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215Y1 - 착용식 도음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식 도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215Y1
KR200441215Y1 KR2020070000430U KR20070000430U KR200441215Y1 KR 200441215 Y1 KR200441215 Y1 KR 200441215Y1 KR 2020070000430 U KR2020070000430 U KR 2020070000430U KR 20070000430 U KR20070000430 U KR 20070000430U KR 200441215 Y1 KR200441215 Y1 KR 200441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ear
hou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815U (ko
Inventor
얀-루 펭
Original Assignee
얀-루 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루 펭 filed Critical 얀-루 펭
Priority to KR202007000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215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8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식 도음(導音)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와 적어도 하나의 도음관을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 박스의 내부에는 스피커 세트가 실장되고, 상기 스피커 세트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부가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음출구를 갖는 도음관이 외측으로 연장되듯이 스피커 박스의 일측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양 귀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귀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제1 공간에서의 공명에 의해 저음 음질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도음관을 통해 고품질이며 디스토션이 없는 저음의 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이어폰의 단일 음질이나 밀봉식에 따른 압박감, 착용상의 불안전감, 귀와 직접 접촉함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 및 외부 음성이 차단됨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장소나 시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Figure R2020070000430
도음관, 공명, 스피커, 이어폰, 저음

Description

착용식 도음 장치 {WEARABLE SOUND RECEIVER}
도 1은 종래의 MP3 플레이어의 사용 상태 참고도,
도 2A는 종래의 이어폰의 고정 구조의 조립 개념도,
도 2B는 종래의 이어폰의 고정 구조의 작동 개념도,
도 2C는 종래의 이어폰의 사용 상태 개념도,
도 3A는 종래의 이어링식 이어폰의 분해도,
도 3B는 종래의 이어링식 이어폰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입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제1 개념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제2 개념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제3 개념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제4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b : 이어폰
1c : 이어폰
10a : MP3 플레이어
10c : 상부 덮개
11a : 이어폰
11c : 관통공
12a : 전송선
12c : 미세공
2b : 조립 세트
20c : 하부 덮개
21b : 지지부
22b : 삽입홈
23b : 결합부
24b : 결합홈
3b : 고정 부품
30c : 스피커
31b : 고정판
31c : 신호선
32b : 피벗부
33b : 지지판
34b : 탄성 시트
35b : 돌출 시트
36b : 축단
40c : 고정구
2 : 도음 장치
20 :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201 : 제어 스위치
202 : 음성 차단 제어기
203 : 피벗부
204 : 음향 스플리터
205 : 결합 부재
206 : 소리 진동 완충 패드
207 : 돌출부
21 : 스피커 박스
210 : 연신부
211 : 제1 공간
212 : 제2 공간
213 : 돌출부
214 : 음성 반사층
22 : 스피커 세트
23 : 도음관
230 : 음출구
231 : 음성 반사층
24 : 결합 부품
3 : 모자
30 : 전연부
31 : 결합 부재
4 : 본체
40 : 제1 하우징
400 : 제1 공간
401 : 도음관
402 : 음출구
41 : 제2 하우징
410 : 제2 공간
411 : 공명 상자
5 : 스피커
6 : 결합 구조
61 : 실리카겔 부품
62 : 자석
7 : 이어폰 와이어
8 : 자석 결합 부품
9 : 안경
본 고안은 착용식 도음(導音)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 세트가 공명을 발생시키고, 도음관을 통해 음을 가이드하여 사용자의 양 귀로 발사함에 따라 기존의 이어폰을 이용한 음 전달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착용식 도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MP3 플레이어로서, 상기 MP3 플레이어(10a)에는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며 이어폰(11a)이 결합되는데, 상기 이어폰(11a)에는 전송선(12a)이 결합되고, 이 전송선(12a)에 의해 이어폰(11a)은 상기 MP3 플레이어(10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1a)을 귀에 착용하면 MP3 음악을 들을 수 있는데, 상기 이어폰(11a)의 형식으로는 시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올 커버 식이나 귀걸이식, 귀삽입식 혹은 이어 플러그식 등이 사용되나, 상기 이어폰(11a)이 직접 귀와 접촉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사용자의 귀가 압박되어 쾌적함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반하는 불쾌감이 생기게 되고, 또한 직접 양쪽 귀와 접촉하기 때문에 때가 상기 이어폰(11a)에 퇴적되어 위생적이지 못하다. 아울러, 밀봉식으로 인한 압박에 의해 귀에 대한 압박감이 쉽게 발생하고, 또한 외부의 음성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외부의 돌발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반응이나 그 상황에 따른 행동이 지연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어폰(11a)의 음질은 이어폰(11a)의 스피커(도시 안됨)와 MP3 플레이어(10a) 자체의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데, 종래의 이어폰은 스피커를 귀에 넣거나 혹은 귀 근처에 위치시킴에 따라 귀 근처에서 강한 소리를 발생시키나, 귀 근처에서 발생되는 강한 소리가 공간 공명에 의한 공명음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된 음질은 열성 음질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음향 메인 사운드의 음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이어폰(11a)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나 시기에 여러 가지 제한이 있다. 예를 들면, 달릴 때에는 이어폰(11a)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이 자주 발생하며, 자전거 등에 타는 활동시에 이어폰(11a)을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반응이나 그 상황에 따른 행동이 지연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이어폰의 고정 구조로, 이어링 탄성 시트에 의해 귀에 고정되는데, 상기 이어링 탄성 시트는 조립 세트(2b)와 고정 부품(3b)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 세트(2b)는 전방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1b) 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22b)과 후방부에 위치하며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23b)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24b)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품(3b)은 고정판(31b)과 지지판(33b)을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판(31b)의 저단에는 피벗부(32b)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33b)은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탄성 시트(34b)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시트(34b)의 양측에는 돌출 시트(35b)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시트(35b)의 저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축단(36b)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시트(35b)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축단(36b)이 고정판(31b)의 저단에 위치하는 피벗부(32)에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세트(2b)의 삽입홈(22b)에 이어폰(1b)이 실장되고, 결합홈(24b)에 아래에서 위로 고정판(31b)이 끼움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판(33b)과 고정판(31b)의 사이에 사용자의 귓볼을 끼워 넣고, 또한 조립 세트(2b) 내의 이어폰(1b)을 귓구멍에 넣은 후, 지지판(33b)을 접으면 지지판(33b)이 귓볼에 밀착되고, 또한 조립 세트(2b)에 위치하는 고정판(31b)이 귓볼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이어폰(1b)은 귓구멍에 적당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폰 고정 구조는 이어폰(1b)을 조립 세트(2b)의 결합홈(22b)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또한 고정 부품(3b)의 고정판(31b)과 지지판(33b)의 사이에 사용자의 귓볼을 끼워 고정함에 따라 이어폰(1b)이 사용자의 귓구멍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종래의 이어폰 고정 방식은 구조나 조립이 복잡하고, 또한 이어폰(1b)이 사용자의 귓구멍과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기간 상기 이어폰 고정 구조를 사용하여 음악을 듣는 경우에는 사용자 귀의 위생이나 사용감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귀 근처에서 음을 강하게 발생시키는 이어폰으로, 발생된 음질은 일반적으로 열등 음질이며, 또한 발생된 저음은 흩어지기 쉽고 집중시키기 어려우며, 주로 사용자의 귓볼에 끼워 고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음성 이어폰으로는 사용되지만, 스테레오 효과 이어폰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3A와 도 3B는 종래의 이어링식 이어폰으로, 상기 이어폰(1c)은 상부 덮개(10c)와, 하부 덮개(20c)와, 상기 상부 덮개(10c)와 하부 덮개(20c)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스피커(30c)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30c)에는 상부 덮개의 관통공(11c)을 관통하는 신호선(31c)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덮개(10c)의 표면에는 복수의 미세공(12c)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덮개(20c)의 이면에는 귀에 고정되는 고정구(40c)가 설치된다.
종래의 이어폰(1c)은 고정구(40c)에 의해 상부 덮개(10c)와 하부 덮개(20c)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어링으로서 귓볼에 착용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링식 이어폰은 이어링 방식에 따라 이어폰을 사용자의 귓볼에 끼워 고정시키나, 일반적으로 귀 근처에서 음을 강하게 발생시키는 것일 뿐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은 직접 이어폰 주체를 사용자의 귓구멍에 넣기 때문에 귓속과 직접 접촉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에 압박을 가하여 불쾌감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어폰을 귓구멍으로부터 빼야하 므로 지속적으로 음악을 즐길 수 없고, 또한 이어폰을 귓구멍에 넣기 때문에 직접 귓속의 때와 접촉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면 때가 이어폰에 부착됨에 따라 위생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며, 아울러 미국의 연구정보에 따르면 "장기간 이어폰을 귓구멍에 넣고 사용하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바늘로 찌르는듯한 통증이 발생하고, 또한 장기간 귓구멍 속의 때와 접촉하기 때문에 세균에 의해 귀가 감염될 염려가 있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신체가 상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목숨까지 잃을 우려가 있다"고 한다.
또한, 발육기 아동의 경우에는 귓속의 고막이 일반 어른의 고막보다 약하고, 음성에 대한 청각의 민감도가 비교적 강하며, 음을 식별하는 능력이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발육기 아동이 스테레오 효과 이어폰을 착용하면 스테레오 효과 이어폰이 귀의 외이도(外耳道)를 밀봉하기 때문에 이어폰에서 발생되는 음이 직접 고막으로 전달되고, 음의 음압이 직접 청각을 자극함에 따라 장시간 스테레오 효과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아동의 청력이 퇴화되고, 또한 청각의 민감도도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아울러, 이어폰을 귓속에 넣으면 귀가 밀봉되기 때문에 외부의 음이 차단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의 돌발 상황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반응이나 그 상황에 따른 행동이 지연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귓구멍에 넣지 않고 사용자의 귓볼에 고정되는 종래의 이어폰은 귀 근처에서 음을 강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그 음질은 열등할 뿐만 아니라 저음은 분산되기 쉽워 이를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좋은 음질을 갖는 스테레오 효과의 음악을 즐길 수 없다.
본 고안자는 상기된 여러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업계 경험을 바탕으로 관찰,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또한 학문적 원리를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유효하게 상기의 여러 결점을 개선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어폰이 저음 음향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을 해소하며, 또한 음량을 집중시켜 소정 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음성의 발산을 방지하여 음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착용식 도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을 집중시켜 사용자의 양 귀로 발사함으로써 충분한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또한 주위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며, 아울러종래의 이어폰이 직접 사용자의 양 귀와 접촉함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밀봉식에 따른 압박감과 직접 접촉함에 따른 위생 문제 및 외부 음성이 차단됨에 따른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착용식 도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로부터 연장된 도음관을 통해 본체 내부의 제1 공간과 스피커에 의해 형성된 공명음을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는 착용식 도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에서 공명하지 않고서도 저음 공명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음 장치를 사용자의 귓구멍에 넣지 않기 때문에 고품질이며 디스토션이 없는 공명음을 누릴 수 있고, 아울러 사용시 밀봉감이 없어 반응의 지연이나 청력 피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누는 스피커 세트가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와, 상기 스피커 박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음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과 이 제1 하우징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와, 스피커와, 결합 구조를 포함하되, 제1 하우징은 제1 공간과 제1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도음관을 포함하며, 상기 도음관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는 음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제2 공간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상기 제1 공간 근처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 구조는 도음관이 사용자의 귀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제1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가 상기 제1 공간에서 공명음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도음관을 통해 공명음이 도음관의 음출구로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귀에서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서도 저음 효과가 유지되는 착용식 도음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이나 수단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이나 실시예 등은 설명이나 참고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21) 및 적어도 하나의 도음관(23)이 포함된 착용식 도음 장치(2)를 제공한다.
도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는 편평형이며, MP3 음악이나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AM) 혹은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방송 채널을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된 외형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는 원호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각종 형태이어도 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에는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201)가 설치된다. 또한, 제어 스위치(201)를 도음관(23)에도 설치하여(도시안됨), 도음관(23) 내의 도음 시스템{예를 들면, 스피커 세트(22)임}을 제어하여도 된다. 아울러, 상기 스피커 박스(21)는 직사각형이나 원호형 등으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의 양측에는 각각 2개의 스피커 박스(21)가 결합되며, 각 스피커 박스(21)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에 가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각 스피커 박스(21)의 일측에는 2개의 연신부(210)가 형성되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의 양측에는 각각 피벗부(203)가 형성되는데, 각 연신부(210)는 피벗축에 의해 각각 피벗부(203)에 가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스피커 박스(21)의 내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각각 고음과 중음 및 저음을 제공하는 스피커 세트(22)가 실장되는데, 상기 스피커 세트(22)는 스피커 박스(21)의 내부를 제1 공간(211)과 제2 공간(212)으로 나누고, 각 스피커 박스(21)의 제2 공간(212)의 내벽에는 음성 반사층(214), 예를 들면 세라믹층이나 금속층 혹은 흡음면 등이 형성되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에는 2개의 음성 차단 제어기(202)가 설치되는데, 각 음성 차단 제어기(202)는 각 스피커 세트(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양측에 위치하는 스피커 세트(22)의 음성 출력을 개폐 제어한다. 또한, 각 음성 차단 제어기(202)를 각 스피커 박스(21)의 적정 위치에 설치하여(도시안됨), 각 스피커 세트(22)의 음성 출력을 개폐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각 스피커 박스(21)의 타측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13)가 설치되며, 각 돌출부(213)의 직경은 사용되는 스피커 세트(22)의 크기와 동일하고, 각 도음관(23)이 상기 돌출부(213)에 각각 접속되는데, 상기 도음관(23)은 외측으로 연장된 만곡형을 이루며, 또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도음관(23)의 직경이 축소되고, 아울러 각 도음관(23)이 가동적으로 각 돌출부(213)에 접속됨에 따라 도음관(23)의 길이의 신축이나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의 내부에는 음향 스플리터(204)가 설치되며 각 스피커(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각 스피커(22)의 음향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음관(23)의 내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에 음출구(230)가 형성되는데, 각 음출구(230)는 원호형으로 설계되고, 각 도음관(23)의 내벽에는 예를 들면 세라믹층이나 금속층 혹은 흡음면 등의 음성 반사층(231)이 형성된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와 스피커 박스(21)는 전송선(도시안됨)에 의해 결합되고, 또한 전송선에 의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와 스피커 세트(22)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와 스피커 박스(21)는 서로 분리되며 양자가 붙어있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가 모자(3)에 설치되는데, 모자(3)의 전연부(30)에 결합 부재(31)(예를 들면 자석이나 매직 테이프 등의 분리 가능한 연결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에 또한 하나의 결합 부재(205)가 실장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의 결합 부재(205)가 상기 모자(3)의 결합 부재(3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에는 소리 진동 완충 패드(206)가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모자(3)를 착용하면 도음관(23)이 사용자의 귀의 전연에 대응됨에 따라 서라운드 효과가 얻어진다. 아울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를 모자(3)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되며, 또한 전송선 연결방식을 통해 도음관(23)이 사용자의 귀에 대하여 직접 음을 발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0)로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에 스피커 세트(22)는 음을 재생하고, 재생된 음을 스피커 박스(21) 내의 음성 반사층(214)과 스피커 박스(21) 내의 제1 공간(211)을 통해 제2 공간(212)으로 공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라운드 효과가 실현되며, 또한 도음관(23)을 통해 음을 집중시켜 음출구(230)로 가이드하고 서라운드 방식으로 직접 사용자의 귀로 발사하며, 아울러 도음관(23) 내의 음성 반사층(231)이 음의 발산을 방지하기 때문에 음향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음관(23) 설계를 통해 주위에 폐를 끼치지 않으며, 아울러 소리 진동 완충 패드(206)를 통해 스피커 세트(22)가 진동함으로 인한 사용자의 착용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착용식 도음 장치의 제2 실시예로, 본 체(4)와 스피커(5) 및 제1 하우징(4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결합 구조(6)가 포함된다.
본체(4)는 제1 하우징(40)과 이 제1 하우징(40)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4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하우징(40)과 제2 하우징(41)은 결합 방식에 따라 조립되고{또는, 제1 하우징(40)과 제2 하우징(41)이 일체로 성형됨}, 상기 제1 하우징(40)은 제1 공간(400)과 제1 하우징(4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도음관(401)을 포함되며, 상기 제2 하우징(41)은 제2 공간(41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5)는 제1 공간(400)에 근접하도록 제1 하우징(40)과 제2 하우징(41)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스피커(5)는 제1 공간(400)에서 공명음을 형성하고, 또한 도음관(401)을 통해 공명음을 도음관(401)의 음출구(40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공간(400)과 스피커(5)를 이용하여 청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하에서 고음질이며 디스토션이 없는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1)의 제2 공간(410)에 공명 상자(411)가 수압되어 있음에 따라 스피커(5)로 제1 공간(400)을 통해 공명음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스피커(5)와 공명 상자(411)에 의해 형성된 공진 음질을 누릴 수 있다.
결합 구조(6)는 실리카겔 부품(61)과 실리카겔 부품(61)에 설치된 자석(6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합 구조(6)의 실리카겔 부품(61)의 탄성과 자석(62)의 흡인력에 의해 본체(4)는 탄성적으로 사용자의 귀에 고정된다.
또한, 자석(62)은 본체(4)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귀의 경혈을 자극하여 신체 건강을 유익하게 한다. 아울러, 도음관(401)의 음출구(402)가 귓구멍을 향하게 설치되므로, 스피커(5)가 제1 공간(400)에서 형성한 공명음은 상기 도음관(401)의 음출구(402)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체(4)를 귓속에 직접 넣지 않으므로 귓구멍과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쾌감이나 밀봉감이 없다. 또한, 음출구(402)의 형상은 원호형이나 직사각형 혹은 원형 등으로 형성 가능한데, 이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결합 구조(6)를 피혁 부품과 피혁 부품에 설치된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피혁 부품의 인성으로 사용자는 걸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개인의 기호에 따라 거는 방식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스피커(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어폰 와이어(7), 이 이어폰 와이어(7)에 설치되는 자석 결합 부품(8)(도 10과 같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자석 결합 부품(8)의 자석 흡인 작용{자석 결합 부품(8)의 흡인력에 의해 이어폰 와이어(7)가 이어링형이 된다}에 의해 사용자는 이어폰 와이어(7)를 몸(예를 들면, 목 부분에 착용)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체(4)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 본체(4)를 어깨에 걸치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즉, 사용시에는 편리하고 또한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자석 결합 부품(8)에 의해 이어폰 와이어(7)를 사용자의 몸에 걸 수도 있다.
또한, 이어폰 와이어(7)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에는 자석 결합 부품(8)이 외력에 의해 인장되어 자동적으로 분리되고, 이에 따라 몸에 걸쳐진 이어폰 와이어(7)가 인장됨에 따라 인체가 당겨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서로 다른 사용 상태로, 도 11 과 도 12는 결합 부품(24)이 각각 귀에 끼워지거나 귀걸이 형식을 갖는데, 스피커(22)는 결합 부품(24)에 의해 사용자 귀의 상부(예를 들면, 귓바퀴) 혹은 하부(예를 들면, 귓볼)에 착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양 귀에 본 고안의 도음 장치를 착용할 수 있고, 또한 도음관(23)이 사용자의 양 귀의 외이도에 대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귓구멍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스피커(22)를 착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스피커 세트(22)가 도음관(23)을 통해 고품질이며 디스토션이 없는 음향 을 발사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품(24)은 미끄럼 방지 훅이나 결합링의 형태를 갖는데, 사용자는 도음관(23)이 사용자의 양 귀의 외이도에 대응하도록 결합 부품(24)을 안경 프레임(9)의 적정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이 또한 스피커(22)가 직접 사용자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스피커 세트(22)는 도음관(23)을 통해 고품질이며 디스토션이 없는 음향을 발사할 수 있으며, 아울러 양 귀에 이어폰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스피커 박스(21)의 내부에 제1 공간(211)과 제2 공간(212)을 나누는 스피커 세트(22)를 실장하고, 제2 공간(212)의 내벽에는 음성 반사층(214)을 설치함에 따라 스피커 세트(22)로 음향 효과인 공명과 음장을 집중시키는 서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이어폰의 저음 음향 효과가 부족하다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음관(23)을 통해 음량을 집중시켜 소정 방향으로 가이드함에 따라 음의 발산을 방지하여 음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도음관(23) 내에 스피커 세트(22)를 실장하여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여 도 된다. 또한, 음을 집중시켜 서라운드 방식으로 사용자의 양 귀로 발사함에 따라 충분한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주위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음관(23)은 직접 사용자의 양 귀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상의 불안전감이나 밀봉으로 인한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위생 문제나 외부 음성을 차단함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소나 시기에 제한이 없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스피커 박스(21)에 스피커 세트(22)를 실장함에 따라 고, 중, 저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스피커 박스(21)가 각각의 도음관(23)을 통해 음악을 출력할 수 있고, 또한 5.1이나 7.1 음향 채널 이어폰에 적용하면 기존의 이어폰이 서라운드 음향 효과를 내기 어렵던 문제(스피커가 이어폰의 이어 인클로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를 해소할 수 있으며, 도음관(23)을 통해 음을 이어폰의 인클로저 내로 가이드함에 따라 이어 인클로저를 예를 들면, 거실 공간에 모의(模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음에 따라 예를 들면, 모자(3)에 결합하여 두부 착용식 음향 설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큰 면적으로 귀에 음을 발사함에 따라 스테레오와 같은 음향 효과가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 공간에서 여가 활동을 수행할 때 안정적으로 음향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인식으로 설계되어 있음에 따라 예를 들면, 결합 부품(24)에 결합하여 귀에 끼거나 귀걸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양 귀와 접촉하지 않으며 도음관(23)이 사용자의 외이도로 음을 발사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음성과 융합할 수 있다. 음량이나 음향 효과가 종래의 이어폰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서 공명하는 반면에 스피커 세트(22)의 제2 공간을 이용하여 공명시킴에 따라 음의 저음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착용할 수 있으며, 전화가 걸려왔을 때에는 블루투스나 마이크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이어폰이 갖고 있는 저음 음향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음량을 집중시켜 소정 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음성의 발산을 방지하여 음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어폰이 직접 사용자의 양 귀와 접촉함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밀봉식에 따른 압박감과 위생 문제 및 외부 음성이 차단됨에 따른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귀에서 공명하지 않고서도 저음 공명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음 장치를 사용자의 귓구멍에 넣지 않기 때문에 고품질이며 디스토션이 없는 공명음을 누릴 수 있고, 아울러 사용시 밀봉감이 없어 반응의 지연이나 청력 피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나 명세서 내용에 따라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간단히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으나, 동등한 변경이나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3)

  1.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누는 스피커 세트가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음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도음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는 귀에 끼워지는 결합부나 귀걸이, 미끄럼 방지 훅 또는 결합링인 결합 부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도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박스를 통해 상기 스피커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상기 스피커 세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음성 차단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도음 장치.
  3.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공간과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도음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응되며 제2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도음관을 사용자의 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피혁 부품이나 실리카겔 부품과, 이 피혁 부품이나 실리카겔 부품에 설치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결합 구조와,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어폰 와이어와,
    상기 이어폰 와이어에 설치되는 자석 결합 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가 상기 제1 공간에서 공명음을 형성하고, 상기 도음관을 통해 공명음을 상기 도음관의 음출구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도음 장치.
KR2020070000430U 2006-01-10 2007-01-10 착용식 도음 장치 KR200441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430U KR200441215Y1 (ko) 2006-01-10 2007-01-10 착용식 도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00896 2006-01-10
KR2020070000430U KR200441215Y1 (ko) 2006-01-10 2007-01-10 착용식 도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15U KR20070000815U (ko) 2007-07-18
KR200441215Y1 true KR200441215Y1 (ko) 2008-07-30

Family

ID=4163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430U KR200441215Y1 (ko) 2006-01-10 2007-01-10 착용식 도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2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15U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3627B1 (en)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US821363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ar speaker device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JP2007189673A (ja) 着用式導音装置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US20070165899A1 (en) Audio headphone
JP2001320790A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受話装置
JP2017522801A (ja) 骨伝導スピーカーモジュール及び骨伝導スピーカーモジュールを備えた骨伝導イヤホン
JPH0319599A (ja) ヘッドホン
JP2003264882A (ja) イヤホン装置
KR102482897B1 (ko) 청음 장치
RU201014613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JP4952223B2 (ja) イヤースピーカ装置
TW201127094A (en) Earphone
JP6246949B2 (ja) イアバッド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補聴器並びにイヤホン
KR100807787B1 (ko) 진동 스피커가 구비된 산모용 복대
KR20110010033A (ko) 골전도(骨傳導) 이어폰
KR200441215Y1 (ko) 착용식 도음 장치
JP2009027675A (ja) イヤホンアタッチメント
JP2007235919A (ja) イヤースピーカ装置及び眼鏡型映像表示装置
CN111988696A (zh) 耳机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WO2024090030A1 (ja) 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KR20050112326A (ko) 이어헤드폰
JP3187151U (ja) 対話聴力補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