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57Y1 - 오거 드릴링 머신 - Google Patents

오거 드릴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57Y1
KR200444957Y1 KR2020070010055U KR20070010055U KR200444957Y1 KR 200444957 Y1 KR200444957 Y1 KR 200444957Y1 KR 2020070010055 U KR2020070010055 U KR 2020070010055U KR 20070010055 U KR20070010055 U KR 20070010055U KR 200444957 Y1 KR200444957 Y1 KR 200444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udder
fixed
guid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475U (ko
Inventor
강종섭
김만진
Original Assignee
김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진 filed Critical 김만진
Priority to KR2020070010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5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2Top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0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 E21B7/201Driving or forcing casings or pipes into boreholes, e.g. sinking; Simultaneously drilling and casing borehole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거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상부에 회동장치로 회동되는 러더를 형성하고, 러더의 상부에 크레인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와이어를 구비한 복수의 구동풀리를 풀리브라켓으로 고정 형성하며, 러더의 천공 측으로 러더가이드를 형성한 러더부와, 상기 러더부의 와이어가 안치된 이송풀리를 이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하고, 이송브라켓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 가이드 되는 이송가이드를 형성하며, 이송브라켓의 하부 이송결합후크를 형성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후크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고정구에 구비된 후크힌지로 힌지고정하고, 고정프레임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되어 상하 작동 시 가이드되는 고정가이드를 형성하며, 고정결합후크의 일측으로 실린더고정힌지로 고정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작동실린더의 실린더로드를 후크작동힌지로 힌지 결합하여 작동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결합후크가 후크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와 결합과 해체를 작동하도록 형성한 이송고정부와, 상기 이송고정부의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오거드릴을 형성한 오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풀리, 이송결합후크, 고정결합후크, 작동실린더, 후크힌지

Description

오거 드릴링 머신 {Auger Drill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주요부분인 이송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주요부분의 이송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주요부분인 드릴부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거 드릴링 머신 110 : 러더부
111 : 크레인 112 : 러더
113 : 회동장치 114 : 러더가이드
115 : 풀리브라켓 116 : 구동풀리
117 : 와이어 120 : 이송부
121 : 이송브라켓 122 : 이송풀리
123 : 이송결합후크 124 : 이송가이드
125 : 지지바 126 : 이송바
130 : 이송고정부 131 : 고정프레임
132 : 고정가이드 133 : 고정결합후크
134 : 후크힌지 135 : 힌지고정구
136 : 후크작동힌지 137 : 작동실린더
138 : 실린더고정힌지 139 : 실린더로드
140 : 오거부 141 : 오거드릴
142 : 오거구동부 143 : 구동가이드
144 : 상하작동실린더 145 : 케이싱
146 : 연장가이드 147 : 가이드홈
본 고안은 오거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오거 드릴링 머신을 이용하여 기초공사를 위해 항(빔)을 타설코자 할 시에는 먼저 크레인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며, 리더회동장치에 의해 90도 회동되도록 한 리더(leader)를 따라서 승강하는 오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로 일정한 심도까지 구멍을 천공한 다음 빔을 타설하게 된다.
이런, 종래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오거 드릴로 뚫은 수직공에 오거드릴의 외측에 형성된 케이싱을 러더의 상단에 형성된 와이어에 매달음 결합하여 오거드릴이 내부에 형성된 케이싱을 압입한 후에 와이어로 인상시키는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오거 드릴로 천공한 수직갱의 선단이 연질지반이면 용이하게 지반의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암반과 같은 단단한 지반에서는 오거드릴과 케이싱이 자력으로 압입하여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오거드릴의 날개 상면에 점토, 니토 등의 천공토사가 단단히 달라 붙는 경우가 있는데, 날개 상면에 달라 붙은 천공토사 등의 이물질은 시추시 후천공토사의 지상 반출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지반을 천공하는 오버드릴과 케이싱의 상부에 이송고정부의 조작에 의해 러더의 상부에 풀리브라켓에 안치된 와이어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함에 따라 천공 시에 해체하여 오거드릴의 자중으로 압입하면서 천공시켜 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천공 후 인출 시에 이송고정부의 조작으로 와이어와 결합되어 와이의 힘으로 인출됨에 따라 점토, 니토 등의 장애물에도 반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작업위치로 이동하면서 동력을 공급하는 크레인의 상부에 회동장치로 회동되는 러더를 형성하고, 러더의 상부에 크레인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와이어를 구비한 복수의 구동풀리를 풀리브라켓으로 고정 형성하며, 러더의 천공 측으로 러더가이드를 형성한 러더부와, 상기 러더부의 와이어가 안치된 이송풀리를 이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하고, 이송브라켓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 가이드 되는 이송가이드를 형성하며,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이송결합후크를 형성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후크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고정구에 구비된 후크힌지로 힌지고정하고, 고정프레임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되어 상하 작동 시 가이드되는 고정가이드를 형성하며, 고정결합후크의 일측으로 실린더고정힌지로 고정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작동실린더의 실린더로드를 후크작동힌지로 힌지 결합하여 작동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결합후크가 후크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와 결합과 해체를 작동하도록 형성한 이송고정부와, 상기 이송고정부의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오거드릴을 구동하면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실린더를 형성한 드릴구동부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가이드되는 구동가이드를 형성하고, 드릴구동부의 하부에 구동되는 외측에 케이싱을 구비한 오거드릴을 형성한 오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양측에 지지바를 형성하고, 지지바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송바를 형성하여 이송고정부의 고정결합후크의 작동으로 결합 및 해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거부는 케이싱의 하부 일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연장가이드를 하부 측으로 연장형성하여 오거드릴로 천공된 구멍에 타설되는 타설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주요부분인 이송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주요부분의 이송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거 드릴링 머신의 주요부분인 드릴부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100)은 작업위치로 이동하면서 회동 고정되는 러더(112)를 형성한 러더부(110)와, 상기 러더부(110)에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부(120)와, 상기 이송부(120)의 결합 및 해체를 작동하여 이송부(120)와 연동을 제어하는 고정부와, 상기 이송고정부(130)의 하부에 오거드릴로 천공 작업을 하면서 이송고정부(130)의 작동으로 이송부(120)와 연동을 제어하여 상하로 작동되는 오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러더부(110)는 작업위치로 이동하면서 동력을 공급하는 크레인(111)의 상부에 회동장치(113)로 회동되는 러더(112)를 형성하고, 러더(112)의 상부에 크레인(111)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와이어(117)를 구비한 복수의 구동풀리(116)를 풀리 브라켓(115)으로 고정 형성하며, 러더(112)의 천공 측으로 러더가이드(11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부(120)는 러더부(110)의 와이어(117)가 안치된 이송풀리(122)를 이송브라켓(121)의 상부에 형성하고, 이송브라켓(121)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114)에 결합 가이드 되는 이송가이드(124)를 형성하며,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이송결합후크(12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이송부(120)의 다른 실시예로써,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양측에 지지바(125)를 형성하고, 지지바(125)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송바(126)를 형성하여 이송고정부(130)의 고정결합후크(133)의 작동으로 결합 및 해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고정부(130)는 이송부(120)의 이송결합후크(123)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후크(133)를 고정프레임(131)의 상부에 힌지고정구(135)에 구비된 후크힌지(134)로 힌지고정하고, 고정프레임(131)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114)에 결합되어 상하 작동 시 가이드되는 고정가이드(132)를 형성하며, 고정결합후크(133)의 일측으로 실린더고정힌지(138)로 고정프레임(131)에 고정 결합된 작동실린더(137)의 실린더로드(139)를 후크작동힌지(136)로 힌지 결합하여 작동실린더(137)의 작동으로 고정결합후크(133)가 후크힌지(13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부(120)의 이송결합후크(123)와 결합과 해체를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오거부(140)는 이송고정부(130)의 고정프레임(131)의 하부에 오거드릴(141)을 구동하면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실린더(144)를 형성한 드릴구동 부(142)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114)에 결합가이드되는 구동가이드(143)를 형성하고, 드릴구동부(142)의 하부에 구동되는 외측에 케이싱(145)을 구비한 오거드릴(141)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오거부(140)는 케이싱(145)의 하부 일측으로 가이드홈(147)이 형성된 연장가이드(146)를 하부 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오거드릴(141)로 천공된 구멍에 타설되는 타설체(1)를 가이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레인(111)으로 천공작업이 실시되는 위치로 이송한 상태에서 회동장치(113)를 구동하여 직각으로 러더(112)를 회전시켜 오거부(140)가 승강되도록 설치한 러더(112)를 천공위치에 설치한다.
이렇게, 러더(112)를 설치한 상태에서 크레인(111)의 동력으로 러더(112)의 상부에 풀리브라켓(115)으로 복수로 형성된 구동풀리(116)에 안치된 와이어(117)를 구동하여 와이어(117)가 이송풀리(122)에 안치된 이송부(120)를 천공 작업 측으로 이송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120)를 하강시키면 이송풀리(122)가 형성된 이송브라켓(121)이 러더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러더가이드(114)에 삽입결합된 이송가이드(124)로 가이드되면서 하부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부(120)가 하강하면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형성된 이송결합후크(123)에 걸림 결합한 고정결합후크(133)가 형성된 고정프레임(131)이 러더가이 드(114)에 삽입 결합된 고정가이드(132)로 가이드되면서 하강하고, 고정프레임(131)의 하부에 고정 형성된 오거부(140)의 오거드릴(141)과 케이싱(145)을 결합한 오거부(140)가 하강한다.
이때, 이송부(120)의 다른 실시예로써,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양측에 지지바(125)를 형성하고, 지지바(125)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송바(126)를 형성하여 이송고정부(130)의 고정결합후크(133)의 작동으로 결합 및 해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111)의 작동으로 구동풀리(116)에 안치된 와이어(117)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120)와 이송고정부(130)에 고정된 오거부(140)가 하강하여 천공위치에 도달하면 이송고정부(130)의 고정프레임(131)의 상부로 실린더고정힌지(138)로 힌지고정된 작동실린더(137)의 실린더로드(139)를 작동하여 후크작동힌지(136)로 힌지 결합된 이송결합후크(123)에 결합되어 이송부(120)와 연동되도록 이송고정부(130)를 고정한 고정결합후크(133)를 해체 측으로 작동하여 힌지고정구(135)에 형성된 후크힌지(13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결합후크(133)를 해체한다.
이렇게, 이송부(120)와 이송고정부(130)를 해체하면 이송고정부(130)에 고정된 오거부(140)가 러더가이드(114)에 결합된 구동가이드(143)로 가이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드릴구동부(142)와 상하작동실린더(144)의 작동으로 오거드릴(141)을 작동하면서 강한 지반의 천공 시에도 자중에 의해 천공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자중에 의해 천공을 실시하다가, 천공을 마치면 구동풀리(116)의 안치된 와이어(117)로 이송부(120)의 이송풀리(122)를 작동하여 이송가이드(124)로 가이드되면서 이송결합후크(123)를 이송고정부(130)의 고정결합후크(133)에 결합측으로 위치한 상태로 작동실린더(137)를 작동시키면 실린더로드(139)가 결합 측으로 이송되면서 후크작동힌지(136)로 결합된 고정결합후크(133)가 후크힌지(13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송결합후크(123)에 결합되어 이송부(120)와 연동되도록 결합한다.
이렇게, 이송부(120)와 연동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와이어(117)를 작동하여 이송부(120)를 인상하면 이송고정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오거부(140)가 상승함으로써, 점토, 니토 등의 천공토사가 단단히 달라 붙는 경우가 있는데, 날개 상면에 달라 붙은 천공토사 등의 이물질은 시추시 후천공토사의 지상 반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17)의 작동으로 오거부(14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케이싱(145)의 일측으로 천공된 구멍에 타설되는 타설체(1)를 가이드하도록 하부로 연장된 가이드홈(147)이 구비된 연장가이드(146)를 형성하여 천공작업과 타설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지반을 천공하는 오거드릴과 케이싱의 상부에 이송고정부의 조작에 의해 러더의 상부에 풀리브라켓에 안치된 와이어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함에 따라 천공 시에 해체하여 오거드릴의 자중으로 압입하면서 천공시켜 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천공 후 인출 시에 이송고정부의 조작으로 와이어와 결합되어 와이의 힘으로 인출됨에 따라 점토, 니토 등의 장애물에도 반출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크레인의 회동장치로 회전하여 천공되는 지상에 설치되는 러더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를 형성하고, 러더의 상부에 와이어를 안치하는 구동풀리를 고정한 풀리브라켓을 형성하며, 구동풀리의 안치된 와이어의 조작을 승강되도록 와이어를 이송플리에 고정한 이송부를 형성하되, 이송부의 하부에 이송결합후크를 형성하고, 오거드릴에 고정된 이송고정부의 상부에 작동실린더와 힌지 결합된 작동결합후크를 형성하여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이송고정부의 고정결합후크를 작동하여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와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천공작업 시에 와이어의 승강력을 제거하여 자중에 의한 압입효율을 증대시켜 천공지반에 암반과 같이 단단한 지반에서도 용이하게 천공하여 천공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이송부와 이송고정부의 결합을 해체한 상태로 자중에 의한 압입으로 천공작업을 실시하다가 이송부를 하강하여 이송고정부와 결합한 상태로 와이어로 인상하여 천공이 작업 후에 오거부를 제거함으로써, 점토, 니토 등의 천공토사가 단단히 달라 붙는 경우가 있는데, 날개 상면에 달라 붙은 천공토사 등의 이물질은 시추시 후천공토사의 지상 반출을 용이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오거 드릴링 머신은 와이어의 작동으로 오거부를 상승시 킨 상태에서 케이싱의 일측으로 천공된 구멍에 타설되는 타설체를 가이드하도록 하부로 연장된 가이드홈이 구비된 연장가이드를 형성하여 천공작업과 타설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작업위치로 이동하면서 동력을 공급하는 크레인의 상부에 회동장치로 회동되는 러더를 형성하고, 러더의 상부에 크레인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와이어를 구비한 복수의 구동풀리를 풀리브라켓으로 고정 형성하며, 러더의 천공 측으로 러더가이드를 형성한 러더부와,
    상기 러더부의 와이어가 안치된 이송풀리를 이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하고, 이송브라켓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 가이드 되는 이송가이드를 형성하며,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이송결합후크를 형성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에 결합되도록 고정결합후크를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고정구에 구비된 후크힌지로 힌지고정하고, 고정프레임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되어 상하 작동 시 가이드되는 고정가이드를 형성하며, 고정결합후크의 일측으로 실린더고정힌지로 고정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작동실린더의 실린더로드를 후크작동힌지로 힌지 결합하여 작동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결합후크가 후크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부의 이송결합후크와 결합과 해체를 작동하도록 형성한 이송고정부와,
    상기 이송고정부의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오거드릴을 구동하면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작동실린더를 형성한 드릴구동부의 일측으로 러더가이드에 결합 가이드되는 구동가이드를 형성하고, 드릴구동부의 하부에 구동되는 외측에 케이싱을 구비한 오거드릴을 형성한 오거부를 포함하는 오거 드릴링 머신에 있어서.
    상기 오거부는 케이싱의 하부 일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연장가이드를 하부 측으로 연장형성하여 오거드릴로 천공된 구멍에 타설되는 타설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드릴링 머신.
KR2020070010055U 2007-06-19 2007-06-19 오거 드릴링 머신 KR200444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55U KR200444957Y1 (ko) 2007-06-19 2007-06-19 오거 드릴링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055U KR200444957Y1 (ko) 2007-06-19 2007-06-19 오거 드릴링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75U KR20080006475U (ko) 2008-12-24
KR200444957Y1 true KR200444957Y1 (ko) 2009-06-18

Family

ID=4132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055U KR200444957Y1 (ko) 2007-06-19 2007-06-19 오거 드릴링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76B1 (ko) 2011-09-06 2011-12-19 김만진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76B1 (ko) 2011-09-06 2011-12-19 김만진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75U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90213B (zh) 一种建筑墙面破碎瓷砖自动机器人
JP2009532601A (ja) 掘削工具
CN203742465U (zh) 一种螺旋钻杆清土器
JP6085485B2 (ja) 杭打ち機
CN110023586A (zh) 用于钻孔系统的井筒扩建装置
JP6085484B2 (ja) 杭打ち機
CN108661576B (zh) 软土地层钻孔灌注桩的成孔装置及其施工方法
CN103147689A (zh) 多功能旋挖钻机
CN103850657A (zh) 一种长螺旋桩机钻杆及其清土器、接杆装置和接杆方法
KR200444957Y1 (ko) 오거 드릴링 머신
KR200342739Y1 (ko) 굴삭기를 이용한 암반천공장치
KR101094276B1 (ko)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CN212689919U (zh) 旋挖钻孔机
KR20130031624A (ko) 오거 드릴링 머신을 통한 사각 콘크리트 파일 시공방법
JP6408795B2 (ja) 地中障害物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KR100927850B1 (ko) 굴착기용 오거
CN206815422U (zh) 导杆式液压动力切削成槽机
CN213330884U (zh) 一种施工用的小型桩基设备
CN219840580U (zh) 一种建筑施工用小型打桩机
TW479097B (en)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excavation device
KR101465536B1 (ko) 오거드릴링 머신을 통한 시트파일 암천공 시공구조
US7921940B2 (en) Casing hammer power swing-out apparatus for drilling rig
CN210714049U (zh) 一种智能电杆栽培装置
CN214832698U (zh) 一种预制桩沉桩设备
RU23006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рения скважи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