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08Y1 - 워킹 신발 - Google Patents

워킹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08Y1
KR200441308Y1 KR2020070005027U KR20070005027U KR200441308Y1 KR 200441308 Y1 KR200441308 Y1 KR 200441308Y1 KR 2020070005027 U KR2020070005027 U KR 2020070005027U KR 20070005027 U KR20070005027 U KR 20070005027U KR 200441308 Y1 KR200441308 Y1 KR 200441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hoe
elasticity
walking
elastic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찬
Original Assignee
김순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찬 filed Critical 김순찬
Priority to KR2020070005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신발 하측부에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신발 앞굽 쪽의 탄력이 약한 반면에 뒷굽 쪽의 탄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탄력을 갖도록 하여 매우 편안한 보행이 도모되도록 하는 동시에 신발의 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나 쏠림 현상이 없도록 함으로써 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워킹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10)의 밑창(11)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승강부재(20)와 지면(G)에 접촉되는 바닥부재(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자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설치된 하나의 앞굽탄력부재(40) 양측에 "<"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뒷굽탄력부재(50,50')가 각각 설치되도록 하되 측면상으로 앞굽탄력부재(40)의 상,하단부(41,42)와 뒷굽탄력부재(50,50')의 상,하단부(52,52)가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
Figure 112008022988270-utm00007
" 형태가 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는 각각 상,하단부에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에 밀착되는 지지부(43,5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43,53) 양측에는 고정편(44,54)을 구비하여 체결구(60)에 의해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에 각각 고정되게 구성된 것이며,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의 탄성 작용에 의해 보행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앞굽탄력부재(40)의 탄력보다 뒷굽탄력부재(50,50)의 탄력이 강하므로 발검음을 옮길 때 뒷굽이 자연스럽게 들리므로 보다 편안한 보행이 도모되고 신발 양측으로 뒷굽탄력부재(50,50')가 지지하게 되므로 보행시 신발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되므로 탄력부재를 갖는 신발로서 보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신발, 워킹 신발, 기능성 신발, 기능성 슈즈

Description

워킹 신발{weking shoes}
도 1은 선행기술을 보인 신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워킹 신발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워킹 신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3의 Y-Y'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발 11 : 밑창
20 : 승강부재 30 ; 바닥부재
40 : 앞굽탄력부재 50,50' : 뒷굽탄력부재
41,51 : 상단부 42,52 : 하단부
43,53 : 지지부 44,54 : 고정편
60 : 체결구 70 : 절첩부재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하측에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신발에 있어서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보다 수월한 보행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워킹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건강을 위하여 걷기 운동이나 조깅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걷기운동이나 조깅 등은 동일한 걷기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소 단조롭고 지구력이 요구되는 운동이다.
그러므로 운동자(또는 보행자)가 오랜 시간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의 조깅화나 운동화 등이 개발되고 있다.
기능성을 가지는 신발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 하나가 신발 하측부에 스프링을 이용한 탄력성을 갖도록 한 신발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64049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0172161호, 동 실용신안 제0335605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0381741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0408692호 및 동 등록실용신안 제0406597호, 동 특허공개번호 제2006-000240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신발 밑 부분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어 탄력성을 갖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점프용 신발에 적합한 기능성을 가지는 신발에 불과할 뿐이지 보행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보행용 신발로는 매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도 1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신발(1) 하측에 코일스프링(2)이 설치된 것은 보행시에 앞굽이 먼저 지면에 닿게 되었다가 뒷굽이 닿게 되므로 앞쪽의 코일 스프링(2)이 먼저 압축되었다가 뒤쪽에 있는 코일스프링(2)이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걸을 때에는 뒷굽이 먼저 위쪽으로 들리게 되므로 뒤쪽 코일스프링(2)이 탄력적으로 신장되는데 코일스프링(2)이 압축되었다가 뒷굽이 들리는 순간 상당한 탄력으로 순간적으로 들리기 때문에 사실상 안정적인 보행이 어렵다.
또한, 코일스프링(2)은 신발(1)의 좌우방향(횡방향)으로 흔들림이 있기 때문에 보행시 한쪽으로의 쏠림현상이 초래됨으로써 더욱 보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43775호와 같은 스프링이 내재된 기능성 신발이 개시되었으나 이는 매우 작은 다수의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원가 상승이 크게 초래될 뿐만 아니라 매우 작은 코일스프링은 탄력이 매우 약하므로 보행하는데 크게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신발 하측부에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신발 앞굽 쪽의 탄력이 약한 반면에 뒷굽 쪽의 탄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탄력을 갖도록 하여 매우 편안한 보행이 도모되도록 하는 동시에 신발의 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나 쏠림 현상이 없도록 함으로써 보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워킹 신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행 가능한 워킹 신발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게 보급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의 밑창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승강부재와 지면에 접촉되는 바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부재와 바닥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자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설치된 하나의 앞굽탄력부재 양측에 "<"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뒷굽탄력부재가 각각 설치되도록 하되 측면상으로 앞굽탄력부재의 상,하단부와 뒷굽탄력부재의 상,하단부가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
Figure 112008022988270-utm00008
" 형태가 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앞굽탄력부재와 뒷굽탄력부재는 각각 상,하단부에 승강부재와 바닥부재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 양측에는 고정편을 구비하여 체결구에 의해 승강부재와 바닥부재에 각각 고정되게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신발의 일측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 4는 평면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신발(10) 밑창(11)에 접착제와 같은 것으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승강부재(20)와 지면(G)에 접촉되는 바닥부재(30)를 각 각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는 신발(10)의 밑창(11) 같은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비교적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앞굽탄력부재(40)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단부(41,42)가 압축된 후 다시 벌어지는 탄력이 발생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뒷굽탄력부재(50,50')는 "<"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단부(51,52)가 압축된 후 다시 벌어지는 탄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되게 하되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상으로 볼 때 앞굽탄력부재(40)의 상,하단부(41,42)와 뒷굽탄력부재(50,50')의 상,하단부(52,52)가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
Figure 112008022988270-utm00009
" 형태가 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는 그 상,하단부에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에 밀착되는 지지부(43,5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43,53) 양측에는 고정편(44,54)을 각각 구비하여 체결구(60)에 의해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에 각각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고정편(44,54)이 체결구(60)에 의해 각각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체결수단이나 고정 방법에 의해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한쌍의 뒷굽탄력부재(50,50')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상측 부분에서 각각의 지지부(43)들이 "U"자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게 함으로써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양측의 뒷굽탄력부재(50,5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앞굽탄력부재(40)를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앞굽탄력부재(40)의 양측으로 뒷굽탄력부재(50,50')가 각각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의 외곽 테두리부에는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를 은폐시키기 위한 절첩부재(70)가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절첩부재(70)는 자바라 형태일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직물지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것이면 모두 채용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행시 앞굽탄력부재(40)는 상단부(41)가 도 6의 (a)와 같이 하측으로 하강하여 압축되었다가 상단부(41)가 다시 상승되어 벌어지는 탄력이 작용되는 것이고, 뒷굽탄력부재(50,50')도 도 6의 (b)와 같이 상단부(51)가 하측으로 하강하여 압축되었다가 상단부(51)가 다시 상승되어 벌어지는 탄력이 작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앞굽탄력부재(40)가 중앙부에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뒷굽탄력부재(50,50')는 양측에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앞굽부분의 탄력보다는 뒷굽부분의 탄력이 더욱 강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신발(10)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통상적으로 앞굽부분 보다는 뒷굽부분에 체중이 더 실리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체중이 상대적으로 덜 실리게 되는 앞굽부분에 비해 체 중이 더 많이 실리는 뒷굽부분의 탄력이 더 강하므로 보행시 전체적으로 균형적인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보행시 발걸음을 옮길 때에는 뒷굽부분이 먼저 들린 다음 앞굽부분이 들리게 되는 한편 착지시에는 앞굽부분이 먼저 지면(G)에 착지되고 뒷굽부분이 착지되는 상태이거나 또는 앞굽부분과 뒷굽부분이 거의 동시적으로 착지하는 상태로 보행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착지시 앞굽부분이 먼저 착지되는 상태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탄력이 작은 앞굽탄력부재(40)가 압축된 다음 상대적으로 탄력이 강한 뒷굽탄력부재(50,50')가 압축되게 되므로 착지하는데 있어 무리가 따르지 않는다.
가령, 앞굽탄력부재(40)의 탄력이 뒷굽부분 보다는 강하거나 동일하다면 앞굽부분이 지면(G)에 착지될 때 강한 반발력을 가지게 되므로 착지하는데 힘이 들게 되고 발에 무리가 따르게 되는 것이나 본 고안은 앞굽부분이 약한 탄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착지시 힘이 들지 않고 편안한 착지가 도모된다.
또한, 뒷굽부분의 착지시에는 체중이 실린 상태로 착지하게 되므로 앞굽부분보다는 상태적으로 강한 탄력을 갖더라도 뒷굽탄력부재(50,50')는 별다른 무리 없이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발걸음을 옮길 때에는 뒷굽부분부터 들리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강한 탄력을 갖는 뒷굽탄력부재(50,50')의 탄력에 의해서 뒷굽부분이 들리게 되는 한편, 연이어서 앞굽부분이 지면(G)으로부터 완전히 들리게 되는 때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탄력이 작용되는 앞굽탄력부재(40)의 탄력으로 들리게 되므로 자연스로운 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뒷굽탄력부재(50,50')와 앞굽탄력부재(40)의 탄력에 의해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보행이 도모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령 압굽부분의 탄력이 강한 상태라면 뒷굽부분 부터 들리고 이어서 앞굽부분이 들리게 될 때 갑자기 앞굽부분이 튀어 오르는 보행이 되므로 보행이 부자연스럽거나 또는 아예 보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뒷굽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강한 탄력이 작용되므로 뒷굽부분이 쉽게 들리게 되고 앞굽부분은 상대적으로 약한 탄력이 작용되므로 그 앞굽부분이 갑자기 튀어 오르지 않고 앞굽부분이 지면(G)으로부터 떨어질 때 약간의 탄력을 주게 되므로 보다 힘이 들지 않고 쉽게 발걸음을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행자가 발걸음을 옮길 때 힘이 덜 들게 되고 수월한 보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걷기 운동이나 조깅 등을 할 때 매우 적합한 워킹 신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뒷굽탄력부재(50,50')가 신발(10)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균형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보행시 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나 또는 신발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하측에 탄력부재를 갖는 신발로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가 설치되는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 사이의 높이를 약 3-10㎝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워킹신발로서 조깅용, 도보운동용, 아동용, 성인용, 노약자용 등에 따라 적합한 탄력과 높이를 갖도록 워킹 신발을 제조하여 보급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앞굽탄력부재(40) 및 뒷굽탄력부재(50,50') 들을 스프링강선을 단순히 절곡하여 형성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여 비교적 저렴한 제조단가로 제조 가능하므로 편안하고 힘들지 않고 장시간 보행이나 운동 가능한 워킹 신발을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신발 하측에 탄력성을 갖도록 하는 신발로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워킹 신발을 제공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보행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보행시 힘들지 않고 수월한 보행이 가능하게 하므로 걷기운동이나 조깅과 같은 운동용 워킹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신발(10)의 밑창(11)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승강부재(20)와 지면(G)에 접촉되는 바닥부재(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자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설치된 하나의 앞굽탄력부재(40) 양측에 "<"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뒷굽탄력부재(50,50')가 각각 설치되도록 하되 측면상으로 앞굽탄력부재(40)의 상,하단부(41,42)와 뒷굽탄력부재(50,50')의 상,하단부(52,52)가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
    Figure 112008022988270-utm00010
    " 형태가 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앞굽탄력부재(40)와 뒷굽탄력부재(50,50')는 각각 상,하단부에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에 밀착되는 지지부(43,5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43,53) 양측에는 고정편(44,54)을 구비하여 체결구(60)에 의해 승강부재(20)와 바닥부재(30)에 각각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신발.
  2. 삭제
  3. 삭제
KR2020070005027U 2007-03-28 2007-03-28 워킹 신발 KR200441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27U KR200441308Y1 (ko) 2007-03-28 2007-03-28 워킹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027U KR200441308Y1 (ko) 2007-03-28 2007-03-28 워킹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08Y1 true KR200441308Y1 (ko) 2008-08-05

Family

ID=4164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027U KR200441308Y1 (ko) 2007-03-28 2007-03-28 워킹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5531B1 (en) Footwear cushioning spring
US9713359B2 (en) Shoe body with arch suspended support
JPH07298903A (ja) 靴の底
JP2008523882A (ja) 煽り運動健康靴に装着されるミッドソール及びその製法
KR20120101776A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0872865B1 (ko) 충격완화 탄성신발
KR200441308Y1 (ko) 워킹 신발
JP2011524234A (ja) ダイエット靴底及びこれを備えた履物
US20200260818A1 (en) Shoe outsole
CN2574726Y (zh) 弹跳鞋
JP5761899B2 (ja) 歩行促進効果を有する履物
KR101187604B1 (ko) 덤블링 슈즈
CN201691171U (zh) 一种新型运动鞋
KR101408912B1 (ko)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
KR200453698Y1 (ko) 스텝퍼 신발
KR101187605B1 (ko) 점핑 슈즈
KR100446857B1 (ko) 스케이트 날의 고정장치 및 그 완충장치
KR200440285Y1 (ko) 아웃솔의 형태를 지지하는 건강신발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0348869Y1 (ko) 점프 신발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KR200397212Y1 (ko) 점핑용 탄성신발
KR101421158B1 (ko) 다수의 스프링이 구비된 의족
JP3211541U (ja) 履物
KR200348870Y1 (ko) 점프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