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77Y1 -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 Google Patents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77Y1
KR200440977Y1 KR2020070006944U KR20070006944U KR200440977Y1 KR 200440977 Y1 KR200440977 Y1 KR 200440977Y1 KR 2020070006944 U KR2020070006944 U KR 2020070006944U KR 20070006944 U KR20070006944 U KR 20070006944U KR 200440977 Y1 KR200440977 Y1 KR 200440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adhesive
adhesive member
interior decora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우천
Original Assignee
강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우천 filed Critical 강우천
Priority to KR2020070006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glass elements, i.e. wherein an outer layer is not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마감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사용자 임의대로 절단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타일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되, 타일의 배면에 점착 증강제가 함유된 양면 접착부재를 부착한 타일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은,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다수 개의 타일과; 상기 타일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타일을 서로 연결하는 접착부재와; 상기 타일과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타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망; 및 상기 접착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착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의 양면에 점착 증강제로서 폴리우레탄 점착제가 함유된 점착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Y, 실내장식, 인테리어, 타일 모듈, 폴리우레탄 점착제, 연결망

Description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A tile module for interior decor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을 구성하는 접착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을 절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일 모듈 100 : 타일
200 : 연결망 300 : 접착부재
310 : 베이스 시트 320 : 점착층
400 : 이형지 500 : 링 나이프
600 : 거울 700 : 충진재
본 고안은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마감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사용자 임의대로 절단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타일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되, 타일의 배면에 점착 증강제가 함유된 양면 접착부재를 부착한 타일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사를 하거나 이사를 한 지 오랜 기간이 지나면 실내 분위기를 바꾸거나 미관을 고려하여 실내장식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 그리고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실내장식이란 생활 목적에 맞춰 필요한 공간 확보와, 기능과 안전의 조화 및 활동에 편리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며, 이러한 실내장식 디자인은 개개인의 개성과 취미, 기호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이렇게 개인의 개성과 기호를 살리면서 실내장식을 할 수 있도록 많은 DIY(Do-It Yourself)용 실내장식 용품들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 이러한 DIY용 실내장식 용품은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소비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있다.
실내장식 시 방이나 거실의 벽지나 장판을 바꾸는 일은 비교적 쉬운 일이어서 전문적인 기술이 없더라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지만, 주방이나 욕실과 같이 타일이 부착되어 있는 곳은 새로운 타일을 부착하기 위해서 기존에 시공되어 있던 타 일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타일을 부착해야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소비자가 시공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 개의 유리타일의 배면에 접착시트를 부착하여 소비자 스스로 실내장식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6-65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안에서 유리타일은 다양한 색상 및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주방의 벽면이나 욕실의 벽면에 포인트를 주기 위한 장식물로 사용되고 있는데, 비교적 무게가 나가는 세라믹 타일의 경우 통상의 접착시트를 사용하여 부착하면 타일 자체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타일의 부착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어렵고, 특히 습기가 많은 욕실 벽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수분 침투로 인해 접착시트의 점착성이 더욱 저하되어 타일이 떨어져 나감으로써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 개의 타일 배면에 점착 증강제인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함유하는 양면 접착부재를 함으로써 사용자 임의대로 시공 가능하여 편리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벽면과 타일 간에 점착 강도를 증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은,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다수 개의 타일과; 상기 타일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타일을 서로 연결하는 접착부재와; 상기 타일과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타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망; 및 상기 접착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착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의 양면에 점착 증강제로서 폴리우레탄 점착제가 함유된 점착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을 구성하는 접착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1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 개의 타일(100)과, 타일(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다수 개의 타일(100)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망(200)과, 연결망(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300) 및 접착부재(3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형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다수 개의 타일(100)은 접착부재(300)에 직접 부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 연결망(200)을 제외한 타일 모듈(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타일(100)은 유리, 아크릴,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전면에는 시공 장소의 분위기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 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넣어 제작할 수 있다.
연결망(200)은 에폭시 등의 점착제를 이용하여 타일(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타일(100)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섬유가 사용된다. 이렇게 연결망(200)으로서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다수 개의 타일(100)을 고정하려면 타일(100)들의 무게를 견뎌내어야 하고 장시간 보관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부재(300)의 점착력이 부분적으로 저하되어 타일(100) 중의 일부가 접착부재(300)로부터 떨어지더라도, 타일(100)의 배면이 또 다른 점착제에 의해 연결망(200)에 부착되어 지탱되게 함으로써 타일(100)이 부착된 벽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재(300)는 베이스 시트(310) 양면에 점착제(320)가 부착되어 있는 양면 접착부재가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 시트(310)로 단섬유 부직포를 사용하였고, 점착제(320)에는 점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점착 증강제를 혼합한 점착제를 사용하였다. 점착제(320)에 함유된 점착 증강제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에틸 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구성된 폴리우레탄 점착제로서,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ane resin)와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열가압 및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점착제는 통상 점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5 내지 6중량% 혼합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혼합하면 아크릴계 점착제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점착력을 20 내지 30%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점 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습기가 많은 곳에 시공되는 타일의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타일의 접착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접착부재(300)는 링 나이프 코팅 머신(ring knife coating machine)에서 점착 증강제가 혼합된 점착제를 베이스 시트(310)에 일정 두께 도포한 후 열 닥트에서 건조하여 점착층(32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접착부재(300)는 타일(100)의 배면에 압착하여 부착되는데, 타일(100)의 배면에 연결망(200)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두께가 매우 얇은 연결망(200)이 접착부재(300)의 점착층(320)에 완전히 파묻힐 정도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타일(100)의 배면과 접착부재(300)는 직접 밀착하는 동시에 접착부재(300)와 연결망(200)의 접착강도를 강화하여 연결망(200)을 통해 접착된 타일(1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형지(400)는 접착부재(3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접착부재(300)의 점착층(320)이 다른 물질과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을 절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의 사용상태를 보 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타일 모듈(100)을 부착하려는 곳을 물기 없이 깨끗하게 닦아낸다.
그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나이프(500)나 커터(미도시)와 같은 절단 도구를 이용하여 시공 장소나 용도에 맞게 타일 모듈(100)을 잘라낸다.
한편, 타일을 부착하려는 곳이 주방이나 욕실 벽면과 같이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타일 모듈(10)을 잘라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잘라낸 타일 모듈(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지(400)를 제거한 뒤, 시공 장소의 레이아웃을 고려해가면서 접착부재(300)가 맞닿도록 부착한다.
타일 모듈(10)을 부착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백 시멘트나 실리콘 등과 같은 충진재(700)를 이용하여 타일(100)과 타일(100) 사이에 빈 공간이나 타일 가장자리부분을 메워 마무리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모듈(10)을 거울(600)의 가장자리에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타일 모듈(10)을 선형으로 길게 잘라낸 뒤 거울(600)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하여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은, 전문적인 기술이 없는 소비자도 취향에 따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타일을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부재에 점착 증강제인 폴리우레탄 점착제가 함유되어 있어 타일의 점착력 및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분 침투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타일의 부착 상태를 오랫동안 지속하여 실내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다수 개의 타일과;
    상기 타일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타일을 서로 연결하는 접착부재와;
    상기 타일과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타일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망; 및
    상기 접착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착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의 양면에 점착 증강제로서 폴리우레탄 점착제가 함유된 점착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유리, 세라믹 및 아크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망은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망은 점착제에 의해 상기 타일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타일과 함께 상기 접착부재에 압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에 폴리우레탄 수지와 에틸 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구성된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5 내지 6중량%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KR2020070006944U 2007-04-27 2007-04-27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KR200440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44U KR200440977Y1 (ko) 2007-04-27 2007-04-27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44U KR200440977Y1 (ko) 2007-04-27 2007-04-27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77Y1 true KR200440977Y1 (ko) 2008-07-11

Family

ID=4164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44U KR200440977Y1 (ko) 2007-04-27 2007-04-27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165B1 (ko) 2009-10-09 2010-03-08 강미영 실내장식용 타일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실내장식용 타일
KR102357363B1 (ko) * 2021-04-08 2022-02-08 한솔접합유리 주식회사 유리 타일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타일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165B1 (ko) 2009-10-09 2010-03-08 강미영 실내장식용 타일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실내장식용 타일
KR102357363B1 (ko) * 2021-04-08 2022-02-08 한솔접합유리 주식회사 유리 타일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타일 조립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1988B2 (en) Tile system and method
WO2006066191A8 (en) Textile surface covering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CA2513958A1 (en) Floor covering having a removable decorative inlay
KR200440977Y1 (ko) 실내장식용 타일 모듈
JP2022000576A (ja) タイルユニットの軟質樹脂目地材
EP2436515A1 (en) Manufactured product for covering surfaces
CN204640986U (zh) 一种立体滴胶贴纸
US20060003141A1 (en) Floor covering having a removable decorative inlay
ATE360525T1 (de) Opakes und strukturiertes wandbelagmaterial mit einer träger- und einer dekorseite
KR20080001622U (ko) 접착식 행거
CN2930514Y (zh) 地垫
JP3216545U (ja) タイル貼着シート
KR101755862B1 (ko) 흡음 한지 장식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59322A (ja) タイル貼着シート
KR101350578B1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CN201535054U (zh) 一种地脚线
CN205276760U (zh) 可拆卸表面装饰材料
KR20050022490A (ko) 점착수단이 구비된 장식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장식재
CN204571178U (zh) 一种可拼装的装修墙板
JP7181460B2 (ja) タイルユニット
JP3209247U (ja) 化粧材
KR200370250Y1 (ko) 카펫 또는 카펫 타일 위에 직접 시공하는 탈부착이용이한 합성수지 타일
JP7296162B1 (ja) 壁加飾用ユニットパネル、それを利用した壁加飾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780330B2 (ja) 壁紙及び壁紙の貼付方法
KR102129823B1 (ko) 벽면 부착용 타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