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05B1 - 점핑 슈즈 - Google Patents

점핑 슈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05B1
KR101187605B1 KR1020100045185A KR20100045185A KR101187605B1 KR 101187605 B1 KR101187605 B1 KR 101187605B1 KR 1020100045185 A KR1020100045185 A KR 1020100045185A KR 20100045185 A KR20100045185 A KR 20100045185A KR 101187605 B1 KR101187605 B1 KR 10118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umping
wearing
us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694A (ko
Inventor
유효상
Original Assignee
유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효상 filed Critical 유효상
Priority to KR102010004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10Elastic bouncing shoes fastened to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핑 슈즈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발 아래에 직접 탄성력이 전달되지 않아 오래 사용하더라도 통증이 유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발보다 넓은 면적의 프레임을 통해 지면에 착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점핑 놀이가 가능한 점핑 슈즈와 보행시 충격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점핑 슈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핑 슈즈{Jumping shoes}
본 발명은 점핑 슈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레임과 발판을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수평으로 연결하여 걷거나 움직일 때 점핑 놀이 효과가 발생하고, 발에 생기는 충격하중을 상쇄 시킬 수 있는 점핑 슈즈에 관한 것이다.
점핑 슈즈는 신발 바닥에 스프링을 달아 사용자가 착용 후 점프를 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높이 점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어린이와 청소년 뿐 아니라 성인들도 즐길 수 있는 놀이 기구로 널리 사용된다.
도1은 종래의 점프 신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점프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착용부(11)와 지면과 맞닿는 바닥부(12) 사이에 코일 스프링(13)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점프 신발을 착용한 후 점프를 하면, 착용부(11)와 바닥부(12) 사이의 코일 스프링(13)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고, 압축된 탄성력이 바닥부(12)로부터 착용부(11)를 밀어올림으로써 사용자의 점프력이 증가하도록 한 것이다.
도2는 종래의 점프 신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종래의 점프 신발은 사용자의 발이 착용되는 착용부(21)와 그 하단에 판스프링(22)이 마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점프 신발을 착용한 후 점프를 하면, 판스프링(22)이 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고, 판스프링(22)이 복원되는 힘이 착용부(21)를 밀어올림으로써 사용자의 점프력이 증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점프 신발들은 공통적으로 착용부의 아래에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힘이 전달됨으로써 뛰어오를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탄성력의 전달에 의해서 사용자가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의 탄성력이 압축되고 복원되는 위치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형성됨에 따라 탄성수단이 압축 및 복원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사용자의 발 아래의 높이는 높아지지만, 지면에 닿는 부분의 넓이는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한다. 즉, 사용자가 점핑 놀이 도중 발을 헛디디거나 중심을 잃어 바닥에 착지할 시 탄성수단에 체중이 수직으로 실리지 않을 경우, 지면에 닿는 부분과 발바닥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해 중심이 흐트러져 넘어질 우려가 매우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성력의 압축과 복원을 위해 사용자의 발과 지면 사이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착지 시 몸의 중심을 잃지 않도록 하여 안정감을 향상시킨 점핑 슈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력의 전달이 사용자의 발 아래가 아닌 주변에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발에 통증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는 점핑 슈즈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탄성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발의 디딤에 따라 다른 탄성력이 발에 전달되도록 하는 점핑 슈즈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슈즈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착용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착용부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2 이상의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2 이상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슈즈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착용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착용부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서 결합되며, 상부에 발바닥누름부가 마련된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신발 형태이며, 상기 착용부의 발판은 망사 재질이거나, 또는 소정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탄성력의 압축과 복원을 위해 착용부 아래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착용부와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프레임 둘레의 면적이 착용부의 바닥 면적보다 넓어서, 사용자가 지면에 착지하거나 다시 점프를 할 시 안정감 있는 착지와 점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착용부의 외측 둘레 전체에 복수의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있어서, 점프 및 착지시에 무게중심은 탄성부재들의 안쪽으로 항상 위치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점핑 슈즈의 안쪽으로 항상 유지되므로 점프 및 착지시에 매우 안정적인 것이다.
둘째, 점프를 위한 탄성력이 착용부의 바닥 둘레를 따라 다수의 탄성부재를 통해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을 직접 누르지 않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발에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다.
셋째,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착용부 둘레와 연결함으로써, 발바닥 일부분만 지면에 디디게 될 경우에는 일부의 탄성력만을 발바닥에 전달되도록 하여 발바닥의 부위별로 유연하게 탄성력을 분산시킬 수가 있다.
넷째, 착용부 아래에 지압돌기 또는 인공잔디 등의 발바닥누름부를 마련함으로써, 보행시 사용자의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주거나 맨발로 잔디 위를 걷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점프 신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의 점프 신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점핑 슈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슈즈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3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점핑 슈즈(3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30)는 착용부(32), 프레임(31) 및 다수의 코일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점핑 슈즈(30)는 사용자의 양발에 각각 착용될 수 있도록 1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대칭 구조로 형성되었을 뿐 그 주요 구성은 같기 때문에 한쪽 발에만 착용되는 기구에 대해서만 설명 하도록 한다.
착용부(32)는 신발 형상으로 마련되며 사용자의 발이 착용부(32) 내측에 안착된다. 이러한 착용부(32)는 프레임(31)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프레임(31)과 연결된다.
프레임(31)은 착용부(32)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공간이 형성된다. 예컨대 프레임(31)은 단면이 타원형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프레임(31)은 단면이 착용부(32)의 바닥 형상이되 이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즉, 프레임(31)은 착용부(32)의 수평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착용부(32)가 탄성력을 받아 프레임(31)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내측 공간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31)의 바닥은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지만, 막혀 있는 구조일 수도 있으며,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착용부(32)와 프레임(31)은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연결된다. 즉, 프레임(31)과 착용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33)의 일측이 프레임(31)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착용부(32)의 하부(예컨대 착용부(32)의 밑창)에 고정된다. 즉, 코일 스프링(33)이 착용부(32)의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나와 프레임(31) 내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며, 프레임(31)과 착용부(32)가 코일 스프링(33)에 의해 연결되고 나면, 착용부(32) 아래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즉 착용부(32)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착용부(32) 아래의 공간은 점핑 놀이 시 탄성운동을 위해 착용부(32)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점핑 슈즈(30)에서 탄성부재로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33)은 양단이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것이 아니라 수평으로 누워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도5의 작동 상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이 수직으로 실려 압축되지 않고, 일측이 프레임(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부(32)가 프레임(31)의 내측 공간으로 하강하게 되면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33)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시 점프를 할 시 늘어난 코일 스프링(33)이 다시 수축하려는 힘이 작용하면서 착용부(32)를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높이 점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30)에서는, 착용부(32) 아래에서 수직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 사용자의 발바닥 측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다수의 코일 스프링(33)이 착용부(32) 하부의 둘레를 밀어 올림으로써 탄성력을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에 탄성력 전달에 따른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발바닥 면적 내에 탄성력이 집중되어 발바닥을 직접 누르지 않고 발바닥보다 넓은 영역에 분포된 다수의 코일 스프링(33)에 탄성력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착지시에나 점프시에 발바닥에 무리가 가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점핑 놀이와 같이 몸의 중심이 흐트러질 수 있는 행동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이 좁은 발바닥과 그 아래의 탄성수단에 모두 실리는 것이 아니라, 발바닥보다 넓은 프레임(31)이 지면에 직접 닿고 체중은 다수의 코일 스프링(33)에 분산되어 넓은 범위의 프레임(31)에 실리는 것이기 때문에, 착지시에 발이 삐끗할 우려가 없이 안정적인 착지가 가능하다. 즉, 착용부(32)의 외측 둘레 전체에 복수의 코일 스프링(33)이 연결되어 있어서, 점프 및 착지시에 무게중심은 코일 스프링(33)들의 안쪽으로 항상 위치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점핑 슈즈(30)의 안쪽으로 항상 유지되므로 점프 및 착지시에 매우 안정적인 것이다. 즉 점핑 슈즈(30)의 프레임(31)의 가장자리 둘레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이 착용부(32)가 점유하는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점핑슈즈(30)를 신고 점프 후 착지시 사용자의 자세가 수직한 자세에서 흐트러지더라도 착용부(31)보다 큰 점유면적을 갖는 프레임(31)이 먼저 착지하기 때문에 점핑슈즈(30)가 꺾여지지 않고 지면에 수직하게 닿게됨으로써 발목이 꺾이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성인에서부터 연령대가 낮은 사용자들까지 모두가 안전하게 점핑 놀이를 즐길 수가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에 도시된 점핑 슈즈(4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40)는 착용부(42), 제1프레임(41a), 제2프레임(41b) 및 탄성부재로서 코일 스프링(43)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41a) 및 제2프레임(41b)은 착용부(42)의 외측에서 착용부(42)와 떨어져서 착용부(4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프레임(41a) 및 제2프레임(41b)의 가장자리 둘레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은 착용부(42)가 점유하는 면적보다 크다.
즉, 도6 내지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41)을 사용자 발의 앞쪽 둘레를 둘러싸는 제1프레임(41a)과 뒤쪽 둘레를 둘러싸는 제2프레임(41b)으로 나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부(42) 바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하여 점핑 놀이를 즐길 경우에는, 제1프레임(41a)과 연결된 코일 스프링(43)과 제2프레임(41b)과 연결된 코일 스프링(43)에 동시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착용부(42)를 밀어올리기 때문에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점핑 슈즈(30)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착용부(41)보다 큰 점유면적을 갖는 제1프레임(41a) 및 제2프레임(41b)이 먼저 착지하기 때문에 점핑슈즈(40)가 꺾여지지 않고 지면에 수직하게 닿게됨으로써 발목이 꺾이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도6에 도시된 점핑 슈즈(40)는 사용자가 발바닥의 일부분만을 지면에 디딜 경우, 지면에 닿는 부분의 프레임(41)과 연계된 코일 스프링(43)의 탄성력만으로 착용부(42)를 밀어줄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보행에 의해 또는 인위적인 디딤에 의해 발바닥의 앞부분만을 지면에 디디게 될 경우 발의 관절 구조에 따라 자연스럽게 프레임(41a,41b)이 꺾일 수 있어서 발이 편하다. 또한 이 경우 착용부(42)의 앞쪽 둘레와 코일 스프링(43)으로 연계된 제1프레임(41a)만이 지면에 닿게 되며, 이후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면 전체 코일 스프링(43) 중 제1프레임(41a)과 연결된 코일 스프링(43)에만 탄성력이 작용하여 착용부(42)를 밀어 올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발바닥의 뒷부분만을 지면에 디디게 될 경우에는 제2프레임(41b)과 연결된 코일 스프링(43)의 탄성력만이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보행 패턴에 따라, 또는 인위적인 놀이 방법에 따라 발바닥의 부위별로 유연하게 탄성력을 분산시킬 수가 있어서 발이 편하며, 보행 또는 점핑 놀이의 색다른 재미를 가져다줄 수가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프레임을 3개 이상 마련하고 각각의 프레임이 착용부(42)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코일 스프링으로 연결함으로써, 더욱 유연한 탄성력 분산 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5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점핑 슈즈(5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50)는 착용부(52), 프레임(51), 코일 스프링(53) 및 바닥부(54)를 포함한다.
착용부(52)는 도3에 도시된 점핑 슈즈(30)의 착용부(32)와 유사하나 슬리퍼 형상으로 단순화 한 것으로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이러한 착용부(52)는 프레임(51)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프레임(51)과 연결된다.
프레임(51)은 착용부(52)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공간이 형성된다. 예컨대 프레임(51)은 단면이 타원형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프레임(51)은 단면이 착용부(52)의 바닥 형상이되 이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즉, 프레임(51)은 착용부(52)의 수평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착용부(52)가 탄성력을 받아 프레임(51)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내측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51)의 하단에는 발바닥누름부가 마련된 바닥부(54)가 결합된다. 발바닥누름부는 프레임(51) 내측 공간에서 착용부(52)가 상하로 운동할 때 착용부(52)의 저면과 부딪히며 사용자의 발바닥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도7에서는 발바닥누름부로써 인공잔디(55)가 바닥부(54)의 상부로 심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바닥부(54)는 후크결합부(54a)를 통해 프레임(51)과 착탈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부(52)에 발을 안착 시킨 후 보행을 하거나 점핑 놀이를 하면, 착용부(52)가 프레임(51) 내측의 공간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착용부(52)의 저면이 인공잔디(55)와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심의 아스팔트 길을 걸으면서도 잔디밭을 걷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가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부(52)에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을 망사 재질로 제작하거나 소정의 타공이 형성되도록 구현한다면, 사용시 발바닥으로 직접 인공잔디(55)를 밟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6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60)는 착용부(62), 프레임(61), 코일 스프링(63) 및 바닥부(64)를 포함하며, 각 구성들의 기능과 동작 원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해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다. 다만 바닥부(64)에 마련된 발바닥누름부를 지압돌기(65)로 대체한 것이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점핑 슈즈(50)와의 차이점이다.
즉, 프레임(61) 하단에서 후크결합부(64a)를 통해 결합되는 바닥부(64)의 상단에 소정 크기의 지압돌기(65)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부(62)에 발을 안착하고 보행을 하면, 착용부(62)가 상하로 운동할 때 착용부(62)의 저면이 지압돌기(65)와 부딪히며 사용자의 발바닥에 건강지압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점핑 슈즈(60)를 통해 안전한 점핑 놀이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압돌기(65)를 통해 발바닥에 자극을 주어 혈액 순환을 돕는 등 건강을 지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50,60)에서, 발바닥누름부가 마련된 바닥부(54,64)는 프레임(51,61)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프레임(51,61)과 바닥부(54,64)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레임(51,61)과 바닥부(54,64)를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작한다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인공잔디(55)가 마련된 바닥부(54)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지압돌기(65)가 마련된 바닥부(64)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바닥부(54,64)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등 점핑 슈즈(50,60)를 적절한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바닥부(54,64)에 인공잔디(55)와 지압돌기(65)가 혼합되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지압 효과와 잔디를 밟는 효과를 모두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11은 이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점핑 슈즈(30,40,50,60)에서 착용부(32,42,52,62)와 프레임(31,41,51,61)을 연계하며 착용부(32,42,52,62)에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탄성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탄성부재로서 금속재질의 코일 스프링(33,43,53,63)을 대신하는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다수의 탄성밴드(63')를 탄성부재로서 이용하여 착용부(32,42,52,62)와 프레임(31,41,51,61)을 연결하더라도, 보행시나 움직일 때 점핑 놀이 효과가 나타나며, 물기가 있는 곳에서 사용하더라도 부식되거나 녹이 슬지 않게 된다. 물론 도11에 도시된 탄성밴드(63')가 아니더라도 다른 재질이나 형태로 제작된 탄성력을 유발시키는 재료의 사용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슈즈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들이 점핑 놀이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지만, 운동이나 지압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성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0,40,50,60 : 점핑 슈즈
31,41,51,61 : 프레임
41a : 제1프레임
41b : 제2프레임
32,42,52,62 : 착용부
33,43,53,63 : 코일 스프링
63' : 탄성밴드
54,64 : 바닥부
54a, 64a : 후크결합부
55 : 인공잔디
65 : 지압돌기

Claims (4)

  1.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착용부;
    소정의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부의 외측에서 상기 착용부와 떨어져서 상기 착용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2개 이상의 프레임들; 및
    일측이 상기 2개 이상의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프레임들이 점유하는 면적은 상기 착용부가 점유하는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슈즈.
  2.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착용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착용부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일측이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착용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탄성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서 결합되며, 상부에 발바닥누름부가 마련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슈즈.
  3.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슈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신발 형태이며, 상기 착용부의 발판은 망사 재질이거나, 또는 소정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슈즈.
KR1020100045185A 2010-05-14 2010-05-14 점핑 슈즈 KR10118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85A KR101187605B1 (ko) 2010-05-14 2010-05-14 점핑 슈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85A KR101187605B1 (ko) 2010-05-14 2010-05-14 점핑 슈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94A KR20110125694A (ko) 2011-11-22
KR101187605B1 true KR101187605B1 (ko) 2012-10-05

Family

ID=4539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85A KR101187605B1 (ko) 2010-05-14 2010-05-14 점핑 슈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68B1 (ko) * 2012-08-10 2013-10-30 서석윤 건강 증진용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5129A (ja) 2006-09-01 2008-03-13 Matrix Card Co Ltd スプリングが装着された履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5129A (ja) 2006-09-01 2008-03-13 Matrix Card Co Ltd スプリングが装着された履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94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EP1964485B1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footwear
US9370705B2 (en) Proprioceptive shoe attachment and method of use
KR101047352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JPH07298903A (ja) 靴の底
KR101187605B1 (ko) 점핑 슈즈
KR20180011573A (ko) 기능성 양말
KR101187604B1 (ko) 덤블링 슈즈
KR101463544B1 (ko)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101288017B1 (ko) 비탈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탈부착 등산화뒷굽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JP2012527297A (ja) O脚またはx脚を予防して使用者体重に合うクッションを提供する人体均衡履物
KR101222850B1 (ko)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200483752Y1 (ko) 아킬레스건 강화 운동용 나막신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2502480B1 (ko) 리바운스 기능을 제공하는 신발물품
KR10128803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KR200340469Y1 (ko) 신체 교정을 위한 신발패드
KR102175626B1 (ko) 건강 신발
JP2011087717A (ja) 靴底及び靴
KR200290252Y1 (ko) 레져용 롱스틱 스텝퍼
KR100406888B1 (ko) 놀이용 점핑기구
KR200237972Y1 (ko) 스프링 뜀다리
KR101045212B1 (ko) 전진 보행력 및 점프력 향상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