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00Y1 -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00Y1
KR200441300Y1 KR2020070011305U KR20070011305U KR200441300Y1 KR 200441300 Y1 KR200441300 Y1 KR 200441300Y1 KR 2020070011305 U KR2020070011305 U KR 2020070011305U KR 20070011305 U KR20070011305 U KR 20070011305U KR 200441300 Y1 KR200441300 Y1 KR 20044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ilicon
cap
contai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호
Original Assignee
이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호 filed Critical 이봉호
Priority to KR2020070011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5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with stepwise advancement of the piston, e.g. for spray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2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 B05C17/0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with means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hand tool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실리콘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노즐의 착탈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개선하여 실리콘의 충전 및 노즐의 교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하고, 노즐의 일부 구성이 실리콘용기와 캡 사이에서 실리콘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패킹이 필요 없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는, 실리콘용기의 개방부와 대향하는 캡의 벽면 중앙에 노즐의 몸통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의 몸통부 끝단에는 몸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의 몸통부를 상기 캡의 관통구멍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캡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도록 하고, 캡을 실리콘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노즐의 플랜지부가 실리콘용기의 개방부 끝단면과 캡의 벽면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실리콘용기의 개방부 끝단면에 제1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여 밀착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of Nozzle using Silicone Gun}
도 1은 일반적인 실리콘 건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실리콘용기와 노즐의 착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용기와 노즐의 착탈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용기와 노즐의 착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리콘용기 11 : 개방부
12 : 수나사부 13 : 제1 경사면
20 : 캡 21 : 암나사부
22 : 벽면 22a : 관통구멍
30 : 노즐 31 : 몸통부
32 : 플랜지부 32a : 제2 경사면
33a~33c : 제1 내지 제3 경사배출면
34a,34b : 제1 및 제2 수평배출면
본 고안은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원하는 도포부위에 실리콘을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을 실리콘이 저장되는 실리콘용기의 개방부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개선한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silicon)은 공사 현장이나 가정에서 각종 마무리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건축용 유리를 창문틀에 설치한 후 고정 상태를 유지하거나 건물 내,외벽의 마무리 공사 또는 가정의 목욕탕과 씽크대의 누수방지를 위한 마무리 작업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실리콘 건의 피스톤 및 레버를 이용하여 실리콘용기 내에 충진된 실리콘을 밀어내어 노즐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실리콘 건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액상의 실리콘이 충진되는 실리콘용기(1)와, 상기 실리콘용기(1)의 전방에 결합되어 실리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노즐(2)과, 상기 실리콘용기(1)의 후방에 설치되어 실리콘용기(1) 내의 실리콘을 노즐(2)쪽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피스톤(3) 및 레버(4)로 이루어지는 배출기구(5)와, 상기 실리콘용기(1)의 후방에 고정되어 실리콘용기(1)를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기구(5)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리콘용기(1) 내에 실리콘을 충진 시킨 후, 손잡이(6)를 잡고 레버(4)를 잡아당기면, 피스톤(3)이 실리콘용기(1) 내에서 실리콘을 노즐(2)쪽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킴으로써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2)은 1~3회 사용하는 소모품으로서 실리콘용기(1)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는 종래의 노즐 착탈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용기(1)의 개방부(1a)에 캡(7)이 나사 결합되고, 캡(7)과 실리콘용기(1) 사이에는 이들 사이로 액상의 실리콘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8)이 끼워져 있으며, 캡(7)의 중앙에는 암나사부(7a)를 가지는 착탈부(7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2)의 결합부(2a)에 수나사부(2b)를 형성하고, 노즐(2)을 회전시켜 수나사부(2b)를 캡(7)의 암나사부(7a)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노즐(2)을 결합하고, 노즐(2)을 반대로 회전시켜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노즐(2)을 캡(7)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노즐(2)은 제조시에 그 끝단이 밀폐된 상태로 제작되고 노즐(2)을 실리콘용기(1)에 장착한 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그 끝단을 실선상태와 같이 칼로 비스듬히 절단하여 실리콘을 도포부위에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실리콘 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리콘용기(1)에 나사 결합된 캡(7)을 분리하여 실리콘용기(1) 내에 액상의 실리콘을 충진한 후, 다시 캡(7)을 실리콘용기(1)에 나사결합하고, 이어서 노즐(2)을 교체하기 위해 기존의 노즐을 회전시켜 캡(7)으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노즐(2)의 수나사부(2b)를 캡(7)의 암나사부(7a)에 나사 결합해야 하므로 실리콘 충진 및 노즐의 장착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용기(1)와 캡(7) 사이에 실리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8) 이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증가시키고, 실리콘 충진을 위해 캡(7)을 자주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8)이 분실될 염려가 있으며, 패킹(8)이 분실되는 경우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리콘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노즐의 착탈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개선하여 실리콘의 충전 및 노즐의 교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한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노즐의 일부 구성이 실리콘용기와 캡 사이에서 실리콘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패킹이 필요 없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패킹의 분실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실리콘용기의 전방측 개방부에 캡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캡에 실리콘용기내의 실리콘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노즐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되는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용기의 개방부와 대향하는 캡의 벽면 중앙에 노즐의 몸통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의 몸통부 끝단에는 몸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의 몸통부를 상기 캡의 관통구멍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캡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도록 하고, 캡을 실리콘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노즐의 플랜지부가 실리콘용기의 개방부 끝단면과 캡의 벽면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구성한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리콘용기의 개방부 끝단면에 제1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여 밀착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한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노즐의 플랜지부 안둘레면에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제1 경사배출면을 형성하고, 몸통부의 안둘레면는 상기 제1 경사배출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제1 수평배출면, 상기 제1 수평배출면으로부터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제2 경사배출면, 상기 제2 경사배출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제2 수평배출면 및 상기 제2 수평배출면으로부터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원추형의 제3 경사배출면을 연이어 형성한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용기(10)는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액상의 실리콘을 충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방측 개방부(11)에는 캡(2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실리콘용기(10)와 캡(20)의 결합구조는, 실리콘용기(10)의 바깥둘레면에 수나사부(12)를 형성하고 캡(20)의 안쪽둘레면에 암나사부(21)를 형성하여 실리콘용 기(10)의 수나사부(12)와 캡(20)의 암나사부(21)를 나사결합 및 해제시키는 것에 의해 캡(2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콘용기(10)의 개방부(11)와 대향하는 캡(20)의 벽면(22) 중앙에는 노즐(30)이 관통하는 관통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30)은 상기 캡(20)의 관통구멍(22a)으로 관통하는 몸통부(31)와, 이 몸통부(31)의 바깥 직경보다 큰 바깥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3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노즐(30)의 몸통부(31)를 상기 캡(20)의 관통구멍(22a)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플랜지부(32)가 캡(20)의 벽면(22)에 걸림 유지되고, 캡(20)을 실리콘용기(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노즐(30)의 플랜지부(32)가 실리콘용기(10)의 개방부(11) 끝단면과 캡(20)의 벽면(22)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용기(10)의 개방부(11) 끝단면에는 제1 경사면(13)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30)의 플랜지부(32)에는 상기 제1 경사면(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경사면(13)에 밀착하는 제2 경사면(32a)이 형성되어 실리콘용기(10)와 캡(20)을 나사 결합할 때, 상기 제1 경사면(13)과 제2 경사면(32a)이 서로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30)의 플랜지부(32) 안둘레면에는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제1 경사배출면(33a)이 형성되고, 몸통부(31)의 안둘레면에는 제1 경사배출면(33a)에 연이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제1 수평배출면(34a), 상기 제1 수평배출면(34a)으로부터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제2 경사배출면(33b), 상기 제2 경사배출면(33b)에 연이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제2 수평배출면(34b), 상기 제2 수평배출면(34b)으로부터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원추형의 제3 경사배출면(33c)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노즐(30)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도 4에 도시된 가상선 상태와 같이 제조시에 몸통부(31)의 제3 경사배출면(33c)쪽 끝단이 밀폐된 상태로 제작되며, 노즐(30)을 장착하여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몸통부(31)의 제3 경사배출면(33c) 부분을 실선상태와 같이 칼로 비스듬히 절단하여 도포부위 또는 실리콘의 배출량에 따라 노즐(30)의 배출구의 사이즈 및 형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의 몸통부(31)를 캡(20)의 관통구멍(22a)에 삽입하여 관통시키면, 노즐(30)의 플랜지부(32)가 캡(20)의 벽면(22) 안쪽에 걸림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캡(20)의 암나사부(21)를 실리콘용기(10)의 수나사부(12)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캡(20)이 실리콘용기(10)에 결합됨과 동시에 캡(20)의 벽면(22)과 실리콘용기(10)의 개방부(11) 끝단면 사이에 노즐(30)의 플랜지부(32)가 끼워져 밀착됨으로써 노즐(30)의 장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노즐(30)의 분리는 캡(20)의 암나사부(21)를 실리콘용기(10)의 수나사로부터 나사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실리콘용기(10)로부터 캡(20)이 분리되고, 이어서 캡(20)의 관통구멍(22a)으로부터 노즐(30)을 빼내게 되면 간단하게 노즐(3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즐(30)의 착탈구조는 캡(20)을 실리콘용기(10)에 결합 또는 분리하 는 한 번의 작업으로 노즐(30)의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노즐(30)의 교체 및 실리콘의 충진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캡(20)을 실리콘용기(10)에 결합하는 결합력에 의해 노즐(30)의 플랜지부(32)가 실리콘용기(10)와 캡(20) 사이에서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캡(20)과 실리콘용기(10) 사이로 액상태의 실리콘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실리콘용기(10)의 개방부(11) 끝단면에 형성한 제1 경사면(13)과 플랜지부(32)의 제2 경사면(32a)에 의해서는 플랜지부(32)와 실리콘용기(10) 사이의 밀착면적을 증대시켜 실리콘의 누출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실리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캡(20)과 실리콘용기(10) 사이에 설치되었던 종래의 패킹이 필요 없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패킹의 분실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본 고안의 노즐(30)은 도 4에 도시된 가상선 상태와 같이 제조시에 그 끝단이 밀폐된 상태로 제작되고 노즐(30)을 실리콘용기(10)에 장착한 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그 끝단을 실선상태와 같이 몸통부(31)의 제3 경사배출면(33c) 부분을 칼로 비스듬히 절단하여 도포부위 또는 실리콘의 배출량에 따라 노즐(30)의 배출구의 사이즈 및 형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실리콘의 플랜지부(32)에 형성한 제1 경사배출면(33a)과, 몸통부(31)에 형성한 제2 및 제3 경사배출면(33b,33c)에 의해 실리콘용기(10)로부터 점점 직경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형태이므로 실리콘용기(10)내의 실리콘을 밀어내어 배출시킬 때 배출압력을 점점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실리콘의 배출이 원활하여 도포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 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의하면, 노즐이 캡의 관통구멍에 관통되는 몸통부와 캡의 벽면에 걸림유지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어 실리콘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하고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노즐의 착탈이 함께 이루어짐에 따라 실리콘의 충전 및 노즐의 교체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수행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노즐의 플랜지부가 실리콘용기와 캡 사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실리콘용기와 캡 사이에서 액상의 실리콘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종래에 사용되었던 패킹이 필요 없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패킹의 분실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노즐의 안둘레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경사배출면에 의해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실리콘의 배출압력이 증대되어 실리콘의 배출을 더욱 원활해지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실리콘용기의 전방측 개방부에 캡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캡에 실리콘용기내의 실리콘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노즐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되는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용기의 개방부와 대향하는 캡의 벽면 중앙에 노즐의 몸통부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의 몸통부 끝단에는 몸통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의 몸통부를 상기 캡의 관통구멍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캡의 벽면에 걸림 유지되도록 하고, 캡을 실리콘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노즐의 플랜지부가 실리콘용기의 개방부 끝단면과 캡의 벽면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용기의 개방부 끝단면에 제1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의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여 밀착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플랜지부 안둘레면에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제1 경사배출면을 형성하고,
    몸통부의 안둘레면는 상기 제1 경사배출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제1 수평배출면, 상기 제1 수평배출면으로부터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제2 경사배출면, 상기 제2 경사배출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제2 수평배출면 및 상기 제2 수평배출면으로부터 실리콘의 배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원추형의 제3 경사배출면을 연이어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KR2020070011305U 2007-07-10 2007-07-10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KR20044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305U KR200441300Y1 (ko) 2007-07-10 2007-07-10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305U KR200441300Y1 (ko) 2007-07-10 2007-07-10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00Y1 true KR200441300Y1 (ko) 2008-08-05

Family

ID=4164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305U KR200441300Y1 (ko) 2007-07-10 2007-07-10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203B1 (ko) 2016-10-11 2017-09-25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공압용 매스틱 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203B1 (ko) 2016-10-11 2017-09-25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공압용 매스틱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036B2 (en) Elastomeric dispensing container
JP4688880B2 (ja) ペースト状材料供給装置
ATE452834T1 (de) Austragvorrichtung mit verschlussstopfen und verriegelungsring mit bajonett-anschlussmitteln
CA2627548A1 (en) Liquid reservoir, spray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US4739788A (en) Faucet repair kit
US10351307B2 (en) Storage container for caulking tube
EP2361692A1 (en) Nozzle assembly
JP2010207808A (ja) 液体吐出組立体
WO2015029127A1 (ja) スティック糊の容器、スティック糊、リフィル
KR200441300Y1 (ko) 실리콘 건용 노즐의 착탈구조
CN108291685B (zh) 防水快速结合器
GB2483078A (en) A cartridge nozzle which is pliant
KR101475680B1 (ko) 액체 도포구
CN109398886B (zh) 洗发水灌装瓶
TWI644839B (zh) 黏著體之賦予方法及便器用器具
JP5349089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200010814A (ko) 일체형 노즐을 갖는 실리콘건
JP5806051B2 (ja) 注出キャップ
WO2005035375A3 (en) Dispenser apparatus
GB2470207A (en) Flowable-sealant cartridge with flexible nozzle
KR20170025789A (ko) 노즐부가 체결된 실리콘 건
CN201015761Y (zh) 一种刮胶器
JP3161199U (ja) シーリングガン用カートリッジ
JP5077949B2 (ja) 易分別性の複合キャップ
JP3217146U (ja) ノズル・キャッ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