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92Y1 -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92Y1
KR200444092Y1 KR2020090000424U KR20090000424U KR200444092Y1 KR 200444092 Y1 KR200444092 Y1 KR 200444092Y1 KR 2020090000424 U KR2020090000424 U KR 2020090000424U KR 20090000424 U KR20090000424 U KR 20090000424U KR 200444092 Y1 KR200444092 Y1 KR 200444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idge
plate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해외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한국해외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90000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 G01L1/2293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of the semi-conductor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0Determining the moment of inert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각면의 판체로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침하관통공이 형성되되, 내주연 좌우측에는 양극단자볼스프링과 음극단자볼스프링이 각각 설치되고, 전후방측 상단면에는 상면에서 내측으로 스프링삽입홈을 갖는 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축공 좌우측 하부에는 각각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가 각각 고정설치되고, 각 모서리측 선단면에는 사면에서 내측으로 볼트공을 갖는 삽입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진단판체와; 상기 진단판체의 축공 연장선상에 축고정공을 갖고 삼각형을 이루는 지지대로 하단면이 전후방측 교량 교각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되 고정공에는 교량 교각 상면 내측으로 매립고정된 고정바 상단면의 체결공이 위치되어 체결볼트로 체결고정되는 전후방측삼각지지대와; 축봉으로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삼각지지대의 축고정공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단판체의 축공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삽입홈 연장선상에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 외측의 좌우측 외주연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 회동시 축공 좌우측 하부에 고정된 상기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좌우측누름돌기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뒤틀림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과; 길이조절바의 회동방향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되는 바로, 일단은 상기 삽입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공 연장선상에 볼트체결공을 갖고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원판을 갖는 수평바가 형성되되, 수평바 타단은 교량 상판의 측면 상부로 수직절곡되어 상단부에 도체인 접촉링을 갖 는 수직바가 형성되는 침하측정바와; 일단은 교량 상판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와 스프링힌지로 연결되어 내주연 양측에 양극단자볼스프링과 음극단자볼스프링이 통전설치되어 상기 침하측정바의 수직바 상단부가 삽입되는 측정관이 형성되어 교량 상판 침하시 도체인 접촉링에 의해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침하측정대와; 상기 진단판체 침하관통공의 연장선상 교량 거더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관통공에 삽입되는 하향수직바가 형성되되, 침하관통공 상측에는 도체인 접촉부가 형성되어 교량 거더 침하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거더침하핀을 구비하는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간편한 구성으로 저렴하면서도, 교각의 침하 및 이에 따른 상판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측정감시함으로써 미리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단판체, 전후방측삼각지지대,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 침하측정바, 침하측정대, 거더침하핀

Description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safety check-up apparatus of transformation floor-slab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한 구성으로 저렴하면서도, 교각의 침하 및 이에 따른 상판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측정감시함으로써 미리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등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교량은,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교각과, 상기 교각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어 차량이나 사람이 상판을 통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각은 하단이 지면에 매입되어, 상판의 자중과 상판을 통행하는 차량 등의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여 상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런, 교각은 주로 하단이 하천의 바닥 등과 같이, 매우 불안정한 지반에 설치되므로, 상판을 통과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교량의 하중 등에 의해 교각이 침하되면 이에 따라, 상판의 변형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삼각측량법 또는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측량법을 이용하여, 주기 적으로 교각의 침하 또는 상판의 처짐 등을 측량하는 안전 진단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삼각측량법의 경우, 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측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지피에스(GPS)를 이용하는 측량법의 경우, 장비가 매우 고가이며, 상시 교량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안전진단을 실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교각의 침하 및 이에 따른 상판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한 구성으로 저렴하면서도, 교각의 침하 및 이에 따른 상판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측정감시함으로써 미리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팔각면의 판체로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침하관통공이 형성되되, 내주연 좌우측에는 양극단자볼스프링과 음극단자볼스프링이 각각 설치되고, 전후방측 상단면에는 상면에서 내측으로 스프링삽입홈을 갖는 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축공 좌우측 하부에는 각각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가 각각 고정설치되고, 각 모서리측 선단면에는 사면에서 내측으로 볼트공을 갖는 삽입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진단판체와;
상기 진단판체의 축공 연장선상에 축고정공을 갖고 삼각형을 이루는 지지대로 하단면이 전후방측 교량 교각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되 고정공에는 교량 교각 상면 내측으로 매립고정된 고정바 상단면의 체결공이 위치되어 체결볼트로 체결고정되는 전후방측삼각지지대와;
축봉으로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삼각지지대의 축고정공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단판체의 축공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삽입홈 연장선상에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 외측의 좌우측 외주연 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 회동시 축공 좌우측 하부에 고정된 상기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좌우측누름돌기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뒤틀림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과;
길이조절바의 회동방향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되는 바로, 일단은 상기 삽입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공 연장선상에 볼트체결공을 갖고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원판을 갖는 수평바가 형성되되, 수평바 타단은 교량 상판의 측면 상부로 수직절곡되어 상단부에 도체인 접촉링을 갖는 수직바가 형성되는 침하측정바와;
일단은 교량 상판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와 스프링힌지로 연결되어 내주연 양측에 양극단자볼스프링과 음극단자볼스프링이 통전설치되어 상기 침하측정바의 수직바 상단부가 삽입되는 측정관이 형성되어 교량 상판 침하시 도체인 접촉링에 의해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침하측정대와;
상기 진단판체 침하관통공의 연장선상 교량 거더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관통공에 삽입되는 하향수직바가 형성되되, 침하관통공 상측에는 도체인 접촉부가 형성되어 교량 거더 침하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거더침하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간편한 구성으로 저렴하면서도, 교각의 침하 및 이에 따른 상판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측정감시함으로써 미리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교량 상판 침하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교량 상판 뒤틀림시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의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 임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는,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30,30a)에 의해 축고정되는 진단판체(10)와, 교량 교각(70) 상면에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30,30a)을 고정지지하는 전후방측삼각지지대(20,20a)와, 교량 상판(80)의 뒤틀림시 축회동되어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14,14a)를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인지시키는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30,30a)과, 교량 상판(80)의 침하시 동반침하하는 침하측정대(50,50a,50b,50c)의 양극단자볼스프링(51a)과 음극단자볼스프링(51b)을 통전시켜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키는 침하측정바(40,40a,40b,40c)와, 교량 상판(80)의 침하시 침하측정바(40,40a,40b,40c)에서 동반침하하는 침하측정대(50,,50a,50b,50c)와, 교량 상판(80)의 침하시 침하관통공(11)에서 침하하여 양극단자볼스프링(11a)과 음극단자볼스프링(11b)을 통전시키는 거더침하핀(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단판체(10)는 팔각면의 판체로,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침하관통공(11)이 형성되되, 내주연 좌우측에는 양극단자볼스프링(11a)과 음극단자볼스프링(11b)이 각각 설치되고, 전후방측 상단면에는 상면에서 내측으로 스프링삽입홈(12a,13a)을 갖는 축공(12,13)이 각각 형성되며, 축공(12,13) 좌우측 하부에는 각각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14,14a)가 각각 고정설치되고, 각 모서리측 선단면에는 사면에서 내측으로 볼트공(16)을 갖는 삽입요부(15,15a,15b,15c)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측삼각지지대(20,20a)는 상기 진단판체(10)의 축공(12,13) 연장 선상에 축고정공(21)을 갖고 삼각형을 이루는 지지대로, 하단면이 전후방측 교량 교각(70)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공(22)이 형성되되, 고정공(22)에는 교량 교각(70) 상면 내측으로 매립고정된 고정바(23) 상단면의 체결공(23a)이 위치되어 체결볼트(22a)로 체결고정된다.
상기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30,30a)은 축봉으로,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삼각지지대(20,20a)의 축고정공(21)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단판체(10)의 축공(12,13)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삽입홈(12a,13a) 연장선상에 판스프링(17)이 삽입되는 스프링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12,13) 외측의 좌우측 외주연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뒤틀림에 의한 좌우측 회동시 축공(12,13) 좌우측 하부에 고정된 상기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14,14a)를 작동시키는 좌우측누름돌기(32,32a)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80)의 뒤틀림시 관리자 전광판(도시않음)에 발광다이오드(도시않음)를 점등시켜 이를 인지시킨다.
상기 침하측정바(40,40a,40b,40c)는 양방향너트인 길이조절바(43)의 회동방향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되는 바로, 일단은 상기 삽입요부(15,15a,15b,15c)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공(16) 연장선상에 볼트체결공(42a)을 갖고, 고정볼트(42b)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원판(42)을 갖는 수평바(41)가 형성되되, 수평바(41) 타단은 교량 상판(80)의 측면 상부로 수직절곡되어 상단부에 도체인 접촉링(45)을 갖는 수직바(44)가 형성된다.
상기 침하측정대(50,,50a,50b,50c)는 일단은 교량 상판(80)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53)가 형성되고, 고정부(53)와 스프링힌지(52)로 연결되어 내주연 양측에 양극단자볼스프링(51a)과 음극단자볼스프링(51b)이 통전설치되어 상기 침하측정바(40,40a,40b,40c)의 수직바(44) 상단부가 삽입되는 측정관(51)이 형성되어 교량 상판(80) 침하시 도체인 접촉링(45)에 의해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킨다.
상기 거더침하핀(60)은 상기 진단판체(10) 침하관통공(11)의 연장선상 교량 거더(90)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61)이 형성되고, 고정판(61)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관통공(11)에 삽입되는 하향수직바(62)가 형성되되, 침하관통공(11) 상측에는 도체인 접촉부(63)가 형성되어 교량 거더(90) 침하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교량 상판 침하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인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의 교량 상판 뒤틀림시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의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단판체 11 : 침하관통공
12,13 : 축공 12a,13a : 스프링삽입홈
14,14a :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 15,15a,15b,15c : 삽입요부
16 : 볼트공 17 : 판스프링
20,20a : 전후방측삼각지지대 21 : 축고정공
22 : 고정공 22a : 체결볼트
23 : 고정바 23a : 체결공
30,30a :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 31 : 스프링홈
32,32a : 좌우측누름돌기 40,40a,40b,40c : 침하측정바
41 : 수평바 42 : 고정원판
42a : 볼트체결공 42b : 고정볼트
43 : 길이조절바 44 : 수직바
45 : 접촉링
50,50a,50b,50c : 침하측정대 51 : 축정관
51a : 양극단자볼스프링 51b : 음극단자볼스프링
52 : 스프링힌지 53 : 고정부
60 : 거더침하핀 61 : 고정판
62 : 하향수직바 63 : 접촉부
70 : 교량 교각
80 : 교량 상판
90 : 교량 거더

Claims (1)

  1. 팔각면의 판체로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침하관통공이 형성되되, 내주연 좌우측에는 양극단자볼스프링과 음극단자볼스프링이 각각 설치되고, 전후방측 상단면에는 상면에서 내측으로 스프링삽입홈을 갖는 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축공 좌우측 하부에는 각각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가 각각 고정설치되고, 각 모서리측 선단면에는 사면에서 내측으로 볼트공을 갖는 삽입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진단판체와;
    상기 진단판체의 축공 연장선상에 축고정공을 갖고 삼각형을 이루는 지지대로 하단면이 전후방측 교량 교각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되 고정공에는 교량 교각 상면 내측으로 매립고정된 고정바 상단면의 체결공이 위치되어 체결볼트로 체결고정되는 전후방측삼각지지대와;
    축봉으로 일단은 상기 전후방측삼각지지대의 축고정공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단판체의 축공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삽입홈 연장선상에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 외측의 좌우측 외주연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 회동시 축공 좌우측 하부에 고정된 상기 좌우측리미트감지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좌우측누름돌기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뒤틀림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전후방측뒤틀림회동축과;
    길이조절바의 회동방향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되는 바로, 일단은 상기 삽입요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공 연장선상에 볼트체결공을 갖고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원판을 갖는 수평바가 형성되되, 수평바 타단은 교량 상판의 측 면 상부로 수직절곡되어 상단부에 도체인 접촉링을 갖는 수직바가 형성되는 침하측정바와;
    일단은 교량 상판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와 스프링힌지로 연결되어 내주연 양측에 양극단자볼스프링과 음극단자볼스프링이 통전설치되어 상기 침하측정바의 수직바 상단부가 삽입되는 측정관이 형성되어 교량 상판 침하시 도체인 접촉링에 의해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침하측정대와;
    상기 진단판체 침하관통공의 연장선상 교량 거더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관통공에 삽입되는 하향수직바가 형성되되, 침하관통공 상측에는 도체인 접촉부가 형성되어 교량 거더 침하시 관리자 전광판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거더침하핀을 구비하는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KR2020090000424U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KR200444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24U KR200444092Y1 (ko)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24U KR200444092Y1 (ko)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092Y1 true KR200444092Y1 (ko) 2009-04-10

Family

ID=4134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24U KR200444092Y1 (ko) 2009-01-14 2009-01-14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2858A (zh) * 2018-06-25 2018-09-28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隐形的观测墩
CN109959406A (zh) * 2019-04-17 2019-07-02 福州大学 轮式旋转悬臂水下桥墩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2858A (zh) * 2018-06-25 2018-09-28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隐形的观测墩
CN109959406A (zh) * 2019-04-17 2019-07-02 福州大学 轮式旋转悬臂水下桥墩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09959406B (zh) * 2019-04-17 2024-02-02 福州大学 轮式旋转悬臂水下桥墩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76B1 (ko) 경사지의 수준측량 시스템
KR200444092Y1 (ko) 교량 상판변형 안전진단장치
JP6554706B1 (ja) 係留アンカー装置
KR10185246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도로 표시 장치
KR20110106727A (ko) 경사 규준틀
KR100780273B1 (ko) 교량 보강토 옹벽 구간의 안전진단 계측장치
KR101155321B1 (ko) 외부식별형 지형계측장치
JP5648311B2 (ja) 逆打ち支柱の鉛直精度計測システム
KR100484519B1 (ko) 공동주택 단지 지중매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102039000B1 (ko) 사면붕괴 계측용 봉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붕괴 계측 방법
KR100725059B1 (ko) 교각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200444090Y1 (ko) 교량 캔틸레버 구간의 변형감지를 이룰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
KR100725140B1 (ko) 철도 박스터널 침하계측장치
KR100686954B1 (ko) 교량 교각의 수직도 진단 구조물
KR100857160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1280251B1 (ko) 한 쌍의 수두측정부재 간의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CN101706311B (zh) 磁悬浮式水位、分层沉降两用仪
KR20070008938A (ko) 철도 레일의 침하량 측정장치
CN107462216B (zh) 一种深基坑变形倾斜监测报警装置
KR101226870B1 (ko) 다목적 수평계
KR102236164B1 (ko) 수위 감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JPH08233745A (ja) 傾斜計用ケーシングパイプの異状検出装置
KR100924991B1 (ko) 교량 기울임 감지장치
KR100535723B1 (ko) 교량 기초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계측시설
KR101921460B1 (ko) 국가지점 지반침하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