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508Y1 - 세정대 - Google Patents

세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508Y1
KR200441508Y1 KR2020070006064U KR20070006064U KR200441508Y1 KR 200441508 Y1 KR200441508 Y1 KR 200441508Y1 KR 2020070006064 U KR2020070006064 U KR 2020070006064U KR 20070006064 U KR20070006064 U KR 20070006064U KR 200441508 Y1 KR200441508 Y1 KR 200441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
opening
drain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2020070006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정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세정대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이본체;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물의 배수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이본체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오물이 유입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는 걸름망; 상기 배수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이본체, 배수관, 걸름망, 개폐밸브, 작동수단

Description

세정대{Apparatus for cleaning a articl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이본체 10:수용공간
12:배수구 2:배수관
3:걸름망 4:개폐밸브
5:개폐레버 7:걸름망용 뚜껑
70:관통공
본 고안은 세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등을 세정하는 세정작업시에 식기에서 탈리된 오물이 작업자의 손을 통해 다시 식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세정대에 관한 것이다.
세정대는 식기 등을 세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정대는 세정을 위한 물이 수용되고 배수구를 가지는 다이본체와 상기 물의 배수경로 를 제공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정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식기에서 탈리된 오물은 물과 함께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오물을 포함한 물(이하 '오염수'라 한다)은, 상기 개폐뚜껑이 개폐됨으로써 배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식기를 세정하는 도중에 상기 오염수를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손이나 그 손에 착용한 고무장갑으로 상기 개폐뚜껑을 조작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손이나 고무장갑으로 상기 개폐뚜껑을 파지하게 되면, 상기 개폐뚜껑에 잔류되어 있는 오물이 상기 손이나 고무장갑을 통해 다시 식기에 묻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세정대에는 세정대상인 식기를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폐뚜껑은 오물이 잘 들러붙게 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러한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
또한, 상기 오염수의 배수를 위해 상기 개폐뚜껑을 상기 다이본체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그 개폐뚜껑의 분실이 잦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정대상인 식기 등을 더욱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세정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이본체; 상기 배수구로 유입된 물의 배수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이본체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오물이 유입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는 걸름망; 상기 배수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다이본체 앞에서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와 상기 개폐밸브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개폐레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름망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걸름망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본체의 수용공간과 배수구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걸름망용 뚜껑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세정대는 식기 등을 세정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로, 다이본체(1)와 배수관(2)과 걸름망(3)과 개폐밸브(4)와 그 개폐밸브(4)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본체(1)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0)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1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2)를 가진다.
상기 배수관(2)은, 상기 배수구(12)로 유입된 물의 배수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이본체(1)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수관(2)을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다이본체(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통해 하수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걸름망(3)은, 상기 배수관(2)에 오물이 유입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된다. 이러한 걸름망(3)은, 상기 식기에서 탈리된 오물이 들러붙게 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4)는 상기 배수관(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수관(2)을 닫으면 상기 다이본체(1)에 수용된 물이 배수되지 않고, 상기 배수관(2)을 열면 상기 다이본체(1)에 수용된 물이 배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의 개폐동작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수용 뚜껑이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다이본체(1) 앞에서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와 상기 개폐밸브(4)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개폐레버(5)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레버(5)는 상기 배수관(2)에서 상기 작업자 측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작업자가 배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세정대에는 상기 걸름망(3)에 결합되는 걸름망용 뚜껑(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름망용 뚜껑(7)에는 상기 수용공간(10) 과 배수구(12)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공(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70)은, 상기 걸름망(3) 뚜껑이 상기 걸름망(3)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수용공간(10)에 수용된 물의 배수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름망용 뚜껑(7)은, 상기 걸름망(3)에 의해 걸러진 오물이 다시 상기 수용공간(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세정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다이본체(1)의 수용공간(10)에 물을 담아 놓고, 그 물로 식기 등을 세척하게 된다. 작업자는 많은 수의 식기를 한꺼번에 세정하기 때문에, 최초에 상기 수용공간(10)에 담긴 물이 상기 식기에서 탈리된 오물로 인해 오염되면, 그 오염된 오염수를 배수하고 상기 세정공간에 깨끗한 물을 채워 세정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오염수를 배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가, 상기 다이본체(1)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는 개폐레버(5)를 회전시키면, 개폐밸브(4)가 상기 개폐레버(5)와 함께 회전되어 배수관(2)을 개방시킨다. 상기 배수관(2)이 개방되면, 상기 오염수가 걸름망용 뚜껑(7)의 관통공(70)과 상기 다이본체(1)의 배수구(12)를 순차로 경유하여 하수구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오염수나 종래의 배수용 뚜껑에 손이나 고무장갑을 접촉하지 않고도 그 오염수를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염수의 배수 후에 남아 있는 식기를 세정하는 경우에 그 식기를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배수용 뚜껑이 마련된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상기 배수용 뚜껑을 다이본체(1)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배수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수용 뚜껑의 분실에 대한 염려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는 종래의 배수용 뚜껑이 아닌 걸름망용 뚜껑(7)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걸름망용 뚜껑(7)에는 관통공(70)이 형성되어 있어, 그 뚜껑(7)을 상기 다이본체(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오염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상기 걸름망용 뚜껑(7)이 마련됨으로써, 걸름망(3)에 들러붙어 있는 오물이 상기 수용공간(1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름망(3)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서, 식기에서 탈리된 오물이 그 걸름망(3)에 들러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기를 더욱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는 개폐밸브를 개폐레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밸브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 을 위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는, 배수작업성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작업자가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세정대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식기 등의 세정 후에 다이본체에 잔류되어 있는 오염수를 개폐밸브의 동작에 의해 배수되게 함으로써, 식기 등을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으며 배수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걸름망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의하면, 그 걸름망에 오물이 들러붙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식기 등을 더욱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0)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1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는 다이본체(1);
    상기 배수구(12)로 유입된 물의 배수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이본체(1)에 결합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수관(2);
    상기 배수관(2)에 오물이 유입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배수구(12)에 결합되고,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걸름망(3);
    상기 배수관(2)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4);
    상기 개폐밸브(4)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이본체(1) 앞에서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와 상기 개폐밸브(4)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개폐레버(5); 및
    상기 걸름망(3)에 결합되고, 상기 다이본체(1)의 수용공간(10)과 배수구(12)를 서로 통하게 하는 관통공(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걸름망용 뚜껑(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06064U 2007-04-12 2007-04-12 세정대 KR200441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64U KR200441508Y1 (ko) 2007-04-12 2007-04-12 세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64U KR200441508Y1 (ko) 2007-04-12 2007-04-12 세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508Y1 true KR200441508Y1 (ko) 2008-08-21

Family

ID=4164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64U KR200441508Y1 (ko) 2007-04-12 2007-04-12 세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86B1 (ko) * 2009-07-31 2013-06-26 안귀인 싱크대용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86B1 (ko) * 2009-07-31 2013-06-26 안귀인 싱크대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60423U (zh) 一种自清洁下水器和具有其的清洗机
JP2004324108A (ja) シンクの排水部の洗浄装置
KR200441508Y1 (ko) 세정대
JP2008259576A (ja) 食器洗浄用シンク及び食器洗浄方法
KR100763588B1 (ko) 분리형 여과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JP3988558B2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KR960006886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JP2004147699A (ja) 超音波洗浄シンク
KR100747703B1 (ko) 초음파살균세척기
KR100968598B1 (ko)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KR200416666Y1 (ko) 구근 탈피기
KR20080016983A (ko) 싱크대 걸름 장치
JP3098339U (ja) 手振り洗浄容器
KR200306333Y1 (ko) 초음파 세척장치를 갖는 씽크
JPS6216735A (ja) 食器洗い機
JP3225734U (ja) 水切りネット付き排水口蓋
KR200400063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JP2019015158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汚れ防止洗浄装置
KR100957449B1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배수장치
CN209269624U (zh) 洗碗机的排渣机构及其洗碗机
CN2811423Y (zh) 坐便器
JP4081301B2 (ja) 浴室の排水装置
KR200399407Y1 (ko) 폐음식물 처리기능을 겸한 식기세척기
KR950002705A (ko) 식기세척기의 급배수장치
KR200222074Y1 (ko) 싱크대 배수구 악취 차단 및 음식물 찌꺼기 처리 개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