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210Y1 -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210Y1
KR200441210Y1 KR2020080001407U KR20080001407U KR200441210Y1 KR 200441210 Y1 KR200441210 Y1 KR 200441210Y1 KR 2020080001407 U KR2020080001407 U KR 2020080001407U KR 20080001407 U KR20080001407 U KR 20080001407U KR 200441210 Y1 KR200441210 Y1 KR 200441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tting knife
cutting
blad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에바다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다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에바다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2020080001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2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 절단칼(4); 절단칼(4)을 직립한 상태로 상기 하부플레이트(2) 상에 돌출 고정하기 위한 날지지판(6); 프레스장치에 의해 상기 절단칼(4) 위에서 상하방향으로 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4); 상기 상부플레이트(24) 저면에 상기 절단칼(4)을 포함하는 범위로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칼(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판(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단, 절단, 커팅, 판재, 합성수지 폼, 칼날

Description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plate shaped plastic foam}
본 고안은 합성수지 폼(foam)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종이, 합성수지로 된 판재를 정해진 형태로 절단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된 판재 형태의 모재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망하는 형태로 재단하기 위한 절단장치의 개략적 측면 구성이 도 2에 도시된다. 모재의 크기는 실로 다양하다. 예를 들면 두께는 10~30mm, 길이는 1000mm가 넘을 수도 있다. 소재의 강도가 그리 높지는 않기 때문에 통상의 칼날에 의해서도 절단될 수 있다. 재단된 판재(P)는 차량용 내장재, 샌드위치 패널 등의 건축 내장재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된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모재(M)가 얹히고, 유압실린더(100)의 승하강에 의해 힌지점(1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작동봉(104)을 승하강시키는 회동레버(106)와, 작동봉(104)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플레이트(108)의 저면에 고정 부착되는 절단칼(110)이 포함된다. 절단칼(110)은 날이 직하방향을 향해 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108)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모재(M)와 하부플레이트(112)의 사이에는 절단칼(110)이 금속으로 된 하부플레이트(112) 상면에 직접 닿지 못하도록 목재 등으로 된 완충판(114)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회동레버(106)와 작동봉(104)은 유압실린더(10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힘이 상부플레이트(108)의 양단에 전달되게 된다. 종래의 절단장치에 의하면, 오랜 사용시 힘의 모멘트에 의해 1점쇄선(L)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08)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휘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절단칼이 상부플레이트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운데 부분은 모재를 미처 절단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생기게 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08)가 일체형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수평을 맞추기가 힘들어 편향되는 경향이 있었음은 물론, 특수한 사용목적에 따라 절단칼(110)의 수평을 조정하기가 곤란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형태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모재를 완전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절단칼의 부분적 마모에 대처할 수 있으며, 특수 상황에 부합하도록 절단칼이 부착된 플레이트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 내지는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구체적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절단칼; 날이 위를 향하게끔 상기 절단칼을 직립한 상태로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에 돌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는 날지지판; 프레스장치에 의해 상기 절단칼 위에서 상하방향으로 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저면에 상기 절단칼을 포함하는 범위로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날지지판 위로 돌출된 절단칼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날지지판 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쿠션재질에 의한 보호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수직 상하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위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으로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 각 모서리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 각 모서리에 상기 가이드봉과 부합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에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는 가이드원통; 상기 가이드봉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코일스프링과 원통 형태의 부시베어링; 상기 부시베어링의 상부에 안착되고 중앙에 볼트공이 타공된 마감캡; 상기 마감캡의 볼트공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봉과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가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절단칼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에 설치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형태 변형이 생기지 않게 하며, 프레스장치에 의해 승하강되는 상부플레이트가 프레스장치에 중심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므로 상부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큰 모멘트가 생기지 않게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전용 절단장치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기존에 산업현장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프레스장치를 개조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작업장의 공간활용에 크게 이바지하게 된다. 절단장치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몇가지 구성요소만을 제거함으로써 다시금 프레스장치로 전환하여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절단칼, 절단칼지지판, 완충패드의 관계를 도시하는 절단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가이드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수단의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이하, '절단장치'라 한다)는 합성수지 이외에 다양한 소재를 절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프레스 장치에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2)가 작업자의 허리높이로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다. 주문자가 요청하는 규격(또는 형태)대로 판재로 된 합성수지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4)이 준비된다. 절단칼(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선형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직선 또는 곡선 등 형태는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절단칼(4)은 일체로 된 상태에서 절곡함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여러 개를 이어 붙임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날지지판(6)은 절단칼(4)을 직립한 상태로 하부플레이트(2)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 또는 합성수지가 적합하며 하부플레이트(2)의 상면에 고정된다. 절단칼(4)은 그의 날(4a)이 직상방향을 향하도록 날지지판(6)에 설치된다. 절단칼(4)은 날지지판(6)의 칼날끼움홈(8)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게 된다.
날지지판의 칼날끼움홈(8)은 절단칼(4)의 평면 형태에 부합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날지지판(6)은 여러 개의 고정용 지그(10, jig)에 의해 하부플레이트(2)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10)는 장공(12)이 타공된 길이조정판(14)과 길이조정판(14)의 선단에 직각방향으로 용접된 밀판(16); 장공(12)에 끼워져 하부 플레이트(2)에 결합하는 고정볼트(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그(100)는 통상 하부플레이트(2)의 4개의 면에 각각 설치된다.
날지지판(6) 상면에는 날지지판(6) 위로 돌출된 절단칼(4)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패드(20)가 안착된다. 보호패드(20)는 PP, PE,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절단칼(4)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선택된다. 또한 보호패드(20)는 상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쿠션재질이어야 한다. 보호패드(20)는 초기 사용시 절단칼(4)의 형상대로 절개될 것이며,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소모품이다.
또한 하부플레이트(2)와 날지지판(6) 사이에는 금속 재질을 가지는 일정한 두께의 덧판(22)이 하부플레이트(2)를 절단칼(4)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덧대어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덧판(22)은 볼트수단 등에 의해 하부플레이트(2) 상에 고정된다. 이로써 하부플레이트(2)는 직접적으로 절단칼(4)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덧판(22)은 하부플레이트(2)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정비하기가 용이하여 절단칼(4)의 수평도를 보정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부플레이트(24)는 절단칼(4) 위에서 상하방향으로 기동가능하게끔 통상의 프레스장치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 프레스장치를 합성수지 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로 이용하는 것과 이 과정에서 구성의 변형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는 발상의 전환으로서 종래 전용절단장치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프레스장치(26)는 상부플레이트(24)를 상하방향으로 기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프레스장치(26)는 종래의 금속소재 가공용 프레스장치와 동일한 것이다.
완충판(114)은 절단칼(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플레이트(24) 저면에 고정 부착된다. 완충판(114)의 면적은 절단칼(4)을 포함하는 정도가 되어야 하며 절단칼(4)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두께 10mm 이상의 합성수지 판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부플레이트(24)의 수직 상하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수단(30)이 상부플레이트(24)와 하부플레이트(2)의 각 모서리부위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수단(30)은, 하부플레이트(2)의 상면 각 모서리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32); 상부플레이트(24)의 저면 각 모서리에 가이드봉(32)과 부합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봉(32)의 외주에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는 가이드원통(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봉(32)에는 코일스프링(36)과 원통 형태의 부시베어링(38)이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중앙에 볼트공(40)이 타공된 마감캡(42)이 부시베어링(38)의 상부에 안착되고; 조정볼트(44)가 마감캡(42)의 볼트공(40)에 끼워져 가이드봉(32)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부시베어링(38)은 원주벽을 따라 다수의 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공지의 사항이다. 상부플레이트(24)에는 조정볼트(44)가 관통될 수 있는 조정볼트관통공(48)이 수직방향으로 타공되어 있다.
가이드수단(30)에 의해 상부플레이트(24)는 직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모재가 절단되도록 한다. 또한 모재(M)가 절단되기 시작한 때 또는 그 즈음부터 상부플레이트(24)는 코일스프링(36)에 의해 상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받게 된다.
도 6은 상부플레이트(24)가 완전히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는 동작상태에 있어서 상부플레이트(24)가 상사점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b)는 상부플레이트(24)가 하강하여 모재(M)를 절단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다. 코일스프링(36)의 압축이 시작되며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7(c)는 절단이 완료된 상태로서 상부플레이트(24)가 하사점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정볼트(44)와 가이드봉(32)의 나사결합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24)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조정볼트(44)를 이완시키게 되면 그 조정볼트(44)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플레이트(24)와 마감캡(42)이 먼저 닿게 되므로, 상부플레이트(24)의 하강은 순간적으로 저지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상부플레이트(24)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하부플레이트(2)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4개의 조정볼트(44)를 개별적으로 높이 조정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24)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절단 가공된 합성수지 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개략적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절단칼, 절단칼지지판, 완충패드의 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가이드수단의 분해 사시도(단면도)이며, 도 6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의 가이드수단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하부플레이트 4 ; 절단칼
6 ; 날지지판 8 ; 칼날끼움홈
10 ; 지그(jig) 20 ; 보호패드
22 ; 덧판 24 ; 상부플레이트
26 ; 프레스장치 28 ; 완충판
30 ; 가이드수단 32 ; 가이드봉
34 ; 가이드원통 M ; 모재

Claims (4)

  1. 삭제
  2. 수평하게 고정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 절단칼(4); 날이 위를 향하게끔 상기 절단칼(4)을 직립한 상태로 상기 하부플레이트(2) 상에 돌출 고정하기 위한 칼날끼움홈(8)을 가지며 상기 하부플레이트(2) 상면에 고정되는 날지지판(6); 프레스장치에 의해 상기 절단칼(4) 위에서 상하방향으로 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4); 상기 상부플레이트(24) 저면에 상기 절단칼(4)을 포함하는 범위로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칼(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판(28)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24)의 수직 상하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상부플레이트(24)와 하부플레이트(2)의 각 모서리부위 설치되는 가이드수단(30)으로서,
    상기 하부플레이트(2)의 상면 각 모서리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32); 상기 상부플레이트(24)의 저면 각 모서리에 상기 가이드봉(32)과 부합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봉(32)의 외주에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는 가이드원통(34); 상기 가이드봉(32)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코일스프링(36)과 원통 형태의 부시베어링(38); 상기 부시베어링(38)의 상부에 안착되고 중앙에 볼트공(40)이 타공된 마감캡(42); 상기 마감캡(42)의 볼트공(40)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봉(32)과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4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지지판(6) 위로 돌출된 상기 절단칼(4)의 휨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날지지판(6) 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쿠션재질에 의한 보호패드(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2)를 절단칼(4)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금속 재질을 가지는 일정한 두께의 덧판(22)이 상기 하부플레이트(2)와 상기 날지지판(6) 사이에 덧대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KR2020080001407U 2008-01-30 2008-01-30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KR200441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07U KR200441210Y1 (ko) 2008-01-30 2008-01-30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07U KR200441210Y1 (ko) 2008-01-30 2008-01-30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210Y1 true KR200441210Y1 (ko) 2008-07-31

Family

ID=4163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07U KR200441210Y1 (ko) 2008-01-30 2008-01-30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21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060B1 (ko) * 2009-12-09 2012-12-07 이규천 파우치 제조장치
KR20170013014A (ko) * 2015-07-27 2017-02-06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프리프레그 절단장치
KR101774870B1 (ko) * 2016-09-30 2017-09-05 (주)자이디 폼 패드 절단장치
CN110834363A (zh) * 2019-11-13 2020-02-25 台州学院 一种泡沫机翼加工用切割装置及其应用的加工工艺
KR20220036121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나노인터페이스 테크놀로지 가스켓 컷팅 장치
CN115256662A (zh) * 2022-07-30 2022-11-01 泉州宏惠石业有限公司 防噪音石碑切割棚
CN115256662B (zh) * 2022-07-30 2024-06-07 泉州宏惠石业有限公司 防噪音石碑切割棚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060B1 (ko) * 2009-12-09 2012-12-07 이규천 파우치 제조장치
KR20170013014A (ko) * 2015-07-27 2017-02-06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프리프레그 절단장치
KR101709479B1 (ko) 2015-07-27 2017-02-24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프리프레그 절단장치
KR101774870B1 (ko) * 2016-09-30 2017-09-05 (주)자이디 폼 패드 절단장치
CN110834363A (zh) * 2019-11-13 2020-02-25 台州学院 一种泡沫机翼加工用切割装置及其应用的加工工艺
KR20220036121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나노인터페이스 테크놀로지 가스켓 컷팅 장치
KR102417109B1 (ko) * 2020-09-15 2022-07-05 주식회사 나노인터페이스 테크놀로지 가스켓 컷팅 장치
CN115256662A (zh) * 2022-07-30 2022-11-01 泉州宏惠石业有限公司 防噪音石碑切割棚
CN115256662B (zh) * 2022-07-30 2024-06-07 泉州宏惠石业有限公司 防噪音石碑切割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210Y1 (ko) 합성수지 폼 절단장치
US8739667B2 (en) Rotary cutting apparatus with vibration attenuation means
US9003939B2 (en) Rotary cutting apparatus with vibration attenuation means
CN210439679U (zh) 一种建筑工程用模板支撑梁装置
KR20120076405A (ko) 드릴 가공물을 고정하는 프레스 장치
KR200479122Y1 (ko) 파이프 회전지지 장치
JP2022050858A (ja) 伸縮支柱型茶葉揉捻機
KR20140000824U (ko) 샤링기
CN108870008A (zh) 一种建筑施工用可调支架
CN206276788U (zh) 分离式铆刀机构
CN211347757U (zh) 一种道路桥梁混凝土检测装置
CN210358682U (zh) 用于卷板机的水平卸料装置
CN209256107U (zh) 一种便于针对球形物体切割的激光切割设备
US20220379518A1 (en) Hydraulic log splitter
CN202010902U (zh) 一种车架座圈专用夹具
CN202683689U (zh) 一种带平衡机构的卷板机
CN210368424U (zh) 一种标签面料切割设备
CN205668331U (zh) 可调锯片位置的切割机
EP1916172B1 (en) Moving carriage for a machine
KR101715370B1 (ko) 싱크 보울 용접부 평활화 장치
CN105750684B (zh) 一种气缸驱动式火焰切割机装夹装置
CN216632755U (zh) 一种便于维护的合页铰链加工用剪板机
CN220281854U (zh) 一种带有定时功能的发酵乳灌装机接纸台
KR101797077B1 (ko) 패킹헤드 분해용 지그
CN210683763U (zh) 一种微生物检测用振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