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152B1 - 전신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152B1
KR101088152B1 KR1020090120076A KR20090120076A KR101088152B1 KR 101088152 B1 KR101088152 B1 KR 101088152B1 KR 1020090120076 A KR1020090120076 A KR 1020090120076A KR 20090120076 A KR20090120076 A KR 20090120076A KR 101088152 B1 KR101088152 B1 KR 10108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tube
ball moving
vertical ball
ball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130A (ko
Inventor
권호준
Original Assignee
권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준 filed Critical 권호준
Priority to KR102009012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1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구공, 농구공, 배구공 등과 같은 각종 운동용 볼을 수직 볼 이동관 내부로 넣고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을 받는 과정을 통해 전신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지주와;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지주와 수직 볼 이동관을 연결하여 수직 볼 이동관이 지주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 볼 이동관, 브래킷, 지주, 운동용 볼, 멈춤돌기

Description

전신운동기구{EXERCISE APPARATUS FOR WHOLE BODY}
본 발명은 축구공, 농구공, 배구공 등과 같은 각종 운동용 볼을 수직 볼 이동관 내부로 넣고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을 받는 과정을 통해 팔, 다리, 어깨, 허리 등 전신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농구, 배구 등의 경기들은 볼을 이용한 경기로서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고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운동경기로서 볼과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볼을 사용하는 경기는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며 볼은 어떠한 운동기구보다 사람들에게 친숙하기 때문에 거부 반응 없이 즐기면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볼을 이용한 운동은 바쁜 일상 속에서 별도의 시간을 내어 운동할 수 없는 사람이나, 운동에 흥미가 없어 쉽게 운동을 그만두는 사람들에게는 즐기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출시한 운동기구들은 운동을 지속으로 하기 위한 흥미 유발은 무시한 채 체력 증강만을 목적으로 하므로 각오나 목표가 없이 운동을 할 경우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지 못하고 운동을 쉽게 포기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휘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운동기구들 중 벤치프레스나, 러닝머신 등과 같은 운동기구들은 볼을 이용한 운동기구와 비교해 볼 때 운동하는 사람으로부터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대표적인 운동기구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친숙한 볼을 이용하여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즐기면서 운동을 하는 가운데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볼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굽힘이 가능한 수직 볼 이동관을 브래킷으로 지주에 연결 설치하여 운동용 볼을 수직 볼 이동관에 투입하여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을 받는 과정에서 전신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기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굽힘이 가능한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을 브래킷으로 지주에 연결 설치하여 운동용 볼을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에 투입하여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을 받는 과정에서 전신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기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을 굽이 자유로운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절곡할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기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내부 일단에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운동용 볼이 멈춤돌기에 부딪쳐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천천히 배출되도록 한 전신운동기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지주와;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 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지주와 수직 볼 이동관을 연결하여 수직 볼 이동관이 지주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단 내주에는, 수직 볼 이동관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는, 설치면과 밀착되는 하단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보다는 면적이 좁으면서 지지판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설치기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설치기둥 외주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기둥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설치기둥 외주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전, 후단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전방부위와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연결축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후방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회전축이 연결축의 회전축 결합공에 대응결합되어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쪽은 연결축 내부와 연통되면서 내부의 상하에 단턱이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 내에서 승강가능 한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에 걸림되어 상부 일부분이 연결축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설치공간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회전축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에 설치된 힌지축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을 누를시 작동공간 내에서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30°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멈춤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경사지주와; 상기 경사지주에 하단 부위가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과 교차 설치되어 일측으로 공급된 운동용 볼이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 프 형태의 수평 볼 이동관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과 수평 볼 이동관을 교차상태로 연결하면서 수평 볼 이동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은 상, 하단이 전방으로 꺾어진 경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부에는 수직 볼 이동관 하부의 경사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볼 이동관의 경사 부위에 부합되는 경사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사부와,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상부면적보다 면적이 넓은 하부판체로 이루어지는 경사지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단 내주 및 수평 이동관의 일측단 내주에는,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수평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평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1결합공이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방 중앙에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전, 후단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전방부위와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결합부재의 회전축이 대응결합되어 좌, 우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축 결합공이 구비되는 연결축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방이 상기 연결축의 전방과 결합되며 수직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쪽은 연결축 내부와 연통되면서 내부의 상하에 단턱이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 내에서 승강가능 한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에 걸림되어 상부 일부분이 연결축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설치공간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회전축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에 설치된 힌지축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을 누를시 작동공간 내에서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수직을 기준으로 25°, 55°에 형성된 제1결합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멈춤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는 가장 친숙하고 가장 접하기 쉬운 볼을 이용한 운동이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운동의 흥미를 느낄 수 있어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 하다.
또한, 수직 볼 이동관을 등지고 서서 허리를 뒤쪽으로 젖혀서 수직 볼 이동관 상측 내부로 운동용 볼을 집어넣고 수직 볼 이동관 하측으로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을 허리를 굽혀 받는 과정에서 팔, 다리, 어깨, 허리 등 전신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신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순발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운동강도에 따라 수직 볼 이동관을 일정형태 또는 불규칙한 형태로 절곡하여 운동용 볼의 속도를 증감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에 맞추어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는 지주, 브래킷, 수직 볼 이동관으로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보관시에는 이들을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면 넓은 공간을 필요치 않으므로 보관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은,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지주와;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지주와 수직 볼 이동관을 연결하여 수직 볼 이동관이 지주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단 내주에는, 수직 볼 이동관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는, 설치면과 밀착되는 하단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보다는 면적이 좁으면서 지지판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설치기둥으로 구성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설치기둥 외주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기둥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설치기둥 외주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전, 후단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전방부위와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연결축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후방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회전축이 연결축의 회전축 결합공에 대응결합되어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쪽은 연결축 내부와 연통되면서 내부의 상하에 단턱이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 내에서 승강가능 한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에 걸림되어 상부 일부분이 연결축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설치공간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회전축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에 설치된 힌지축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을 누를시 작동공간 내에서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30°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멈춤수단이 설치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경사지주와; 상기 경사지주에 하단 부위가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과 교차 설치되어 일측으로 공급된 운동용 볼이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평 볼 이동관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과 수평 볼 이동관을 교차상태로 연결하면서 수평 볼 이동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은 상, 하단이 전방으로 꺾어진 경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부에는 수직 볼 이동관 하부의 경사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볼 이동관의 경사 부위에 부합되는 경사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사부와,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상부면적보다 면적이 넓은 하부판체로 이루어 지는 경사지주가 설치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단 내주 및 수평 이동관의 일측단 내주에는,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수평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평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1결합공이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방 중앙에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전, 후단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전방부위와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결합부재의 회전축이 대응결합되어 좌, 우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축 결합공이 구비되는 연결축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방이 상기 연결축의 전방과 결합되며 수직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쪽은 연결축 내부와 연통되면서 내부의 상하에 단턱이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 내에서 승강가능 한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에 걸림되어 상부 일부분이 연결축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설치공간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회전축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에 설치된 힌지축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을 누를시 작동공간 내에서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수직을 기준으로 25°, 55°에 형성된 제1결합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멈춤수단이 설치되는 전신운동기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신운동기구는, 수직 볼 이동관(20) 상부로 축구공, 배구공, 농구공 등과 같은 각종 운동용 볼(80)을 집어넣고 수직 볼 이동관(20) 하부로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80)을 받는 과정을 통해 전신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수직 볼 이동관(20)을 지지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와 수직 볼 이동관(20)을 연결하는 브래킷(30)과, 상기 브래킷(30)에 결합되는 수직 볼 이동관(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설치장소의 설치면에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 으로 세울수 있도록 원판 또는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단의 지지판(11)과, 이 지지판(11)을 중심으로 지지판(11)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향으로 수직 연장형성되는 설치기둥(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1)은 설치기둥(12)보다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지주(10)를 세웠을 때 설치 면에 닿는 지지판(11)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설치 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하고, 상기 설치기둥(12)은 지지판(11)의 면적보다 면적을 좁게 형성하고 상향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브래킷(30)에 형성된 제1결합부재(31)의 제1결합공(311)에 부합되는 외경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지지판(11)과 설치기둥(12)을 도면상에는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을 고려하여 설치기둥(12)은 지지판(11)의 외형과 같은 형태 즉, 지지판(11)이 원형일 경우 같은 원형으로 제작하고 지지판(11)이 사각, 육각, 팔각 등의 각형일 경우 같은 각형으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설치기둥(12) 상에 설치기둥(12)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는 브래킷(30)의 제1결합부재(31)가 설치되므로 설치기둥(12)의 형태를 상, 하로의 이동이 가장 원활한 형태인 원형으로 제작함과 아울러, 지지판(11)과 설치기둥(12)의 연결부위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rib)를 덧대어 지지판(11)과 설치기둥(12) 사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래킷(30)은, 지주(10)와 수직 볼 이동관(20)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지주(10)의 설치기둥(12)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31)와, 수직 볼 이동관(20)이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32)와, 상기 제1, 2결합부재(31, 32)를 연결하는 연결축(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31)는, 설치기둥(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치기둥(12)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가지는 제1결합공(311)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전체적인 형태를 링의 형태로 형성하되, 전방부위는 평면으로 형성하여 마주보는 연결축(33) 후방의 평면부위와 대응결합되게 하며, 제1결합공(311)은 지주(10)의 설치기둥(12)에 결합되어 설치기둥(12)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설치기둥(12)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관통형성한다.
한편, 제1결합부재(31)의 제1결합공(311)을 설치기둥(12)에 부합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기둥(12)을 따라 제1결합부재(31)를 상, 하로 이동하면서 제1결합부재(31)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다른 방식으로 제1결합부재(31)의 일측면에 볼트가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제1결합공(311)과 연통되게 천공형성하여 제1결합부재(31)를 설치기둥(12)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은 다음 암나사부에 볼트를 체결하여 볼트 끝단이 설치기둥(12)을 압박함으로써 제1결합부재(31)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1결합부재(31)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제1결합부 재(31)를 밴드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기둥(12)의 원하는 위치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축(3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후방의 평면부위가 제1결합부재(31)의 전방에 형성된 평면과 밀착결합되며, 전방의 평면부위는 제2결합부재(32) 후방의 평면부위와 결합되고, 연결축(33)의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331)을 형성하여 제2결합부재(32)의 회전축(322)이 대응결합되게 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32)는, 내부에 수직 볼 이동관(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 볼 이동관(20)의 외주에 부합되는 제2결합공(321)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전체적인 형상을 링 형태로 형성하되, 제1결합부재(31)와 같이 후방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제2결합부재(32)의 후방에 연결축(33)의 회전축 결합공(331)에 대응결합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축(3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32)의 회전축(322)에는 외주를 따라 30°등간격으로 고정홈(323)을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20)을 30°, 60 °, 90 °, 360 °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운동용 볼(80)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외측 일단이 제2결합부재(32)의 제2결합공(321)에 결합지지된다.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을 직선으로 형성할 경우 투입되는 운동용 볼(80)이 사용자가 받지 못할 정도로 급격하게 배출될 수도 있으므로 수직 볼 이동관(20)의 상부와 하부를 전방으로 일정각도 꺾인 형태로 형성하고 제2결합부재(32)의 중단부위는 설치기둥(12)과 평행을 이루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제2결합부재(32)와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 내부에 나선형 골을 형성하여 투입되는 운동용 볼(80) 이 나선형 골을 따라 회전하면서 천천히 내려오게 할 수도 있으며, 수직 볼 이동관(20)의 내경은 투입되는 운동용 볼(80)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용 볼(80)의 외경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한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3) 내부에 멈춤수단(50)을 설치하여 브래킷(30)의 제2결합부재(32)에 결합된 수직 볼 이동관(20)을 좌, 우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고정할 수 있게 것이다.
이를 위해 연결축(33)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33) 외측과 연통되고 푸시버튼(51)의 하부 둘레부위가 걸림되는 단턱(334)이 상하로 구비된 설치공간(332)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332)의 아래에는 설치공간(332)과 연통되면서 연결축(33) 일측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작동공간(33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33) 내부에 설치되는 멈춤수단(50)은, 하부 둘레가 설치공 간(332)의 단턱(334)에 걸림되어 상, 하로 승강작동이 가능하며 상부가 연결축(33)의 외주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푸시버튼(51)과, 상기 푸시버튼(5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작동공간(333) 내에서 작동하는 작동레버(52)와, 설치공간(332)의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51)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버튼(51)은, 연결축(33)의 설치공간(332)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보다 폭이 넓은 하부가 설치공간(332)의 상, 하에 마련된 단턱(334)에 걸린 상태로 결합되고 상부는 연결축(33)의 외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돌출된 상부를 누르면 푸시버튼(51) 하부에 탄력적으로 지지설치된 가압스프링(53)에 의해 하강하였다가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되돌아가는 승강작동을 한다.
또한, 작동레버(52)는 작동공간(333)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푸시버튼(51)의 저면과 연결되며 타단은 제2결합부재(32)에 형성된 회전축(322)의 고정홈(323)을 향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을 연결하는 부위는 연결축(33)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양단을 연결하는 부위의 대략 중간부에는 연결축(33)에 설치된 힌지축(521)과 연결설치하여 푸시버튼(51)을 누를시 작동공간(333) 내에서 이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작동레버(52)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동레버(52)의 끝단이 회전축(322)의 외주를 따라 30°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323) 상에 대응하여 끼움결합 또는 결합해제되게 한다.
상기 가압스프링(53)은, 푸시버튼(5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공간(332)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51)의 저면과 설치공간(332)의 바닥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푸시버튼(51)을 상측으로 밀고 있다가 푸시버튼(51)을 누를 시 축소되면서 푸시버튼(51)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하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상태로 신장되면서 푸시버튼(51)을 다시 상향으로 밀어올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 전체를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볼 이동관(20)의 어느 부위라도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수직 볼 이동관(20)이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므로 상, 하부만을 경사지게 구부리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일정부위를 구부릴 수도 있고, “L”, “S”와 같은 일정형태는 물론 불규칙한 모양으로도 굽힘이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켜 운동효과를 더욱 배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 하단 내주에 복수의 멈춤돌기(40)를 형성하여 운동용 볼(80)이 멈춤돌기(40)에 부딪쳐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상기 멈춤돌기(40)는 수직 볼 이동관(20) 하단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복수로 형성하며, 이때 멈출돌기(40)의 재질은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운동용 볼(80)이 멈춤돌기(40)에 부딪치는 순간 구부러지면서 속도가 떨어진 상태로 운동용 볼(80)이 통과하게 하고 운동용 볼(80)이 통과하는 순간 다시 원상태로 기립하게 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경사지주(60)와, 하부가 경사지주(60)에 지지되면서 운동용 볼(80)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수직 볼 이동관(20)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운동용 볼(80)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볼 이동관(70)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을 연결하는 브래킷(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지주(60)는, 설치 면에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넓은 사각 판체로 이루어지는 하부판체(62)와, 상기 하부판체(62)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은 경사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사부(61)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61)에는 수직 볼 이동관(20)의 하부가 결합되어 수직 볼 이동관(20)의 하부를 경사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간부위는 수직으로 형성하여 브래킷(3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 형성하여 내부로 투입된 운동용 볼(80)이 절곡 부위를 지나면서 저 항을 받아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경은 운동용 볼(80)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용 볼(80)의 외경에 부합되게 형성한다.
상기 수평 볼 이동관(70)은, 수직 볼 이동관(20)과 설치방향만 다를 뿐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서, 수직 볼 이동관(20)과 교차하도록 브래킷(30)에 의해 수직 볼 이동관(20)의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 볼 이동관(70) 역시 브래킷(30)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중간 부위는 수평으로 형성되면서 좌우 양단은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에 투입된 운동용 볼(80)이 절곡 부위를 지나면서 저항을 받아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경은 운동용 볼(80)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운동용 볼(80)의 외경에 부합되게 형성한다.
삭제
제4실시예에 따른 브래킷(30)은, 회전축(312)이 제1결합부재(31)에 형성되어 수평 볼 이동관(7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 외에는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상기 브래킷(30)은, 수평 볼 이동관(70)이 결합되는 제1결합공(311)이 구비된 제1결합부재(31)와, 상기 제1결합부재(31)의 전방으로 연결설치되는 연결축(33) 및 상기 연결축(33)의 전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직 볼 이동관(20)이 결합되는 제2결합공(321)이 구비된 제2결합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31)는 수평 볼 이동관(70)이 수직 볼 이동관(20)과 교차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수평으로 관통된 제1결합공(311)이 형성되고, 전방 중앙에는 연결축(33)의 회전축 결합공(331)에 부합되는 회전축(312)이 돌출형성된다.
이 회전축(312)의 외주에는 수직을 기준으로 25°, 55°의 고정홈(313)을 형성하여 멈춤수단(50)의 끝단 부위가 대응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축(3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이 제1결합부재(31)의 전방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결합부재(31)의 전방과 마주보는 연결축(33)의 후방에는 제1결합부재(31)의 회전축(312)이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공(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31)의 회전축(312)은 회전축 결합공(33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결합부재(32)는 수직 볼 이동관(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연결축(33)의 후방과 연결설치되면서 내부에 수직 볼 이동관(20)이 결합되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2결합공(321)을 형성된다.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3) 내부에 설치공간(322) 및 작동공간(333)을 형성하여 멈춤수단(50)을 설치함으로써 수평 볼 이동관(7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축(33)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33)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는 작동공간(333)과 연통되고 상, 하에 단턱(334)이 형성되는 설치공간(3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연결축(33)의 내부의 설치공간(332) 및 작동공간(333)에는 푸시버튼(51)과 작동레버(52)와 가압스프링(53)으로 구성되는 멈춤수단(50)을 설치하여 멈춤수단(50)의 작동에 의해 제1결합부재(3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여 그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푸시버튼(51)은, 설치공간(332)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332) 내에서 승강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334)에 걸림되어 상부가 연결축(33)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작동레버(52)는, 설치공간(332)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3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51)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제1결합부재(31)에 형성된 회전축(312)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33)에 설치된 힌지축(521)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51)을 누를시 작동공 간(333) 내에서 이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312)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312)의 외주를 따라 수직을 기준으로 25°, 55°에 형성된 제1결합부재(31)에 형성된 회전축(312)의 고정홈(313)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상기 가압스프링(53)은, 설치공간(332)의 바닥과 푸시버튼(51)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푸시버튼(51)을 상향으로 밀어올린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을 모두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절곡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의 운동용 볼(80)이 배출되는 쪽 일단 내부에 멈춤돌기(40)를 복수로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80)이 이 멈춤돌기(40) 에 부딪쳐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멈춤돌기(40)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운동용 볼(80)이 부딪쳤을 때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운동용 볼(80)이 통과할 수 있게 하고 통과한 다음에는 다시 기립된 상태가 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는, 수직 볼 이동관(20) 내로 운동 용 볼(80)을 집어넣고 배출되는 운동용 볼(80)을 받는 과정에서 전신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용 볼(80)을 수직 볼 이동관(20) 상부로 투입하고 배출되는 운동용 볼(80)을 사용자가 잡아서 다시 수직 볼 이동관(20) 상부로 넣은 과정을 통해 전신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때, 수직 볼 이동관(20)의 상,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어 투입된 운동용 볼(80)이 절곡 구간을 지날 때 속도가 감속되므로 운동을 하지 않아 순발력이 떨어지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수직 볼 이동관(20) 하부로 배출되는 운동용 볼(80)을 문제없이 잡을 수 있다.
또한, 수직 볼 이동관(20)은 브래킷(30)에 의해 지주(10)와 연결되어 있어 높이조절은 물론 일정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수직 볼 이동관(20)의 높이를 높이고 싶을 경우에는 제1결합부재(31)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면 제1결합부재(31)의 제1결합공(311)이 설치기둥(12)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되므로 수직 볼 이동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운동능력이 향상되어 수직 볼 이동관(20)의 각도를 달리하고 싶을 경우에는 제2결합부재(32)를 회전하면 회전축(322)이 연결축(33)의 회전축 결 합공(331)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수직 볼 이동관(20)의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3) 내부에 멈춤수단(50)을 설치하여 수직 볼 이동관(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수직 볼 이동관(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푸시버튼(51)을 누르면 가압스프링(53)이 축소되면서 작동레버(52)가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고정홈(323)에 대응 결합되어 있던 작동레버(52)의 끝단은 상향으로 들리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2결합부재(32)를 회전하여 수직 볼 이동관(20)을 원하는 각도로 맞춘다음 푸시버튼(51)에서 힘을 제거하면 축소되었던 가압스프링(53)이 신장하면서 푸시버튼(51)을 상향을 밀어올리고 이와 연동하여 작동레버(52)의 끝단은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홈(323)에 끼움결합되어 수직 볼 이동관(20)을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322)의 외주에 형성된 각도는 30°등간격이므로 형성되어 있어 수직 볼 이동관(20) 또한 30°, 60°, 90°, 360°회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을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어느 부위든 자유자재로 굽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이 주름관일 경우 어느 부위든 수직 볼 이동관(30)의 원하는 부위를 구부릴 수 있고 “L”, “S”와 같은 일정형태로 구부릴 수 있어 운동의 강도 및 운동의 흥미를 더욱 배가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운동효과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의 내측 하부에 멈춤돌기(40)를 형성하여 운동용 볼(80)의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멈춤돌기(40)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수직 볼 이동관(20) 내부로 투입된 운동용 볼(80)은 수직 볼 이동관(20)을 따라 내려오면서 가속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운동용 볼(80)을 잡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으나, 멈춤돌기(40)가 있을 경우 운동용 볼(80)이 멈춤돌기(40)에 부딪치는 순간 운동용 볼(80)의 속도가 감속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운동용 볼(80)을 잡을 수 있다.
이때, 멈춤돌기(40)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되어있어 운동용 볼(80)이 부딪히는 순간 휘어지기 때문에 운동용 볼(80)이 정지하지 않고 속도만 감속된 상태로 통과하게 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 후방에 회전가능한 수평 볼 이동관(70)을 교차 형태로 설치하여 수직 볼 이동관(20)을 통해서는 상하 운동을 수평 볼 이동관(70)을 통해서는 좌우 운동을 즐 길 수 있다.
상기 수직 볼 이동관(20)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운동방법 또한 제1실시예와 같으며 단지 수직 볼 이동관(20)의 하부가 경사지주(60)에 설치되어 있어 회전이 불가능한 것이 다른 것으로 수직 볼 이동관(20)의 구체적인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 볼 이동관(70)은 좌우 운동에 적합한 것으로서 운동용 볼(80)을 수평 볼 이동관(70)의 한쪽으로 집어넣어 다른 쪽으로 나오는 운동용 볼(80)을 받는 방식으로 운동을 한다.
운동이 어느 정도 익숙해 지면 수평 볼 이동관(70)을 회전시킨 다음 운동용 볼(80)을 투입하여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3) 내부에 멈춤수단(50)을 설치하여 수평 볼 이동관(7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수평 볼 이동관(7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푸시버튼(51)을 누르면 가압스프링(53)이 축소되면서 작동레버(52)가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고정홈(313)에 대응 결합되어 있던 작동레버(52)의 끝단은 상향으로 들리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1결합부재(31)를 회전하여 수평 볼 이동관(70)을 원하는 각도로 맞춘다음 푸시버튼(51)에서 힘을 제거하면 축소되었던 가압스프링(53)이 신장하 면서 푸시버튼(51)을 상향을 밀어올리고, 작동레버(52)의 끝단은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홈(313)에 끼워진 고정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축(312)의 외주에 형성된 고정홈(313)이 수직을 기준으로 25°, 55°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볼 이동관(70) 또한 25°, 55°로 회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을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의 한쪽 내부에 멈춤돌기(40)를 형성되어 있어 수직 볼 이동관(20) 및 수평 볼 이동관(70) 내부로 투입된 운동용 볼(80)이 멈춤돌기(40)에 부딪쳐 운동용 볼(80)의 속도가 감속된 상태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는, 가장 친숙하고 가장 접하기 쉬운 볼을 이용한 운동이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운동의 흥미를 느낄 수 있어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고, 수직 볼 이동관(20)을 등지고 서서 허리를 뒤쪽으로 젖혀서 수직 볼 이동관(20) 상측 내부로 운동용 볼(80)을 집어넣고 수직 볼 이동관(20) 하측으로 흘러나오는 운동용 볼(80)을 허리를 굽혀 받는 등 운동이 어렵지 않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운동과정에서 팔, 다리, 어깨, 허리 등 전신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신운동효과와 더불어 순발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운동강도에 따라 수직 볼 이동관(20)을 급경사 또는 완만한 경사 형태로 절곡하여 운동용 볼(80)의 속도를 증감함으로써 자신의 체력에 맞는 맞춤운동을 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는 지주(10), 브래킷(30), 수직 볼 이동관(20)으로 분리되는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보관시에는 이들을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주 11:지지판 12:설치기둥
20:수직 볼 이동관 30:브래킷 31:제1결합부재
32:제2결합부재 33:연결축 40:멈춤돌기
50:멈춤수단 51:푸시버튼 52:작동레버
53:가압스프링 60:경사지주 61:경사부
62:하부판체 70:수평 볼 이동관 80:운동용 볼
311:제1결합공 312:회전축 313:고정홈
321:제2결합공 322:회전축 323:고정홈
331:회전축 결합공 332:설치공간 333:작동공간
334:단턱 521:힌지축

Claims (12)

  1.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지주와;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지주와 수직 볼 이동관을 연결하여 수직 볼 이동관이 지주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단 내주에는, 수직 볼 이동관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설치면과 밀착되는 하단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보다는 면적이 좁으면서 지지판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설치기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설치기둥 외주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기둥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수직 볼 이동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설치기둥 외주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제1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전, 후단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전방부위와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연결축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후방 중앙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회전축이 연결축의 회전축 결합공에 대응결합되어 좌우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쪽은 연결축 내부와 연통되면서 내부의 상하에 단턱이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 내에서 승강가능 한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에 걸림되어 상부 일부분이 연결축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설치공간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회전축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에 설치된 힌지축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을 누를시 작동공간 내에서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30°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푸시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멈춤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7.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위쪽보다 하단의 면적이 넓은 형태의 경사지주와;
    상기 경사지주에 하단 부위가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단 내부로 집어넣은 운 동용 볼이 하단 내부로 배출되도록 운동용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직 볼 이동관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과 교차 설치되어 일측으로 공급된 운동용 볼이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수평 볼 이동관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과 수평 볼 이동관을 교차상태로 연결하면서 수평 볼 이동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은 상, 하단이 전방으로 꺾어진 경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부에는 수직 볼 이동관 하부의 경사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볼 이동관의 경사 부위에 부합되는 경사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사부와,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상부면적보다 면적이 넓은 하부판체로 이루어지는 경사지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은,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수직 볼 이 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원하는 부위를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의 하단 내주 및 수평 이동관의 일측단 내주에는, 수직 볼 이동관 및 수평 볼 이동관의 내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운동용 볼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수평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평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1결합공이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전방 중앙에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부재와;
    전, 후단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전방부위와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결합부재의 회전축이 대응결합되어 좌, 우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축 결합공이 구비되는 연결축과;
    상기 수직 볼 이동관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방이 상기 연결축의 전방과 결 합되며 수직 볼 이동관의 외주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내부에는,
    위쪽은 연결축 외측과 연통되고 아래쪽은 연결축 내부와 연통되면서 내부의 상하에 단턱이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어 설치공간 내에서 승강가능 한 것으로서, 하부 둘레가 단턱에 걸림되어 상부 일부분이 연결축 외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노출상태로 결합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설치공간의 아래와 연통되는 작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하부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다가 회전축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단이 연결축에 설치된 힌지축과 연결설치되어 푸시버튼을 누를시 작동공간 내에서 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고 끝단이 회전축의 외주방향으로 절곡되어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수직을 기준으로 25°, 55°에 형성된 제1결합부재에 형성된 회전축의 고정홈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푸시버튼 하부에 설치되어 푸시버튼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멈춤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KR1020090120076A 2009-12-04 2009-12-04 전신운동기구 KR10108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76A KR101088152B1 (ko) 2009-12-04 2009-12-04 전신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76A KR101088152B1 (ko) 2009-12-04 2009-12-04 전신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30A KR20110063130A (ko) 2011-06-10
KR101088152B1 true KR101088152B1 (ko) 2011-12-06

Family

ID=4439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76A KR101088152B1 (ko) 2009-12-04 2009-12-04 전신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037A (en) 1975-04-03 1977-05-03 Torbet Philip A Tennis practice machine
US5836837A (en) 1996-11-06 1998-11-17 Archworks, Inc. Apparatus for circular court ball game
KR200311329Y1 (ko) 2003-01-15 2003-05-01 금영숙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02968Y1 (ko) 2005-09-08 2005-12-08 채종관 훈련 및 연습용 농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037A (en) 1975-04-03 1977-05-03 Torbet Philip A Tennis practice machine
US5836837A (en) 1996-11-06 1998-11-17 Archworks, Inc. Apparatus for circular court ball game
KR200311329Y1 (ko) 2003-01-15 2003-05-01 금영숙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02968Y1 (ko) 2005-09-08 2005-12-08 채종관 훈련 및 연습용 농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30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380A (en) Arena type game
EP2758138B1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US5133546A (en) Foldable basketball game apparatus and method
JP3200839U (ja) 多目的運動器具
US20040242347A1 (en) Training device for ball games
KR102274356B1 (ko) 유희용 볼링기구
KR200470448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대놀이기구
KR20100023698A (ko)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101900191B1 (ko) 축구 전술 더미 받침장치
KR101088152B1 (ko) 전신운동기구
EP2696946A1 (en) Training apparatus
WO2003004103A2 (en) A portable multi-functional ball game apparatus
KR101390503B1 (ko)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US5810679A (en) Recreational device
US20220032152A1 (en) Shot making training apparatus
KR100579905B1 (ko) 접시형 운동기구
KR200429703Y1 (ko) 축구 및 농구 겸용 운동기구
KR20100122760A (ko) 배드민턴 연습대
KR101468415B1 (ko) 복싱 플레이 장치
KR102415729B1 (ko) 셀프 탁구연습기
CA2393348A1 (en) Toss-game structure for poolside use
KR101873795B1 (ko) 퍼팅 겸용 어프로치 연습장치
KR102357503B1 (ko) 이동식 운동용 네트장치
JP3239954U (ja) 球技用ゴール枠器具
KR200465389Y1 (ko) 공놀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