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114Y1 -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114Y1
KR200442114Y1 KR2020070012282U KR20070012282U KR200442114Y1 KR 200442114 Y1 KR200442114 Y1 KR 200442114Y1 KR 2020070012282 U KR2020070012282 U KR 2020070012282U KR 20070012282 U KR20070012282 U KR 20070012282U KR 200442114 Y1 KR200442114 Y1 KR 200442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at
fixing pin
assembly jig
sea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휘
박일도
Original Assignee
엠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2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 시트조립공장에서 조립라인을 따라 시트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시트 조립지그를 여러 차종의 시트에 공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시트 조립지그를 교체하지 않고도 여러 차종의 시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인 조립라인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인바, 시트 트랙(T1,T2)이 안착되며 시트 트랙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멍이나 브라켓에 고정핀(P1~P6)을 일치시키거나 고정 블록(40)으로 위치 세팅을 하고, 각각 공압실린더(Y1~Y4)로 개폐작동되는 클램프(2,3,4,5)로 물어주도록 된 시트 조립지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P2,P3,P4,P5)은 조립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구멍의 위치에 맞게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블록(40)도 조립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2종 이상의 시트 조립에 공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동차, 시트 조립지그, 공용, 차종, 조립라인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A jig for assembling vehicle sea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를 생산하는 시트조립공장의 시트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시트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 시트조립공장에서 조립라인을 따라 시트가 안착되어 이동되는 시트 조립지그를 여러 차종의 시트에 공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조립용 지그를 교체하지 않고도 여러 차종의 시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합리적인 시트 조립라인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 생산공장에서는 시트의 조립제작시 조립라인을 따라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한 시트 조립지그를 이동시키면서 시트를 조립 제작하도록 하게 되는데, 시트 조립지그는 시트 하부의 시트 트랙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되며, 이송중인 조립지그에 고정된 시트 트랙 위의 시트 몸체에 헤드레스트는 물론 시트커버 및 각종 전자장치와 시트조절장치 등을 수작업 또는 자동로봇 등을 사용하여 조립 완성하게 된다.
한편, 동일한 자동차 제조회사에 있어서도 차종에 따라서 자동차 시트는 그 규격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차체에의 부착위치와 부착방식이 약간씩 상이하게 설계 되고 있다.
현재까지 시트 조립지그는 하나의 차종에 맞게 설계되어 사용되었으며, 다른 차종의 시트를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의 시트 조립지그를 사용하지 못하고 다시 새로운 조립지그를 제작하거나 종래 사용하던 조립지그를 고쳐서 사용하여야 했었으므로 비용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라인에서 필요에 따라 다 차종의 시트를 생산하여야 할 경우에는 시트 조립지그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다 차종의 시트를 생산할 경우 공용화가 가능한 시트 조립지그를 제공함으로써 시트 조립라인의 합리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 트랙이 안착되며 시트 트랙 하부의 안착부에 형성된 고정구멍이나 브라켓에 고정핀을 일치시키거나 고정 블록으로 위치 세팅을 하고, 각각 공압실린더로 개폐작동되는 클램프로 물어주도록 된 시트 조립지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조립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구멍의 위치에 맞게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블록도 조립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2종 이상의 시트 조립에 공용할 수 있도록 한 시트 조립지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각기 다른 차종의 시트를 위한 공용 조립지그로서, 시트 트랙의 4지점 중 기준이 되는 지점은 통상 공통의 고정핀으로 고정되며, 제2 내지 제4지점은 고정 구멍이나 고정 브라켓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고정핀은 고정핀 홀더에 고착되어 고정핀 홀더 자체가 위치이동을 하도록 하거나, 고정핀을 고정핀 홀더의 구멍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며, 고정핀 홀더의 위치이동은 슬라이드방식을 사용하고, 고정핀을 고정핀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에서는 고정핀의 일부를 자석으로 제작하여 고정핀 홀더에의 탈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고정핀은 고정핀 홀더의 측부에 별도로 형성한 보관 홈에 끼워넣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블록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시트 조립지그는 차종에 따라 고정핀을 교체하거나 고정블록을 이동시켜 주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지그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크기(규격)과 부착방식이 상이한 여러 종류의 시트를 하나의 시트 조립지그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시트 조립라인의 합리적인 운영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공용 시트 조립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 위의 4지점에 각각 클램프(2,3,4,5)가 설치되고, 이 클램프의 하부에는 도시 안 된 시트 트랙이 안착되는 4개의 안착부(A,B,C,D)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안착부(A,B,C,D)에는 시트 트랙 하부의 4지점에 형성된 고정구멍이나 브라켓에 일치되는 고정핀(P1,P2,P3,P4,P5,P6)과 고정 블록(40)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Y1,Y2,Y3,Y4는 각각의 클램프(2,3,4,5)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이다.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시트 조립지그의 일반적인 구조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자명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조립지그의 안착부를 각각 제1안착부(A), 제2안착부(B), 제3안착부(C), 제4안착부(D)로 명명하며, 이를 각각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안착부(A)는 다종의 시트에 모두 일치되는 지점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하나의 고정핀(P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1안착부(A)는 각기 다른 차종의 시트 트랙에 형성된 고정 구멍에 일치되므로 제1안착부(A)는 위치가 불변이며 기존의 고정핀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제2안착부(B)는 제1안착부(A)와 측방향으로 대응되는 지점으로, 이 제2안착부(B)에는 도 1의 평면도 및 도 2의 측면도와 도 3의 정면도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이 높이와 크기가 다른 2개의 고정핀(P2,P3)이 공통의 고정핀 홀더(10)에 고착되어 고정핀 홀더(10) 자체가 가이드 레일(20) 위에서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각기 다른 차종의 시트 트랙(T1,T2) 하부에 형성된 고정 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시트 트랙(T1)은 고정핀(P2)에 장착되며, 점선으로 도시된 시트 트랙(T2)은 또 다른 고정핀(P3)에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핀(P2,P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 홀더(10)가 좌우로 슬라이드 되는 것에 의해 시트 트랙(T1,T2)의 고정 구멍과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제3안착부(C)는 제2안착부(B)와 마찬가지로 2개의 고정핀(P4,P5)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고정핀(P4,P5)이 끼워진 고정핀 홀더(30)가 제2안착부(B)의 방식에서와 같이 위치이동을 하지 않는 대신 하나의 고정핀(P5)을 고정핀 홀더(3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제3안착부(C)는 도 4의 측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시트 트랙(T1)을 조립할 경우에는 고정핀(P4)을 사용하고, 또 다른 차종의 시트 트랙(T2)을 조립할 경우에는 고정핀(P5)을 고정핀 홀더(30)에 추가로 장착하여 이 고정핀(P5)에 시트 트랙(T2)의 고정 구멍이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3안착부(C)는 시트 트랙(T2)을 조립할 경우에는 고정핀 홀더(30)에 기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P4)이 시트 트랙(T2)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이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또 다른 시트 트랙(T1)을 조립할 경우에는 고정핀(P5)을 분리하여 사용하면 되고, 분리된 고정핀(P5)은 고정핀 홀더(30)의 측면에 형성된 보관 홈(32)에 끼워넣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정핀(P5)은 그 일부를 자석으로 제작하여 고정핀 홀더(30)에의 탈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제3안착부(C)의 클램프(4)는 2개가 한 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트 트랙(T1,T2)에 따라 압박위치가 다르므로 그에 맞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제4안착부(D)는 고정핀(P6)과 고정 블록(4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블록(40) 위에 시트 트랙(T1)의 고정 구멍이 끼워지는 고정핀(P6)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 블록(40)에는 다른 시트 트랙(T2)의 브라켓(R)이 안착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 블록(40)을 좌우로 슬라이드시켜 각각의 시트 트랙(T1,T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시트 트랙(T1)은 고정핀(P6) 위에 일치되어 안착되며, 점선으로 도시된 시트 트랙(T2)은 고정 블록(40)의 안착홈(42)에 안착된다.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에서 상기 조립지그는 차량의 좌측 시트를 조립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우측 시트를 조립하기 위한 지그는 안착부가 좌측용 조립지그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차이점이 있다.
또, 본 고안에서 상기 제2안착부는 2개의 고정핀을 사용하지 않고 제1안착부와 동일한 하나의 고정핀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용 시트 조립지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B부를 도시한 측면도로 2종류의 시트 트랙이 안착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를 도시한 정면도로 고정핀 홀더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C부를 도시한 측면도로 2종류의 시트 트랙이 안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D부를 도시한 정면도로 2종류의 시트 트랙이 안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D부를 도시한 측면도로 2종류의 시트 트랙이 안착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2,3,4,5 : 클램프
6,7,8,9 : 안착부
P1,P2,P3,P4,P5,P6 : 고정핀
10 : 고정핀 홀더
20 : 가이드 레일
30 : 고정핀 홀더
32 : 보관홈
40 : 고정 블록
42 : 안착홈

Claims (3)

  1. 삭제
  2. 시트 트랙이 안착되며 시트 트랙 하부의 4지점에 형성된 고정구멍이나 브라켓에 고정핀을 일치시키거나 고정 블록으로 위치 세팅을 하고, 각각 공압실린더로 개폐작동되는 클램프로 물어주며, 상기 고정핀은 조립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구멍의 위치에 맞게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체 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 블록도 조립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2종 이상의 시트 조립에 공용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조립지그에는 시트 트랙(T1,T2)이 안착되는 4개의 안착부(A,B,C,D)가 형성되고, 각각의 안착부(A,B,C,D)에는 시트 트랙 하부의 4지점에 형성된 고정구멍이나 브라켓에 일치되는 고정핀(P1,P2,P3,P4,P5,P6)과 고정 블록(40)이 설치되는 시트 조립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A)는 위치가 고정된 하나의 고정핀(P1)으로 이루어지고, 제2안착부(B)는 2개의 고정핀(P2,P3)이 공통의 고정핀 홀더(10)에 고착되어 고정핀 홀더(10) 자체가 가이드 레일(20) 위에서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각기 다른 차종의 시트 트랙(T1,T2) 하부에 형성된 고정 구멍에 끼워지며, 제3안착부(C)는 2개의 고정핀(P4,P5)이 고정핀 홀더(30)에 설치되되 하나의 고정핀(P5)이 고정핀 홀더(3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핀 홀더(30)의 측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자석으로 이루어진 고정핀(P5)을 임시보관하는 보관 홈(32)이 형성되고, 제4안착부(D)는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블록(40) 위에 시트 트랙(T1)의 고정 구멍이 끼워지는 고정핀(P6)이 설치되고, 고정 블록(40) 자체에는 다른 시트 트랙(T2)의 브라켓(R)이 안착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 블록(40)을 좌우로 슬라이드시켜 각각의 시트 트랙(T1,T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3. 삭제
KR2020070012282U 2007-07-25 2007-07-25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KR200442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282U KR200442114Y1 (ko) 2007-07-25 2007-07-25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282U KR200442114Y1 (ko) 2007-07-25 2007-07-25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114Y1 true KR200442114Y1 (ko) 2008-10-10

Family

ID=4164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282U KR200442114Y1 (ko) 2007-07-25 2007-07-25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1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4822A (zh) * 2011-12-08 2012-07-11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汽车滑轨安装夹具
KR101451505B1 (ko) * 2013-04-10 2014-10-16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시트트랙 작업용 회전식 지그
CN110588842A (zh) * 2019-10-21 2019-12-20 重庆延锋安道拓锋奥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滑轨装配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4822A (zh) * 2011-12-08 2012-07-11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汽车滑轨安装夹具
KR101451505B1 (ko) * 2013-04-10 2014-10-16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시트트랙 작업용 회전식 지그
CN110588842A (zh) * 2019-10-21 2019-12-20 重庆延锋安道拓锋奥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滑轨装配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723B2 (en) Jig for assembling various types of front end modules to vehicles
KR200442114Y1 (ko) 차량용 시트 조립지그
US9796440B2 (en) Common CRP cart for multi vehicle model
DE102014107148A1 (de) Zweiseitig öffnende Armlehnenanordnung und damit ausgestattetes Fahrzeug
KR20070066845A (ko) 도어 모듈 위치 결정 시스템
US8172210B2 (en) Holding unit for panel transmitting device
KR20090060575A (ko) 마운팅 클립 어셈블리
CN101573259A (zh) 肩部调节器装置
JP2013240922A (ja) クリップ取付座の成形方法
US8840182B2 (en) Seat structure
CN111787824A (zh) 拉链单元、移动引导装置及移动引导装置的制造方法
CN112296897A (zh) 用于定位汽车部件的定位装置
JP2006160178A (ja) 車両シートの取付構造
CN202461872U (zh) 一种汽车滑移门导轨螺柱焊接工装
CN210388917U (zh) 车门定位工装治具
KR100820562B1 (ko) 와이어 고정 지그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와이어 고정 용접시스템
KR101995473B1 (ko) 차량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JP200904034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取付治具及びドアヒンジ取付方法
KR20090050706A (ko) 차량의 후방 검사장치
KR100513577B1 (ko)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CN101173574B (zh) 配件
CN211950033U (zh) 一种新型尾门限位块结构
CN204452006U (zh) 一种前保险杠进气格栅y向定位调节机构
CN111509517B (zh) 翻转插排线治具
KR20110097127A (ko)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