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688Y1 -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688Y1
KR200444688Y1 KR2020080016396U KR20080016396U KR200444688Y1 KR 200444688 Y1 KR200444688 Y1 KR 200444688Y1 KR 2020080016396 U KR2020080016396 U KR 2020080016396U KR 20080016396 U KR20080016396 U KR 20080016396U KR 200444688 Y1 KR200444688 Y1 KR 200444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sandwich panel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sandwi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아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가 개시된다. 구조물을 커버하여 외피를 구성하며, 소정 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샌드위치 패널로서, 구조물에 접합되는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적층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단열재와, 단면상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와, 단열재를 커버하도록 단열재에 적층되는 제2 금속판과, 볼트 체결부의 내측으로, 단면상의 일단부에 돌설되는 돌기부와, 단면상의 타단부에 돌설되고, 돌기부를 수용하여 돌기부와 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은, 샌드위치 패널의 양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돌기부와 수용부를 각각 형성하여 2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간단히 끼우는 것만으로 연결할 수 있어, 샌드위치 패널 간의 접합부나 볼트 체결 부위를 통해 빗물이 침투하거나, 패널 간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 접합구조

Description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Sandwich panel and joining structure thereof}
본 고안은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 패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스티로폼이나 폴리우레탄폼 등과 같은 합성수지 발포체 또는 미네랄울, 글래스울 등과 같은 무기재료 단열재를 충전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단열재와 금속판을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단열재의 양면에 금속판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생산되기도 하고,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단열재를 발포하여 채우는 방식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샌드위치 패널은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단열 성능이 우수하여 간이 구조물, 건축물, 각종 시설물의 시공시 지붕, 벽체 등 외피를 구성하기 위한 패널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구조물에 여러 장을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벽체나 지붕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인접한 패널 간의 접합부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의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구조물(1)에 2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연결하여 배치하고 접합부에 볼트(3)를 체결함으로써 2장의 샌드위치 패널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구조물(1)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샌드위치 패널(10)이 연결된 부분의 미세한 틈이나 볼트(3)가 체결된 부분의 틈이 모세관 역할을 함으로써 빗물 등이 구조물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샌드위치 패널(1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볼트(3)를 체결하기 위해 지붕캡 등의 부자재(5)가 추가로 소요되며, 2장의 패널을 연결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3)를 체결하므로 볼팅(bolting)과정에서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샌드위치 패널(10)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등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을 지붕에 시공할 경우, 패널 내에 충전되는 단열재 외에 지붕골에 해당하는 공간(도 1의 'A')에도 별도의 패드를 충전해서 제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고안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고안은 여러 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클립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어, 빗물이 침투하거나 패널 간의 연결부위가 벌어질 우려가 없고, 별도의 철물이나 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패널이 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을 커버하여 외피를 구성하며, 소정 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샌드위치 패널로서, 구조물에 접합되는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적층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단열재와, 단면상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와, 단열재를 커버하도록 단열재에 적층되는 제2 금속판과, 볼트 체결부의 내측으로, 단면상의 일단부에 돌설되는 돌기부와, 단면상의 타단부에 돌설되고, 돌기부를 수용하여 돌기부와 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이 제공된다.
볼트 체결부는 단열재가 단차를 가지고 일부 함입되는 단턱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 및 수용부는 제2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는, 단턱부를 커버한 제2 금속판을 단차 부분까지 다시 절곡한 후, 제2 금속판의 면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의 함입된 깊이는, 샌드위치 패널을 관통하도록 단턱부에 볼트를 체결할 경우 볼트의 머리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는 걸림부에 끼워지는 형상의 클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샌드위치 패널이 복수로 접합되는 구조로서, 제1 샌드위치 패널의 볼트 체결부에는 볼트가 관통되어 구조물에 결합되고, 제1 샌드위치 패널의 돌기부와 제2 샌드위치 패널의 수용부는 서로 결속되되, 볼트는 제2 샌드위치 패널의 제2 금속판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의 접합구조가 제공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샌드위치 패널로서,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적층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단열재와, 단열재를 커버하도록 단열재에 적층되는 제2 금속판을 포함하되, 제2 금속판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붕골이 형성되며, 지붕골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금속판과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별도의 패드가 충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샌드위치 패널의 양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돌기부와 수용부를 각각 형성하여 2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간단히 끼우는 것만으로 연결할 수 있어, 샌드위치 패널 간의 접합부나 볼트 체결 부위를 통해 빗물이 침투하거나, 패널 간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한 쪽 단부에서 패널 전체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체결하여 패널을 구조체에 접합하고, 그에 인접하는 패널을 클립 방식으로 끼워서 결합하므로, 단열재의 신축에 따라 클립 방식으로 끼우는 과정에서 공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줄어들게 되며, 패널 전체를 구조체에 결합하므로 별도의 철물이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시 패널의 금속판과 단열재가 서로 분리될 우려가 없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접합 방식은 지붕과 벽체 시공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샌드위치 패널은 제조과정에서 지붕골 부분에 패드를 끼워넣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재료비 및 인건비가 현저히 절감되고, 제품의 구조적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조물(1), 볼트(3), 샌드위치 패널(10), 제1 금속판(12), 제2 금속판(14), 단열재(16), 단턱부(18), 돌기부(20), 걸림부(22), 수용부(30), 클립부(3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 접합하여 지붕이나 벽체 등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샌드위치 패널의 양단부에 서로 대응하는 돌기부(20)와 수용부(30)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클립 방식으로 간단히 끼우는 것만으로 2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손쉽게 연결, 접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샌드위치 패널 간의 접합부를 통해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패널 간의 접합부가 벌어지는 등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샌드위치 패널(10)의 한 쪽 단부에 볼트 체결부를 형성하고 볼트 체결부에서 패널 전체를 관통하도록 볼트(3)를 체결하여 패널을 구조체에 접합한 후, 체결된 볼트를 커버하도록 클립 결합을 함으로써, 클립 방식으로 끼우는 과정에서 단열재(16)의 신축에 따른 공차가 발생하지 않아 클립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패널 전체를 구조체에 결합하므로 별도의 철물이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패널의 금속판과 단열재(16)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은 구조물(1)을 커버하여 지붕이나 벽체 등 구조물(1)의 외피(外皮)를 구성하는 건축자재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단면은 전체적으로 띠 형상으로서 일부에 돌기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판재이다. 샌드위치 패널(10)의 폭, 두께, 길이는 그 설치부위에 따라 다양한 칫수로 주문 생산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10)은 한 쌍의 금속판(12, 14) 사이에 단열재(16)가 개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는 편의상 한 쌍의 금속판(12, 14) 중 구조물(1)에 접하는 쪽을 제1 금속판(12), 외부를 향하는 쪽을 제2 금속판(14)이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기본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제1 금속판(12)과 제2 금속판(14)이 서로 바뀔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은 구조물(1)에 접합되는 제1 금속판(12), 제1 금속판(12)에 적층되는 단열재(16), 및 단열재(16)에 적층되는 제2 금속판(14)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단열재(16)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한 쌍의 금속판(12, 14) 사이에 충전되는 부재이고, 제2 금속판(14)은 단열재(16)의 표면을 마감하는 부재로서, 단열재(16)의 표면 형상에 따라 일부 돌출되거나 함입되는 형상으로 절곡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샌드위치 패널(10)은, 단열재(16)의 표면 형상에 따라 제2 금속판(14)을 절곡한 후 이를 단열재(16)에 적층, 접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고,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제2 금속판(14)과 제1 금속판(12) 사이를 소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액상의 단열 물질을 주입하거나 분사하여 두 금속판(12, 14) 사이에 충전시킴으로써 제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은 그 단면상의 한 쪽 단부에 볼트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볼트 체결부는 샌드위치 패널(10) 전체를 관통하도록 볼트(3)를 체결하는 위치를 지칭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을 형성하여 볼트(3)가 체결될 부분을 특정할 수 있다. 다만, 볼트 체결부가 반드시 단턱의 형태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패널을 관통하도록 볼트(3)를 체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패널의 일단부의 소정 위치가 볼트 체결부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볼트 체결부로서 단턱부(18)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턱부(18)는 단열재(16)의 일부가 단차를 가지고 함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3)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턱부(18)가 함입된 깊이를 볼트(3)의 머리의 높이 이상으로 할 경우, 단턱부(18)에 볼트(3)를 체결하더라도 인접한 샌드위치 패널(10)의 제2 금속판(14)이 볼트(3)를 커버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에는 체결 된 볼트(3)가 보이지 않아 외관상 깔끔한 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0)를 단턱부(18)의 내측으로 형성하여 인접한 패널과 클립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클립 체결에 의해 패널과 패널 간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볼트(3)가 위치하게 되므로, 볼트 체결부로 빗물이 침투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은 그 단면상에서 한 쪽에 돌기부(20)가, 다른 한 쪽에 수용부(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속판(14)의 일단부에는 돌기부(20)가 돌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에는 돌기부(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수용부(30)가 돌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기부(20)와 수용부(30)는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속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길이방향 중의 일부에만,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샌드위치 패널(10)의 양단부에 각각 돌기부(20)와 수용부(30)를 형성하게 되면, 2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이어 붙여 시공할 때, 어느 샌드위치 패널(10)의 돌기부(20)와 그에 인접한 샌드위치 패널(10)의 수용부(30)가 서로 접하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돌기부(20)가 수용부(30)에 수용되도록 인접한 샌드위치 패널(10)을 시공함으로써, 돌기부(20)와 수용부(30)가 서로 결속되어 2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0)는 볼트 체결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구성요소 로서, 볼트 체결부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단턱부(18)의 내측에 돌기부(20)를 형성한다는 것은, 샌드위치 패널(10)의 끝단을 기준으로 가장 바깥쪽에 단턱부(18)를 형성하고 단턱부(18)보다 안쪽으로 돌기부(20)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도 3에는 샌드위치 패널(10)의 단부에 있어서 돌기부(20)의 외측에 단턱부(18)가, 단턱부(18)의 내측에 돌기부(20)가 형성된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돌기부(20)를 단턱부(18)의 내측에 형성하고 이를 인접한 패널의 수용부(30)와 클립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클립 체결에 의해 패널과 패널 간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볼트(3)가 위치하게 되므로, 볼트 체결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빗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돌기부(20) 및 수용부(30)는 샌드위치 패널(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샌드위치 패널(10)의 양단부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금속판(14)을 절곡하여 제2 금속판(14)의 일부로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금속판을 절곡하여 돌기부(20)와 수용부(30)를 형성할 경우, 샌드위치 패널(10)을 제작하기 위해 금속판을 절곡하는 과정에서부터 돌기부(20) 및 수용부(30)를 미리 형성한 후, 금속판과 단열재(16)를 접합하여 샌드위치 패널(10)을 제작할 수 있어, 별도의 재료나 공정의 추가 없이 단순히 설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2 금속판(14)을 절곡하여 돌기부(20)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패널의 끝단까지 단턱부(18)를 커버하도록 하고 다시 패널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단차 부분까지 단턱부(18)를 재차 커버하도록 한 후, 그 나머지 부분을 절곡하여 돌기부(20)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한 장의 제2 금속판(14)을 절곡하여 단턱부(18)의 내측에 돌기부(20)가 위치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부(20)에 의해 빗물 등이 단턱부(18)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2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20)와 수용부(30)가 서로 결속되도록 하기 위해, 돌기부(20)에는 걸림부(22)를 형성하고, 수용부(30)에는 걸림부(22)에 끼워지는 클립부(32)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22)와 클립부(3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돌기부(20)의 끝부분을 약간 돌출시켜 걸림부(22)를 형성하고, 수용부(30)의 끝부분에는 걸림부(22)에 걸리는 단턱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여 클립부(32)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돌기부(20)의 끝부분을 수회 절곡하여 '돌기 및 홈'의 형상으로 걸림부(22)를 형성하고, 수용부(30)의 끝부분은 상기 돌기에 걸리고 상기 홈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클립부(3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돌기부(20)와 수용부(3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걸림부(22) 및 클립부(3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부(22) 및 클립부(32)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구현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샌드위치 패널(10)의 양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이 접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돌기부(20) 및 수용부(30), 나아가 걸림부(22)와 클립부(32)의 구체적인 형상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 금속판(14)을 절곡하여 돌기부(20)와 수용부(30)를 형성한 경우이다.
이처럼, 샌드위치 패널(10)의 일단부에 돌기부(20)를 형성할 경우, 샌드위치 패널(10)의 타단부에는 돌기부(20)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제2 금속판(14)을 절곡하여 수용부(30)를 형성함으로써, 어느 샌드위치 패널(10)과 인접한 샌드위치 패널(10)의 접합부에서 돌기부(20)와 수용부(30)가 서로 만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30)는 돌기부(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부(30)는 돌기부(20)를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형상으로 절곡하고, 그 끝부분에는 걸림부(22)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클립부(32)를 형성함으로써 돌기부(20)와 수용부(3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다.
제2 금속판(14)을 절곡하여 수용부(30)를 형성할 경우, 수용부(30)는 소정의 탄력을 가질 수 있으며, 돌기부(20)가 수용부(30)에 삽입되도록 샌드위치 패널(10)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클립부(32)는 탄력에 의해 걸림부(22)에 끼워지게 되어, 별도의 조임 수단이나 후속 공정 없이도 돌기부(20)와 수용부(30)가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샌드위치 패널(10) 제작함으로써, 여러 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구조물(1)에 접합하는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완성된 구조물(1)에 어느 한 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접합한다. 구조물(1)에 샌드위치 패널(10)을 접합하기 위해 단턱부(18)를 관통하도록 볼트(3)를 체결하여 구조물(1)에 결합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턱부(18)를 관통하도록 볼트(3)를 체결함으로써, 단열재(16)의 신축에 따라 돌기부(20)의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돌기부(20)와 수용부(30)를 클립 방식으로 끼우는 과정에서 시공 오차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패널 결합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샌드위치 패널의 제1 금속판(12)만을 구조체에 결속하고 패널과 패널 간을 클립 방식으로 결합할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패널의 금속판과 단열재(16)가 서로 분리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패널 전체를 관통하도록 볼트(3)를 체결하여 구조체에 결합할 경우에는, 패널을 구조체에 결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철물이나 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장시간동안 패널이 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10)의 양단부에 돌기부(20)와 수용부(30)를 각각 형성한 경우, 돌기부(20)가 형성된 쪽의 단턱부(18)에 볼트(3)를 관통시켜 구조물(1)에 체결하고, 다음으로 다른 한 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의 수용부(30)가 형성된 쪽을 구조물(1)에 접합된 샌드위치 패널(10)에 연결한다.
돌기부(20)가 형성된 쪽을 구조물(1)에 접합하기 위해서는 볼트(3)를 체결하지만, 수용부(30)가 형성된 쪽을 접합된 샌드위치 패널(1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볼팅이 필요 없고 단순히 수용부(30)를 돌기부(20)에 끼우기만 하면 된다. 이처럼, 구조물(1)에 미리 접합된 샌드위치 패널(10)에 연결하여 다른 샌드위치 패널(10)을 끼우는 방식으로 여러 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순차적으로 접합함으로써, 벽체나 지붕 등 구조물(1)의 외피를 시공할 수 있다.
2장의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구조물에 접합하는 종래의 접합방식과 달리, 어느 한 장의 샌드위치 패널(10)을 미리 구조물(1)에 접합한 상태에서 다른 샌드위치 패널(10')을 연결하여 끼우는 방식으로 샌드위치 패널(10) 공사가 진행되므로, 샌드위치 패널(10)의 접합부에서의 볼팅 작업 과정에서 패널이 서로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안정적이고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샌드위치 패널(10)의 돌기부(20)가 제2 샌드위치 패널(10')의 수용부(30)에 끼워지도록 클립 방식으로 결속시킴에 따라, 제1 샌드위치 패널(10)의 단턱부(18)에 체결된 볼트(3)는 제2 샌드위치 패널(10')의 제2 금속판(14)에 의해 차폐된다.
이에 따라, 시공 후 외부에서는 볼트(3) 체결부위가 보이지 않는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돌기부(20)가 단턱부(18)의 내측에 형성되므로, 단턱부(18)로의 침수 및 그로 인한 부식 등의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결합방식은 반드시 샌드위치 패널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 철판이나 싱글 시트에 적용되어 보다 신속하고 안정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지붕 시공용 샌드위치 패널은 지붕골 부분(도 1의 'A')에 별 도의 패드 등을 채워넣음으로써, 시공과정에서 작업자가 지붕골을 밟아 지붕골이 찌그러지는 등의 구조적 하자를 방지하고 패널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붕골(도 2의 'B')의 형상이 좁고 제2 금속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설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지붕골 부분에 별도의 패드 등을 채워넣지 않더라도 구조적인 하자나 단열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은 제조과정에서 패드를 끼워넣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재료비 및 인건비가 현저히 절감되고, 제품 생산의 수율이 향상되며, 지붕 시공과정에서도 지붕골 부분의 강도가 확보되므로 시공 품질 및 속도가 개선되고, 지붕 전체의 구조적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조물 3 : 볼트
10, 10' : 샌드위치 패널 12 : 제1 금속판
14 : 제2 금속판 16 : 단열재
18 : 단턱부 20 : 돌기부
22 : 걸림부 30 : 수용부
32 : 클립부

Claims (8)

  1. 구조물을 커버하여 외피를 구성하며, 소정 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샌드위치 패널로서,
    상기 구조물에 접합되는 제1 금속판과;
    상기 제1 금속판에 적층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단열재와;
    상기 단면상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가 단차를 가지고 일부 함입되는 단턱부의 형태로 형성되는 볼트 체결부와;
    상기 단열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단열재에 적층되는 제2 금속판과;
    상기 볼트 체결부의 내측으로, 상기 단면상의 일단부에 돌설되며, 상기 단턱부를 커버한 상기 제2 금속판을 상기 단차 부분까지 다시 절곡한 후, 상기 제2 금속판의 면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단면상의 타단부에 돌설되고,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여 상기 돌기부와 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턱부의 함입된 깊이는, 상기 샌드위치 패널을 관통하도록 상기 단턱부에 볼트를 체결할 경우 상기 볼트의 머리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부에 끼워지는 형상의 클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구조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샌드위치 패널로서,
    제1 금속판과;
    상기 제1 금속판에 적층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단열재에 적층되는 제2 금속판과;
    상기 제2 금속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설되는 좁은 형상의 지붕골을 포함하되,
    상기 지붕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2 금속판과 상기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별도의 패드가 충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KR2020080016396U 2008-12-10 2008-12-10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KR200444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96U KR200444688Y1 (ko) 2008-12-10 2008-12-10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96U KR200444688Y1 (ko) 2008-12-10 2008-12-10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688Y1 true KR200444688Y1 (ko) 2009-05-28

Family

ID=4164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96U KR200444688Y1 (ko) 2008-12-10 2008-12-10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6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73Y1 (ko) 2013-10-28 2014-06-17 새롬패널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CN109629769A (zh) * 2018-12-27 2019-04-16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金属夹芯板屋面系统
KR102672002B1 (ko) * 2022-03-14 2024-06-04 (주)엠디산업 건축용 조립식 판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73Y1 (ko) 2013-10-28 2014-06-17 새롬패널 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CN109629769A (zh) * 2018-12-27 2019-04-16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金属夹芯板屋面系统
CN109629769B (zh) * 2018-12-27 2024-05-14 中冶建筑研究总院有限公司 金属夹芯板屋面系统
KR102672002B1 (ko) * 2022-03-14 2024-06-04 (주)엠디산업 건축용 조립식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6255A1 (en) Rigid wall panel system
US9109360B2 (en) Insulating fire and blast resistant window and door buck
US20140075872A1 (en) Building Wall Assembly
KR200444688Y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KR200443542Y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접합구조
CN208235859U (zh) 后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
CA2727298A1 (en) An insulating building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KR200480225Y1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패널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 결합구조
KR101615724B1 (ko) 지붕 설치용 착고형 싱글 패널 조립체
JPS62260942A (ja) サンドイツチパネルの目地構造
KR20130000960U (ko) 지붕 구조물 연결장치
CN108425474B (zh) 先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EP3891346A1 (en) Sandwich panel assembly and associated building
US2106179A (en) Composite construction members
JP2010174442A (ja) 建物の外装部及びその施工方法
CN216406000U (zh) 一种无空腔型快装墙面系统
JP5574620B2 (ja) 屋根部品と外装材の取り合い構造
US3503172A (en) Edge-joined sheet material
JP7184465B2 (ja) 嵌合式屋根材
KR200340788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 구조
KR20130090178A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방수 시공 구조 및 방법
CN214658293U (zh) 一种屋顶板结构
JP7188740B2 (ja) 建築用板材の固定方法、及びその固定構造
EP4312361A1 (en) Wall sandwich panel with photovoltaic panel and a set of sandwich panels
JP4769029B2 (ja) 屋根パネル連結金物および屋根パネルの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