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105Y1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105Y1
KR200441105Y1 KR2020060027633U KR20060027633U KR200441105Y1 KR 200441105 Y1 KR200441105 Y1 KR 200441105Y1 KR 2020060027633 U KR2020060027633 U KR 2020060027633U KR 20060027633 U KR20060027633 U KR 20060027633U KR 200441105 Y1 KR200441105 Y1 KR 200441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button
present
pres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438U (ko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김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섭 filed Critical 김용섭
Priority to KR2020060027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10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콘센트로부터 인출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콘센트의 전기단자와 단자가 접속되어 전기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콘센트로부터 인출을 위해 파지되는 몸체 양측에 부분 노출되면서 인서트 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수평 가압력을 수직 가압력으로 전환하여 몸체의 하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콘센트 상부면에 대해 반발하는 작동핀; 상기 버튼에 의해 몸체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핀을 원위치로 탄발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센트에 접속된 플러그의 몸체 양측에 노출된 버튼을 누르면서 플러그를 잡아당기면, 버튼의 가압에 의해 단부가 눌리면서 작동핀이 플러그 몸체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되면, 작동핀이 콘센트의 상부면(플러그의 하방과 접하는 면)에 대해 반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들리면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플러그를 인출시킬 수 있으며, 콘센트에 손을 대지 않고도 플러그를 인출시킬 수 있는 플러그의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PLUG}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정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평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인출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기 플러그 11 : 단자
12 : 몸체 13 : 버튼
14 : 작동핀 14a : 캠부
14b : 환턱 1 : 콘센트
2 : 전기단자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로부터 인출이 용이한 전기기기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와 접속되어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종래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로부터 인출이 힘이 들었다.
이와 같이 콘센트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 플러그를 빼기위해서는 손가락에 많은 힘이 가해져 통증을 느끼게 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 전선을 잡고 뽑는 일이 허다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선을 잡고 뽑을 경우, 반복되면 전선이 끊어져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였으며, 접촉 불량으로 전기기기에 전원이 불규칙하게 공급되어, 전기기기의 불안정한 동작을 일으키기도 하며, 심한 경우 전기적인 쇼크를 주어 전기기기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센트로부터 인출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콘센트의 전기단자와 단자가 접속되어 전기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콘센트로부터 인출을 위해 파지되는 몸체 양측에 부분 노출되면서 인서트 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수평 가압력을 수직 가압력으로 전환하여 몸체의 하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콘센트 상부면에 대해 반발하는 작동핀; 상기 버튼에 의해 몸체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핀을 원위치로 탄발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센트에 접속된 플러그의 몸체 양측에 노출된 버튼을 누르면서 플러그를 잡아당기면, 버튼의 가압에 의해 단부가 눌리면서 작동핀이 플러그 몸체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되면, 작동핀이 콘센트의 상부면(플러그의 하방과 접하는 면)에 대해 반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들리면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설명에 참고가 되는 도면으로, 도 1을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정 단면도로, 도 2를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평 단면도로, 도 3을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로, 도 4의 a) 내지 c)를 본 고안의 인출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5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시하며,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전기 플러그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의 전기단자(2)와 단자(11)가 접속되어 전기기기의 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10)에 있어서, 콘센트(1)로부터 인출을 위해 손가락이 파지되는 몸체(12) 양측 에 부분 노출되면서 인서트 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하는 버튼(13); 상기 버튼(13)의 수평 가압력을 수직 가압력으로 전환하여 몸체(12)의 하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콘센트(1) 상부면에 대해 반발하는 작동핀(14); 상기 버튼(13)에 의해 몸체(12)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핀(14)을 원위치로 탄발시키는 스프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 중 전술한 상기 버튼(13)은 예컨대, 몸체(12)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파지면이 내측으로 하향 만곡진 형태이며, 몸체 내측에 인서트 된 단부면 역시 하향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파지면은 손가락이 파지될 경우, 걸림턱을 제공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단부면의 경사진 부분은 상기 작동핀(14)의 단부를 쉽게 하향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중 전술한 작동핀(14)은 예컨대, 상기 몸체(12)의 내측에 인서트 된 핀으로서, 상기 버튼(13)과 접하는 단부면이 경사져서 형성된 캠부(14a); 상기 몸체(12)의 단턱(12a) 사이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하는 면을 제공하는 환턱(14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버튼(13)이 눌려져서 가해지는 압력이 작동핀(14)의 캠부(14a)에 전달되고, 그리되면, 버튼(13)의 경사면에 대해 캠부(14a)의 경사면이 눌려지게 되어 작동핀(14)이 몸체(12)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과정에서 상기 몸체(12) 하방으로 돌출되는 작동핀(14)이 콘센트(1)의 상 부면을 밀면서 반발하여 플러그(10)가 콘센트(1)로부터 들리면서 인출되도록 한다.
또 한편, 본 고안 중 전술한 스프링(15)은 예컨대, 몸체(12)의 하방 내측에 형성된 단턱(12a)과 작동핀(14)의 환턱(14b)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스프링(15)은 상기 작동핀(14)이 버튼(13)에 의해 눌려져 하강하면, 환턱(14b)과 몸체(12)의 단턱(12a) 사이에서 압축되었다가, 버튼(13)이 가압력이 해제되면, 자체 탄발력으로 환턱(14b)을 밀어 작동핀(14)을 상승 원위치 시킨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을 종합하여 보면, 첨부 도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콘센트(1)에 플러그(10)가 접속되면, 탄성력을 갖는 콘센트(1)의 전기단자(2)가 플러그(10)의 단자(11)를 가압하여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에 접속된 전기 플러그(10)의 몸체(12) 양측에 노출된 버튼(13)을 누르면서 플러그(10)를 잡아당기면, 버튼(13)의 가압에 의해 단부가 눌리면서 작동핀(14)이 플러그 몸체 하방으로 돌출되고, 그리되면, 작동핀이 콘센트의 상부면(플러그의 하방과 접하는 면)에 대해 반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들리면서 콘센트(1)의 전기단자(2)와 플러그(10)의 단자(11)를 접속 해제시킨다.
그리하면, 콘센트(1)의 전기단자(2)의 압착력이 플러그(10)의 단자(11)에 작용하지 않아 첨부 도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콘센트(1)로부터 플러그(1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플러그일 경우, 몸체(12) 양측에 대칭으로 버튼(13)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핀(14)과 스프링(15)을 마련하여, 용이한 인출을 유도 할 수 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플러그를 인출시킬 수 있으며, 콘센트에 손을 대지 않고도 플러그를 인출시킬 수 있는 플러그의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Claims (3)

  1. 콘센트(1)의 전기단자(2)와 단자(11)가 접속되어 전기기기의 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10)에 있어서, 콘센트(1)로부터 인출을 위해 손가락이 파지되는 몸체(12) 양측에 부분 노출되면서 인서트 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하는 버튼(13); 상기 버튼(13)의 수평 가압력을 수직 가압력으로 전환하여 몸체(12)의 하방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콘센트(1) 상부면에 대해 반발하는 작동핀(14); 상기 버튼(13)에 의해 몸체(12)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핀(14)을 원위치로 탄발시키는 스프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3)은 몸체(12)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파지면이 내측으로 하향 만곡지고, 몸체 내측에 인서트 된 단부면 역시 하향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14)은 상기 몸체(12)의 내측에 인서트 된 핀으로서, 상기 버튼(13)과 접하는 단부면이 경사져서 형성된 캠부(14a); 상기 몸체(12)의 단턱(12a) 사이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하는 면을 제공하는 환턱(14b)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KR2020060027633U 2006-10-09 2006-10-09 전기 플러그 KR200441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633U KR200441105Y1 (ko) 2006-10-09 2006-10-09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633U KR200441105Y1 (ko) 2006-10-09 2006-10-09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38U KR20080000438U (ko) 2008-04-15
KR200441105Y1 true KR200441105Y1 (ko) 2008-07-22

Family

ID=4132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633U KR200441105Y1 (ko) 2006-10-09 2006-10-09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1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51B1 (ko)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WO2019035496A1 (ko) * 2017-08-16 2019-02-21 채금옥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51B1 (ko)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WO2019035496A1 (ko) * 2017-08-16 2019-02-21 채금옥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38U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510B1 (ko) 분리형 플러그를 가지는 헤어드라이기의 아크방지장치
US7931484B2 (en) Latchable power outlet
KR101289715B1 (ko) 탄성 레버 커넥터
JP2006032338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プラグコネクタ
CN205488816U (zh) 一种带插头弹出机构的插头插座
KR20046707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CN104405742A (zh) 可进行定位的滑杆
KR200441105Y1 (ko) 전기 플러그
KR101861984B1 (ko)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CN201797163U (zh) 一种弹出式电源插座
CN207474696U (zh) 一种免螺钉的插拔式接线端子插头装置
JP4971412B2 (ja) プラグ電気コネクタ
KR101179290B1 (ko)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CN108063347A (zh) 一种带助拔机构的高密度小型化矩形连接器
CN113991365B (zh) 一种防脱落线缆插头插座连接器
KR20080067526A (ko) 탄성 레버 커넥터
CN212968368U (zh) 一种防分离式电路连接器
KR20160025358A (ko) 원터치 멀티탭
KR200461009Y1 (ko) 원터치 플러그 분리 콘센트
KR101202409B1 (ko) 발거력 발생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US20100144185A1 (en) Plug-and-socket connector
CN109285709A (zh) 一种大行程且有较大过行程的按键开关
CN214797165U (zh) 一种能够降低安全隐患的电源开关
CN210668852U (zh) 一种插座的自动锁死、弹出式结构
JP3183461U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