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904Y1 - 아이젠 - Google Patents

아이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04Y1
KR200441904Y1 KR2020070009246U KR20070009246U KR200441904Y1 KR 200441904 Y1 KR200441904 Y1 KR 200441904Y1 KR 2020070009246 U KR2020070009246 U KR 2020070009246U KR 20070009246 U KR20070009246 U KR 20070009246U KR 200441904 Y1 KR200441904 Y1 KR 200441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nd
eisen
main body
shoe
sp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석
Original Assignee
황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석 filed Critical 황광석
Priority to KR2020070009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8Reversible ice-spik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행하는 장소의 상태에 따라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 편리한 아이젠이 개시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아이젠(200)은 저면에 미끄럼 방지용 스파이크 날(204)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202); 등산화(300)에 본체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 밴드(210); 및 본체(202)의 양단과 결속 밴드(210)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등산화(300)에 착용된 상태에서 스파이크 날(204)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빙상과 같이 결빙이 심한 지역에서는 아이젠(200)의 본체(202)를 등산화(300)의 바닥에 위치시켜 스파이크 날(204)이 지(地)를 향하도록 하고 결빙의 정도가 덜한 지역이나 일반 지역에서는 등산화(300)의 상부에 위치시켜 스파이크 날(204)이 공(空)을 향하도록 하여, 장소에 따라 아이젠을 탈착하는 번거로움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 없이 보행 가능하게 된다.
아이젠, 스파이크 날, 밴드, 탈착

Description

아이젠{Eise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아이젠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아이젠 202: 본체
204: 스파이크 날 206: 연결대
208a, 208b: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
210: 결속 밴드
212: 제1 결속 밴드 214: 제2 결속 밴드
216: 체결 후크 218: 제3 결속 밴드
220: 고정축 222: 체결링
224: 고정 고리 226: 본체 회전축
228: 결착 부재 300: 등산화
본 고안은 장소에 따라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아이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젠을 등산화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파이크 날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장소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착용 가능하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 없이 보행이 가능한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이크 날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신발의 바닥에 부착 시킬 수 있는 결속 밴드로 구성되어 겨울철 눈길 또는 빙판지역과 같은 빙상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등산 용구를 아이젠(eisen) 또는 크램펀(crampon)이라고도 한다.
보통 아이젠은 통상 휴대하고 다니다가 눈길이나 빙판길이 발생한 지역에서 안전한 보행을 위하여 신발에 착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아이젠을 신발에 착용하면 결빙 지역을 보행할 때 스파이크 날이 얼음이나 눈에 박히게 됨으로써 미끄러지지 않고 보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눈과 얼음이 많이 쌓이게 되는 동계 산악지역의 등반에 있어서 필수적인 장비가 아닐 수 없다.
종래에는 아이젠을 신발에 착용하기 위하여 스파이크가 형성된 금속판의 양단에 고리를 형성한 후 별도의 끈을 고리에 걸어 발등 위를 여러 겹으로 감아 부착 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아이젠의 착용 및 분리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끈이나 밴드에 연결고리 및 버클 등의 부품과 함께 스키 바인딩식 체결 부재를 사용한 방법으로 착용의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아이젠(10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스키 바인딩식 체결 구조를 사용하는 아이젠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이젠(100)은 기본적으로 본체(102)와 결속 밴드(11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체(102)의 하방으로는 미끄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파이크 날(104)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02)의 양단에는 연결고리에 의하여 결속 밴드(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06)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102)는 연결부(106)에 의하여 밴드(110)와 연결되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결속 밴드(110)는 본체(102)와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바인딩식 체결 방법을 사용하는 아이젠(100)의 결속 밴드(110)는 일반적으로 뒤꿈치 부분을 감싸는 제1 결속 밴드(112)와 발목 앞부분에서 감싸는 제2 결속 밴드(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결속 밴드(114)는 우측단(114a)과 좌측단(114b)로 양분되어 구성되어, 아이젠(100)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우측단(114a)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톱니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단(114b)에는 우측단(114a)에 형성된 톱니가 맞물리는 체결 후크(116)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사이즈에 따라 우측단(114a)의 톱니와 좌측단(114b)의 체결 후크(116)의 결합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2 결속 밴드(114)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아이젠을 자유롭고 쉽게 착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바인딩식 착용방법의 도입으로 아이젠의 착용과 분리가 수월해 지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아이젠 착용 방법 즉, 제2 결속 밴드(114)의 우측단(114a)과 좌측단(114b)을 신발 상부 면에서 상호 결속시키면서 스파이크 날(104)이 형성된 본체(102)를 신발 저면에 위치하도록 착용하는 방식은, 아이젠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아이젠을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젠은 결빙이 심한 지역에서의 보행에는 도움이 되긴 하나, 스파이크 날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결빙이 심한 지역을 통과한 후 결빙 정도가 미미하거나 일반 지역을 보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파이크 날이 땅에 박히게 됨으로써 보행에 지장을 주었다.
그리고, 자갈이나 큰 돌이 많은 지역을 보행하게 될 경우 스파이크 날에 의해 걸려 넘어지는 일도 발생할 수 있어 부상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에 충격이 가해져 피곤함은 물론 불쾌감을 주었다.
따라서, 아이젠이 필요하지 않은 지역을 통과할 때에는 등산화에서 아이젠을 분리시키고, 아이젠이 필요한 결빙 지역을 만나면 다시 등산화에 아이젠을 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때, 지역의 상태에 관계없이 아이젠을 계속 등산화에 채운 상태에서 보행을 하는 경우 스파이크 날이 마모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아이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행 중에 아이젠을 탈착해야 하는 과정이 계속 반복 될 수 있으며, 반복 횟수가 늘어날수록 시간의 지체는 물론 번거로움이 가중되고, 등산화에서 분 리된 아이젠은 배낭에 담거나 사용자가 들고 다녀야 하는 등의 방법으로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 또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이젠을 사용하는 장소의 노면 상태에 따라 스파이크 날의 위치를 변경시켜 아이젠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 없이 보행할 수 있는 아이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이젠을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아이젠에 부착된 스파이크 날의 위치를 변경할 때 시간과 수고가 절감되도록 하는 아이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아이젠은 저면에 미끄럼 방지용 스파이크 날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신발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 밴드; 및 상기 본체와 결속 밴드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신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좌측 등산화에 착용되는 아이젠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우측 등산화에 착용되는 아이젠은 도 2a와 대칭되는 구성을 갖게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젠(200)은 기본적으로 본체(202)와 결속 밴드(210)로 구성된다.
본체(202)의 하부로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파이크 날(20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의하면 스파이크 날(204)의 개수는 본체(202)의 하부 양측에 각각 2개가 형성되어 전체로는 4개가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체(202)의 양단에는 링 형태의 연결대(2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는 연결대(206)에 의해 본체(20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결속 밴드(210)는 제1, 제2 및 제3 결속 밴드(212, 214, 2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신발(300)의 후방 즉, 신발의 뒤꿈치 부위를 감싸는 제1 결속 밴드(212)와 체결 후크(216)가 장착되어 있고 신발(300)의 상부 즉, 신발의 발목 앞부분을 감싸는 제2 결속 밴드(21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경우, 신발(300)의 저면을 감싸는 제3 결속 밴드(218)가 더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체(202)는 제1, 제2 및 제3 결속 밴드(212, 214, 218)로 구성되는 결속 밴드(210)는 연결 수단(230)에 의하여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수단(230)은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 체결링(222), 고정 고 리(224) 및 본체 회전축(226)을 포함한다.
연결 수단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202)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대(206)에는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연결대(206)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는 연결대(206)의 내측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206)에 각각 연결되는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 중, 신발 내측 연결 밴드(208a)의 타단 바깥 측에는 고정축(220)이 형성되어, 클립과 같은 형태의 타원형으로 형성된 체결링(222)의 일단이 연결되고, 체결링(222)의 타단은 제2 결속 밴드(214)에 형성된 고정 고리(224)에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신발 외측 연결 밴드(208b)는 본체회전축(226)에 의해 제1 결속 밴드(212)에 연결된다.
여기서, 본체 회전축(226)은 제1 결속 밴드(212)와 제3 결속 밴드(218)를 연결하는 축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링(222)은 좌(우)측 등산화에서는 우(좌)측에 위치하며, 본체회전축(226)은 좌(우)측 등산화에서는 좌(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체결링(222)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정 고리(224)는 좌(우)측 등산화(300)의 경우 제2 결속 밴드(214)의 우(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체결링(222)이 고정축(220)에 연결된 후, 아이젠의 사용 도중 체결링(222)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축(220)의 단부에는 걸림단과 같은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링(222)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축(22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202)가 등산화(300) 저면에 위치하게 될 경우 본체(20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체결 부재(228)을 사용할 수 있다. 체결 부재(228)는,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트 단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제1 체결 부재(228a)와 제2 체결 부재(228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 부재(228a)는 바깥측에 고정축(220)및 체결링(222)이 형성된 신발 내측 연결 밴드(208a)의 타단 안측에 형성되며, 제2 체결 부재(228b)는 제1 체결 부재(228a)와 맞닿아 지는 제1 결속 밴드(2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 부재(228)로는 아이젠(200)의 사용 도중 본체(222)가 임의로 결속 밴드(2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자석 또는 도트 단추(똑딱이 단추)의 원리를 이용하는 부재들이 사용될 수다. 도트 단추나 자석을 이용한 체결 부재(228)는 이미 공지의 고안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 또는 도트 단추의 원리를 이용하는 부재들 외에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다면 그 밖의 다양한 공지의 부재들을 사용한 체결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체결링(222)와 고정 고리(224)는 도 2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202)가 등산화(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경우 본체(20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며 물론 이 또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체결링(222) 와 고정 고리(224)를 사용하는 대신 탈부착이 용이한 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연결대(206)를 포함하는 본체(202)와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의 연결 형태는,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와 본체(202)의 연결대(206) 사이를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등산화에 체결된 후 사용자에게 편의를 주기 위해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와 제3 결속 밴드(218)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젠의 실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등산화(300)에 아이젠이 착용된 상태에서 스파이크 날(204)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먼저, 도 3a는 결빙 지역을 보행하는 경우 아이젠(200)을 등산화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등산화(300)는 좌측 등산화를 나타내고 있다. 우측 등산화의 경우에는 도 3a와 대칭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젠(200)은 스파이크 날(204)을 사용하는 상태(결빙 지역 보행시)에서는 스파이크 날(204)은 지(地)를 향하게 된다.
즉, 본체(202)를 등산화(300)의 저면에 위치를 고정시키고 본체(202)와 결속 밴드(210)를 구성하는 제1 결속 밴드(212)와 연결 시키기 위하여 제1 체결 부재(228a)와 제2 체결 부재(228b)를 체결하여 본체(202)의 위치를 결정한 후, 체결 링(222)의 양단을 고정축(220)과 제2 결속 밴드(214)에 형성된 고정 고리(224)에 걸어, 본체(202)를 등산화(300)의 저면에 위치한 상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도 3b와 도 3c는 결빙 지역을 벗어나 일반 지역을 보행하는 경우 아이젠(200)이 등산화(300)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파이크 날(202)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아이젠을 착용한 좌측 등산화의 안쪽 측면을 보여주고, 도 3c는 그 반대 측면 상태를 보여준다.
스파이크 날(204)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일반 지역 보행시)에서는 도 3b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 날(204)이 등산화(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스파이크 날(204)은 공(空)을 향하게 함으로서, 스파이크 날(204)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여, 본 고안에서 아이젠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202)를 등산화(300)의 상부, 즉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파이크 날(204)의 위치 변경을 위해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아이젠(200)을 등산화(300)에 착용한 상태에서, 체결링(222)을 제1 결속 밴드(212)의 맞닿아 있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축(220)에서 분리시키고, 제1 체결 부재(228a)와 제2 체결 부재(228b)의 체결을 해제한다.
이어서, 신발 외측 연결 밴드(208b)의 단부와 제1 결속 밴드(212)의 맞닿아 있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회전축(226)을 기준으로 본체(202)를 회전시키면, 본체(202)를 등산화(30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202)의 면이 등산화(300)의 상부와 맞닿게 되고 본체(202)의 상 부에 형성된 스파이크 날(204)은 공(空)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착용상태에서의 본체(202)의 회전 동작은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208a, 208b)가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202)를 등산화(300) 상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본체의 일측은 본체 회전축(226)에 의하여 제1 결속 밴드(212)와 연결이 되어 있지만 다른 일측은 제1 체결 부재(228a)와 제2 체결 부재(228b)의 체결 해제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등산화(300)의 상부에 본체(202)를 위치시키고, 체결링(222)의 양단을 고정축(220)과 제1 결속 밴드(2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고리(224)에 걸어 본체(202)가 등산화(300)의 상부에서 계속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결속 밴드(212)와 제2 결속 밴드(214) 및 제3 결속 밴드(218)에 의하여 등산화(300)에 아이젠(200)이 결속되므로, 본체(202)를 등산화(300)의 상부로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제3 결속 밴드(218)에 의하여 아이젠이 등산화(300)에 계속 결속 가능하며 벗겨지지 않으며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아이젠은 본체의 위치 및 스파이크 날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보행 지역의 상태와 관계없이 아이젠을 등산화에 항상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할 수 있어서 보행 지역에 따라 아이젠을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 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고안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결빙이 지역에서는 아이젠의 본체를 등산화의 저면에 위치시켜 스파이크 날이 지(地)를 향하게 하고, 결빙의 정도가 덜한 지역이나 일반지역에서는 아이젠의 본체를 등산화의 상부에 위치시켜 스파이크 날이 공(空)을 향하게 함으로써, 장소에 따라 아이젠을 탈착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아이젠을 등산화로부터 분리하여 들고 다니거나 따로 보관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본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여성, 어린이 및 노약자도 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소에 따라 스파이크 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스파이크 날의 마모 등에 따른 아이젠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도 불편 없이 보행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삭제
  2. 저면에 미끄럼 방지용 스파이크 날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를 신발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 밴드; 및
    상기 본체와 결속 밴드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밴드는,
    신발의 후방을 감싸는 제1 결속 밴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 후크가 장착되어 있고 신발의 상부를 감싸는 제2 결속 밴드; 및
    신발의 저면부를 감싸는 제3 결속 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 밴드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 결속 밴드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3 결속 밴드의 양단부는 상기 제1 결속 밴드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신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속 밴드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단을 상기 제1 결속 밴드의 양단에 각각 연결하는 신발 내측 및 외측 연결 밴드,
    상기 제2 결속 밴드 상에 형성되는 고정 고리,
    상기 고정 고리와 상기 신발 내측 연결 밴드를 연결하는 체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신발 외측 연결 밴드는 상기 제1 결속 밴드와 본체 회전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발 내측 연결 밴드는 상기 제1 결속 밴드와 고정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날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파이크 날이 신발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파이크 날은 지(地)를 항하며,
    상기 스파이크 날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파이크 날이 신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파이크 날은 공(空)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날은 공(空)을 향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결속 밴드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밴드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KR2020070009246U 2007-06-05 2007-06-05 아이젠 KR200441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246U KR200441904Y1 (ko) 2007-06-05 2007-06-05 아이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246U KR200441904Y1 (ko) 2007-06-05 2007-06-05 아이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04Y1 true KR200441904Y1 (ko) 2008-09-17

Family

ID=4162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246U KR200441904Y1 (ko) 2007-06-05 2007-06-05 아이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24U (ko) * 2015-08-25 2017-03-07 이정구 아이젠 어셈블리
US11950660B2 (en) 2021-09-21 2024-04-09 Rebekah Bevin Footwear cleats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24U (ko) * 2015-08-25 2017-03-07 이정구 아이젠 어셈블리
KR200486348Y1 (ko) * 2015-08-25 2018-05-04 이정구 아이젠 어셈블리
US11950660B2 (en) 2021-09-21 2024-04-09 Rebekah Bevin Footwear cleats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5939A (en) Boot safety attachment
US10750827B2 (en) Crampons provided with spikes
US7152344B2 (en) Anti-skid boot having crampon
KR200441904Y1 (ko) 아이젠
KR100696245B1 (ko) 착용 범용성을 갖는 안전 아이젠
KR200441280Y1 (ko) 보조판이 구비된 아이젠
KR100917104B1 (ko) 아이젠
KR200238313Y1 (ko) 아이젠
KR101339863B1 (ko) 아이젠
KR102048868B1 (ko) 아이젠
KR101056729B1 (ko) 체인형 아이젠용 눈차단판
KR100432591B1 (ko) 등산용 아이젠
KR200476314Y1 (ko) 아이젠이 부착된 신발
KR200333252Y1 (ko) 등산용 아이젠
KR200277134Y1 (ko) 아이젠
KR200229779Y1 (ko) 신발용 빙판길 미끄럼방지밴드
KR200323557Y1 (ko) 미끄럼 방지용 덧창
KR200267906Y1 (ko) 신발용 착탈식 미끄럼 방지구
KR200484423Y1 (ko) 도시형 아이젠
KR0124247Y1 (ko) 스펫치가 내장된 덧버선형 아이젠
KR200346323Y1 (ko) 동계 산악 등반용 아이젠
KR200375317Y1 (ko) 아이젠 부착형 신발덧신
JP2004121370A (ja) 簡易アイゼン
KR200309839Y1 (ko) 등산용 보조장구
KR200262494Y1 (ko) 아이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