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746Y1 -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 Google Patents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746Y1
KR200444746Y1 KR2020070015361U KR20070015361U KR200444746Y1 KR 200444746 Y1 KR200444746 Y1 KR 200444746Y1 KR 2020070015361 U KR2020070015361 U KR 2020070015361U KR 20070015361 U KR20070015361 U KR 20070015361U KR 200444746 Y1 KR200444746 Y1 KR 200444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orseshoe
piece
midsole
meta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729U (ko
Inventor
김호현
Original Assignee
김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현 filed Critical 김호현
Priority to KR2020070015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74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깔창과 바닥창 사이에 위치되는 신발중창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쿠션재를 충전하고, 그 신발중창의 하면에는 금속재로 되는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을 덧대 설치하여 마감재로서 마감 처리하는 것에 의해 쿠션재를 갖는 신발중창에 의한 착화감 향상 및 금속재 보강편에 의한 신발의 변형 방지와 아울러 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신발중창(A)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쿠션재(4)가 충전되는 중창본체(1)의 뒤꿈치측 하부에는 중앙부에 지지편(22)이 설치된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2)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금속재 보강편(2)을 사이에 두고 중창본체(1)의 하면에는 상기 금속재 보강편(2)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감재(3)를 덧대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이다.
쿠션재, 신발중창, 보강편, 마감재

Description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An insole with horseshoe-type shank}
본 고안은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깔창과 바닥창 사이에 위치되는 신발중창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쿠션재를 충전하고, 그 신발중창의 하면에는 금속재로 되는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을 덧대 설치하여 마감재로서 마감 처리하는 것에 의해 쿠션재를 갖는 신발중창에 의한 착화감 향상 및 금속재 보강편에 의한 신발의 변형 방지와 아울러 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뒷굽이 있는 구두나 또는 운동화의 경우, 신발의 형태가 체중에 의해 영향을 받아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신발중창 하면의 발뒤꿈치부측에 금속재 보강편을 부착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재 보강편을 부착한 종래의 신발의 경우, 부착되는 금속재 보강편의 형태가 단순 일자형으로 되는 것이어서 신발의 뒤틀림이나 구부러짐등의 변형발생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발뒤꿈치를 포함한 발바닥의 주요부분이 직접 접촉되는 쿠션재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로 인해 보행시 보행자의 체중분산 효과가 미미해 착화감을 해치게 되는 문제로 인해 장시간 보행시 발이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단순 일자형이나 기타 중창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형태의 보강편의 구성특성상 안정적으로 신발형태를 장기간 유지,보존할 수 없게 되는 문제로 인해 신발의 사용수명을 단축 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는 어떠한 쿠션재도 마련되지 않은 채 단순히 그 하면에 대략 길이 방향에 대해 일자형으로 연장되게 금속재 보강편을 부착하여서 되는 종래의 신발중창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중창을 이루는 중창 본체의 중앙부를 공간부로 하여 우레탄 소재의 쿠션재가 충전되게 하고, 그 중창 본체의 대략 발뒤꿈치 측 하부에 쿠션재 둘레로 말굽형 금속재 보강편이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역시 U자형의 마감재를 덧대 마감처리 함으로써, 신발착화시 중창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쿠션재에 발바닥 주요부분이 접촉되면서 체중이 분산되게 되어 착화감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의 존재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보다 안정적인 신발 형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신발의 사용수명 연장 및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게 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은, 신발중창(A)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쿠션재(4)가 충전되는 중창본체(1)의 뒤꿈치측 하부에는 보강편의 실질적 보강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지지편(22)이 설치된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2)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금속재 보강편(2)을 사이에 두고 중창본체(1)의 하면에는 상기 금속재 보강편(2)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감재(3)를 덧대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에 의하면, 각종 신발의 중창을 이루는 중창 본체의 중앙공간부에 발바닥 주요부분이 접촉되는 쿠션층을 충전한 상태에서 중창 본체의 발뒤꿈치측 하면 쿠션층 둘레로 에워싸듯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을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마감재로 최종 덧대 마감처리 함으로써, 착화자의 발바닥이 중창의 쿠션재에 접촉되면서 체중이 분산되게 되어 장시간의 착화시에도 발의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중창본체 하면에 부착 설치되는 금속재 보강편의 존재에 의해 신발의 뒤틀림이나 구부러짐 등의 변형발생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신발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신발의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을 이루는 금속재 보강편의 다른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의 설치 사용상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을 이루는 중창본체의 다른예의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중창본체(1)와 보강편의 실질적 보강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지지편(22)이 설치된 금속재 보강편(2) 및 마감재(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창본체(1)는 신발(5) 내부의 깔창 하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우레탄 소재로 되어 일정두께를 갖는 쿠션재(4)를 끼워넣는 형태로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이 쿠션재(4)의 존재에 의해 신발착화자의 발바닥 주요부분이 상기 쿠션재(4)와 접촉된 상태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실질적인 보행충격의 흡수 및 체중분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삭제
이때, 중창본체(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쿠션재(4)를, 쿠션재(4)가 끼워지는 공간부를 둘로 구획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몸체가 아닌 둘로 구분되게 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쿠션재(4)의 형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재 보강편(2)은, 대략 말굽형으로 되어 부착공(21)을 통해 리벳등의 부착수단으로 상기 중창본체(1) 하면의 발뒤꿈치 측에 부착설치되어 신발(5)의 형태 유지 및 비틀림등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중앙부는 개구부로 형성하여 이 금속재 보강편(2)이 부착되는 중창본체(1)의 중앙부에 충전 설치되는 쿠션재(4) 부분이 채워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중앙부에 지지편(22)이 설치된 금속재 보강편(2)은, 상기 지지편(22)의 양측으로 각각 보조 지지편(23)을 더 설치되도록하여 금속재 보강편(2)의 전체적인 강도증진 및 금속재 보강편(2)이 설치된 신발(5)에 대한 보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재(3)는 대략 상기 금속재 보강편(2)에 대응하는 형태로 되어 금속재 보강편(2)을 사이에 두고 중창본체(1)의 뒤꿈치측 하면에 접착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덧대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중창본체(1)에 대한 금속재 보강편(2)의 보다 확실한 부착 설치 상태의 유지와 아울러 금속재 보강편(2)을 은폐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 창(A)은, 중창본체(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부에 채워지는 쿠션재(4)의 존재에 의해 신발(5) 착화자의 발바닥 주요부분이 항상 쿠션재(4)와 접촉된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보행충격 흡수는 물론 보행자의 체중이 분산되는 상태로 보행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보행에 따른 피로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발뒤꿈치측 쿠션재(4) 둘레로 설치되는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2)의 존재에 의해 신발의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비틀림이나 구부러짐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항상 원형 그대로의 신발보존이 가능하게 되므로 그만큼 신발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의 핵심 구성요소인 금속재 보강판(2)의 재질을 금속재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 기능 및 동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고강도 합성수지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을 이루는 금속재 보강편의 다른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의 설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을 이루는 중창본체의 다른예의 사시도.
삭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중창본체 2 : 보강편 22 : 지지편 23 : 보조지지편 3 : 마감재 4 : 쿠션재

Claims (3)

  1. 신발중창(A)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의 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쿠션재(4)가 충전되는 중창본체(1)의 뒤꿈치측 하부에는 중앙부에 지지편(22)이 설치된 말굽형의 금속재 보강편(2)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금속재 보강편(2)을 사이에 두고 중창본체(1)의 하면에는 상기 금속재 보강편(2)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감재(3)를 덧대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2)이 설치된 금속제 보강편(2)의 중앙부 양측으로 각각 보조지지편(23)을 더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KR2020070015361U 2007-09-14 2007-09-14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KR200444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361U KR200444746Y1 (ko) 2007-09-14 2007-09-14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361U KR200444746Y1 (ko) 2007-09-14 2007-09-14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29U KR20090002729U (ko) 2009-03-18
KR200444746Y1 true KR200444746Y1 (ko) 2009-06-02

Family

ID=4128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361U KR200444746Y1 (ko) 2007-09-14 2007-09-14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21A1 (ko) * 2020-12-08 2022-06-16 김동현 근력강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5024A (zh) * 2018-07-14 2018-11-13 苏州源欣江碳纤维科技有限公司 带下支撑的脚掌骨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21A1 (ko) * 2020-12-08 2022-06-16 김동현 근력강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29U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3862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KR100766217B1 (ko)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US8056261B2 (en) Footwear sole construction
CA2522011C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EP1894484B1 (en) Sole structure body for shoes
US4614046A (en) Shoe sole having a midsole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US20110154689A1 (en) Shoe sole includ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US20120042538A1 (en) Shoe Sol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US20090241377A1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20060265902A1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10231515B2 (en) Cup-shaped shank for heeled shoes
WO2014196387A1 (ja)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ITTO970021U1 (it) Suola di scarpa provvista di struttura di sostegno.
US10463103B2 (en) Midsole with incorporated orthotic support
KR200444746Y1 (ko) 말굽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20140003454U (ko) 여성 구두 중창용 보강편
JP2651785B2 (ja)
KR20070060634A (ko)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JP2000201703A (ja) 靴底構造
KR200401799Y1 (ko) 와이자형 보강편을 갖는 신발중창
KR20090002730U (ko) 금속 보강편을 갖는 여화용 신발중창
CN211608356U (zh) 一种具有稳定支撑功能的缓震鞋底
KR102434774B1 (ko) 인체공학적인 보행과 관절을 보호해주고, 피로를 감소해주는 구두용 중창 및 그 제조방법
JP2007307115A (ja) 靴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