 이동전달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위치조절블럭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이동전달판과 이동전달축사이의 나사결합이동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전달판은 고정공과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판체와, 상기 가압판체의 두께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상기 이동전달축공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전달축공이 상기 가압판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설치되는 전달축공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역모터와 모터구동전원사이의 전기적 차단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각 위치조절블럭에 대하여 한 쌍씩 직렬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전기연결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결합된 이동전달축(21), 한 쌍의 안내봉(22) 및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23)과, 이동위치조절축(23)에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30)과, 이동전달축(21)에 설치되는 이동전달판(40)과, 위치조절블럭(30)에 설치되는 4개의 리미트스위치(50)와, 모터구동전원(206)과 리미트스위치(50)사이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버튼이 형성된 조작패널(24)을 갖고 있다.
하우징(10)은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바디부(11)와, 하우징바디부(11)의 개방영역을 폐쇄하도록 하우징바디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도어(12)를 갖고 있다.
하우징바디부(11)는 일 측벽에 도선인입개구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지지판(12b)이 하나씩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바디부(11)의 상면은 이동전달축(21)과 무대장치의 감속기(201b)가 결합되는 쪽의 면을 의미하고 저면은 반대쪽의 면을 의미한다.
각 지지판(12b)은 중앙영역에 볼베어링(12c)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도어(12)는 대략 디귿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우징바디부(1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동전달축(21)은 외표면에 이동전달축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전달축(21)은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볼베어링(12c)에 지지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한 쌍의 안내봉(22)은 이동전달축(21)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각 이동위치조절축(23)은 외표면에 위치조절나사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23)은 이동전달축(21)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이동위치조절축(23)은 스냅링(23b)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각 위치조절블럭(30)은 대략 디귿자 단면의 스위치안착부(31)와, 스위치안착부(31)의 중앙영역에 기립 형성된 격벽부(32)를 갖고 있다.
격벽부(32)에 의해 스위치안착부(31)의 내부에 디귿자단면형상의 스위치안착홈(31a)이 한 쌍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부(32)에는 위치조절공(32a)과 조절축통과공(32b)이 나란하게 관통 형성되어 있다.
위치조절공(32a)은 내주면에 위치조절나사부(23a)에 대응하는 블럭나사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30)은 스위치안착홈(31a)이 상대방 스위치안착홈에 대항하고, 위치조절공(32a)과 조절축통과공(32b)에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23)이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동전달판(40)은 판상의 가압판체(41)와, 가압판체(41)의 두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가압판체(41)에 결합된 전달축공관(42)을 갖고 있다.
가압판체(41)는 중앙영역에 고정공(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공(41a)의 양측에는 한 쌍의 안내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전달축공관(42)은 가압판체(41)의 두께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이동전달축공(42a)을 형성한다.
이동전달축공(42a)은 내주면에 이동전달축나사부(21a)에 대응하는 이동전달판나사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달축공관(42)은 이동전달축공(42a)이 가압판체(4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고정공(41a)에 설치된다.
리미트스위치(50)는 상시온(Normal On)상태의 접점부(도시되지 않음)와, 외부로부터의 가압동작시 접점부(도시되지 않음)를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레버(51)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미트스위치(50)는 스위치안착홈(31a)에 삽입되도록 각 위치조절블럭(30)에 설치된다. 여기서 리미트스위치(50)의 설치작업은 이동전달판(40)이 접근시 이동전달판(40)에 의해 레버(51)가 가압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미트스위치(50)와 조작패널(24)과 정역모터(201a)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도선인입개구부(12a)를 통해 이루어진다.
조작패널(24)은 정방향회전버튼(24a)과 역방향회전버튼(24b)을 갖고 있다.
조작패널(24)과 리미트스위치(50)사이의 전기적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다(도5 참조).
상측에 있는 리미트스위치(LS1, LS2)는 조작패널(24)의 역방향회전버튼(24b)과 정역모터(201a)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역방향회전버튼(24b)은 모터구동전원(206)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측에 있는 리미트스위치(LS3, LS4)는 조작패널(24)의 정방향회전버튼(24a)과 정역모터(201a)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정방향회전버튼(24a)은 모터구동전원(206)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세팅방법을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전달축(21)은 무대장치의 감속기(201b)에 체인 결합되어 있고 조물걸이대(205)는 원하는 올림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이동위치조절축(23)중 일방(상측에 있는 위치조절블럭의 위치조절공에 나사결합된 이동위치조절축)을 회전 조작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50)가 이동전달판(40)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측에 위치하는 위치조절블럭(30)을 이동위치조절축(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도7 참조).
다음에 정방향회전버튼(24a)을 조작하여 조물걸이대(205)를 원하는 내림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조물걸이대(205)가 원하는 내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이동전달축(21)은 회전하고 이동전달판(40)은 이동전달축(21)상을 따라 하강한다.
다음에 이동위치조절축(23)중 나머지(하측에 있는 위치조절블럭의 위치조절공에 나사결합된 이동위치조절축)를 회전 조작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50)가 이동전달판(4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하측에 위치하는 위치조절블럭(30)을 이동위치조절축(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도8 참조).
다음에 역방향회전버튼(24b)을 조작하여 조물걸이대(205)를 원하는 올림위치로 이동시킨다.
세팅이 완료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제어장치의 동작을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방향회전버튼(24a)을 조작하여 정역모터(201a)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정역모터(201a)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조물걸이대(205)는 지면을 향해 이동하고 이동전달판(40)은 이동전달축(21)상을 따라 하강한다.
조물걸이대(205)가 원하는 내림위치에 도달할 때 하측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50)의 레버(51)가 이동전달판(40)에 의해 가압된다(도8 참조).
하측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50)가 이동전달판(40)에 의해 가압되면, 정역모터(201a)에 공급되는 정방향모터구동전압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정역모터(201a)의 정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된다.
정역모터(201a)의 정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되면 조물걸이대(205)의 내림동작은 중지되고 조물걸이대(205)는 원하는 내림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역방향회전버튼(24b)을 조작하여 정역모터(201a)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물걸이대(205)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전달판(40)은 이동전달축(21)상을 따라 상승한다.
조물걸이대(205)가 원하는 올림위치에 도달할 때 상측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50)의 레버(51)가 이동전달판(40)에 의해 가압된다(도7 참조).
상측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50)가 이동전달판(40)에 의해 가압되면, 정역모터(201a)에 공급되는 역방향모터구동전압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정역모터(201a) 의 역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된다.
정역모터(201a)의 역방향회전동작이 중지되면 조물걸이대(205)의 올림동작은 중지되고 조물걸이대(205)는 원하는 올림위치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23)을 마련함으로써, 이동위치조절작업이 용이하고 일방향의 이동위치조절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내부공간이 이동전달축공(42a)을 형성하는 전달축공관(42)을 갖도록 이동전달판(40)을 형성함으로써, 이동전달판(40)과 이동전달축(21)사이의 나사결합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위치조절블럭(30)에 대하여 한 쌍씩 직렬로 연결되도록 리미트스위치(50)를 설치함으로써, 정역모터(201a)와 모터구동전원사이의 전기적 차단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무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정방향 회전력과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정역모터를 이용하는 다른 장치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을 마련함으로써, 이동위치조절작업이 용이하고 일방향의 이동위치조절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정방향 회전력과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정역모터의 정방향회전동작과 역방향회전동작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터제어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표면에 이동전달축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이동전달축과;
    상기 이동전달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안내봉과;
    각각 외표면에 위치조절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전달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과;
    각각 내주면에 상기 위치조절나사부에 대응하는 블럭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조절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공의 둘레영역에는 조절축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조절공과 상기 조절축통과공에 상기 한 쌍의 이동위치조절축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과;
    내주면에 상기 이동전달축나사부에 대응하는 이동판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전달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전달축공의 둘레영역에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위치조절블럭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이동전달축공에 상기 이동전달축이 통과하고 상기 안내공에 상기 안내봉이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전달판과;
    상시온상태의 접점부와 외부로부터의 가압동작시 상기 접점부를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레버를 가지고, 상기 정역모터와 모터구동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이동전달판의 접근시 상기 레버가 상기 이동전달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위치조절블럭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달판은 고정공과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판체와, 상기 가압판체의 두께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상기 이동전달축공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전달축공이 상기 가압판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공에 설치되는 전달축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각 위치조절블럭에 대하여 한 쌍씩 직렬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제어장치.
KR20070013287U 2007-08-09 2007-08-09 모터제어장치 KR200445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287U KR200445364Y1 (ko) 2007-08-09 2007-08-09 모터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287U KR200445364Y1 (ko) 2007-08-09 2007-08-09 모터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59U KR20090001459U (ko) 2009-02-12
KR200445364Y1 true KR200445364Y1 (ko) 2009-07-23

Family

ID=4129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3287U KR200445364Y1 (ko) 2007-08-09 2007-08-09 모터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6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13Y1 (ko) * 2000-03-16 2000-08-16 주식회사수산서비스광주센타 전선 권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13Y1 (ko) * 2000-03-16 2000-08-16 주식회사수산서비스광주센타 전선 권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59U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20120578A1 (it) Apparecchiatura di stampaggio ad iniezione di materie plastiche
WO2004052623A1 (ja) 延伸ブロー成形機における延伸ロッドの伸長駆動装置及び底型の昇降駆動装置
JP6688959B1 (ja) フェールセーフ機能を有する双方向直流電力制御装置
CN104566534A (zh) 微波炉
KR200445364Y1 (ko) 모터제어장치
CN111886425B (zh) 具有带中间轴的传动装置的电动家具驱动装置
TWM510990U (zh) 線性致動器
JP2008119737A (ja) サーボプレスおよびサーボプレスの制御方法
CN111434958A (zh) 多通道阀
ITMI960230U1 (it) Attuatore lineare con microinterruttori di fine - corsa,ad elevata semplicita'di regolazione.
CN106976259B (zh) 胎坯成型鼓设备的驱动传递装置
KR101093178B1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CN110349777B (zh) 一种有载分接开关调容调压装置及有载分接开关
KR20130104326A (ko) 개폐모터
JP2006061974A (ja) スライド駆動装置およびプレス機械
CN113280243A (zh) 一种方便调节的壁挂式机箱设备
KR100959148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KR101479736B1 (ko) 전동 볼 밸브 구동장치
KR102708211B1 (ko) 동력 전달 장치
CN201003101Y (zh) 半内置式抬压电磁铁机构
CN205004202U (zh) 用于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离合装置
CN108859404A (zh) 模压烫印一体机
CN110299301B (zh) 用于多腔传输装置的开盖机构
KR102388574B1 (ko) 터닝 컨베이어장치
KR20050092653A (ko) 비닐하우스 개폐용 권취축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