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232Y1 -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 Google Patents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232Y1
KR200443232Y1 KR2020060031456U KR20060031456U KR200443232Y1 KR 200443232 Y1 KR200443232 Y1 KR 200443232Y1 KR 2020060031456 U KR2020060031456 U KR 2020060031456U KR 20060031456 U KR20060031456 U KR 20060031456U KR 200443232 Y1 KR200443232 Y1 KR 200443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labyrinth
rotating plat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829U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예건산업 주식회사
(주) 아이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건산업 주식회사, (주) 아이붐 filed Critical 예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3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97Board games with labyrinths, path finding, line form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비정형 미로가 형성되고 상기 미로 내에 비드가 내입되며 하단에 지지판을 구비한 회전플레이트;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고 상단 플레이트 상에 상단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홀 하부에 볼 소켓이 구비된 지지포스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지지포스트를 매개하여 회전플레이트가 경사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구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구조부는, 상기 상단홀을 관통하는 연결봉의 상단이 지지판 저부에 고정되고, 하단에 형성된 지지볼이 볼소켓에 내입되어 회전플레이트가 상단홀의 범위 내에서 지지볼을 중심으로 회전 및 경사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PLAY EQUIPMENT USING A DISK PLAT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외형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플레이트 11 : 지지판
11a : 수용홈
12 : 비정형 미로 13 : 미로판
14 : 투명판 15 : 결속테
20 : 연결 구조부
21 : 연결봉 22 : 커플링
24 : 지지볼 25 : 차단판
26 : 스프링 27 : 고정봉
28 : 고정볼트 30 : 지지포스트
31 : 상단플레이트 31a : 상단홀
32 : 완충재 34 : 볼소켓
40 : 지면 B : 비드(BEAD)
본 고안은 비정형 미로가 형성되고 상기 미로 내에서 유동하는 비드(BEAD)가 내재된 회전플레이트가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자유요동이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어린이가 회전플레이트를 기울이거나 회전시켜서 비정형 미로에 내재된 비드(BEAD)를 미로의 특정 목적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작동시키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드(BEAD) 및 비정형 미로를 이용한 유희기구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 제 1998-0000920호인 미로 찾기 게임기가 소개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용기체의 내벽면에 사방으로 갈래가 진 미로를 그 단면을 "U"자형의 요홈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판의 상단을 일자로 절개한 절개부를 형성한 후 이에 구슬을 내입하여 상기 구슬이 절개부의 공간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요홈을 따라 이동하여 작동판의 하부로 내려오게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유희기구는 구슬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작동판의 하부로 내려오도록 하는 놀이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놀이에 쉽게 싫증을 느낄 뿐만 아니라, 그 작동방법이 단순하여 어린이들의 성장에 따른 균형감각이나 집중력을 기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한 놀이는 한 사람만 작동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친구들과 여럿이 모인 경우에 협동심이나 경쟁심을 발휘하면서 함께 놀 수 있는 놀이기구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자는 비드(BEAD)가 내입된 비정형 미로를 갖는 회전플레이트를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경사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자유 회동되게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427855호)를 제안하였으나, 상기 유희기구에 있어서, 회전플레이트를 회전 및 경사지게 구동시키는 구조는, 회전플레이트의 경사각을 제한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회전플레이트가 최대 각으로 경사질 경우 비교적 힘이 약한 어린이들이 기울어진 회전플레이트를 쉽게 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새로운 구조인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비드(BEAD)가 내입된 비정형 미로를 갖는 회전플레이트를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서 경사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자유 회동되게 함으로써 회전플레이트 주변에서 한 사람 이상 여러 사람이 동시에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협동심과 경쟁심의 유발로 흥미를 배가하며 동시에 집중력과 균형감각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시에 회전플레이트의 경사 각도를 안정적인 구조로 제한함으로써 힘이 약한 어린이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개량된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비정형 미로가 형성되고 상기 미로 내에 비드가 내입되며 하단에 지지판을 구비한 회전플레이트;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고 상단 플레이트 상에 상단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홀 하부에 볼 소켓이 구비된 지지포스트;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지지포스트를 매개하여 회전플레이트가 경사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구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구조부는, 상기 상단홀을 관통하는 연결봉의 상단이 지지판 저부에 고정되고, 하단에 형성된 지지볼이 볼소켓에 내입되어 회전플레이트가 상단홀의 범위 내에서 지지볼을 중심으로 회전 및 경사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홀 주연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회전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이 제한될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또한 상단홀 상단에 연결봉이 관통된 차단판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봉의 외면에는 상단이 지지판의 하단플레이트에 지지되고, 하단이 차단판을 지지하게 하는 스프링을 감합 고정시켜서 상단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의 하단에는 상단홀을 구성한 상단플레이트와 마찰 접촉시 소음 방지와 밀착력을 위해서 발포 우레탄과 같은 완충패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은, 상기 비정형 미로의 상단에 투명판을 적층시켜서 비 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비정형 미로 어느 부위에 시작 위치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승위치를 형성시켜서 적어도 한 사람 이상이 동시에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외형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고안의 유희기구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플레이트(10)는 지지포스트(3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됨은 물론, 지지포스트(30)의 상단을 기점으로 마치 시소(SEESAW)와 같이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하에서 이러한 회전플레이트(10)의 회전 및 기울임을 '자유요동'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0) 내부에는 비정형 미로(12)가 형성된 미로판(13)이 내설되고, 비정형 미로(12) 내에는 비드(B)가 내입되어서 비드(B)가 미로(12)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10)의 구체적인 구조와 회전플레이트(10)가 지지포스트(30) 상부에서 자유요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개시된다.
먼저, 회전플레이트(10)는 지지판(11) 상면에 비정형 미로(12)가 형성된 미로판(13)이 안착되고, 미로판(13)의 상면에는 투명판(14)이 안착되며, 상기 지지판(11), 미로(12)를 형성한 미로판(13) 및 투명판(14)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에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된 결속테(15)가 끼워짐으로써 지지판(11), 미로판(13) 및 투명판(14)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자유요동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구조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0)를 구성하는 지지판(11)은 상부에 미로판(13)과 접한 부분에서 공간이 형성되, 상기 지지포스트(30) 상단에 위치한 상단플레이트(31)에는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가진 상단홀(31a)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홀(31a)의 하부, 즉 지지포스트(30)의 내부에는 소켓프레임(33)에 지지되는 볼 소켓(3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0)와 지지포스트(30)를 매개하는 연결 구조부(20)는 상기 상단홀(31a)을 관통하는 연결봉(21)이 구성되고, 연결봉(21)의 상단은 지지판(11) 저부, 즉 하단플레이트(17)를 관통하여서 연결봉(21)의 상부에 끼워진 커플링(22)과 키(23)에 의해 체결되어 지지판(11)의 하단플레이트(17)에 고정되며, 연결봉(21)의 하단에는 지지볼(24)이 구비되어서 상기 볼소켓(34) 내에 내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볼(24)은 볼소켓(34) 내에서 자유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서 연결봉(21)이 지지볼(24)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통상의 등속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와 같은 연결 구조를 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상단홀(31a)의 지름은 상기 연결봉(21)의 외경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봉(21)이 지지볼(24)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때 연결봉(22)의 경사각은 상단홀(31a)의 내경 범위 내에서 제한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30)의 상단플레이트(31), 보다 명확하게는 상기 상단홀(31a)의 주연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조된 도넛 형태의 완충재(3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재(32)는 연결봉(21)이 기울어져서 상단홀(31a)의 주연과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상기 완충재(32)의 내경이 상단홀(31a)의 지름보다 작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단홀(31a)은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홀(31a)을 통해서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지지포스트(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바, 따라서 상단홀(31a)의 상단에는 연결봉(21)이 관통되도록 고정된 차단판(25)이 설치되며, 이때 차단판(25)의 내경은 연결봉(21)의 외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 되고, 차단판(25)의 외경은 상단홀(31a)의 지름보다 현저히 크게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25)이 상단플레이트(31)의 상면에 가압 접촉되게 하기 위해서 연결봉(21)의 주변에 코일형 스프링(26)을 감합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26)의 하단은 차단판(25)을 가압 지지하게 하고, 스프링(26)의 상단은 하단플레이트(17)에 접하여 지지되게 하면, 스프링(26)의 장력에 의해서 차단판(25)이 상단플레이트(31)에 가압 접촉되어 상단홀(31a)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단판(25)과 상단플레이트(31)의 접촉면에 마찰로 인한 소음 방지 및 밀착성을 위해서 차간판(25) 하단에 발포 우레탄 등의 완충 재료로 제조된 완충패 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포스트(30)는 하부에 앵커가 마련되어서 지면(40)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될 수 있고, 이로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0)가 놀이터나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유요동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0)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연결봉(21)이 지지볼(24)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되며, 이때 연결봉(21)의 측면이 완충재(32)와 접하면서 경사각이 제한되며, 동시에 차단판(25)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차단판(25)의 외경은 상단홀(31a)의 지름보다 현저하게 크므로 차단판(25)이 이동하더라도 상단홀(31a)을 폐쇄할 수 있고, 동시에 스프링(26)은 연결봉(21)이 기울어지는 방향 측이 압축되면서 지속적으로 차단판(25)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단홀(31a)은 견고하게 폐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상기 비정형 미로(12)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 미로(12) 내부에는 비드(B)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작위치(111)가 마련됨과 동시에 소정 위치에 비드(B)를 도착시키기 위한 결승위치(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의 회전플레이트(10)를 이용한 놀이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승위치(112)가 3개소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세 명의 어린이가 각각 회전플레이트(10) 내의 결승위치(112)를 하나씩 지정한 다음, 회전플레이 트(10)를 회전시키거나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여서 비드(B)를 시작위치(111)에서 출발시킨다.
이때, 세 명의 어린이는 회전플레이트(10)를 잡고 회전과 기울임을 반복하여 비드(B)를 미로(111)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자신에게 지정된 결승위치(112)까지 도달하도록 서로 협동하거나 방해하는 등의 놀이를 하게 된다.
이때, 비드(B)가 어느 한 어린이의 결승위치(112)에 근접한 위치에 다다르면, 나머지 두 어린이가 서로 협력해서 이를 방해하거나 또는 비드(B)가 자신에게 지정된 결승위치(112)에 근접하도록 조작하는 경쟁을 통해서 게임을 진행하며, 회전 조절과 기울임의 조절을 가장 적절하게 이용한 어린이가 자신의 결승위치(112)에 비드(B)를 먼저 도착시키면 승리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놀이 과정을 통해서 경쟁심과 협동심을 유발케 함은 물론, 집중력과 균형감각을 익힐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미로판(13)을 지지판(11) 구성요소와 일체로 제조된 구조물임을 알 수 있다.
즉, 미로판(13)의 구성요소를 배제한 상태에서, 지지판(11)의 상단에 미로(12)를 직접 가공하고, 지지판(11) 하단 중심은 하향 돌출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수용홈(11a)이 가공되며, 상기 수용홈(11a)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구멍(부호 미표시)이 천공되어 있어서 고정볼트(28)가 수평방향으로 수용홈(11a)을 관통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지지판(11)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봉(21)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11a)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봉(27)이 돌출되고, 고정봉(27)의 측방향에도 역시 상기 고정볼트(28)과 수평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구멍(부호 미표시)이 천공되며, 연결봉(21)의 하부 구성은 전술한 도 2의 구성과 동일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봉(27)이 수용홈(11a)에 내입된 상태에서 고정봉(27) 및 수용홈(11a) 외부에 천공된 각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8)를 끼워 고정하면, 지지판(11)과 연결봉(21)이 상호 고정될 수 있고, 이는 구성요소의 수 감소로 인해 조립이 쉽고 제조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연결구조물(20)을 매개로 한 회전플레이트(10) 및 지지포스트(30)의 상호 자유요동 연결 구조는 부품의 수 감소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희기구의 일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상기 유희기구의 흥미를 더욱 배가시키기 위해, 회전플레이트(10) 상에 도안을 구성한 것이며, 상기 도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쇠똥구리와 자연의 풍광을 그려 넣고, 상기 비드(B)를 쇠똥구리가 굴리는 것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시작위치(111)와 결승위치(112)를 도안이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여 그 구획을 명확하게 표시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따른 최선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당업자는 상기 설명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 실시는 하기에 기재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에 의하면, 지면에 입설된 지지포스트 상에 자유요동 되는 회전플레이트 내부에 비드가 이동할 수 있는 미로를 형성시켜서 어린이가 비드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집중력과 균형감각을 익힐 수 있게 되며, 또한 다수의 어린이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쟁심과 협동심을 함양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흥미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자연 법칙을 일깨울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회전플레이트는 일정 각도 범위 이상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등속 조인트 구조를 갖는 지지볼 및 볼소켓 연결 구조에 의해서 회전플레이트가 정지된 위치에서 그대로 정지되어 있게 되므로, 비교적 힘이 약한 어린이가 사용하기에도 적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8)

  1. 상부에 비드(B)가 내입된 비정형 미로(12)가 형성되고 비정형 미로(12) 상단에 비드(B)의 이탈을 방지하는 투명판(14)이 구비되며 하단에 지지판(11)이 형성된 회전플레이트(10);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고 상단에 상단홀(31a)이 천공된 상단 플레이트(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단홀(31a) 하부에 볼 소켓(34)이 구비된 지지포스트(30);
    상기 회전플레이트(10)와 지지포스트(30)를 매개하는 연결봉(21)이 상기 상단홀(31a)을 관통하되 연결봉(21) 상단이 지지판(11) 저부에 고정되고 하단의 지지볼(24)이 상기 볼소켓(34)에 내입된 연결 구조부(20);로 이루어져,
    회전플레이트(10)가 지지볼(24)을 중심으로 상단홀(31a)의 범위 내에서 회전 및 경사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홀(31a) 주연에 완충재(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홀(31a) 상단에 연결봉(21)이 관통된 차단판(25)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봉(21)의 외면에 감합된 스프링(26)의 상단이 지지판의 하단플레이트(17)에 지지되며, 스프링(26)의 하단이 차단판(25)을 가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5) 하단에 완충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6. 청구항 1, 3, 4,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0)는, 지지판(11) 상에 비정형 미로(12)를 형성한 미로판(13) 및 투명판(14)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지지판, 미로판 및 투명판 가장자리에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된 결속테(15)가 끼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7. 청구항 1, 3, 4,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형 미로(12)가 지지판(11) 상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판(11) 하부 중심에 수용홈(11a) 및 상기 수용홈 외부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21)의 상단에 고정봉(27) 및 상기 고정봉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볼트(28)가 상기 수용홈 외부 및 고정봉의 각 구멍을 관통하여 지지판 및 연결봉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8. 청구항 1, 3, 4,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정형 미로(12) 내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승위치(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KR2020060031456U 2006-12-11 2006-12-11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KR200443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456U KR200443232Y1 (ko) 2006-12-11 2006-12-11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456U KR200443232Y1 (ko) 2006-12-11 2006-12-11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29U KR20080001829U (ko) 2008-06-16
KR200443232Y1 true KR200443232Y1 (ko) 2009-02-04

Family

ID=4132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456U KR200443232Y1 (ko) 2006-12-11 2006-12-11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2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61B1 (ko) 2017-06-02 2018-05-28 정태연 스윙 시트를 이용한 놀이 및 게임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61B1 (ko) 2017-06-02 2018-05-28 정태연 스윙 시트를 이용한 놀이 및 게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29U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95443B2 (en) Amusement device
JPH07213389A (ja) 運動娯楽用小児受入れ座席装置
KR200443232Y1 (ko)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US6533672B1 (en) Rotatable and pivotable amusement apparatus
US6379256B1 (en) Rotatable and pivotable amusement apparatus
KR200194493Y1 (ko) 놀이용 회전시소
JPH08229244A (ja) 回転遊戯具
KR101763200B1 (ko) 가상체험 vr 라이더
US7048604B2 (en) Levitating ball toy
JPWO2006025108A1 (ja) 遊戯装置
KR200427855Y1 (ko)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JP3128752U (ja) バランスボード
KR200245607Y1 (ko) 회전놀이기구
KR100397753B1 (ko) 회전놀이기구
KR200429703Y1 (ko) 축구 및 농구 겸용 운동기구
KR200357948Y1 (ko) 회전 유희기구
KR101332281B1 (ko) 회전 및 상,하작동이 가능한 시소 조립체
KR101100044B1 (ko) 시소장치
JP3068612U (ja) コマ玩具
KR200466690Y1 (ko) 회전식 그네
KR101861961B1 (ko) 스윙 시트를 이용한 놀이 및 게임 기구
KR200308681Y1 (ko) 발육용 놀이 기구
KR200244785Y1 (ko) 누드식 본체 구조를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KR101088152B1 (ko) 전신운동기구
KR20210040573A (ko) 어린이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