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849Y1 - 책상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49Y1
KR200442849Y1 KR20070006911U KR20070006911U KR200442849Y1 KR 200442849 Y1 KR200442849 Y1 KR 200442849Y1 KR 20070006911 U KR20070006911 U KR 20070006911U KR 20070006911 U KR20070006911 U KR 20070006911U KR 200442849 Y1 KR200442849 Y1 KR 200442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mounting
mounting portion
mounting par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6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37U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to KR20070006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4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책상용 연결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책상용 연결장치는: 일측의 책상과 타측의 책상이 연이어 설치되도록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책상 측면에 삽입홀이 구비된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대응하도록 타측의 책상 측면에 삽입홀이 구비된 제2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70006911
책상, 제1장착부, 제2장착부, 연결부, 가이드돌기

Description

책상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desk}
도 1은 일반적인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책상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A-A"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제1책상 12 : 제1상판
14 : 제1지지파이프 20 : 제2책상
22 : 제2상판 24 : 제2지지파이프
30 : 제1장착부 32 : 몸체부재
34 : 삽입홀 40 : 커버부재
42 : 연결공 44 : 가이드홈
46 : 걸림편 48 : 삽입지지부
49 : 걸림부 50 : 연결부
51 : 하우징부재 52 : 내측공간
53 : 제1삽입부 54 : 경사면
55 : 경사부 56 : 제2삽입부
57 : 가이드돌기 60 : 장착부재
62 : 조작부재 64 : 고정돌기
65 : 연장편 67 : 지지벽
70 : 제2장착부
본 고안은 책상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을 연결함에 있어서 책상상판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책상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단일로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책상을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책상(1)의 책상상판(5)과 제2책상(3)의 책상상판(6)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책상상판(5,6)을 붙여서 사용하려 할 경우, 상기 제 1책상(1)과 제2책상(3)의 가공 작업시 누적되는 공차 및 건물의 바닥이 평평한 정도에 따라서 책상상판(5,6)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접하는 책상상판(5,6)에 평철물을 접하고 나사 등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책상상판(5,6) 간의 단차를 보정하게 된다.
그러나, 평철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나사로 인하여 책상상판(5,6)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책상상판을 서로 붙여 사용함에 있어서, 책상상판의 단차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부재인 나사에 의하여 책상상판이 파손되는 문제점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책상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연결장치는: 일측의 책상과 타측의 책상이 연이어 설치되도록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책상 측면에 삽입홀이 구비된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대응하도록 타측의 책상 측면에 삽입홀이 구비된 제2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삽입홀이 내측에 구비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결공이 구비된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가 양측에 구비되어서 내측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중앙측에 고정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양측에 연장되어 가압에 의하여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상하 동작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일단에는 곡선 형상으로 경사면을 구비한 경사부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 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책상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A-A"의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책상을 제1책상(10)으로 하며, 타측의 책상을 제2책상(20)으로 하여, 두개의 책상이 연이어 설치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은 특정 책상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연이어 설치되는 책상을 편의상 분리하여 구분한 것이다.
상기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을 연이어 설치하기 위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연결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책상용 연결장치는, 상기 일측의 제1책상(10) 측면에 삽입홀(34)이 구비된 제1장착부(30)와, 상기 제1장착부(30)와 대응하도록 타측의 제2책상(20) 측면에 삽입홀(34)이 구비된 제2장착부(70) 및 상기 제1장착부(30)와 상기 제2장착부(70)의 삽입홀(34)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30)와 제2장착부(70)는 동일한 구성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1장착부(3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장착부(30)는 상기 삽입홀(34)이 내측에 구비된 몸체부재(32)와, 상기 몸체부재(32)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홀(34)과 연통되는 연결공(42)이 구 비된 커버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재(32)는 제1지지파이프(14)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몸체부재(32)가 책상 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파이프(14)는 제1상판(12)을 지지하는 보강물이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설치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장착부(70)에 구비된 몸체부도 제2책상(20)에 구비된 제2지지파이프(24)의 일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제2책상(20) 측면에 장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몸체부재(32)에 걸리도록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걸림편(46)과, 상기 걸림편(46)의 내측에 통공된 연결공(4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공(42)과 접하는 테두리에는 가이드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공(42)은 상기 연결부(50)의 단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42)의 모서리 부분에 가이드홈(4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46) 후측에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삽입지지부(48)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지지부(48)의 측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걸림부(49)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1장착부(30)의 구성은 제2장착부(70)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장착부(70)의 구성은 상기 제1장착부(30)의 구성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장착부(30)와 제2장착부(70)에 일단과 타단이 삽입되는 상기 연결부(5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제1장착부(30)와 상기 제2장착부(70)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53)와 제2삽입부(56)가 양측에 구비되어서 내측공간(52)이 형성된 하우징부재(51)가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부재(51)의 중앙측에는 장착부재(60)가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재(60)의 양측에 연장되어 가압에 의하여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조작부재(62)는 상기 하우징부재(51)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6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62)의 변형에 의하여 상하 동작되는 고정돌기(64)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재(62)와 고정돌기(64)는 직사각형 형상의 연장편(65)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장착부재(60)는 상기 하우징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50)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상기 장착부재(60)가 상기 하우징부재(51)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50)는 다양한 재질과 가공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57)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7)를 안내하기 위한 상기 커버부재(40) 내측의 가이드홈(44)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53)와 상기 제2삽입부(56)의 일단에는 안정적인 삽 입 동작을 위하여, 곡선 형상으로 경사면(54)을 구비한 경사부(5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60)는 상기 하우징부재(51)에 일체로 형성됨에 있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복수를 이루는 지지벽(67)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재(51)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됨으로, 강성 보강과 함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장착부(30)와 제2장착부(70)는 제1책상(10) 또는 제2책상(20)의 측면에 1개만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50)도 1개 또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책상상판이 접하여 고정되는 책상을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으로 구분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은 편의상 구분한 것일 뿐, 책상상판이 접하여 고정되기 위한 책상이면, 어느 책상이나 본 고안에 의한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상판(12)과 제2상판(22)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을 근거리에 위치시킨 후에, 연결부(50)의 제1삽입부(53)를 제1장착부(30)에 삽입하고 제2삽입부(56)를 제2장착부(70)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제1삽입부(53)를 제2장착부(70)에 삽입하고 제2삽입부(56)를 제1장착부(30)에 삽입하는 결합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연결부(50)의 동작상태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삽입부(53)를 상기 커버부재(40)에 삽입한 후에, 또는 그 전에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재(62)를 가압하여 고정돌기(64)가 내측공간(52)으로 내려가게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삽입부(53)가 상기 커버부재(40)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상기 조작부재(62)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걸림편(46)에 걸려서 멈춰질 때, 상기 조작부재(62)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고정돌기(64)는 하우징부재(51) 외측으로 이동되어 커버부재(40)의 걸림부(49)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상기 제2장착부(70)와 제2삽입부(56)에서도 동일하게 행하여, 상기 연결부(50)의 양단이 제1장착부(30)와 제2장착부(70)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50)의 가이드돌기(57)가 상기 커버부재(40)의 가이드홀을 따라 삽입됨으로 인해, 연결부(5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책상(10)과 제2책상(20)은 연결부(50)에 의하여 연결됨으로 인해, 상하 단차가 발생됨을 방지하며, 나사를 이용한 체결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책상상판에 손상이 발생됨도 차단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연결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책상상판을 서로 붙여 사용함에 있어서,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게 됨으로 연속적인 작업에 있어서도 책상상판이 파손됨을 방지하게 되며, 작업이 간편하게 됨으로 잔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일측의 책상과 타측의 책상이 연이어 설치되도록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책상 측면에 삽입홀이 구비된 제1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와 대응하도록 타측의 책상 측면에 삽입홀이 구비된 제2장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삽입홀이 내측에 구비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연결공이 구비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에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가 양측에 구비되어서 내측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중앙측에 고정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양측에 연장되어 가압에 의하여 탄성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상하 동작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일단에는 곡선 형상으로 경사면을 구비한 경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연결장치.
KR20070006911U 2007-04-26 2007-04-26 책상용 연결장치 KR200442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911U KR200442849Y1 (ko) 2007-04-26 2007-04-26 책상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911U KR200442849Y1 (ko) 2007-04-26 2007-04-26 책상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37U KR20080005037U (ko) 2008-10-30
KR200442849Y1 true KR200442849Y1 (ko) 2008-12-17

Family

ID=4150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6911U KR200442849Y1 (ko) 2007-04-26 2007-04-26 책상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832B1 (ko) * 2015-07-17 2016-01-15 장근대 책상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37U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8927B (zh) 洗碗机及其内胆与底座的插装结构
CN107374553B (zh) 洗碗机及其内胆与底座的安装结构
CN101223369B (zh) 夹具
KR200442849Y1 (ko) 책상용 연결장치
CN108457054B (zh) 衣物处理装置的箱体组件、固定件和衣物处理装置
CN107124489B (zh) 一种外壳螺钉装配结构及移动通信终端
CN109268361B (zh) 一种连接结构和框架
CN113839254A (zh) 卡件及插座
WO2022194072A1 (zh) 一种衣物处理装置及洗烘一体设备
CN109512153B (zh) 一种可拆卸柜沿
KR0136097Y1 (ko) 세탁기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CN215502870U (zh) 洗碗机的电器盒及其与底座的连接结构
CN211796293U (zh) 洗碗机和洗涤设备
CN217592801U (zh) 洗碗机外壳及洗碗机
CN115110268B (zh) 一种衣物处理装置及洗烘一体设备
TWI828478B (zh) 電子裝置
CN215916451U (zh) 盖板卡接结构及游戏手柄
CN211368902U (zh) 一种水槽连接结构
CN214425765U (zh) 安装结构及镜前灯
JPS6034168Y2 (ja) キヤビネツトの内側板装置
CN215856824U (zh) 一种洗涤剂添加盒限位组件
CN115110273B (zh) 一种衣物处理装置及洗烘一体设备
CN220423812U (zh) 一种淋浴器上置物台面的安装结构
KR102142108B1 (ko)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CN217151071U (zh) 一种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