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29Y1 - 방향 해충퇴치기 - Google Patents

방향 해충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29Y1
KR200442229Y1 KR2020070008606U KR20070008606U KR200442229Y1 KR 200442229 Y1 KR200442229 Y1 KR 200442229Y1 KR 2020070008606 U KR2020070008606 U KR 2020070008606U KR 20070008606 U KR20070008606 U KR 20070008606U KR 200442229 Y1 KR200442229 Y1 KR 200442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al
pad
aroma
ultrasonic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우
Original Assignee
김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우 filed Critical 김석우
Priority to KR2020070008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방향 해충퇴치기는 중앙몸체(30)의 내측에 흡입팬(37)과 초음파스피커(35)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스피커(35)에서 발생된 초음파와 하부몸체(40)의 내측에 설치된 방향패드(45)의 방향성분을 하부몸체(40)의 흡입공(41)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에 실어 복합배출구(31)를 통해 소정거리 이상 방출함으로써, 해충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몸체(4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향패드(45)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아로마오일을 사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입팬(37)을 통해 강제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방향패드(45)의 방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초음파, 방향제, 아로마오일,

Description

방향 해충퇴치기{APPARATUS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WITH AROMA}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향 해충퇴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향 해충퇴치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방향 해충퇴치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도 1의 방향 해충퇴치기에 적용되는 초음파스피커의 구동회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커버
20 : 상부몸체 21 : 스위치
22 : 배터리 수납부 23 : 발광다이오드
30 : 중앙몸체 31 : 복합배출구
32 : 축공 33 : 스피커안착부
34 : 초음파배출구 35 : 초음파스피커
36 : 전원잭안착부 37 : 흡입팬
40 : 하부몸체 41 : 흡입공
42 : 후방고정구 43 : 전방고정구
44 : 패드안착부 45 : 방향패드
46 : 지지판 47 : 배출공
본 고안은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앙몸체의 내측에 흡입팬과 초음파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스피커에서 발생된 초음파와 하부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방향패드의 방향성분을 하부몸체의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에 실어 중앙몸체의 복합배출구를 통해 소정거리 이상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방향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기 등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특정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식 해충퇴치기가 대중화되었으나, 상기 종래의 해충퇴치기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단순한 기능만이 구현되어 있으므로 그 용도가 제한적이었으며, 내장 스피커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그 도달거리가 짧아 일정 이상의 공간에서는 해충퇴치의 효과가 현격하게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몸체의 내측에 흡입팬과 초음파스피커를 구비하고, 초음파스피커에서 발생된 초음파와 하부몸체의 내측에 설치된 방향패드의 방향성분을 하부몸체의 흡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에 실어 중앙몸체의 복합배출구를 통해 소정거리 이상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방향 해충퇴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측에 설치되는 방향패드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아로마오일을 사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 해충퇴치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방향 해충퇴치기는 상부몸체, 중앙몸체, 하부몸체를 착탈결합할 수 있도록 분리구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에서는 전원을 공급, 중앙몸체에서는 초음파를 발생, 하부몸체에는 방향성분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향 해충퇴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향 해충퇴치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향 해충퇴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도 1의 방향 해충퇴치기에 적용되는 초음파스피커의 구동회로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향 해충퇴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터리(도면미표시)가 장착되는 배터리수납부(22)가 커버(10)에 의해 개폐되며, 외측면에 흡입팬(37)을 동작시키는 스위치(2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20)와; 상기 상부몸체(20)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흡입팬(37)을 구동시키는 모터(도면미표시)가 장착되는 축공(32)과 초음파스피커(35)가 장착되는 스피커안착부(33)를 구비하며, 전측에 방향성분이 포함된 공기 또는 초음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복합배출구(31)가 형성된 중앙몸체(30)와; 상기 중앙몸체(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1)와, 흡수된 아로마오일을 소정시간 동안 증발하는 방향패드(45)가 안착되는 안착부(44)와, 상기 방향패드(45)의 상측에 설치되어 방향패드(45)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판(46)를 포함하는 하부몸체(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10)는 상부몸체(2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부몸체(20)의 내측에 삽입되는 배터리(도면미표시)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몸체(20)의 전측에는 중앙몸체(30)의 내측에 설치되는 흡입팬(3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스위치(21)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스위치(2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에 스위치(21)가 온(ON)되면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23)가 내장된다.
상기 중앙몸체(30)는 상부몸체(20)와 나사에 의해 고정결정합되며, 중앙몸 체(3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축공(32)에는 모터가 일체로 포함된 흡입팬(37)이 설치되고, 내부 전측에는 형성된 스피커안착부(33)에는 배터리(도면미표시) 또는 외부전력에 의해 해충이 기피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스피커(35)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스피커안착부(33)는 하부면이 하방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전측이 후측보다 깊게 형성되어, 전측에 형성된 초음파배출구(34)의 방향이 중앙몸체(30)의 복합배출구(31)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몸체(30)의 후측에는 외부의 전력을 전달받는 전원잭(도면미표시)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전원잭안착부(3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원잭은 전압변환기(어뎁터; 도면미표시)에서 정격 전압(예를 들면 5V)으로 변환된 외부의 전원을 본 고안의 모터, 발광다이오드 등에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흡입팬(37)은 하부몸체(40)의 흡입공(4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는 중앙몸체(30)의 전측에 형성된 복합배출구(31)를 통해 방향성분(아로마오일에서 자연증발) 또는 초음파(초음파스피커에서 발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실어 나르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초음파스피커(35)는 해충이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전자부품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1)가 온(ON)되면 발광다이오드(23)가 점등되어 초음파스피커(35)가 작동하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초음파스피커(35)는 특정주파수에 대한 내성을 갖는 해충을 감안하여 내측과 외측에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는 이중발진소자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2가지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이중대역 초음파발생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앙몸체(30)의 하측에는 하부몸체(40)가 후방고정구(42) 및 전방고정구(43)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착탈방식은 고정구(42)(43)의 자체 탄성력(돌출된 플라스틱 성형물이 내외측으로 휘는 성질)에 의해 고정홈(도면미표시)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몸체(40)는 중앙부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원형의 흡입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공(41)의 외주연으로 방향패드(45)가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방향패드(45)는 흡입공(41)을 차단하지 않도록 중앙부에 흡입공(41)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통공(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며, 하부몸체(40)의 안착부(44) 상측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방향패드(45)의 상측에는 흡입팬(37)의 흡입력에 의해 방향패드(45)가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판(46)이 덮혀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판(46)은 복수 의 배출공(47)이 형성되어 방향패드(45)의 방향성분이 원할하게 증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향패드(45)는 방향성분을 포함하는 아로마오일(aroma oil)을 흡수하여 소정 시간동안 자연 증발시킬 수 있도록 부직포, 면섬유지, 펄프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방향패드에는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아로마오일의 자연 증발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주위의 해충을 퇴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로마오일은 환경친화적으로 식물이나 허브를 사용하게 되는데, 허브의 일종인 제라늄 또는 로즈 제라늄(구문초)은 모기가 싫어하는 향을 내어 모기를 퇴치하고, 여름철 집안에 시원한 향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뉴질랜드의 연구진이 발표한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최근호에서는 시트로넬라, 마늘유, 님(neem)나무 추출물, 소나무유, 피레스럼 등이 해충퇴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시트로넬라는 2주 이상 곤충 침입을 가속화하도록 설정한 실험에서 50% 정도의 곤충 저지효과가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중앙몸체(30)와 하부몸체(40)를 분리한 후, 사용목적에 따라 방향패드(45)에 선택적으로 아로마오일 적정량을 흡수시키고, 다시 중앙몸체(30)와 하부몸체(40)를 결합하여 스위치(21)를 동작시켜 흡입팬(37)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에서는 기분을 쾌적하게 하는 일반적인 허브, 민트 등의 아로마오일을 사용하여 방향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해충 기피효과가 있는 제라늄, 로즈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을 사용함으로써 해충 퇴치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향 해충퇴치기는 중앙몸체(30)의 내측에 흡입팬(37)과 초음파스피커(35)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스피커(35)에서 발생된 초음파와 하부몸체(40)의 내측에 설치된 방향패드(45)의 방향성분을 하부몸체(40)의 흡입공(41)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에 실어 중앙몸체(30)의 복합배출구(31)을 통해 소정거리 이상 방출함으로써, 해충을 보다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몸체(4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향패드(45)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아로마오일을 사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입팬(37)을 통해 강제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방향패드(45)의 방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해충퇴치기에 있어서,
    상측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수납부(22)가 커버(10)에 의해 개폐되며, 외측면에 흡입팬(37)을 동작시키는 스위치(2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몸체(20)와;
    상기 상부몸체(20)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측에 흡입팬(37)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장착되는 축공(32)과 초음파스피커(35)가 장착되는 스피커안착부(33)를 구비하며, 전측에 방향성분이 포함된 공기 또는 초음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복합배출구(31)가 형성된 중앙몸체(30)와;
    상기 중앙몸체(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1)와, 흡수된 아로마오일을 소정시간 동안 증발하는 방향패드(45)가 안착되는 안착부(44)와, 상기 방향패드(45)의 상측에 설치되어 방향패드(45)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판(46)를 포함하는 하부몸체(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해충퇴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에 스위치(21)가 온되면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23)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해충퇴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안착부(33)는 하부면이 하방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전측이 후측보다 깊게 형성되어, 전측에 형성된 초음파배출구(34)의 방향이 중앙몸체(30)의 복합배출구(31)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해충퇴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패드(45)는 아로마오일을 흡수할 수 있도록 부직포, 면섬유지, 펄프지,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해충퇴치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패드(45)에는 제라늄, 로즈 제나륨, 시트로넬라, 마늘유, 님(neem)나무 추출물, 소나무유, 피레스럼 중 어느 하나의 아로마오일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해충퇴치기.
KR2020070008606U 2007-05-25 2007-05-25 방향 해충퇴치기 KR200442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06U KR200442229Y1 (ko) 2007-05-25 2007-05-25 방향 해충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06U KR200442229Y1 (ko) 2007-05-25 2007-05-25 방향 해충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229Y1 true KR200442229Y1 (ko) 2008-10-20

Family

ID=4164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606U KR200442229Y1 (ko) 2007-05-25 2007-05-25 방향 해충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2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743B1 (ko) 2010-03-16 2012-08-20 민준기 해충의 유충 및 성충 제거를 위한 초음파발생 및 분무장치
KR20150087520A (ko) * 2014-01-22 2015-07-30 이용우 다기능 모기 퇴치기
CN105900960A (zh) * 2015-02-23 2016-08-31 猫友有限公司 卫生捕虫器
KR101736279B1 (ko) * 2015-08-07 2017-05-16 최승훈 복합 테라피 장치
KR20200091239A (ko) * 2019-01-22 2020-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퇴치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743B1 (ko) 2010-03-16 2012-08-20 민준기 해충의 유충 및 성충 제거를 위한 초음파발생 및 분무장치
KR20150087520A (ko) * 2014-01-22 2015-07-30 이용우 다기능 모기 퇴치기
KR101615801B1 (ko) * 2014-01-22 2016-04-27 이용우 다기능 모기 퇴치기
CN105900960A (zh) * 2015-02-23 2016-08-31 猫友有限公司 卫生捕虫器
WO2016137084A1 (ko) * 2015-02-23 2016-09-01 주식회사 야옹친구 위생 포충기
KR101736279B1 (ko) * 2015-08-07 2017-05-16 최승훈 복합 테라피 장치
KR20200091239A (ko) * 2019-01-22 2020-07-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퇴치기
KR102163387B1 (ko) * 2019-01-22 2020-10-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229Y1 (ko) 방향 해충퇴치기
AU2012249746B8 (en) Centrifugal fan device
US7712249B1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CA2927151C (en) Wearable chemical dispenser
US20170056914A1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with nebulizer and nebulizer assembly
JP7351832B2 (ja) 飛翔害虫の誘引捕獲装置
MX2014015279A (es) Dispositivo de ventilador centrifugo.
EP3632206A1 (en) Mosquito killing illumination device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JP4790310B2 (ja) 揮散性物質放散用容器を用いた揮散性物質の放散方法
KR200421890Y1 (ko) 개선된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1569062B1 (ko) 천연 약초 향 발산기
KR20110000279U (ko) 모기퇴치기능이 부가된 선풍기
KR102210937B1 (ko) 핸디 선풍기 거치대
GB2236467A (en) Portable insect catching device
KR200442260Y1 (ko) 휴대용 벌레 퇴치 장치
JP2003009747A (ja) 送風式薬剤揮散装置
KR200390508Y1 (ko) 향기를 발산하는 선풍기
KR20080009624A (ko) 모기 퇴치기
KR100630814B1 (ko) 천연향기의 분사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4126587B2 (ja) 送風式薬剤放散装置
JP3163004U (ja) 気化成分放散容器
CN201018851Y (zh) 灭蚊机
KR200334557Y1 (ko) 모기 퇴치기
US20040067181A1 (en) Ultrasonic fragrance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