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39Y1 -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 Google Patents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39Y1
KR200443139Y1 KR2020080008980U KR20080008980U KR200443139Y1 KR 200443139 Y1 KR200443139 Y1 KR 200443139Y1 KR 2020080008980 U KR2020080008980 U KR 2020080008980U KR 20080008980 U KR20080008980 U KR 20080008980U KR 200443139 Y1 KR200443139 Y1 KR 200443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discharge pipe
pump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2020080008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7Safety measures
    • F04D15/0083Protection against sudden pressure change, e.g.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가압펌프의 내에 형성된 임펠러(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회전력을 가지게 되어, 이 회전력을 가진 유체가 토출되면서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에 접촉됨으로서 유발되는 체크밸브의 밸브실 이탈,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자 토출배관의 일측에 정류장치를 부착하여 토출배관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A pump for pressurizing the tap water pipeline mounted the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가압펌프의 내에 형성된 임펠러(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회전력을 가지게 되어, 이 회전력을 가진 유체가 토출되면서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에 접촉됨으로서 유발되는 체크밸브의 밸브실 이탈,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자 토출배관의 일측에 정류장치를 부착하여 토출배관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는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부에 정압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토출배관의 압력이 측정되고, 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이상인 경우 토출배관의 제1위치에서 유체를 회수하여 상수도 가압펌프의 제2위치로 회수된 유체를 이동시켜 상수도가압펌프의 토출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 이다.
종래의 펌프는 토출배관에서의 이상고압이 발생시 압력을 보정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배관에 부착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 등의 파손으로 인해 부품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펌프는 육상에 사용되는 급수펌프, 가압펌프, 배수펌프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펌프는 모터의 구동열을 냉각시켜주기 위해 별도의 냉각팬을 구비하여 모터펌프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냉각팬에 의한 동력손실 및 소음발생과, 또한 부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입되는 물에 의해 침수된 상태에서는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침수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모터펌프는 토출배관에서의 이상고압이 발생시에 압력을 가진 유체가 토출됨으로서 토출배관에 부착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 등에서 이상고압으로 흐르는 유체의 회전력에 의해 야기되는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장치 또는 부품을 구비하지 않아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등의 각종 밸브, 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가압펌프의 내에 형성된 임펠러(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회전력을 가지게 되어, 이 회전력을 가진 유체가 토출되면서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에 접촉됨으로서 유발되는 체크밸브의 밸브실 이탈,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자 토출배관의 일측에 정류장치를 부착하여 토출배관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는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부에 정압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토출배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이상인 경우 토출배관의 일측에 연결된 제1배관에서 유체를 회수하여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에 형성된 제2관으로 회수된 유체를 이동시켜 상수도가압펌프의 토출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측에 인입배관에서 유입된 물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모터펌프와, 상기 가압모터펌프가 삽입된 가압케이싱을 구비하고, 일측에 압력계를 구비한 토출배관을 포함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에서 상기 가압케이싱을 따라 상기 토출배관으로 흐르는 유체유량 및 유속의 증가에 의해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이상인 경우에,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회수하도록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된 제1관에서 설정압이상의 유체를 상기 가압케이싱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 2관으로 이송하여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된 상기 제1관으로 이상고압을 가진 유체의 유입에 의해 상기 제1관의 일측과 연결된 상기 정압장치에 내장된 시트가 상부로 상승되고, 상기 정압장치로부터 상기 가압케이싱의 일측부에 연결된 상기 제2관으로 이상고압과 압력을 가진 유체가 함께 토출되어 상기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보정되어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에 결합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케이싱을 거쳐 상기 토출배관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회전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토출배관의 내주에는 다수의 정류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수도 가압펌프의 인입배관에서 가압케이싱을 따라 상기 토출배 관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의 증가에 의해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이상인 경우에,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회수하도록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된 제1관에서 설정압이상의 유체를 상기 가압케이싱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2관으로 이송하여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수도 가압펌프의 내에 형성된 임펠러(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회전력을 가지게 되어, 이 회전력을 가진 유체가 토출되면서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에 접촉됨으로서 유발되는 체크밸브의 밸브실 이탈,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하고자 토출배관의 일측에 정류장치를 부착하여 토출배관으로 회전하면서 토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는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부에 정압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토출배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이상인 경우 토출배관의 일측에 연결된 제1배관에서 유체를 회수하여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에 형성된 제2관으로 회수된 유체를 이동시켜 상수도가압펌프의 토출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수도가압펌프(1)의 내측에는 인입배관(2)에서 유입된 유체를 가압하도록 가압모터펌프(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케이싱(4)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모터펌프(3)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압모터펌프(3)는 지지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케이싱(4)의 내주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압모터펌프(3)와 가압케이싱(4)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입배관(2)으로부터 유체가 토출배관(5)으로 흐른다.
또한, 가압케이싱(4)의 일측부에 볼트 및 너트의 결합으로 형성된 토출배관(5)의 일측에는 토출배관(5)의 내부압을 측정하는 압력계(6a)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상수도 가압펌프(1)의 상기 인입배관(2)에서 상기 가압케이싱(4)을 따라 상기 토출배관(5)으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의 증가에 의해 상기 토출배관(5)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이상인 경우에, 상기 토출배관(5)의 압력을 회수하도록 상기 토출배관(5)에 연결된 제1관(6)에서 설정압이상의 유체를 상기 가압케이싱(4)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2관(7)으로 이송하여 상기 토출배관(5)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압장치(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정압장치(8)의 일측에 연결된 제1관(6)은 토출배관(5)의 일측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며, 정압장치(9)의 타측에 연결된 제2관(7)은 가압케이싱(4)의 일측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는 상기 토출배관(5)에 연결된 상기 제1관(6)으로 이상고압을 가진 유체의 유입에 의해 상기 제1관(6)의 일측과 연결된 상기 정압장치에 내장된 시트(9)가 상부로 상승되고, 상기 정압장치(8)로부터 상기 가압케이싱(4)의 일측부에 연결된 상기 제2관(7)으로 이상고압과 압력을 가진 유체가 함께 토출되어 상기 상수도 가압펌프(1)의 토출배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보정됨으로써, 토출배관(5)의 압력이 일정해저 유체가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토출배관(5)으로 토출되어 상수도 가압펌프(1)의 토출배관(5)에 결합된 체크밸브(미도시), 상수도관(미도시), PVC배관(미도시), 노후배관(미도시)의 몸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정압장치(8)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1)는 상기 가압케이싱(4)을 거쳐 상기 토출배관(5)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회전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토출배관(5)의 내주에는 다수의 정류장치(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장치(1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배관(5)의 내주에 예를 들면, 1~4개정도 용접 등으로 부착된다.
본 고안은 정압장치(8)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1)의 다수의 정류장치(10)는 상기 가압모터펌프(3)에서 가압되어 회전력을 가진 유체가 토출배관(5)으로 토출될 경우에 유체의 흐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배관(5)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는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부에 정압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토출배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이상 인 경우 토출배관의 일측에 연결된 제1배관에서 유체를 회수하여 상수도 가압펌프의 일측에 형성된 제2관으로 회수된 유체를 이동시켜 상수도가압펌프의 토출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토출배관과 연결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를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정압장치(8)의 설정압력은 핸들(12)을 돌려 수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숙련기술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가압펌프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정압장치와 상수도가압펌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정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수도가압펌프 2: 인입배관
3: 가압모터펌프 4: 가압케이싱
5: 토출배관 6: 제1관
6a: 압력계 7: 제2관
8: 정압장치 9: 시트
10: 정류장치

Claims (2)

  1. 내측에 인입배관에서 유입된 물을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압모터펌프와, 상기 가압모터펌프가 삽입된 가압케이싱을 구비하고, 일측에 압력계를 구비한 토출배관을 포함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에 있어서,
    상기 인입배관에서 상기 가압케이싱을 따라 상기 토출배관으로 흐르는 유체유량 및 유속의 증가에 의해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이상인 경우에,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회수하도록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된 제1관에서 설정압이상의 유체를 상기 가압케이싱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2관으로 이송하여 상기 토출배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압장치와,
    상기 가압케이싱을 거쳐 상기 토출배관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회전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토출배관의 내주에는 다수의 정류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된 상기 제1관으로 이상고압을 가진 유체의 유입에 의해 상기 제1관의 일측과 연결된 상기 정압장치에 내장된 시트가 상부로 상승되고, 상기 정압장치로부터 상기 가압케이싱의 일측부에 연결된 상기 제2관으로 이상고압과 압력을 가진 유체가 함께 토출되어 상기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보정되어 상수도 가압펌프의 토출배관에 결합된 체크밸브, 상수도관, PVC배관, 노후배관의 몸체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펌프.
  2. 삭제
KR2020080008980U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KR200443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80U KR200443139Y1 (ko)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80U KR200443139Y1 (ko)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139Y1 true KR200443139Y1 (ko) 2009-01-14

Family

ID=4134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80U KR200443139Y1 (ko)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92B1 (ko) 2015-09-04 2017-03-03 하지기계 주식회사 에어벤팅을 이용한 상수도 가압펌프 장치
KR20220164233A (ko) * 2021-06-04 2022-1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관로 설치형 임펠러리스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92B1 (ko) 2015-09-04 2017-03-03 하지기계 주식회사 에어벤팅을 이용한 상수도 가압펌프 장치
KR20220164233A (ko) * 2021-06-04 2022-1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관로 설치형 임펠러리스 펌프
KR102578918B1 (ko) 2021-06-04 2023-09-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관로 설치형 임펠러리스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0949A1 (zh) 一种耐腐耐磨化工离心泵
AU2013356279B2 (en) Pump with pressure relief system
KR200443139Y1 (ko) 정압장치가 부착된 상수도 가압 펌프
AU2014379390A1 (en) Non return valve for use in water line
KR101837139B1 (ko) 원심 펌프
WO2013143451A1 (zh) 一种安全壳喷淋泵
CN104676056A (zh) 逆止阀
US8287231B2 (en) Pressure relief arrangement for a pump
WO2011123892A1 (en) Fluid pumps and monitoring systems for fluid pumps
RU56940U1 (ru) Клапан обратный
JP6430152B2 (ja) 液体ポンプおよび液体ポンプシステム
KR101299987B1 (ko) 역지밸브 디스크
KR20110107574A (ko) 가압용 수중펌프 유닛
CN217815176U (zh) 一种逆止阀阀座
CN218152416U (zh) 一种抗压式流体阀门
CN207975038U (zh) 一种自吸泵的进口座
CN213981206U (zh) 核电厂用泵
CN202118311U (zh) 一种重力止回阀
CN204533677U (zh) 逆止阀
CN220396605U (zh) 一种快卡膜片止回阀
CN213869814U (zh) 一种多功能油井井口防倒流装置
CN216950986U (zh) 一种长寿命高压泵复合壳体
CN217108233U (zh) 一种高压节流阀
CN116123104B (zh) 一种免抽真空的不产生汽蚀的排水泵组的配置方法
KR101213730B1 (ko) 워터 해머리스 기능을 구비한 인라인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