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12Y1 -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12Y1
KR200443112Y1 KR2020070006043U KR20070006043U KR200443112Y1 KR 200443112 Y1 KR200443112 Y1 KR 200443112Y1 KR 2020070006043 U KR2020070006043 U KR 2020070006043U KR 20070006043 U KR20070006043 U KR 20070006043U KR 200443112 Y1 KR200443112 Y1 KR 200443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 bar
right movabl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683U (ko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2020070006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1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장치 상에 가공 전 부스바의 좌우 위치와 전후 위치 및 직립상태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 중 부스바의 직립상태를 설정하는 직립설정판의 원치않는 각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접목시킴으로써, 부스바의 위치불균형에 의해 가공과정에서 부스바의 가공부위 위치 및 형태의 불량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스바, 펀칭, 절곡, 커팅, 가공, 위치조절, 불량방지

Description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Punch press machine for Bus bar}
도 1 과 도 2 는 종래 가공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고안 중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중 작업대 상에 부스바위치조절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A"부분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중 부스바의 중심선과 제1,2눈금자, 좌우이동대 간이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부확대도
도 7 은 본 고안 중 부스바의 설치 이전에 부스바위치조절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 과 도 9 는 좌우이동대의 이동과정에서 체결볼트의 체결모습을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도 10과 도 11 은 좌우이동대의 이동과정에서 가이드편과 가이드레일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부확대 단면도
도 12 는 가이드편이 가이드레일에 걸려 좌우이동대의 기울어짐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부확대 개략도
도 13 은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의 위치설정 후 부스바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 는 전후이동대를 이동시켜 부스바를 가공수단에 진입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기울기방지수단이 좌우이동대의 중앙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기울기방지수단이 판재형태로 구비되고, 좌우이동대의 양 끝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작업대 본체 200 : 부스바 위치조절수단
210 : 좌우이동대 220 : 전후이동대
230 : 고정부재 240 : 기울기방지수단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나 분전반, 제어반 등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 동판이나 알루미늄 등의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를 사용한다.
상기 부스바는 설치 전 설치될 곳의 구조에 따라 형태를 절곡하는 벤딩이나 체결공의 형성을 위한 펀칭 및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커팅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부스바의 가공은 해당가공에 적합한 별도의 부스바 가공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종래 부스바 가공장치는 유압실린더가 내장되고 부스바 중 가공부위가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유압실린더와 연결된 상태로 본체상에 설치되는 펀칭부재, 벤딩부재, 커팅부재등의 가공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가공장치는 별도의 작업대일측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부스바의 가공과정은, 먼저 부스바를 작업대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스바의 직립상태등의 위치를 설정한 후 가공장치 내에 해당 가공위치에 맞게 가공장치로 밀어넣어 해당부위에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부스바의 직립상태와 이동길이 등의 위치설정을 미리 실시하는 이유는, 만일 벤딩가공 경우 부스바가 정화히 직립상태를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 벤딩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절곡부위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지정된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절곡이 형성되는 등의 가공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커팅가공일 경우에도 절단면이 경사지게 가공될 뿐만 아니라, 펀칭가공일 때에는 펀칭공의 형성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펀칭공 간의 간격이 규격에 어긋나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가공전 부스바의 위치설정이 작업자의 짐작을 통해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설정이 어려워 가공 시 가공부위에 오차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스바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한 위치설정장치가 더 구비된 부스바가공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가공장치 중 위치설정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대(100) 상에서 좌우로 이동되고 부스바(B)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부스바(B)의 좌우 위치이동 및 직립상태를 조절하는 좌우이동판(210)과,
상기 좌우이동판(210)에 결합되고 좌우이동판(210)을 따라 전후 이동되어 부스바(B)의 전후이동거리를 설정하는 전후이동판(220)으로 구성되며, 전후이동판(220)의 이동경로 상에는 전후이동판(220)의 이동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자(23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눈금자(230)상에 부스바(B)를 올려놓은 후, 좌우이동판(210)을 통해 부스바(B)의 좌우위치 및 직립상태를 설정함에 따라 부스바(B)의 가공 시 직립불량에 따른 가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금자(230)상에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220)을 통해 가공장치 내에서 부스바(B)의 전후가공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장치는 이러한 장점 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먼저 좌우이동판(210)은 가이드공(212)에 체결된 볼트(214)를 통해서만 좌우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동 시에는 볼트()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작업자가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양손으로 잡고 동시에 밀지 않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부스바(B)를 위치시킬 경우 부스바(B)의 직립상태 또한 설정할 수 없어, 결국 좌우이동판(210)을 다시 끝까지 당기거나 밀어낸 후 재차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이렇게 좌우이동판(210)이 경사진 상태에서는 전후이동판(220)도 함께 기울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전후이동판(220)을 통해 부스바(B)를 밀게되면 부스바(B)가 사선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가공부위의 위치도 불량이 발생된다.
종합해보면 상기 종래 가공장치의 부스바위치조절수단 중 좌우이동판(210)은 볼트(214)가 결합되어진 상태를 제외하고는 정확한 직립상태를 갖을 수 없기 때문에 부스바(B)의 좌우 이동 외에 직립상태 설정을 위한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좌우이동판의 이동과정에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항시 부스바의 직립상태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 직립상태 불량에 따른 가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스바가공장치의 부스바 위치조절수단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렇게 좌우이동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함에 따라 전후이동판의 기울어짐 도 방지하여 부스바가 정확히 직선이동할 수 있는 부스바가공장치의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가공장치는,
가공수단과, 상기 가공수단이 설치되고 부스바가 안착되는 작업대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이러한 기본구성에 더불어 작업대 상에서 부스바의 위치를 조절하는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가이드부재를 통해 작업대와 결합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위치설정판과,
상기 좌우위치설정판에 연결되어 좌우위치설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후위치설정판과,
상기 좌우위치설정판과 작업대를 연결함과 동시에 좌우위치설정판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울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 부스바 가공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작업대본 체(100)와 가공수단(1000), 부스바위치조절수단(200), 기울기방지수단(2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작업대본체(100)는 본 고안의 모든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곳으로,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띠는 케이스본체(110) 상에 판재형태의 작업대(120)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110)는 내부에 기타 작업도구등의 수납을 위한 수납실(미도시)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수납실의 개폐를 위한 개폐문(112) 및 수납실의 통풍을 위한 통풍구(114)가 형성된다.
더불어 여러 장치들의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 등의 전원장치도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본체(110)의 형태 및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다양하게 구조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본체(100)의 작업대(120) 상에는 후술하는 좌우이동대(210)의 설치 및 이동제한을 위한 복수개의 제1설치공(122)과 제2설치공(124)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본체(100)의 일측에는 부스바의 가공을 위한 가공수단(10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공수단(1000)은 부스바를 절곡시키는 벤딩장치이거나, 일정길이로 부스바를 절단하는 커팅장치, 부스바 상에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펀칭장치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케이스본체(100) 각 측벽에 상기 각각의 가공 장치가 모두 구비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벤딩장치만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벤딩장치(1000)는 설치프레임(1100)에 유압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에 연결된 절곡대(미도시)가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부스바진입부(1200)를 통해 절곡대(미도시) 상에 진입된 부스바를 절곡시키는 방식이며, 케이스본체(110)의 일측벽에 설치된다.
참고로 이러한 벤딩장치(10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 더 이상의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벤딩장치(1000)는 부스바진입부(1200)가 작업대(120)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부스바가 작업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부스바진입부(1200)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벤딩장치(1000)가 구비된 케이스본체(100)에는 부스바위치조절수단(2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부스바위치조절수단(200)은 가공 전 작업대(120) 상에 안착된 부스바의 정확한 직립상태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부스바진입부(1200) 내로 정확히 직선이동하여 정확한 위치에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부스바위치조절수단(200)은 다시 좌우이동대(210)와 전후이동대(220), 위치고정부(230), 기울기방지수단(240), 눈금자(250)(26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좌우이동대(210)는 판재형태로, 길이방향으로 일단부가 벤딩장치(1000)를 향하도록 작업대(120) 상에 안착된다.
이러한 좌우이동대(210)에는 전후이동대(2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전후이동대(220)는 부스바가 벤딩장치(1000) 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정확히 직선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 이다.
이러한 전후이동대(220)는 결합부(222)를 통해 상기 좌우이동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22)에는 부스바와 접촉되는 접촉판(224)이 좌우이동대(2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전후이동대(220)와 좌우이동대(210)가 상호 정확히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전후이동대(220)와 좌우이동대(210)로 구성된 부스바위치조절수단(200)은 좌우이동대(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230)가 더 부가된다.
상기 위치고정부(230)는 좌우이동대(210) 상에 장공형상의 제1체결공(232)과 제2체결공(233)이 좌우이동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대(120) 중 이러한 좌우이동대(210)가 안착되었을 때 상기 각 체결공(232)(233)과 수직선상의 위치에는 제1설치공(122)과 제2설치공(123)이 구비되며, 상기 각 체결공(232)(233)과 설치공(122)(123)에 삽입되는 체결볼트(234)로 구성된다.
이때 각 설치공(122)(123)은 좌우이동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되며, [도 5]와 같이 각 체결공(232)(233)의 내부는 체결볼트(234)가 삽입되었을 때 체결볼트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스바위치조절수단(200)은 부스바의 위치조절과정에서 좌우이동대(2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기울기방지수단(2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기울기방지수단(240)은 가이드편(242)(243)과 가이드레일(244)(2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편(242)(243)은 일정길이를 같는 막대형태로, 좌우이동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하부면에 고정볼트(246)를 통해 결합되되, 제1체결공(232) 일측에는 제1가이드편(242)이 결합되고, 제2체결공(233) 일측에는 제2가이드편(243)이 결합된다.
이때 각 가이드편(242)(243)은 좌우이동대(210)의 하부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하여 안정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44)(245)은 상기 좌우이동대(210)의 이동 시 각 가이드편(24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대(120)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장공(홈) 형태를 띠며 좌우이동대(210)가 안착되었을 때 좌우이동대(2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244)(245)은 작업대(120) 중 제1설치공(122) 일측에는 제1가이드레일(244)이 형성되고, 제2설치공(123)의 일측에는 제2가이드레일(245)이 구비되며, 좌우이동대(210)가 안착되었을 때 좌이이동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44)(245)과 가이드편(242)(243)의 폭은 상호 거의 동일하도록 하여 가이드편(242)(243)이 가이드레일(244)(24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좌우이동대(210) 또한 회전될 수 없도록 한 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44)(245)과 가이드편(242)(243)은 설치위치가 반대가 되어도 무관하다.
즉 가이드레일(244)(245)이 좌우이동대(210) 하부면에 형성되고, 가이드편(242)(243)은 작업대(120) 상에 설치된 형태가 되어도 무관하다.
더불어 작업대(120)의 상면 중 좌우이동대(210)가 안착되는 면 상에는 좌우이동대(21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1눈금자(250)가 좌우이동대(210)의 폭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제1눈금자(250)의 일측에는 전후이동대(22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2눈금자(260)가 좌우이동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때 제1눈금자(250)중 제2눈금자(260)를 향하는 끝단부가 '0'이 되고 뒤로 갈수로 수치가 늘어나도록 하며, 제2눈금자(260)는 벤딩장치(1000)의 부스바진입부(1200)에 위치한 끝단부가 '0' 그리고 뒤로 갈수록 수치가 늘어나도록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밴딩장치(1000)의 부스바진입부(1200) 중간지점으로부터 부스바의 중간지점에 해당하는 임의이 중심선(C)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제2눈금자(260)의 일측단면이 상기 중심선(C)과 일치되도록 하고, 제1눈금자(250)는 '0'지점이 상기 중심선(C)과 일치된다.
즉 도면과 같이 좌우이동대(210)가 최대한 중신선(C)쪽으로 이동되어 일측 단면이 제1눈금자의 '0'이 위치될 경우 정확히 중신선(C)과 일치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각 구성요소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후이동대(220)의 결합부(222)를 좌우이동대(210)에 끼워넣어 전후이동대(220)와 좌우이동대(210)를 상호 결합하고, 각 가이드편(242)(243)을 좌우이동대(210) 하부면에 위치시킨 후 결합볼트(246)를 통해 좌우이동대(210)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좌우이동대(210)를 작업대()상에 안착시키는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대(210)의 제1체결공(232)은 작업대(120) 상의 제1설치공(122)과 일치되도록 하고, 제2체결공(233)은 제2설치공(123)과 일치되도록 한 후, 고정볼트(243)를 각 체결공(233)(232)에 끼워넣어 좌우이동대(210)와 작업대(120)를 상호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제1가이드편(242)이 제1가이드레일(244)에 삽입되고, 제2가이드편(243)은 제2가이드레일(245)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각 가이드레일(244)(245)에 가이드편(242)(243)이 삽입됨에 따라 좌우이동대(210)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직립상태가 된다.
좌우이동대(210) 이동과정에서의 기울어짐 방지작용은 아래 작용효과 설명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의 작용과정 및 그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폭이 100mm이고 길이가 800mm인 부스바 중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100mm 들어온 지점에 절곡가공을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도 7]과 같이 먼저 좌우이동대(210)와 전후이동대(220)를 상기 부스바의 규격에 맞게 미리 이동시킨다.
먼저 좌우이동대(210)는 부스바폭의 절반인 50mm이동시킴에 따라 부스바의 일측면이 좌우이동대(210)에 밀착되었을때 부스바의 중심부가 임의의 중심선(C)에 정확히 일치된다.
이때 좌우이동대(210)의 이동과정은 먼저 [도 8]과 같이 좌우이동대(210)의 체결홈과(232)(233) 작업대(120)의 설치홈(122)(123)에 끼워져 있는 각 체결볼트(234)를 빼내고 [도 9]처럼 좌우이동대(21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체결볼트(234)를 다시 끼워넣는다.
이 상태에서는 체결볼트(234)가 설치홈(122)(12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좌우이동대(210)는 체결볼트(234)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좌우이동대(2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가이드편(242)과 제2가이드편(243)이 각 가이드레일(244)(245)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각 가이드레일(244)(245)에 가이드편(242)(243)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서 좌우이동대(210)를 미는 힘의 위치가 한쪽으로 쏠려 좌우이동대(210)가 기울어지려고 하더라도, [도 12]와 같이 가이드편(242)(243)이 가이드레일(244)(245)에 걸림으로써, 좌우이동대(210)의 기울어짐이 차단된다.
더구나 이러한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편이 좌우이동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끝단부 근처에 구비되어 좌우이동대(210)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기울 어짐의 방지가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가이드편(242)(243)과 가이드레일(244)(245)로 구성된 기울기방지수단(240)을 통해 이동과정에서 좌우이동대(21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처럼 좌우이동대(210)의 위치설정이 완료되면, 다시 [도 7]과 같이 전후이동대(220)를 의 위치를 설정하는데, 전후이동대(220)의 위치설정은 부스바와 맞닿을 면이 제2눈금자(260)의 '800'에 일치되도록 이동시켜, 부스바가 안착되었을 때 벤딩장치(1000)의 부스바진입부(1200)를 향하는 끝단부가 제2눈금자의 '0'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좌우이동대(210) 및 전후이동대(220)의 위치설정이 모두 완료되면 [도 13]과 같이 일측면이 좌우이동대(210)와 밀착되고 이와 직각되는 면은 전후이동대(220)와 밀착되도록 부스바(B)를 위치시킨다.
이렇게 위치된 부스바(B)는 앞에서 설명한 좌우이동대(210)와 전후이동대(220)의 위치설정에 의해 중간지점이 정확히 임의의 중심선(C)과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와 같이 전후이동대(210)를 100mm밀어올려 부스바(B)와 맞닿은 면이 제2눈금자(260)의 '700'에 일치되도록 하면, 부스바(B)도 100mm이동하여 최초 가공하고자 할 지점이 정확히 벤딩장치(1000)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벤딩장치(1000)를 작동시키면 원하는 지점에 정확히 절곡이 이루어지게 되고 전후이동대(220)와 좌우이동대(210)에 의해 부스바(B)의 직립상태가 정확 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곡부위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벤딩가공 뿐만 아니라 컷팅가공, 펀칭가공 시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다른 기본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기울기방지수단, 즉 가이드편(242)(243)과 가이드레일(244)(245)을 좌우이동대(210) 양 단부에 2개 구비시킨 앞의 실시예와 달리, 좌우이동대(210)중간 지점에 하나만 구비시킨 점에 차이가 있다.
이 경우에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과정에서 미는 힘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좌우이동대(210) 중앙에 위치한 가이드편(242)과 가이드레일(244)간의 걸림현상에 의해 좌우이동대(210)가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기울기방지수단(240)을 1개만 구비하게 되면 동일한 효과는 물론 자재절감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마찬가지로 기본 구성은 동일하되, 기울기방지수단(240)을 판재형태로 구현하고 좌우이동대(210)의 양단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것에 구조적 차이가 있다.
기울기방지수단(240)을 이렇게 구현함에 따라 좌우이동대(210)는 양단부면이 기울기방지수단(240)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좌우이동대(210)가 기울어 지려 하더라도 양단부가 기울기방지수단(240)에 걸려, 항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형태로 기울기방지수단(240)을 구현한다면 기울기방지수단(240)을 설치하기 위해 좌우이동대(210)와 작업대(120)를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 종래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 부스바 가공장치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가공장치의 부스바위치조절수단 상에 기울기방지수단을 더 부가함으로써, 부스바의 위치조절과정에서 부스바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및 구성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 가공장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레일간의 걸림현상을 통해 좌우이동대가 이동과정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부스바의 직립상태가 항시 정확히 유지되어, 결국 부스바의 가공 시 가공부위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가공수단과, 상기 가공수단이 설치되고 부스바가 안착되는 작업대를 포함한 부스바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부스바의 위치를 조절하는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은 부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대와,
    상기 좌우이동대에 연결되어 좌우이동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후이동대와,
    상기 좌우이동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230)와,
    상기 좌우이동대와 작업대를 연결함과 동시에 좌우이동대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울기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방지수단은,
    상기 작업대(120)에 일체로 형성된 장공(홈)(244,245) 형태의 가이드레일과,상기 좌우이동대(210)의 하면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246)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가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중 좌우이동대 및 전후이동대의 이동경로 상에는 좌우이동대와 전후이동대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가공장치.
KR2020070006043U 2007-04-12 2007-04-12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KR200443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43U KR200443112Y1 (ko) 2007-04-12 2007-04-12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43U KR200443112Y1 (ko) 2007-04-12 2007-04-12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83U KR20080004683U (ko) 2008-10-16
KR200443112Y1 true KR200443112Y1 (ko) 2009-01-20

Family

ID=4134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43U KR200443112Y1 (ko) 2007-04-12 2007-04-12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15B1 (ko) * 2009-02-18 2011-11-18 주식회사 우진정공 부스바의 펀칭위치 설정구조가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WO2023120938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제조를 위한 다목적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의 셋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91B1 (ko) * 2008-12-30 2011-08-04 주식회사 우진정공 판재 가공금형의 위치 조정장치
KR101974791B1 (ko) * 2018-12-28 2019-05-02 서정언 부스바 가공장치를 이용한 부스바 가공방법
KR101974792B1 (ko) * 2018-12-28 2019-05-02 서정언 부스바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15B1 (ko) * 2009-02-18 2011-11-18 주식회사 우진정공 부스바의 펀칭위치 설정구조가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WO2023120938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제조를 위한 다목적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제조 장치의 셋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83U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5518B1 (en) Woodworking work table
KR200443112Y1 (ko) 부스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KR101085015B1 (ko) 부스바의 펀칭위치 설정구조가 구비된 부스바 가공장치
DE102009047225B4 (de) Werkzeugträgerstruktur mit einstellbarer Endanordnung
DE102010007378C5 (de) Holzbearbeitungsanlage
CA2049924A1 (en) Woodworking worktable assembly having an extruded t-slot
KR100854306B1 (ko) 부스바 가공장치
JP2019072735A (ja) プレスブレーキ用のフロントテーブル装置
EP1186372B1 (de) Portalfräsmaschine
CN213469689U (zh) 适配型夹治具
DE60014695T2 (de) Multifunktionelles arbeitstischsystem
CN110893482B (zh) 一种型材通用钻模
DE102012112326B4 (de) Justagevorrichtung für Führungen und justierbare Führungsvorrichtung
KR20100106820A (ko) 부스바 가공장치
JP2003117905A (ja) 木材の穴加工機
KR0180127B1 (ko) 공작 기계의 소재 위치 결정 장치
CN210359776U (zh) 一种可快速准确定点的碰焊送件装置
CN217194141U (zh) 带锯床定位装置
CN219632876U (zh) 激光切割机的拼接机架
KR20010036660A (ko) 수치 제어 가공용 지그
CN109500262B (zh) 一种快速定位拆装滑动装置
CN220407005U (zh) 油道砂芯打孔装置
CN211102674U (zh) 一种折弯机挡料横梁加工用攻钻一体设备
CN220661180U (zh) 一种具有导向功能的双重限位切割装置
CN213317974U (zh) 一种快速定位剪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07

Effective date: 200812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