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66Y1 - 구근 탈피기 - Google Patents

구근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66Y1
KR200416666Y1 KR2020060005740U KR20060005740U KR200416666Y1 KR 200416666 Y1 KR200416666 Y1 KR 200416666Y1 KR 2020060005740 U KR2020060005740 U KR 2020060005740U KR 20060005740 U KR20060005740 U KR 20060005740U KR 200416666 Y1 KR200416666 Y1 KR 200416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main body
coupled
discharg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선 한
Original Assignee
동 선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선 한 filed Critical 동 선 한
Priority to KR2020060005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p or lik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자, 당근, 고구마 및 무 등과 같은 구근의 껍질을 자동으로 탈피하기 위한 구근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전체를 에워싸고 있는 케이스와, 구근을 투입하기 위해서 최상부에 구비된 구근 투입구와, 탈피된 구근을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구근 배출부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부에 구비된 물 공급부와, 물과 껍질의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소정의 부위에 구비된 배출구와,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부에 미끄럼 방지 디스크가 부착된 다수 개의 다리와,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둥글게 홈이 파인 걸림턱과,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결합부와, 전선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 투입구와, 탈피 공간 내벽에 부착된 마찰 탈피 부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구근 투입구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고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가스켓과, 일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설치된 홈을 통해서 체결되는 잠금 고리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소정의 부위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 커버;
일 단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에 결합된 둥근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잡은 후 밀고 당길 때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개폐부재;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부에 체결봉이 설치된 회동축과, 피니언, 감속기어 및 스퍼(spur)의 기어부로 이루어진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축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에 결합되고, 상면이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두 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본체에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인접되는 상부에 수직 기립된 상태로 설치 고정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본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서 나오는 배출물을 저장하고, 상부 소정의 부위에는 상기 배출구와 결합된 거름망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주입구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만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구비된 씽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근, 탈피기, 컨트롤박스, 회전판, 마찰 탈피부재

Description

구근 탈피기{BULB FEEL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0: 케이스 11: 구근 유투구
12: 구근 배출부 12-1: 보호 덮개
13: 물 공급부 14: 배출구
15: 다리 15a: 미끄럼 방지 디스크
16: 걸림턱 16-1: 홈
17: 결합부 18: 전선 투입구
18-1: 전선 19: 마찰 탈피부재
20: 커버 22: 커버 가스켓
24: 잠금 고리 26: 마이크로 스위치
30: 개폐부재 32: 지지대
34: 손잡이 36: 도어
38: 도어 가스켓 39: 곡부
40: 회동부재 42: 모터
44: 회동축 46: 기어부
46a: 피니언 46b: 감속 기어
46c: 스퍼 48: 체결봉
50: 회전판 52: 돌출부
60: 컨트롤 박스
70: 씽크 72: 배수구
74: 주입구 76: 거름망
본 고안은 감자, 당근, 고구마 및 무 등과 같은 구근의 겉껍질을 자동으로 탈피하기 위한 구근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근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기의 배수구가 위치한 일 측에 거름망을 일체로 형성하고, 구근 배출구가 형성된 타 측에는 껍질이 탈피되어 배출되는 구근을 수거하여 세정을 취한 후 이송을 이룰 수 있는 이송 세정대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탈피 과정 중 상술한 구근에서 벗겨진 껍질과 함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수를 껍질을 거른 후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탈피가 완료된 구근을 신속 용이하게 수거하여 세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세정된 구근을 다음 작업대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어 탈피 과정 중 발생되는 배출수에 의해 하수구가 막히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과 위생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구근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구근 탈피기는 모터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전판 상에 감자, 당근, 고구마 및 무 등과 같은 구근 및 물을 투입하여 상기 회전판 상부면과 탈피 공간 내벽에 설치된 마찰 탈피부재를 통해 껍질이 탈피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탈피된 껍질이 포함된 배출수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며, 이렇게 탈피 과정이 완료된 구근을 일 측면에 형성된 구근 배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근 탈피기는 실제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탈피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출수 처리를 편리하게 취할 수 있는 별 다른 편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비위생적인 작업 환경을 연출함과 더불어 작업에 있어서 여러 가지 불편과 지연을 초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탈피 과정에서 발생되어 배수구 측으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양동이 형태의 수거통을 통해 수거하였기 때문에 수거통으로 전달되는 배출수가 작업장 주변으로 튀는 현상과 관리 소홀로 인해 배출수가 수거통 위로 넘치는 현상이 자주 초래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주변에 항시 상주하여 작업을 관찰 및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만 했기 때문이다.
둘째, 탈피가 완료된 구근을 수거하는데 있어서도 구근 수거를 편리하게 취할 수 있는 별다른 편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비위생적인 현상을 초래함과 더불어 작업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불편과 지연을 초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 역시 탈피 후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구근을 양동이 형태의 수거통을 통해 수거하였기 때문에 구근이 수거통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다량 떨어지는 현상이 자주 초래되었고, 이로 인해 떨어진 구근을 수거하여 이용하여야함에 따른 비위생적인 문제가 초래되었기 때문이며, 또한, 작업자가 항시 상주하여 수거 작업을 관찰 및 제어하고, 수거된 구근을 다음 작업을 진행할 세정작업대로 이동해 주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셋째, 일반인은 사실상 경제적이고도 효과적인 탈피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탈피기는 구근 탈피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모터의 회동을 작업자의 수동 제어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탈피기를 오래 다루어본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라면 적정 시간 동안 회전판의 회동을 취하여 전력 손실과 구근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탈피를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근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기의 배수구가 위치한 일 측에 거름망을 형성하고, 구근 배출구가 형성된 타 측에는 껍질이 탈피되어 배출되는 구근을 수거하여 세정을 취한 후 이송을 이룰 수 있는 이송 세정대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어, 탈피 과정 중 상술한 구근에서 벗겨진 껍질과 함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껍질을 거른 후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탈피가 완료된 구근을 신속 용이하게 수거하여 세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세정된 구근을 다음 작업대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어 탈피 과정 중 발생되는 배출수에 의해 하수구가 막히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과 위생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구근 탈피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를 에워싸고 있는 케이스와, 구근을 투입하기 위해서 최상부에 구비된 구근 투입구와, 탈피된 구근을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구근 배출부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부에 구비된 물 공급부와, 물과 껍질의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소정의 부위에 구비된 배출구와,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부에 미끄럼 방지 디스크가 부착된 다수 개의 다리와,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둥글게 홈이 파인 걸림턱과,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결합부와, 전선(18-1)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 투입구와, 탈피 공간 내벽에 부착된 마찰 탈피 부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구근 투입구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고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가스켓과, 일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턱 의 단부에 설치된 홈을 통해서 체결되는 잠금 고리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소정의 부위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 커버;
일 단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에 결합된 둥근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잡고 밀고 당길 때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개폐부재;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부에 체결봉이 설치된 회동축과, 피니언, 감속기어 및 스퍼(spur)의 기어부로 이루어진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축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에 결합되고, 상면이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두 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본체에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인접되는 상부에 수직 기립된 상태로 설치 고정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본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서 나오는 배출물을 저장하고, 상부 소정의 부위에는 상기 배출구와 결합된 거름망이 내부로 삽입된 주입구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만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구비된 씽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탈피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의 도어 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그는 본체(1), 커버(20), 개폐부재(30), 회동부재(40), 회전판(50), 컨트롤 박스(60) 및 씽크(7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는, 구근 탈피기 전체를 에워싸고 있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와, 탈피될 구근을 투입하기 위해 최상부에 구비된 구근 투입구(11)와, 탈피된 구근을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부위에 구비된 구근 배출부(12)와, 탈피 공간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그의 상부에 구비된 물 공급부(13)와, 물과 탈피된 껍질의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소정의 부위에 구비된 배출구(14)와, 하부에 설치되고 그의 바닥부에는 미끄럼 방지 디스크(15a)가 부착된 다수 개의 다리(15)와, 커버(20)가 단단히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의 소정 부위에 옆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20)의 잠금 고리(24)가 걸려서 잠길 수 있도록 그의 단부에 는 둥글게 홈이 파여 있는 걸림턱(16)과, 상기 커버(20)가 힌지 결합되도록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자석(25-1)으로 이루어진 자동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결합부(17)와, 컨트롤박스(60)와 연결된 전선(18-1)이 본체(1)의 내부로 투입되어 모터(42)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 투입부(18)와, 상기 모터(42)에 의해 회전판(50)이 회전할 때 구근이 부딪히면서 껍질이 탈피되도록 하기 위해 탈피 공간 내벽에 부착된 금강사로 이루어진 마찰 탈피 부재(19)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의 소정 부위, 즉 탈피된 구근이 배출되는 부위(12)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별도의 이송 세정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근 탈피기를 실제 사용할 때 탈피 과정과 탈피가 완료된 구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의 위생성과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근 배출부(12)에는 탈피된 구근이 나올 때 밖으로 튀어나오지 못하고 이송 세정대로 정확하게 유도되도록 하고, 합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36)가 외부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덮개(12-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며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커버 가스켓((22)과, 일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턱(16)의 단부에 설치된 홈(16-1)을 통해서 체결되는 잠금 고리(24)와, 상기 결합부(17)와 결합되고 소정의 부위에 자석(26-1)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근의 탈피를 위해서 상기 커버(20)를 닫을 때는 가스켓(22)에 의해 상기 구근 투입구(11)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 탈피시 공급된 물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게 한다.
또한, 구근의 탈피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커버(20)가 열린다 하더라도 상기 커버(20)의 일 측에 부착된 마이크로 스위치(26)의 단락에 의해 모터(42)의 회전이 멈추게 되어서 회전에 의한 구근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에도 효과가 있다.
구근 배출부(12)의 개폐부재(30)는 일 단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의 일단부에 결합된 둥근 손잡이(34)와, 상기 손잡이(34)를 잡은 후 밀고 당길 때 개폐되는 도어(3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36)가 개방될 때 상기 지지대(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에 형성된 절첩 가능한 절곡부(39)를 통해서 "ㄱ"자 형상으로 접힌다.
또한, 상기 도어(36)가 닫힐 때는 상기 지지대(32)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34)에 의하지 않고서는 도어(36)가 전혀 개방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36)와 구근 배출부(12)와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도어(36)가 닫힐 때 완전히 밀봉되도록 하기 위한 도어 가스켓(38)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40)는,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모터(42)와, 상기 모터(42)와 결합되고 상부에 체결봉(48)이 구비된 회동축(44)과, 피니언(46a), 감속 기어(46b) 및 스퍼(46c, spur)의 기어부(4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42)와 연결된 피니언(46a)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와 결합된 상기 감속 기어(46b)에 의해 감소된 회전 속도를 스퍼 기어(46c)로 전달하여 회동축(44)을 통해서 회전판(50)을 적당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60)의 조작을 통해서 모터(42)는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기어부(46)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50)이 회전됨으로서 구근이 탈피 공간부와 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탈피 부재에 의해 그의 껍질이 탈피된다.
상기 회전판(50)은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축(44)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48)과 결합되고, 상부 중앙에는 그를 회동축(44)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상부면은 울퉁불퉁하게 금강사 등으로 피복되고 상면이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두 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나선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모터(42)가 회전됨으로서 회전판(50)이 회전함에 따라 구근이 울퉁불퉁 튀어나온 금강사와 접촉하게 됨으로서 껍질이 탈피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60)는 본체(1)에 내부에 설치된 모터(42)의 회전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와 인접되는 상부에 수직 기립된 상태로 설치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씽크(70)는 본체(1)의 잠금편(미도시)에 의해 구근 탈피기의 하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씽크(70) 내부 일 측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배수를 취할 수 있는 배수구(72)가 구비되고, 상부의 일측에는 씽크(43)로 물을 유입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주입구(74)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의 배출구(14)에서 나오는 물과 껍질의 혼합물 중 껍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76)이 상기 배출구(14)와 연결되어서 상기 씽크(70)의 주입구(74)로 삽입된다.
따라서, 구근의 껍질은 걸러내고 물만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다른 구근 탈피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구근의 껍질을 탈피시키기 위해서, 커버(20)를 개방한 후 소정 양의 구근을 탈피기 상부의 탈피 공간부에 넣고, 컨트롤 박스(60)를 온 위치로 하여 모터(42)와 동시에 회전판(50)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판(50)의 회전에 의해 구근은 회전판(50) 상부와 마찰 탈피부재(19)에 부딪히게 되면서 그의 껍질이 탈피된다.
상기와 같이 탈피된 구근과 그의 껍질은 각각 구근 배출부(12)와 배출구(14)로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나오게 된다.
그 후, 탈피된 구근은 상기 이송 세정대(미도시)를 통해서 수거됨에 따라서 위생성과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탈피과정에서 발생되는 물과 껍질의 혼합물은 배출구(14)를 통해서 본체(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씽크(70) 내부로 이동되는데, 이때 껍질은 거름망 (76)에 의해서 걸러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수거통이 필요치 않음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이룰 수 있게 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탈피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감자, 당근, 고구마 및 무 등과 같은 구근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기의 배수구에 거름 수거대를 일체로 장착하여서, 탈피 과정 중에서 발생된 껍질을 거른 후 배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송 세정대를 별도로 설치하여서 탈피가 완료된 구근을 신속 용이하게 수거하여 세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세정된 구근을 다음 작업대로 신속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결과, 탈피 과정중에서 발생되는 배출물에 의해 하수구가 막히는 문제를 방지하였고, 사용상의 편의성과 위생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Claims (4)

  1. 전체를 에워싸고 있는 케이스(10)와, 구근을 투입하기 위해서 최상부에 구비된 구근 투입구(11)와, 탈피된 구근을 배출하기 위해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구근 배출부(12)와,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부에 구비된 물 공급부(13)와, 물과 껍질의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소정의 부위에 구비된 배출구(14)와,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부에 미끄럼 방지 디스크(15a)가 부착된 다수 개의 다리(15)와,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고 단부에는 둥글게 홈(16-1)이 파인 걸림턱(16)과, 상부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자동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결합부(17)와, 전선(18-1)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 투입부(18)와, 탈피 공간 내벽에 부착된 마찰 탈피 부재(19)로 이루어진 본체(1);
    상기 본체(1)와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구근 투입구(11)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고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가스켓((22)과, 일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설치된 홈(16-1)을 통해서 체결되는 잠금 고리(24)와, 상기 결합부(17)와 결합되고 소정의 부위에 자석(26-1)에 의해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6)로 이루어진 커버(20);
    일 단부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의 일 단부에 결합된 둥근 손잡이(34)와, 상기 손잡이(34)를 잡고 밀고 당길 때 개폐되는 도어(36)를 구비한 개폐부재(30);
    회전 운동을 일으키는 모터(42)와, 상기 모터(42)와 결합되고 상부에 체결봉 (48)이 설치된 회동축(44)과, 피니언(46a), 감속 기어(46b) 및 스퍼(46c, spur)의 기어부(46)로 이루어진 회동부재(40);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축(44) 상부에 형성된 체결봉(48)에 결합되고, 상면이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두 개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돌출부(52)가 형성된 회전판(50); 및
    상기 본체(1)에 내부에 설치된 모터(42)의 회전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와 인접되는 상부에 수직 기립된 상태로 설치 고정되는 컨트롤 박스(60); 및
    상기 본체(1)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배출구(14)를 통해서 나오는 배출물을 저장하고, 상부 소정의 부위에는 상기 배출구(14)와 결합된 거름망(76)이 내부로 삽입된 주입구(74)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만을 배출하는 배수구(72)가 구비된 씽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탈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6)는 자석(26-1)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탈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의 지지대(32)는 중간 부위가 접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탈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탈피 부재(19)와 회전판(5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탈피기.
KR2020060005740U 2006-03-03 2006-03-03 구근 탈피기 KR200416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40U KR200416666Y1 (ko) 2006-03-03 2006-03-03 구근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40U KR200416666Y1 (ko) 2006-03-03 2006-03-03 구근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66Y1 true KR200416666Y1 (ko) 2006-05-19

Family

ID=4176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40U KR200416666Y1 (ko) 2006-03-03 2006-03-03 구근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16B1 (ko) 2006-08-22 2007-04-18 박재명 밤 및 근채류의 탈피장치 및 방법
KR101099104B1 (ko) 2010-05-26 2011-12-26 (주) 대성이앤비 구근 탈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16B1 (ko) 2006-08-22 2007-04-18 박재명 밤 및 근채류의 탈피장치 및 방법
KR101099104B1 (ko) 2010-05-26 2011-12-26 (주) 대성이앤비 구근 탈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613B1 (ko)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KR20040006153A (ko) 식기세척기
WO2020124997A1 (zh) 超声波清洗装置及洗衣机
KR200416666Y1 (ko) 구근 탈피기
US6508257B1 (en) Food washing apparatus with rotary agitator and method for washing food
US4752035A (en) Disposal guard
US2429090A (en) Dishwashing machine
US5271571A (en) Water driven device for agitating and fragmenting debris in a sink drain
KR20100028282A (ko) 식품 세척기
KR20080007981A (ko) 폐음식물 처리기능을 겸한 식기세척기
KR102261629B1 (ko)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KR101677412B1 (ko)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
CN115869091A (zh) 可伸缩的牙齿冲洗器
CN211571112U (zh) 一种嵌入式多功能洗衣机
CN112680922B (zh) 超声波装置和衣物处理设备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KR100766302B1 (ko) 주방용 세척기
KR200368152Y1 (ko) 씽크대용 걸름통장치
KR20110001706U (ko)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TWM504563U (zh) 蔬菜清洗盆
US5078800A (en) Method of cleansing material
KR100957449B1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배수장치
JP2936844B2 (ja) 食器洗浄機の排水装置
KR200441508Y1 (ko) 세정대
KR20020020662A (ko) 세미기(洗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