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839Y1 -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 Google Patents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839Y1
KR200444839Y1 KR2020070015834U KR20070015834U KR200444839Y1 KR 200444839 Y1 KR200444839 Y1 KR 200444839Y1 KR 2020070015834 U KR2020070015834 U KR 2020070015834U KR 20070015834 U KR20070015834 U KR 20070015834U KR 200444839 Y1 KR200444839 Y1 KR 200444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old
cutting knife
mold block
elev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47U (ko
Inventor
안병권
Original Assignee
안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권 filed Critical 안병권
Priority to KR2020070015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3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금형블록유닛과, 금형블록의 가장자리에 칼날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팅수단과,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시 재단대상물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있어서, 커팅수단(300)은 몸체부(305)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게 양면날이 형성된 절단칼(301)이고; 금형블록은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202a)와, 절단칼(301)이 부착되는 부착부(202b)가 구비되고, 부착부(202b)와 대향되게 작업공간(202c)이 형성되고; 금형블록들은 절단칼(301)의 두께(t)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제1 체결구(110)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제2 체결구(220)에 의해 일 금형블록(202)에 부착된 절단칼(301)의 외측면(305a)과 인접하는 타 금형블록(203) 간에 갭(GAP, 210)이 존재하고; 금형블럭을 탈거하지 않고도 제2 체결구(220)를 장착, 탈착함에 의해 절단칼(301)을 장착,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재단기용 금형, 금형블럭, 절단칼, 분해

Description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Die for Tile Cutting }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금형블록유닛과, 상기 금형블록의 가장자리에 칼날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팅수단과, 상기 금형블록유닛에 설치되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시 재단대상물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 실내의 바닥은 벽이나 천정과는 달리, 인체의 발과 직접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에는 질감, 촉감,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바닥 마감용 목재나 염화비닐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바닥타일이 시공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바닥타일은 시공시 절단칼에 의해 일정한 크기, 예컨대 920×100mm , 450×450mm 등으로 절단되며, 이렇게 절단된 바닥타일은 바닥 표면에 연속적으로 부착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1540호의 경우, PVC타일이나 카페트타일을 일정한 규격으로 재단할 때 가압고정수단에 의해 재단대상물이 가압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재단대상물을 재단할 수 있고, 또한, 재단나이프를 양측면에 칼날이 형성된 형상으로 제작하며, 금형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재단나이프를 1열로 설치함으로써, 재단대상물에서 중앙 스크랩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타일재단기용 금형을 제공하기 위해,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금형블록유닛; 상기 금형블록들의 가장자리에 칼날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팅수단; 및 상기 금형블록유닛에 설치되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시 재단대상물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고정수단은, 상기 금형블록유닛에 고정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와 소정 간격을 두고 측면에 배치된 측면가이드부재, 상기 측면가이드부재를 상기 고정몸체에 연결 고정하는 연결고정부재,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측면가이드부재 사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연결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시 상기 재단대상물에 접촉되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수단은 칼날몸체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는 양면날이 형성된 재단나이프이고, 상기 금형블록들은 상기 재단나이프 두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금형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재단나이프가 1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재단기용 금형"을 게시하고 있다.
도 6은 종래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은 금형블록들이 재단나이프 두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a) 먼저 제1 금형블록(501)을 승강 플레이트(530)에 고정시킨다. b) 제1 재단나이프(절단칼)(511)를 제1 금형블록(501)의 일측에 위치시킨다. c) 제2 금형블록(502)을 제1 재단나이프(절단칼)(511)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제1 스크류(521)를 통과시켜 제2 금형블록(502)과 제1 재단나이프(절단칼)(511)를 제1 금형블록(501) 쪽으로 밀착 고정시킨다.
d) 제2 금형블록(502)을 승강 플레이트(530)에 고정시킨다. e) 제2 재단나이프(절단칼)(512)를 제2 금형블록(502)의 일측에 위치시킨다. f) 제3 금형블록(503)을 제2 재단나이프(절단칼)(512)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제2 스크류(522)를 통과시켜 제3 금형블록(503)과 제2 재단나이프(절단칼)(512)를 제2 금형블록(501) 쪽으로 밀착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
g) 제9 금형블록(509)을 제9 재단나이프(절단칼)(519)의 일측면에 위치시키고, 제9 스크류(529)를 통과시켜 제9 금형블록(509)과 제9 재단나이프(절단칼 )(519)를 제8 금형블록(508) 쪽으로 밀착 고정시킨다.
h) 마지막으로, 제9 금형블록(509)을 승강 플레이트(530)에 고정시킨다.
종래 기술은 제1 재단나이프(절단칼)가 이물질 개입 등으로 날이 상하거나 이가 나간 경우, 제9 금형블록(509), 제8 금형블록(509), 제6 금형블록(509) ... 제3 금형블록(503), 및 제2 금형블록(502)을 순서대로 분해하여야 제1 재단나이프를 탈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재단나이프(절단칼)가 이물질 개입 등으로 날이 상하거나 이가 나간 경우, 3개의 금형블럭(제9, 제8, 및 제7 금형블록)을 분해하여야 제5 재단나이프를 탈거할 수 있다.
이와같이, 종래 기술은 재단나이프(절단칼)의 날이 상한 경우 재단나이프(절단칼)의 교체 수리를 위해 탈거할 때 여러개의 금형블럭 및 다른 재단나이프(절단칼)까지 함께 탈거해야 하고, 조립시에 탈거된 모든 금형블럭 및 재단나이프(절단칼)를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금형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 작업성이 좋지 않고 이는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양날형 바닥타일용 절단칼은 현재 수명이 5만타에 한정되고 있으며 5만타를 넘어 사용되는 경우 날이 마모되어 재연삭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브레이징 용접에 대하여 설명한다.
납땜은 보통 사용하는 납의 녹는점이 450 ℃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구별하여, 이것보다 고온이 아니면 녹지 않는 납을 사용하는 것을 경(硬)납땜 또는 브레이징(brazing)이라 하고, 녹는점이 이보다 낮은 납을 사용하는 것을 연(軟)납땜 또는 납땜이라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탄소강(炭素鋼, carbon steel)에 대하여 설명한다.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 0.05∼2.1%의 탄소를 함유한 강을 말한다. 용도에 따라 적당한 탄소량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크롬몰리브덴강(chromium-molybdenum steel)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에 탄소 이외에 크롬과 몰리브덴을 가해서 특성을 개량한 특수강으로 주조용강 ·압력용기재 ·보일러강판 ·자동차재 등으로 사용된다. 몰리브덴을 병용하면 크롬강의 경화성(硬化性)이 개선되어 뜨임취성이 경감된다. 용도에 따라 크롬과 몰리브덴을 가하는 비율을 달리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속도(공구)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속재료를 절삭하는 공구에 사용되었던 강(鋼)은 담금질을 해서 강도를 높인 것이었으나, 이것은 빠른 속도로 절삭하면 절삭할 때 생기는 열 때문에 공구가 가열되어 연화(軟化)되었다. 그래서 그 때보다 빠른 속도로 절삭하여도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새로운 공구재료를 만들었는데, 이 재료에 고속도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고속도강의 표준조성은 텅스텐 18%, 크롬 4%, 바나듐 1%이며, 이것을 ‘18-4-1’ 고속도강이라고 한다. 이전의 공구강(工具鋼)은 250℃ 이하에서 무디어졌으나, 이것은 500∼600℃까지 무디어지지 않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초경합금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구(工具) 등에 사용되는 초경질 합금으로 금속의 탄화물 분말을 소성(燒成)해서 만든 경도가 대단히 높은 합금이다. 이런 조직의 합금은 대단히 굳고 내마모성(耐磨耗性)이 우수하므로 금속제품을 자르거나 깎는 커터(절단기) ·다이스 등에 사용되고, 그 밖에 광산이나 토목용에서 바위에 구멍을 뚫는 착암용 공구의 선단 등에도 사용된다. 금속의 탄화물 분말을 소성(燒成)해서 만든 경도가 대단히 높은 합금이다. 흔히 사용되는 것은 탄화(炭化) 텅스텐을 주체로 한 결합금속인 코발트와 소결합금(燒結合金)으로, 코발트는 중량비율이 6 % 정도이므로 탄화텅스텐 입자들 사이의 코발트에 탄소와 텅스텐의 녹은 것이 개재해 있다. 이런 조직의 합금은 대단히 굳고 내마모성(耐磨耗性)이 우수하므로 금속제품을 자르거나 깎는 커터(절단기) ·다이스 등에 사용되고, 그 밖에 광산이나 토목용에서 바위에 구멍을 뚫는 착암용 공구의 선단 등에도 사용된다. 이 합금을 만드는 데는 코발트 가루와 탄화텅스텐 가루를 별도로 준비하여 프레스하여 성형(成形)한 다음 온도를 올려 소결(燒結)하는데, 먼저 1,000 ℃에서 코발트 가루끼리를 소결(예비소결)하였을 때쯤 최종 형태로 마무리하고, 그 다음에 1,400 ℃로 가열하여 본소결한다. 이것으로 텅스텐과 탄소가 코발트 속으로 확산하여 들어가 강한 고용체가 되며, 이로 인하여 탄화텅스텐의 입자가 결합되어 조직이 형성된다. 그 밖에 실용상 중요한 것은 WC Co계, WC TiC TaC Co계, WC TiC Co계의 3종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물질 개입에 의해 재단기용 금형의 절단칼이 손상되었을 때 금형블럭의 분해 없이 손상된 절단칼 만을 분해하여 교체하거나 보수후 다시 장착할 수 있는 작업성이 우수하고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회 연삭 후 15만타 이상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이 길어 연삭 주기가 길면서도 재료비 부담이 적고, 몸체부는 취성이 강하고(잘 깨지지 않으며) 칼 형성부는 내마모성과 절단성이 뛰어난 절단칼이 구비된 타일재단기용 금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은, 승강 플레이트(100)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201,202,203,204,205,206,207,208,209)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금형블록유닛(200)과, 상기 금형블록(201, 202, ... , 209 )의 가장자리에 칼날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팅수단(300)과, 상기 금형블록유닛(200)에 설치되며, 승강 플레이트(100)의 승강시 재단대상물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300)은 몸체부(305)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게 양면날이 형성된 절단칼(301)이고; 상기 금형블록은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202a)와, 절단칼(301)이 부착되는 부착부(202b)가 구비되고, 상기 부착부(202b)와 대향되게 작업공간(202c)이 형성되고; 금형블록들은 절단칼(301)의 두께(t)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제1 체결구(110)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고, 제2 체결구(220)에 의해 일 금형블록(202)에 부착된 절단칼(301)의 외측면(305a)과 인접하는 타 금형블록(203) 간에 갭(GAP, 210)이 존재하고; 금형블럭을 탈거하지 않고도 제2 체결구(220)를 장착, 탈착함에 의해 절단칼(301)을 장착,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블록(201, 202, ... , 209 )의 단면형상은 "┏" 형상인 것을 특징이다.
상기 커팅수단(300)은 이중재료로 형성된 절단칼을 사용하되; 상기 이중재료로 형성된 절단칼(301)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몸체부(305)와, 고속도강, 탄소강, 및 크롬몰리브덴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305)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부몸체부(320)와, 상기 부몸체부(20)의 하부에 브레이징 용접에 되고 5 mm ~ 30 mm 범위의 높이(H1)로 형성되는 초경합금 재질의 절단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몸체부(320)와 절단부(310)는 몸체부(305)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게 양면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이물질 개입에 의해 재단기용 금형의 절단칼이 손상되었을 때 금형블럭의 분해 없이 손상된 절단칼 만을 분해하여 교체하거나 보수후 다시 장착할 수 있는 작업성이 우수하고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이 제공된다.
또한, 1회 연삭 후 15만타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이중재료로 형성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이 제공된다. 사용 수명이 길어 연삭 주기가 길면서도 재료비 부담이 적은 이중재료로 형성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이 제공되고, 몸체부는 충격에 강하고(잘 깨지지 않으며) 칼날 형성부는 내마모성과 절단능력이 뛰어난 이중재료로 형성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절단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가압고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의해 재단대상물이 재단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수단(300)은 몸체부(305)의 양측면 상에서 하 부 중앙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게 양면날이 형성된 절단칼(301)이다. 절단칼(301)에 관해서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블록(202)은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202a)와 절단칼(301)이 부착되는 부착부(202b)가 구비된다.
부착부(202b)와 대향되게 작업공간(202c)이 형성된다. 여기서 작업공간(202c)이란 말그대로 공간을 말하며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금형블록 구조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종래의 금형블록은 양사이드 모두에 고정부(202a)로부터 하향 돌출된 부착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일 가압수단과 절단칼이 장착되는 가장 외측(도 2에서 가장 오른쪽)의 금형블록(201)을 제외하고, 나머지 금형블록(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은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202a)와, 고정부(202a)로부터 하향 돌출된 부착부(202b)가 구비된다. 부착부(202b)는 일측에만 존재하고 반대측에는 부착부(202b)와 대향되게 작업공간(202c)이 형성된다.
일 가압수단과 절단칼이 장착되는 가장 외측(도 2에서 가장 오른쪽)의 금형블록(201)은 작업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양측에 부착부가 구비된다. 하나의 부착부에는 가압수단과 절단칼이 장착되고, 다른 부착부에는 다른 절단칼(301(1))이 부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블록(201, 202, ... , 209 )들은 절 단칼(301)의 두께(t)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제1 체결구(110)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제2 체결구(220)에 의해 일 금형블록(202)에 부착된 절단칼(301)의 외측면(305a)과 인접하는 타 금형블록(203) 간에 갭(GAP, 210)이 존재하게 된다.
갭(GAP, 210)은 0.5mm ~ 1mm가 바람직하다.
제2 체결구(220)는 스크류일 수도 있고, 볼트 및 너트일 수도 있다. 스크류인 경우 금형블럭에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됨은 당연하고, 볼트 및 너트인 경우, 체결공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제1 체결구(110)는 스크류일 수도 있고, 볼트 및 너트일 수도 있다.
따라서, 금형블럭을 탈거하지 않고도 제2 체결구(220)를 장착, 탈착함에 의해 각각의 절단칼(301)을 장착, 탈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우측의 절단칼(301(1))이 손상된 경우, 금형블록(209,208, 207, 206, 205, 203, 202)를 순서대로 해체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제2 체결구(220(1))를 탈거(탈착)함에 의해 절단칼(301(1))을 탈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 탈착이란 장착의 반대의미로 탈거를 의미한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 절단칼(301(1))을 탈착하기 위해 금형블록(209,208, 207, 206, 205, 203, 202)를 순서대로 해체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본 기술과 차이가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팅수단(300)은 이중재료로 형성된 절단칼을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재료로 형성된 절단칼(301)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몸체부(305)와, 고속도강, 탄소강, 및 크롬몰리브덴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305)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부몸체부(320)와, 상기 부몸체부(20)의 하부에 브레이징 용접에 되고 5 mm ~ 30 mm 범위의 높이(H1)로 형성되는 초경합금 재질의 절단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몸체부(320)와 절단부(310)는 몸체부(305)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게 양면날을 형성한다.
절단부(10)와 부몸체부(20)에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후 연삭에 의해 16°~ 20°범위의 제1각도(α)로 연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재료로 형성된 바닥타일용 절단칼은 건물 등의 바닥 상면을 마감하는 바닥타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에 관한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 절단되는 바닥타일의 두께는 대략 2.5 ~ 5mm 임을 밝혀둔다.
부몸체부(320)는 몸체부(305)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부몸체부(320)는 고속도강, 탄소강(예를들어, SM-45C), 및 크롬몰리브덴강(예를들어, SCM-440)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보통 날이 마모된 경우 1회 연삭시 2mm 정도 씩 날의 길이가 줄어든다.
초경합금 재질의 절단부(310)를 5 mm이하로 하는 경우 2 ~ 3회 연삭하면 날 형성부가 너무 짧아 절단칼(301)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고, 초경합금 재료가 너무 작아 브레이징 작업이 불편하게 된다.
초경합금 재질의 절단부(310)를 30 mm 초과로 하는 경우, 재료비 부담이 커지고 초경합금이 충격에 약해 절단부(310)가 충격에 깨지기 쉬운 문제점(취성이 큼)이 생긴다. 절단부(310)의 높이를 30 mm 로 형성하는 경우 15번 정도 연삭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15만 × 15 = 225 만타 정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시험적 테스트 결과, 절단부(310)의 높이를 20 mm 로 하고 날의 각도(θ1)를 18°로 하였을 때 충분한 브레이징에 의한 절단칼(301)와 부몸체부(320) 간의 충분한 결합력이 발생하고 브레이징 작업도 용이하며 연삭 작업도 불편함이 없었다. 이 경우, 10회 연삭 사용하였으며, 15만 × 10 = 150 만타 정도 타일 절단이 가능하였다.
절단부(310)의 높이를 20 mm 로 하고 날의 각도를 18°로 하였을 때, 종래의 절단칼에 비해 (15 - 5) × 10 = 100만타 정도 사용량이 증가하며 사용타수가 200% 이상 증가되며, 연삭 주기가 3배가 길어지는 유리한 효과를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일재단기용 금형은,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금형블록유닛; 상기 금형 블록들의 가장자리에 칼날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팅수단; 및 상기 금형블록유닛에 설치되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시 재단대상물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고정수단은, 상기 금형블록유닛에 고정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와 소정 간격을 두고 측면에 배치된 측면가이드부재; 상기 측면가이드부재를 상기 고정몸체에 연결 고정하는 연결고정부재;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측면가이드부재 사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연결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시 상기 재단대상물에 접촉되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는 측면에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칼은 양면날의 각도가 16°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재단기용 금형은 승강 플레이트(100), 금형블록유닛(200), 커팅수단(300) 및 가압고정수단(40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100)는 사각형상의 판으로 유압프레스(3)의 하부에 장착되어 승강한다.
상기 금형블록유닛(200)은 승강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201, 202, 203, 204,..)이 소정 간격( ℓ₂), 후술할 절단칼(301)의 두께(t)보다 더 큰 간격(0.5 ~ 1mm 정도 더 큼)을 두고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절단칼(301)의 일측면은 금형블록(202)이 접하고 타측면은 인접하는 금형블록(203)과 갭(GAP, 210)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타측면으로부터 삽입된 제2 체결구(220,스크류)에 의해 일측면에 위치한 금형블록(202)에 고정되게 된다.
금형블록 들은 절단칼(301)이 장착되기 전에 이미 제1 체결구(110)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어 있다. 금형블록 간의 간격은 절단칼(301)의 두께(t)보다 더 큰 간격(ℓ₂ = t + 0.5 ~ 1mm가 바람직)을 두고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본 고안은 절단칼(301) 장착 후 다른 하나의 금형블록과의 간격, 갭이 존재하고 이로인해 제2 첵결구(볼트 너트, 스크류) 만을 탈거하면 절단칼(301)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1540호의 경우 금형블록들이 절단칼(301)의 두께(t)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는 점에서 본 고안과 다르며, 종래기술은 절단칼(350)이 연속적으로 수개 배치된 경우 금형블록을 모두 소급 탈거 해야 절단칼(350)을 분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금형블록들(201, 202, 203, 204,..)은 중앙부분 및 장착공간(202c, 203c)이 빈 공간이고, 사각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커팅수단(300)은 칼날몸체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는 양면날이 형성되도록 제작된 절단칼(301)이다. 절단칼(301)는 양면날의 각도(θ1)가 16°내지 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고정수단(400)은 금형블록들(201, 202, 203, 204,..)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하 또는/및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며, 승강 플레이트(100)의 승강시 재단대상물(1)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가압고정수단(400)은 고정몸체(401), 측면가이드부재(402), 연결고정부재(403), 슬라이딩부재(404), 탄성부재(405) 및 가압부재(406)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몸체(401)는 금형블록들(201, 202, 203, 204,..)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절단칼(301)를 관통하여 스크류(401a)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몸체(401)는 하부 측면에 소정 각도의 경사면(401')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부재(402)는 고정몸체(401)와 소정 간격을 두고 경사면(401')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측면가이드부재(402)의 선단과 후단은 각각 스크류(402a, 402b)에 의해 고정몸체(401)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고정부재(403)는 측면가이드부재(402)의 후단과 고정몸체(401) 사이에 개재되며 스크류(402b)에 의해 연결 고정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04)는 경사면(401')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몸체(401)와 측면가이드부재(402) 사이에 설치된다. 슬라이딩부재(404)에는 스크류(402a)가 관통하는 장공(404')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404)가 슬라이딩 동작시 스크류(402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탄성부재(405)는 연결고정부재(403)와 슬라이딩부재(404) 후단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부재(40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이러한 스프링은 연결고정부재(403)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403a)의 축부(403a')에 외삽되어 축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가압부재(406)는 승강 플레이트(100)의 승강시 재단대상물(1)에 접촉되어 가압하는 것으로, 슬라이딩부재(404)의 하단 내측에 스크류(404a)에 의해 결합되며, 가압부재(406)의 내측면은 절단칼(301)의 칼날 경사면과 일치된 경사면을 이룬다. 가압부재(406)의 하단은 탄성부재(405)의 탄성 균형상태에서 절단칼(301)의 칼날 선단보다 하향으로 소정 간격(h),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mm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일재단기용 금형은 PVC타일 또는 카페트타일의 재단대상물(1)을 승강 플레이트(100)의 아래쪽 베이스(5) 위에 위치시킨 후 유압프레스(3)를 작동시켜 승강 플레이트(100)를 하강시키면 승강 플레이트(100)의 하강에 의해 가압고정수단(400)이 재단대상물(1)의 가장자리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플레이트(100)가 하강함에 따라 절단칼(301)의 칼날 선단보다 하향으로 1mm 내지 2mmm 돌출된 가압부재(406)는 재단대상물(1)의 상면에 절단칼(301)의 칼날보다 먼저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 플레이트(100)가 점차적으로 더 하강하게 되면 가압부재(406)가 고정된 슬라이딩부재(404)는 경사면(401')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절단칼(301)의 칼날은 재단대상물(1)에 더욱 근접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 재(405)는 압축되면서 슬라이딩부재(404)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404)에 고정된 가압부재(406)는 재단대상물(1)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단대상물(1)이 가압고정수단(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 플레이트(100)를 더 하강시키면 절단칼(301)가 하강하여 재단대상물(1)을 일정한 형상 및 규격으로 재단한다.
한편, 본 고안은 절단칼(301)를 양측면에 칼날이 형성된 형상으로 제작하고, 금형블록들(201, 202, 203, 204,..) 사이에는 절단칼(301)이 1열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대상물(1)은 가장자리에만 스크랩(1')이 발생되며 중앙 등 나머지 부분에는 스크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고안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절단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가압고정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의해 재단대상물이 재단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타일재단기용 금형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승강 플레이트 110 : 제1 체결구
200 : 금형블록유닛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 금형블록
210 : 갭 220 : 제 2체결구
300 : 커팅수단 301 : 절단칼 305 : 몸체부 310 : 절단부 320 : 부몸체부
400 : 가압고정수단
401 : 고정몸체 402 : 측면가이드부재
403 : 연결고정부재 404 : 슬라이딩부재
405 : 탄성부재 406 : 가압부재

Claims (3)

  1. 승강 플레이트(100)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다수의 금형블록(201,202,203,204,205,206,207,208,209)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된 금형블록유닛(200)과, 상기 금형블록(201, 202, ... , 209 )의 가장자리에 칼날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팅수단(300)과, 상기 금형블록유닛(200)에 설치되며, 승강 플레이트(100)의 승강시 재단대상물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일재단기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300)은 1회 연삭 후 15만타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이중재료로 형성하되 충격에 강하여 잘깨지지 않는 직육면체의 몸체부(305)와, 고속도강, 탄소강 및 크롬몰리브텐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305) 하부로부터 소정높이로 형성되는 부몸체부(320)와, 상기 부몸체부(320)의 하부에 브레이징 용접이 되고 5 mm ~ 30 mm 범위의 높이(H1)로 형성되는 초경합금 재질의 절단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몸체부(320)와 절단부(310)는 몸체부(305)의 양측면 상에서 하부 중앙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게 양면날이 형성되어 내마모성과 절단능력이 뛰어난 이중재료로 형성된 절단칼(301)이고;
    상기 금형블록은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202a)와, 절단칼(301)이 부착되는 부착부(202b)가 구비되고, 상기 부착부(202b)와 대향되게 작업공간(202c)이 형성되되 단면형상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형블록들은 절단칼(301)의 두께(t)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제1 체결구(110)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100)에 고정되고, 제2 체결구(220)에 의해 일 금형블록(202)에 부착된 절단칼(301)의 외측면(305a)과 인접하는 타 금형블록(203) 간에 0.5mm ~ 1mm의 갭(GAP, 210)이 존재하고;
    금형블럭을 탈거하지 않고도 제2 체결구(220)를 장착, 탈착함에 의해 절단칼(301)을 장착, 탈착하여 절단칼(301)이 손상되었을 때 금형블럭의 분해 없이 손상된 절단칼(301)만을 분해하여 교체하거나 보수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5834U 2007-09-21 2007-09-21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KR200444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834U KR200444839Y1 (ko) 2007-09-21 2007-09-21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834U KR200444839Y1 (ko) 2007-09-21 2007-09-21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47U KR20090003047U (ko) 2009-03-25
KR200444839Y1 true KR200444839Y1 (ko) 2009-06-09

Family

ID=4134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834U KR200444839Y1 (ko) 2007-09-21 2007-09-21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86Y1 (ko) 2009-10-01 2011-10-06 안병권 재단칼 정렬수단이 구비된 타일 재단기용 금형
KR200455990Y1 (ko) 2009-10-01 2011-10-06 안병권 구조 개선된 타일 재단기용 금형
KR20220033882A (ko) * 2020-09-10 2022-03-17 나이프코리아 주식회사 바닥재 절단용 나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37B1 (ko) * 2012-08-06 2013-02-07 김동진 재단기용 컷팅부재
KR101383336B1 (ko) * 2013-06-11 2014-04-10 명동복 커팅용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379B1 (ko) 2018-05-16 2020-02-20 송평호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KR101950018B1 (ko) 2018-05-21 2019-02-20 송평호 절단부 라운딩 가공이 가능한 절단용 금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86Y1 (ko) 2009-10-01 2011-10-06 안병권 재단칼 정렬수단이 구비된 타일 재단기용 금형
KR200455990Y1 (ko) 2009-10-01 2011-10-06 안병권 구조 개선된 타일 재단기용 금형
KR20220033882A (ko) * 2020-09-10 2022-03-17 나이프코리아 주식회사 바닥재 절단용 나이프
KR102400584B1 (ko) * 2020-09-10 2022-05-23 나이프코리아 주식회사 바닥재 절단용 나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47U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839Y1 (ko) 절단칼의 분해 조립이 용이한 타일재단기용 금형
EP1957200B1 (en) Composite lifting element of a grinding mill
AU2008325325B2 (en) Self- sharpening, auto- signalling wearing part
CN105840191A (zh) 用于掘进机的截割头
KR101825997B1 (ko) 고경도, 고내충격성 및 고내마모성 합금강을 이용한 길로틴 시어 블레이드 블록 및 길로틴 시어 디바이스
EP2938178B1 (en) Working tool for agricultural machines
WO1997040965A1 (en) A tool for a demolition hammer or the like
CN110744139B (zh) 抗冲击间隔硬质合金锯及制造方法
EP1990093A1 (en) Cutter device mounted on casting breaking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the hardness of cutter device
CN110587011A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双凸台剪切设备
CN211771372U (zh) 糖厂甘蔗撕解机的叠片式撕解刀具
CN210633880U (zh) 一种用于链臂锯的金刚石刀具
CN104121020A (zh) 包括具有边缘加工的切削镶片的残端磨削刀头
KR100902258B1 (ko) 초경합금을 브레이징 하여 구비되는 바닥 타일재단기용 절단칼을 이용한 바닥 타일절단 방법
KR20190104099A (ko) 고철 절단기용 홀딩 밀판의 신속한 분리 및 결합방법
CN208305422U (zh) 液压劈芯机用复合刀板
CN110587013A (zh) 一种异型钢材液压龙门式三凸台剪切设备
CN206676448U (zh) 一种高耐磨复合破碎机锤头
CN200939384Y (zh) 一种破碎机锤头
CN205614129U (zh) 一种飞剪刀片
CN217265810U (zh) 一种新型可换式撕解刀
CN212051473U (zh) 一种甘蔗撕解机刀具
CN219073106U (zh) 一种反击式破碎机板锤
CN211170714U (zh) 一种甘蔗撕解机刀具
CN218755811U (zh) 一种可拆卸装配式撕解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