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753B1 - 회전놀이기구 - Google Patents

회전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753B1
KR100397753B1 KR10-2001-0023707A KR20010023707A KR100397753B1 KR 100397753 B1 KR100397753 B1 KR 100397753B1 KR 20010023707 A KR20010023707 A KR 20010023707A KR 100397753 B1 KR100397753 B1 KR 10039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housing
pivot
rotation
play
piv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442A (ko
Inventor
신천희
Original Assignee
신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희 filed Critical 신천희
Priority to KR10-2001-002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7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12Roundabouts rotated by the passengers themselves
    • A63G1/14Roundabouts rotated by the passengers themselves rotated by pushing the feet against a fixed surface or by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planes mounted on springs; with movable pla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의 회전유동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의 롤링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희용 놀이구조체를 제공함으로서 주 이용층인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감을 유발함과 동시에 놀이기구 시설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평면의 안착부(10a)가 구비되어 있는 원판하우징(10); 상기 안착부(10a)를 다수로 구획함과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진 지지간(12); 상기 원판하우징(10)이 회전 및 롤링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회동샤프트(7)의 둘레를 따라 연결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회동지지체(20); 및 상기 회동샤프트(7)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회동지지체(20)와 교번하며 설치되어 상기 원판하우징(10)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스프링(30);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놀이기구{A REVOLVING ROTATIVE STAGE FOR RECREATION}
본 발명은 회전식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어린이들이 안전하면서도 흥미있게 이용할 수 있는 회전놀이기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가 타고 놀 수 있는 놀이기구 내지는 놀이장치는 어린이용 자전거나 목마등이 있는데, 이것은 일정한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방향을 바꾸어 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 상하로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회전에 따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회전놀이기구로는 원판형태의 회전테이블이 중심에 지주를 중심으로 어느방향으로나 회전가능하게 놀이터에 설치된 종래구성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종래 회전놀이기구는 일정한 회전방향없이 중심에 지주가 위치되고, 지주를 축으로 지주상측에 일정한 직경의 철판재 회전테이블이 위치되게 하여, 이 회전원판을 어린이들이 지상에서 인력으로 먼저 회전시키고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면 회전테이블 위에 올라타고 이 회전테이블의 회전 관성력이 소멸될 때까지 타고 내리는 것을 반복하면서 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회전놀이기구의 일예로서 본 출원인이 2001년 2월20일자로 출원한 바 있는 "놀이용 회전무대"(국내실용신안 출원번호 2001-4378)가 있다.
상기 출원되어진 구조체는 기존에 사용되던 회전놀이기구에 비해 구성요소를 변형시킴으로서 외적인 미려함과 함께 유희용 놀이기구로서의 기능성을 보다 증진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회전놀이기구는 수평방향으로의 회전동작만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한적인 동작기능으로 인하여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키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수평방향의 회전유동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의 롤링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놀이기구를 제공함으로서 어린이들의 흥미감 및 놀이기구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상면에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평면의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원판하우징; 상기 원판하우징을 다수로 구획함과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진 지지간; 상기 원판하우징이 회전 및 롤링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회동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연결설치되어지는 다수의 회동지지체; 및 상기 회동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회동지지체와 교번하며 설치되어 상기 원판하우징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스프링;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기구 구조체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유동지지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놀이기구의 구성사시도.
도 4는 상기 놀이기구의 설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판하우징 12 : 캡
13 : 지지간 14 : 러버(Rubber)
20 : 회동지지체 23 : 회동링크
30 : 코일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놀이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에는 원판하우징(10)이 위치하되, 원판하우징(10)의 상면에는 다수의 나무판넬(11)이 배열되어짐으로서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한 안착부(10a)를 이루게 되고, 원판하우징(10)의 중앙에는 회동샤프트(7)가 관통 설치되어 지며, 상기 원판하우징(10)은 회동샤프트(7)의 상판(7a)에 고정되어진 다수의 회동지지체(20)에 의해 매달린 형태로 지지됨으로서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회동샤프트 상판(7a)에는 회동지지체(20)와 교대로 탄성의 코일스프링(30)이 장착되어져 있는데, 이와 대응되어지는 원판하우징(10) 위치에는 접촉에 따른 충격흡수를 위한 러버(14)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위에는 상기 구조물들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12)이 덮혀지고, 캡(12)위에는 지지간(13)이 고정 설치되어짐으로서 안전을 위한 손잡이 역할과 함께 안착부(10a)를 구획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0)은 도 4의 요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러버(14)와 일정거리(h) 이격되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상호간의 마찰충격이 장시간 지속되어질 경우 러버(14)가 마모될 수 있으므로 코일스프링(30)을 원판하우징(10)에 연결시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회동지지체(20)의 구성을 도 2의 확대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원판하우징(10)과의 볼트체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판하우징 고정부(21) 및 회동샤프트 상판(7a)과의 볼트체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회동샤프트 고정부(22)가 상하에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각 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한쌍의 회동링크(23)가 연결되었는데, 상기 회동링크(23)는 각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단의 회동축(24a,24b,24c,24d)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체들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 구성으로는, 기초콘크리트(9) 상에 지지하우징(8)이 앵커볼트(6)에 의해 고정되어지며, 회동샤프트(7)는 상/하부 베어링(9a,9b)에 의해 지지하우징(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지는 통상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지지간(13)이 결합 설치되는 결합홀이고, 16,17은 결합볼트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회전놀이기구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놀이기구의 원판하우징(10)은 지면과 적절한 높이에 위치되어짐으로서, 그 상면의 안착부(10a)에는 소정인원의 어린이가 앉아서 회전놀이를 즐길 수 있게된다.
이때, 원판하우징(10)은 회동지지체(20)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회전 및 롤링유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즉, 상기 회동지지체(20)에는 회동링크(23)가 축을 달리하는 다수의 회동축(24a,24b,24c,24d)을 통해 연결되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원판하우징(10)의 유동이 어느방향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이에따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가 탑승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면 회동샤프트(7)의 작용에 따라 원판하우징(1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여러가지 인자요소(어린이간의 몸무게 차이, 인원수등)에 따라 무게중심이 변위되어지게 되면 원판하우징(10)의 롤링유동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롤링유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원판하우징(1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지게될 경우, 회동샤프트(7)측에 고정되어져 있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원판하우징(10)의 과다한 유동력이 흡수되어지는 가운데 주기적인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가해짐으로서 한층 안정적이며 놀이기구의 재미를 더할 수 있는 롤링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회동샤프트(7)측 구조체들은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도록 캡(12)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외형적으로 미려함을 나타내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놀이기구를 통해 유희를 즐기는 어린이들에게 한층 증진된 흥미감을 고취시킴과 더불어 안정적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회전놀이기구 구조체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의 코일스프링이 각 위치에 하나씩 설치되었으나, 이를 각 개소에 병렬식으로 2개 또는 3개의 스프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서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게된다.
또한, 회동이 이루어지는 지지간의 상단부에 어린이들의 흥미를 더할 수 있도록 캐릭터부재나 지구본 등의 학습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회전놀이기구는, 수평방향의 회전유동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의 롤링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주 이용층인 어린이들의 흥미감 및 놀이기구 시설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함께, 외형적으로도 미려함을 느낄 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 시설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3)

  1. 놀이터 등에 설치되며 회동샤프트(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한 통상의 회전놀이기구에 있어서:
    상면에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평면의 안착부(10a)가 구비되어 있는 원판하우징(10);
    상기 안착부(10a)을 다수로 구획함과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진 지지간(12);
    상기 원판하우징(10)이 회전 및 롤링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회동샤프트(7)의 둘레를 따라 연결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회동지지체(20); 및
    상기 회동샤프트(7)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회동지지체(20)와 교번하며 설치되어 상기 원판하우징(10)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스프링(30);이 포함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회동지지체(20)는, 원판하우징 고정부(21) 및 회동샤프트 고정부(22) 사이에서 각 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복수의 회동축(24a,24b,24c,24d)에 의해 회동링크(23)가 연결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판하우징(10)에는, 롤링유동시 상기 탄성스프링(30)과의 직접접촉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러버(14)가 대응부위에 구비되되, 상기 충격흡수러버(14)와 탄성스프링(30)은 소정거리(h) 이격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기구.
KR10-2001-0023707A 2001-05-02 2001-05-02 회전놀이기구 KR10039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707A KR100397753B1 (ko) 2001-05-02 2001-05-02 회전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707A KR100397753B1 (ko) 2001-05-02 2001-05-02 회전놀이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694U Division KR200245607Y1 (ko) 2001-05-02 2001-05-02 회전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442A KR20020084442A (ko) 2002-11-09
KR100397753B1 true KR100397753B1 (ko) 2003-09-19

Family

ID=2770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707A KR100397753B1 (ko) 2001-05-02 2001-05-02 회전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45Y1 (ko) 2011-04-28 2013-03-26 안종원 외기둥 고정 방갈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45Y1 (ko) 2011-04-28 2013-03-26 안종원 외기둥 고정 방갈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442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3201B1 (en) Amusement device with revolving members
US6428451B1 (en) Rotatable pedestal
KR100397753B1 (ko) 회전놀이기구
KR200245607Y1 (ko) 회전놀이기구
KR101839752B1 (ko) 골프연습장치
CN102688599A (zh) 一种多人跷跷板
KR101763200B1 (ko) 가상체험 vr 라이더
CN106457021A (zh) 操场器材
KR200443232Y1 (ko) 회전플레이트를 이용한 유희기구
RU2366482C2 (ru) Аттракцион
KR100895508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시소
KR20110076851A (ko) 시소장치
CA2397013C (en) Playground spinning element with noise making device
KR101100044B1 (ko) 시소장치
CN214319100U (zh) 旋转式多人跷跷板
KR101057979B1 (ko) 어린이 놀이기구
CN213965135U (zh) 一种孔雀蛛主题的游乐设施
KR200366253Y1 (ko) 그네용 연결장치
KR101295081B1 (ko) 회동형 날개를 갖는 유희물
JP3097972U (ja) 公園遊具を組入れた迷路装置
KR200396971Y1 (ko) 그네머신
KR20110028411A (ko) 어린이 놀이용 시소
KR100745048B1 (ko) 유희기구
KR200234303Y1 (ko) 어린이용 복합놀이구
JPS633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