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760Y1 - 급수용 복합밸브 - Google Patents

급수용 복합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760Y1
KR200444760Y1 KR2020080017166U KR20080017166U KR200444760Y1 KR 200444760 Y1 KR200444760 Y1 KR 200444760Y1 KR 2020080017166 U KR2020080017166 U KR 2020080017166U KR 20080017166 U KR20080017166 U KR 20080017166U KR 200444760 Y1 KR200444760 Y1 KR 200444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valve
ball
water
water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김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성 filed Critical 김호성
Priority to KR2020080017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3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ball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밸브와 체크밸브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급수용 복합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체통로에 의해 연결된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외측면으로는 결합구가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의 내측으로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이 구성된 체크밸브몸체와, 상기 체크밸브몸체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통로를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의 체크밸브볼과 일측이 상기 스냅링에 밀착한 상태로 구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볼을 탄성이동시키는 체크밸브스프링으로 구성된 역류방지구와, 일측으로 상기 체크밸브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결합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체크밸브볼을 부드럽게 감싸 지지고정하는 호형상의 안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체크밸브볼과 체크밸브스프링 사이에 구성되는 가이드링으로 이루어진 체크밸브; 상기 볼밸브와 체크밸브를 연결하도록 볼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는 돌출턱을 형성한 연결소켓; 상기 체크밸브몸체에 구성된 결합구에 결합되어 수격을 방지하는 수격방지구;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본 고안의 급수용 복합밸브를 이용하면, 유체의 유동에 따른 역류방지구의 이동시에도 체크밸브볼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체크밸브몸체에 부딪치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사전에 차단할 수 뿐만 아니라, 밸브의 폐쇄시 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내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었을 시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도록하여 수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급수, 볼, 체크, 밸브, 가이드, 수격, 워터햄머, 진동, 소음

Description

급수용 복합밸브{Complex valve for supplying water}
본 고안은 급수용 복합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동에 따른 역류방지구의 이동시에도 체크밸브볼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체크밸브몸체에 부딪치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사전에 차단할 수 뿐만 아니라, 밸브의 폐쇄시 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내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었을 시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도록하여 수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용 복합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급수밸브로 볼밸브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볼밸브는 개폐용볼이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서는 상기 볼밸브에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더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는 복합밸브가 개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복합밸브로 밸브의 개폐는 물론, 유체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밸브는 체크밸브의 몸체에 구성된 유체통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볼이 유체의 흐름에 의해 탄성이동하는 스프링에 의해서만 이동하여 유체통로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라 체크밸브볼이 이동할 시에 체크밸브몸체에 지속적으로 부딪치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충격음이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대의 모든 설비들이 자동화되면서 전자밸브 및 원터치식 밸브의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밸브 및 수전의 급속 개폐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급속 개폐현상에 따라 배관내에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었을 시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해 소음과 진동이 유발됨은 물론, 밸브 및 배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볼밸브와 체크밸브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급수용 복합밸브에 있어서, 유체통로에 의해 연결된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외측면으로는 결합구가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의 내측으로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이 구성된 체크밸브몸체와, 상기 체크밸브몸체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통로를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의 체크밸브볼과 일측이 상기 스냅링에 밀착한 상태로 구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볼을 탄성이동시키는 체크밸브스프링으로 구성된 역류방지구와, 일측으로 상기 체크밸브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결합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체크밸브볼을 부드럽게 감싸 지지고정하는 호형상의 안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체크밸브볼과 체크밸브스프링 사이에 구성되는 가이드링으로 이루어진 체크밸브; 상기 볼밸브와 체크밸브를 연결하도록 볼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는 돌출턱을 형성한 연결소켓; 상기 체크밸브몸체에 구성된 결합구에 결합되어 수격을 방지하는 수격방지구;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급수용 복합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구가 체크밸브볼과 상기 체크밸브볼을 부드럽게 감싸 지지하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에 따른 역류방지구의 이동에도 체크밸브볼이 가이드링의 안착부에 안착되게 되어 체크밸브몸체에 부딪치는 충격소음이 생기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싱크밸브의 폐쇄시에는 체크밸브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라 체크밸브볼이 유체통로를 자동으로 폐쇄하기 때문에 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크밸브에 수격방지구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내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었을 시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격현상이 방지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급수용 복합밸브(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볼밸브(9)와, 체크밸브(4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볼밸브(9)는,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1)가 형성된 볼밸브몸체(2)와, 상기 볼 밸브몸체(2)의 내부에 구성되어 회전하는 레버(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통로(1)를 개폐하는 볼밸브용볼(4)과, 상기 볼밸브용볼(4)의 양측에 구성되는 테프론시트(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40)는, 일측이 상기 볼밸브(9)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체크밸브몸체(10)와, 역류방지구(20)와, 가이드링(3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몸체(10)는 일측으로 통상의 동관(P)과 너트(N)가 결합되는 유입구(11)를 구성하고 있고, 타측으로는 볼밸브(9)의 볼밸브몸체(2)와 결합을 이루는 유출구(12)를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연결하는 유체통로(13)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유출구(12)의 내측으로는 걸림수단(14)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몸체(10)는 역류방지구(20)와 가이드링(3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제1, 2체크밸브몸체(10a, 10b)로 분리구성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체크밸브(10a)의 유출구(12) 내측에 구성된 걸림수단(14)을 돌출된 돌기(14a)형상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밸브(9)에 구성되는 테프론시트(5)와 체크밸브(40)에 구성되는 체크밸브스프링(22)이 각각 걸리게 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볼밸브(9)와 체크밸브(40) 사이에는 볼밸브(9)와 체크밸브(4)를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소켓(C)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 상기 연결소켓(C)에는 볼밸브(9)에 구성되는 테프론시트(5)가 걸리는 돌출 턱(C1)이 구성되어야만 하며, 상기 체크밸브몸체(10)의 유출구(12) 내측에 구성되는 걸림수단(14)은 체결홈(14b)과 상기 체결홈(14b)에 결합되는 스냅링(S)으로 형성함으로써 체크밸브스프링(22)이 걸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덧붙여, 상기와 연결소켓(C)을 이용할 때에는 체브밸브몸체(10)에 걸림수단(14)인 스냅링(S)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소켓(C)에 구성된 돌출턱(C1)을 이용하여 체크밸브스프링(22)이 걸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역류방지구(20)는 싱크대(미도시)에 구성된 싱크밸브(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체크밸브(10)의 유체통로(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체크밸브몸체(10)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통로(13)를 개폐하는 체크밸브볼(21)과,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볼(21)을 탄성이동시키는 체크밸브스프링(22)으로 구성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체크밸브볼(21)은 체크밸브(40)의 파손방지는 물론, 체크밸브(40) 내부에서의 소음발생을 완전차단 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링(30)은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구(20)의 이동시 상기 체크밸브볼(21)이 흔들림없이 이동되도록 지지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체크밸브스프링(22)이 끼워지는 스프링결합구(31)를 형성하고 있고, 타측으로는 상기 체크밸브볼(21)을 지지고정하는 안착부(3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체크밸브볼(21)을 부드럽게 감싸 지지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볼(21)과 대응하는 부분을 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몸체(10)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격방지 구(90)가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상기 체크밸브몸체(10)에 수격방지구(90)가 결합되는 결합구(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수격방지구(90)는, 일측이 상기 체크밸브(4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배관내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해 소음과 진동이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워터햄머몸체(50)와, 워터햄머플러그(60)와, 워터햄머피스톤(70)과, 워터햄머스프링(80)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햄머몸체(50)는 일측으로 상기 체크밸브몸체(10)의 결합구(15)에 결합되는 충격유입구(51)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배관내에서 형성되는 충격파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 없이 충격유입구(51)를 통해 흡수될 수 있도록 공간부(52)가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워터햄머플러그(60)은 워터햄머몸체(50)의 타측에 결합되어 워햄머몸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워터햄머피스톤(70)과 워터햄머스프링(80)을 워터햄머몸체(50) 내부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진다.
더불어, 상기 워터햄머피스톤(70)은 상기 워터햄머몸체(50) 내부에 구성된 공간부(52)에 끼워짐으로써 충격유입구(5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체가 워터햄머몸체(50)의 공간부(52)로 새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워터햄머피스톤(70)의 외측둘레에는 기밀을 위한 오링(O)이 더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워터햄머스프링(80)은 상기 워터햄머몸체(50)에 결합되는 워터 햄머플러그(60)와 내부에 끼워지는 워터햄머피스톤(7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어 충격파가 발생하였을 시, 충격유입구(52)로부터 충격파를 받아 들임으로써 워터햄머피스톤(70)을 탄성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로써 충격파가 워터햄머몸체 내부로 흡수분산되어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작용을 하고, 충격파가 완전히 없어진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미도시)에 형성된 싱크밸브(미도시)를 개방하여 동관(P)을 통해 유체가 흐르게 되면, 체크밸브(40)로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체크밸브볼(21)이 가이드링(30)과 체크밸브스프링(22)을 뒤로 미는 작용을 하게 되어 체크밸브스프링(22)이 압축됨과 동시에, 유체통로(13)가 개방되어 유체가 싱크대의 싱크수도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에 상기 체크밸브볼(21)은 가이드링(30)의 안착부(32)에 의해 지지고정되어 있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에도 떨림현상과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에 형성된 싱크밸브를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게 되면, 이로 이한 충격파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충격파는 체크밸브몸체(10)에 구성된 수격방지구(90)로 흡수되기 때문에 수격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싱크밸브의 폐쇄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파는 수격방지구(90)에 구성된 충격유입구(51)를 통해 워터햄머몸체(50)로 흡수되는데, 이때에, 상기 워터햄머몸체(50)로 흡수되는 충격파는 충격파로 인해 발생되는 수압의 차이에 의해 워터햄머몸체(50)에 삽입된 워터햄머피스톤(70)을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워터햄머피스톤(70)과 워터햄퍼플러그(60) 사이에 구성된 워터햄머스프링(80)이 워터햄머피스톤(70)에 의해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워터햄머스프링(80)이 압축되면서 충격파가 워터햄머몸체(50)의 공간부(52)로 흡수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밸브의 폐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차단될 때에는 체크밸브볼(21)을 뒤로 미는 수압이 사라지기 때문에 체크밸브스프링(22)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이에 따라 앞으로 밀리는 체크밸브볼(21)에 의해 유체통로(13)가 폐쇠되어 유체가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세한 설명하자면, 싱크밸브와 싱크수도가 형성된 싱크대에는 온수를 공급하는 제1동관과 냉수를 공급하는 제2동관이 각각의 제1, 2급수용 복합밸브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2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유체는 통합된 하나의 배관을 통하여 싱크수도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싱크밸브를 온수로 개방하여 사용하면, 제1배관에서 온수가 흐르게 되어 제1급수용 복합밸브에 구성된 유체통로(13)가 개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싱크수도로 온수가 배출되게 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싱크밸브를 폐쇠시키면, 제1배관에서의 온수의 흐름이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급수용 복합밸브에 구성된 체크밸브스프링(22)에 의해 체크밸브볼(21)이 유체통로(13)를 폐쇄하여 제1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는 작동이 일어난다.
이는, 냉수의 개방때에도 제2급수용 복합밸브를 통해 동일한 작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이로써 싱크밸브의 온, 냉수의 개폐가 반복되어도 제 1, 2급수용 복합밸브에 구성된 각각의 역류방지구(20)로 인해 제1, 2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게 때문에 압력차에 따른 온수와 냉수가 섞이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즉, 싱크밸브의 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제1, 2급수용 복합밸브를 통과한 온/냉수가 각각의 역류방지구에 의해 제1, 2배관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어 온수와 냉수가 섞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유체통로(13)가 폐쇄될 때에도,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상기 체크밸브볼(21)은 가이드링(30)의 안착부(32)에 지지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40) 내부에서의 떨림현상이나 소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용 복합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3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용 복합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격방지구가 구성된 급수용 복합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수격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연결소켓 C1 : 돌출턱
N : 너트 O : 오링
P : 동관 S : 스냅링
1 : 통로 2 : 볼밸브몸체
3 : 레버 4 : 볼밸브용볼
5 : 테프론시트 9 : 볼밸브
10 : 체크밸브몸체 10a, 10b : 제1, 2체크밸브몸체
11 : 유입구 12 : 유출구
13 : 유체통로 14 : 걸림수단
14a : 돌기 14b : 체결홈
15 : 결합구 20 : 역류방지구
21 : 체크밸브볼 22 : 체크밸브스프링
30 : 가이드링 31 : 스프링결합구
32 : 안착부 40 : 체크밸브
50 : 워터햄머몸체 51 : 충격유입구
60 : 워터햄머플러그 70 : 워터햄머피스톤
80 : 워터햄머스프링 90 : 수격방지구
100 : 급수용 복합밸브

Claims (8)

  1. 볼밸브(9)와 체크밸브(4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급수용 복합밸브에 있어서,
    유체통로(13)에 의해 연결된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11)의 외측면으로는 결합구(15)가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12)의 내측으로는 체결홈(14b)과 상기 체결홈(14b)에 결합되는 스냅링(S)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14)이 구성된 체크밸브몸체(10)와,
    상기 체크밸브몸체(10) 내부에 구성되어 유체통로(13)를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의 체크밸브볼(21)과 일측이 상기 스냅링(14b)에 밀착한 상태로 구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볼(21)을 탄성이동시키는 체크밸브스프링(22)으로 구성된 역류방지구(20)와,
    일측으로 상기 체크밸브스프링(22)이 끼워지는 스프링결합구(31)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체크밸브볼(21)을 부드럽게 감싸 지지고정하는 호형상의 안착부(32)를 형성하여 상기 체크밸브볼(21)과 체크밸브스프링(22) 사이에 구성되는 가이드링(30)으로 이루어진 체크밸브(40);
    상기 볼밸브(9)와 체크밸브(40)를 연결하도록 볼밸브(9)와 체크밸브(40) 사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는 돌출턱(C1)을 형성한 연결소켓(C);
    상기 체크밸브몸체(10)에 구성된 결합구(15)에 결합되어 수격을 방지하는 수격방지구(9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급수용 복합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몸체(10)의 결합구(15)에 결합되는 수격방지구(90)는,
    상기 체크밸브몸체(10)의 결합구(15)에 결합되는 충격유입구(51)를 일측에 형성한 워터햄머몸체(50);
    상기 체크밸브몸체(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워터햄머몸체(50)를 밀폐하는 워터햄머플러그(60);
    상기 워터햄머몸체(50) 내부에 구성되어 충격유입구(51)를 개폐하는 워터햄머피스톤(70);
    상기 워터햄머플러그(60)와 워터햄머피스톤(70) 사이에 구성되며, 유체의 흐름이 급격히 차단되었을 시 발생하는 수압의 차이에 의해 워터햄머피스톤(70)을 탄성이동시켜 수압을 워터햄머몸체 내부로 분산시킴으로써 소음과 진동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워터햄머스프링(8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급수용 복합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햄머피스톤(70)의 외측둘레에는 워터햄머몸체(50) 내부로 물이 새어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기밀을 위한 오링(O)이 더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급수용 복합밸브.
KR2020080017166U 2008-12-26 2008-12-26 급수용 복합밸브 KR200444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66U KR200444760Y1 (ko) 2008-12-26 2008-12-26 급수용 복합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66U KR200444760Y1 (ko) 2008-12-26 2008-12-26 급수용 복합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760Y1 true KR200444760Y1 (ko) 2009-06-03

Family

ID=4134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166U KR200444760Y1 (ko) 2008-12-26 2008-12-26 급수용 복합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7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70A (ko) * 2014-05-30 2015-12-09 디케이락 주식회사 안전볼밸브
KR20150145459A (ko) * 2014-06-19 2015-12-30 디케이락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볼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70A (ko) * 2014-05-30 2015-12-09 디케이락 주식회사 안전볼밸브
KR101580459B1 (ko) * 2014-05-30 2015-12-28 디케이락 주식회사 안전볼밸브
KR20150145459A (ko) * 2014-06-19 2015-12-30 디케이락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볼밸브
KR101586724B1 (ko) * 2014-06-19 2016-01-19 디케이락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볼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7198C2 (ru)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заполнения, сосуд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KR200444760Y1 (ko) 급수용 복합밸브
MXPA06002331A (es) Hidrante de pared que tiene dispositivo para evitar contraflujo.
US5079781A (en) Backflow preventer for hand spray
US5402822A (en) Anti-cavitation valve
JP4440782B2 (ja) 衛生設備に用いられる組込み部材
US20050263187A1 (en) Check valve barbed casing
RU67217U1 (ru) Трубопроводная арматура
JPH05187565A (ja) 圧力緩和構造を備えた逆止弁
JPH08338564A (ja) 逆止弁装置
KR200447182Y1 (ko) 소켓 분리형 역류방지 장치
JPH08145236A (ja) 逆圧減衰弁
NO325892B1 (no) Vannkran
JP6040378B2 (ja) 逆止弁
KR101374936B1 (ko) 볼밸브
JP6872687B2 (ja) 逆止弁およびそれを備えた給湯機
JP4262634B2 (ja) 逆止弁の水撃防止装置
KR20200095098A (ko) 멀티 체크 밸브
US11913569B1 (en) Serviceable ball check valve
JP2002213644A (ja) 水撃緩和機構付逆止弁を備えた水栓
US11725747B1 (en) Water arrestor valve assembly
JP4160716B2 (ja) 切替弁付き継手
US7380567B2 (en) Safety valve assembly having reset mechanism
RU181976U1 (ru) Шиберная задвижка с обратным затвором
JP2008020042A (ja) 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